KR20170067836A -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836A
KR20170067836A KR1020177012385A KR20177012385A KR20170067836A KR 20170067836 A KR20170067836 A KR 20170067836A KR 1020177012385 A KR1020177012385 A KR 1020177012385A KR 20177012385 A KR20177012385 A KR 20177012385A KR 20170067836 A KR20170067836 A KR 2017006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body part
wearable device
user
reten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405B1 (ko
Inventor
글렌 제이 앤더슨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6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06F19/3406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특정 실시예는, 유지 기구로서, 상기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기구;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A WEARABLE DEVICE PROFILE}
이 특허 출원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이동 기기(mobile device) 및 전자적 사용 가능 의복(electronic-enabled apparel)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기기, 통신 기기, 영상 기기, 전자 기기, 액세서리, 또는 사용자에게 착용 또는 부착하도록 고안된 기타 유형의 주변 기기(착용형 기기(wearables 또는 wearable device)로 나타냄)가 아주 널리 보급되고 있다. 착용형 기기는 이동 기기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형 기기 또는 이동 기기의 예로는 헤드셋 또는 이어폰 액세서리가 있는 이동 전화기, 구글 글라스(Google® Glass™) 착용형 컴퓨터, 손목 착용 기기, 허리 또는 발목 착용 기기, 내장형 전화기 또는 뮤직 플레이어가 있는 의류를 들 수 있다.
착용형 기기의 시장 공간은 향후 몇 년 안에 실질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기기들의 좋은 몫은 의류 제품 안이나 위에 직접 디자인되는 착용형으로 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기기들을 의류 자체에 직조된 일련의 센서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착용형 기기를 배치할 수 있는 신체 부위를 아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소모되는 칼로리 추정량은 동일한 가속도계로 발목에서 판독하는 것과 손목에서 판독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부착 부위를 파악하는 한 가지 접근법은 가속도계 판독치를 처음부터 끝까지 분석하는 것인데, 그러나 이 접근법은 충분한 운동 표본을 필요로 한다. 운동 또는 활동 여하에 따라 분석이 잘못 해석될 수 있다. 때로는 기기는 착용형이나 혹은 비착용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기가 언제 착용형 기기로 사용되는지 혹은 고정식 유지 기구에 부착되는지를 시스템이 알게 되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기기가 신체 또는 대상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는지를 시스템이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추가 방안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 스트랩, 밴드 및/또는 그 밖의 이동 기기 유지 기구에 대해 다양한 방식을 제공하되, 착용형 기기가 사용자의 신체 또는 대상에 어떻게 부착되는지 그리고 어디에 부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지 기구가 얻고 보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한다. 유지 기구가 얻고 보고하는 그러한 정보는 착용형 기기, 이동 기기 또는 기타 전자 기기의 작동을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일 실시예의 유지 기구는 상기 유지 기구와 관련되거나 그에 의해 유지되는 착용형 기기가 현재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보고할 수 있다.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에 저장된 이 정보는, 착용형 기기에서 혹은 별도의 기기에서 논리를 처리함으로써, 착용형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가속도계가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해서 사용자의 손목에 위치한다는 것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 및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가속도계의 운동 매개 변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의 정보는 착용형 기기, 이동 기기, 또는 기타 전자 기기의 작동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착용형 기기, 이동 기기, 기타 전자 기기, 또는 기타 컴퓨팅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PC),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팅 시스템, 개인 정보 단말기(PDA),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웹 기구(web appliance), 피트니스 기기, 의료 기기, 시간 측정기, 통신 장치, 기록 장치, 셋톱박스(STB),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명령 집합을 실행(순차적 실행 또는 이와 다른 실행)할 수 있거나 상기 기계에 의해 취해질 동작을 규정하는 처리 논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임의의 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 중의 다음과 같은 도면들에 한정이 아닌 예로서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동일한 이동 기기가 신체의 두 군데 상이한 부위에 착용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 및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유지 기구(retention mechanism) 및 스냅인 모듈(snap-in module)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명령어들의 집합이 실행될 때에 그리고/또는 처리 로직이 활성화될 때에 본원에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청구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컴퓨팅 및/또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형태를 취하는 기계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설명 목적으로 기재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동일한 이동 기기(10)가 신체의 상이한 두 부분인 착용자의 손목과 착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형적인 사람의 손목의 직경은 그 사람의 발목의 직경과 다르다. 유사하게, 신체의 다른 부분들의 치수는 이동 기기가 착용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상이한 신체 위치들을 본원에 기술된 예시적 실시예로 하여금 구별할 수 있게 하는 특유의 측정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기기(10)를 손목 또는 발목에 부착하는 데 스트랩 또는 밴드(12)(예, 유지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사람의 손목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목의 직경과 다르기 때문에, 스트랩 또는 밴드(12)는 이들 신체 부위의 상이한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목과 발목에서 다르게 부착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손목 밴드는 발목 밴드를 위한 부착 지점에 비해서 더 작은 원주를 형성하는 밴드 상의 지점에 부착될 가능성이 높은데, 여기서 발목 밴드를 위한 부착 지점에서의 원주는 더 클 것이다. 상이한 신체 부위들을 수용하기 위해 유지 기구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스트랩/밴드 상에 부착 지점을 배치함에 있어서의 이러한 차이는 유지 기구의 조정을 이동 기기가 착용되는 신체 또는 대상 상의 위치와 연관시키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유지 기구의 조정에 대응하는 정보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될 수 있고, 이동 기기의 작동을 구성 또는 조정하기 위해 이동 기기 또는 기타 기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는 메모리, 제어기, 데이터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기타 컴퓨팅 요소와, 유지 기구에 부착되거나 관련된 착용형 기기에 유지 기구의 프로파일을 보고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예, 유지 기구의 일부분)에는, 상기 스트랩 및 관련된 이동 기기가 부착되는 사지 또는 몸통 영역의 원주를 상기 스트랩이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관련된 이동 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또는 사람의 사지)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이동 기기를 사용자의 신체 또는 그 밖의 다른 대상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유지 기구의 원주를 얻고 보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스트랩(310)에 의해 만들어지는 원주를 조정(예, 사이즈 조정)하기 위해 스트랩(310)을 다양하게 상이한 부착 지점(340)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클립(330)을 갖춘 스트랩(310) 형태의 부착 기구를 포함하는 연결식 유지 기구를 구비한 착용형 이동 기기(320)를 포함하는 시스템(300)을 도시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부착 기구는 연결식 유지 기구를 갖는 이동 기기(320)를 사용자의 신체 또는 그 밖의 다른 대상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클립(330)은 소형 컴퓨팅 요소(예, 프로세서, 제어기, 논리, 어레이 등), 메모리 장치, 및 감지 표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요소 및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클립(330)의 감지 표면은 각 부착 지점(340)에 설치된 대응하는 도전성 요소들과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랩(310)을 조정할 때, 클립(330)의 감지 표면에 걸쳐 있는 부착 지점들(340)의 이동은 사용자가 클립(330)을 고정시키는 지점에서 도전성 요소들(340) 중 특정 요소와 클립(330)의 감지 표면 사이에서 전도가 발생하게 한다. 도전성 요소들(340) 중 특정 요소의 식별 또는 위치와 기타 부착 데이터는 클립(330)의 컴퓨팅 요소에 의해 획득되어 클립(330)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예, 스트랩(310) 및 클립(330)을 포함하는 부착 기구가 컴퓨팅 요소 및 메모리 장치와 함께 조합된 것)는 스트랩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가 조정한 대로 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사이즈 조정 데이터는 유지 기구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스트랩 사이즈 조정 데이터는 유지 기구에 저장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은 관련된 이동 기기 또는 기타 전자 기기에 보고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는 도전성 요소들(34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장치는 특정 전도성 요소(340)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메모리 장치는 클립(330)의 감지 표면에 대한 설정 값 또는 전도 이벤트의 유무의 표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이동 기기(320) 또는 관련된 유지 기구는 스냅인 모듈(360)용 리셉터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냅인 모듈(360)은 다양한 센서 어레이와, 입력 서브시스템 및 출력 서브시스템과, 데이터 처리,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 통신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냅인 모듈(360)은 손목 기반 스트랩에 삽입될 수 있다. 스냅인 모듈(360)은 유지 기구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되고 저장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기구를 스냅인 모듈(36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유선 접속부(350)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의 컴퓨팅 요소와 스냅인 모듈(360) 사이에 무선 데이터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스냅인 모듈(360)은 유지 기구에 의해 결정된 사이즈 조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관련된 이동 기기(320)의 작동이 구성될 수 있도록 스냅인 모듈(360)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와 특히 유지 기구의 사이즈 조정 정보는 스냅인 모듈(360) 및 관련된 이동 기기(320)가 착용되는 특정 신체 부위 또는 대상을 추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냅인 모듈(360) 및 관련된 이동 기기(320)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 및 이동 기기의 착용 방법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이한 방식으로 거동하도록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인 모듈(36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320)는 이동 기기(32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있음을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나타내는 경우에는 기본 설정(default)으로 시계면(watch face)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스냅인 모듈(36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320)는 이동 기기(320)가 헤드 스트랩에 부착된 대로 착용되어 있음을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나타내는 경우 수명 기록 카메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냅인 모듈(36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320)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지거나 추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상이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원의 개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기능의 결정은 시스템의 다양한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인 모듈(360)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지거나 추단된 정보에 의존해서 연소된 칼로리, 속도, 이동 거리 등을 추정하기 위해, 예컨대 가속도계 데이터를 다르게 사용하며 유지 기구로부터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판독하기에 충분한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스냅인 모듈(360)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지거나 추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속도계 데이터 또는 그 밖의 다른 센서 데이터를 다르게 처리하는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및/또는 클라우드 기반 서버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제는 도 4를 참조하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400)에서는 조정 가능한 클립(430)을 구비한 스트랩 또는 밴드(410) 형태의 부착 기구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가 제공된다. 유지 기구의 부착 기구는 스트랩(410)에 의해 만들어지는 원주를 조정(예, 사이즈 조정)할 수 있도록 스트랩(410)을 다양하게 상이한 부착 지점들(440)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부착 기구는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또는 다른 대상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클립(430)은 소형 컴퓨팅 요소(예, 프로세서, 제어기, 논리, 어레이 등), 메모리 장치, 및 감지 표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요소 및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클립(430)의 감지 표면은 각 부착 지점(440)에 설치된 대응하는 도전성 요소들과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트랩(410)을 조정할 때, 클립(430)의 감지 표면에 걸쳐 있는 부착 지점들(440)의 이동은 사용자가 클립(430)을 고정시키는 지점에서 도전성 요소들(440) 중 특정 요소와 클립(430)의 감지 표면 사이에서 전도가 발생하게 한다. 도전성 요소들(440) 중 특정 요소의 식별 또는 위치와 기타 부착 데이터는 클립(430)의 컴퓨팅 요소에 의해 획득되어 클립(430)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예, 스트랩(410) 및 클립(430)을 포함하는 부착 기구가 컴퓨팅 요소 및 메모리 장치와 함께 조합된 것)는 스트랩(410)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가 조정한 대로 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사이즈 조정 데이터는 유지 기구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스트랩 사이즈 조정 데이터는 유지 기구에 저장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은 관련된 이동 기기 또는 기타 전자 기기에 보고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는 도전성 요소들(44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장치는 특정 전도성 요소(440)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메모리 장치는 클립(430)의 감지 표면에 대한 설정 값 또는 전도 이벤트의 유무의 표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스트랩(410)은 가속도계(460) 또는 기타 감지 장치용 리셉터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감지 장치(460)는 센서 데이터를 별도의 이동 기기 또는 근접한 컴퓨팅 기기에 무선으로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유지 기구는 스트랩(410)의 사이즈 조정 데이터를 포함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별도의 이동 기기, 근접한 컴퓨팅 기기, 또는 기타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보고할 수 있다. 별도의 이동 기기 또는 근접한 컴퓨팅 기기는 감지 장치(460)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의 처리하기 위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이동 기기 또는 근접한 컴퓨팅 기기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졌거나 추단된 정보에 의존해서 연소된 칼로리, 속도, 이동 거리 등을 추정하기 위해, 가속도계 데이터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이동 기기 또는 근접한 컴퓨팅 기기는 유지 기구로부터 수신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지거나 추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상이한 방식 또는 모드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유지 기구에 의해 얻어지거나, 보유되거나, 혹은 추단되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다음의 데이터 필드 또는 값 중 하나 이상, 즉 1) 유지 기구의 유형, 2) 착용형 기기 대 비착용형 기기, 3) 유지 기구의 이전의 사이즈 설정치, 4) 유지 기구의 현재의 사이즈 설정치, 5) 유지 기구의 사이즈 설정치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를 결정하기 위해 유지 기구 사이즈 조정 데이터와 상관되는, 사용자/소유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신체 부위 측정치, 6) 유지 기구가 부착될 수 있는 대상의 유형, 7) 유지 기구 사이즈 설정치에 대응하는 대상 부위를 결정하기 위해 유지 기구 사이즈 조정 데이터와 상관되는, 사용자/ 소유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대상 부위 측정치, 8) 사용자/소유자의 인구학적 정보, 9) 기본 설정 구성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 중 일부는 제조 시에 기본 설정에 의해 들어서거나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소유자가 유지 기구를 구비한 이동 기기를 소정의 신체 부위에 처음으로 착용할 때, 사용자/소유자는 유지 기구가 신체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는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음성 입/출력(I/O), 전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를 사용하여 유지 기구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유지 기구는 검출된 유지 기구 사이즈 설정치 및 이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또는 대상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가속도계 판독의 경우, 이동 기기는 예를 들어 손목 또는 발목에서 나오는 가속도계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지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유지 기구(550) 및 스냅인 모듈(5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 기구(550)는 스냅인 모듈(360)과 유선 또는 무선 구성으로 데이터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유지 기구(550)는 부착 기구(553), 사이즈 감지 또는 감지 모듈(555), 및 사이즈 조정 데이터를 포함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요소(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기구(5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 또는 밴드와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즈 감지 또는 감지 모듈(555)은 소형 컴퓨팅 요소(예, 프로세서, 제어기, 논리, 어레이 등) 및 하나 이상의 감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이즈 감지 모듈(555)은 유지 기구(550)의 부착 기구(553)의 클립 또는 기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즈 감지 모듈(555)은 유지 기구(550)의 스트랩 또는 밴드의 도전성 요소들로부터 수신되는 부착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 또는 밴드가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때, 클립의 감지 표면에 걸쳐 있는 스트랩 또는 밴드 상의 부착 지점들의 이동은 사이즈 감지 모듈(555)로 하여금 부착 지점들 중 스트랩 또는 밴드가 고정되는 특정 지점을 식별하거나 위치시키게 한다. 이 정보는 사이즈 감지 모듈(555)에 의해 얻어지며 메모리 요소(560)에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지 기구(550)는 스트랩 또는 밴드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가 조정한 대로 달성할 수 있고, 이 사이즈 조정 데이터를 메모리 요소에 저장할 수 있으며,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스냅인 모듈(500)에 보고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스냅인 모듈(500)은 다양한 센서 어레이(510)와, 출력 서브시스템(515)과, 입력 서브시스템(520, 525)과, 데이터 처리,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 통신 기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센서 어레이(510)는 마이크로폰, 힘 검출기, 카메라, 촉각 센서, 컨덕턴스 센서, 및 다양한 기타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서브시스템(515)은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햅틱 장치, 및 기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서브시스템은 음성 인식 모듈(520) 및 가속도계 처리 모듈(525)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520)은 유지 기구(550) 및/또는 스냅인 모듈(500)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계 처리 모듈(525)은 가속도계 또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속도계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530)는 데이터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통신 인터페이스, 즉 유지 기구(550) 및/또는 별도의 이동 기기 또는 기타 컴퓨팅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냅인 모듈(500)은 유지 기구(550)에 의해 생성되고 저장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지 기구(550)를 스냅인 모듈(5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데 유선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유지 기구(550)와 스냅인 모듈(500) 사이에 무선 데이터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스냅인 모듈(500)은 유지 기구(550)에 의해 결정된 사이즈 조정 데이터를 포함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센서 어레이(510), 출력 서브시스템(515), 입력 서브시스템(520, 525),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의 작동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스냅인 모듈(500)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와 특히 유지 기구 사이즈 조정 정보는 스냅인 모듈(500) 및 관련된 이동 기기가 착용 또는 부착되는 특정 신체 부위 또는 대상을 추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냅인 모듈(500) 및 관련된 이동 기기는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 및 이동 기기의 착용 방법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상이하게 거동하도록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스냅인 모듈(500) 및 관련된 이동 기기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스냅인 모듈(50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는, 예컨대, 센서 어레이(510)의 촉각 또는 컨덕턴스 센서를 활성화(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센서 어레이(510)의 카메라를 비활성화(또는 활성화)하도록, 출력 서브시스템(515)을 통해 시계면을 표시하도록, 손목 착용 센서를 위해 가속도계 처리 모듈(525)을 조정하도록 하는 등의 것을 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냅인 모듈(50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가 헤드 스트랩에 부착된 대로 착용되어 있음을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나타내는 경우, 스냅인 모듈(50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는 센서 어레이(510)의 카메라를 수명 기록 카메라로서 기능할 수 있게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냅인 모듈(50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지거나 추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상이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원의 개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스냅인 모듈(500) 및/또는 관련된 이동 기기는 가속도계 처리 모듈로 하여금 연소된 칼로리, 속도, 이동 거리 등을 추정하는 데 있어 가속도계 데이터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얻어지거나 추단된 정보에 의존해서 다르게 사용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은 스냅인 모듈(500)에 일부 저장되고, 유지 기구(550) 및/또는 별도의 이동 기기 또는 기타 컴퓨팅 시스템에 일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 기구(550)는, 예를 들어, 유지 기구(550)가 부착된 신체 부위의 식별을 단지 보고만할 수 있다. 그러면, 스냅인 모듈(500)은 식별된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기기의 거동을 지시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스냅인 모듈(500)의 다양한 부분은 선택적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출력 서브시스템(515), 음성 인식 모듈(520), 및 가속도계 처리 모듈(525)을 포함해서 도시된 스냅인 모듈(500)과 별개인 기기에 위치될 수 있음은 본원의 개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시스템 구성 요소의 다양하게 상이한 구성들이 구현될 수 있음도 또한 본원의 개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흐름도는 본원에 기술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방법(600)은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하는 단계(처리 블록 610);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처리 블록 620);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에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처리 블록 630);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에 통신하는 단계(처리 블록 640)를 포함한다.
도 7은 명령어들의 집합이 실행될 때에 그리고/또는 처리 로직이 활성화될 때에 본원에 설명되고 그리고/또는 청구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컴퓨팅 및/또는 통신 시스템(700)의 예시적인 형태를 취하는 기계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는 독립형 기기로서 작동하거나 기타 기기에 접속(예, 네트워크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배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기계의 자격으로 작동하거나, 피어투피어(또는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기계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기계는 퍼스널 컴퓨터(PC),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팅 시스템, 개인 정보 단말기(PDA),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웹 기구, 셋톱박스(STB),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명령 집합을 실행(순차적 실행 또는 이와 다른 실행)할 수 있거나 상기 기계에 의해 취해질 동작을 규정하는 처리 논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임의의 기계일 수 있다. 또한, 단지 하나의 기계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계"라는 용어는 본원에 기술되고 그리고/또는 청구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집합(또는 다수의 집합) 또는 처리 논리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기계들의 임의의 집합을 포함하도록 취해질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이동 컴퓨팅 및/또는 통신 시스템(700)은, 버스 또는 기타 데이터 전송 시스템(706)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데이터 프로세서(702)(예, 시스템 온 칩(SoC), 일반 처리 코어, 그래픽 코어, 및 선택적으로는 다른 처리 논리) 및 메모리(704)를 포함한다. 이동 컴퓨팅 및/또는 통신 시스템(700)은, 예컨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오디오 잭, 및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2)와 같은, 다양한 입/출력(I/O) 장치 및/또는 인터페이스(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2)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표준 무선 및/또는 셀룰러 프로토콜 또는 액세스 기술(예, 셀룰러 시스템용 2세대(2G), 2.5세대, 3세대(3G), 4세대(4G), 및 차세대 무선 액세스,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강화된 데이터 GSM 환경(EDGE),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LTE, CDMA2000, WLAN, 무선 라우터(WR) 메시 등)과의 호환성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2)는 또한 TCP/IP, UDP, SIP, SMS, RTP, WAP, CDMA, TDMA, UMTS, UWB, WiMax, 블루투스, IEEE 802.11x 등을 포함한 그 밖의 다른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2)는 정보가 이동 컴퓨팅 및/또는 통신 시스템(700)과 다른 컴퓨팅 또는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네트워크(714)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기구를 포함하거나 사실상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본원에 기술되고 청구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 또는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집합,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기타 처리 논리(예, 논리(708))가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논리(708) 또는 그의 일부는 또한 이동 컴퓨팅 및/또는 통신 시스템(700)에 의해 프로세서(702)가 실행되는 동안에 그 프로세서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704)와 프로세서(702)는 또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논리(708) 또는 그 일부는 또한, 적어도 일부가 부분적으로는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처리 논리 또는 논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논리(708) 또는 그의 일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12)를 통해 네트워크(714) 전체에 걸쳐서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단일 매체일 수 있지만, 상기 "기계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집합을 저장하는 단일의 비일시적 매체 또는 다수의 비일시적 매체(예, 중앙 집중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관련된 캐시 및 컴퓨팅 시스템)를 포함하도록 취해져야 한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또한, 기계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 집합을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할 수 있으며 기계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어 집합에 의해 이용되거나 관련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비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도록 취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반도체 메모리, 광매체,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하도록 취해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적어도 다음의 예를 포함한다.
유지 기구로서, 상기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기구;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
상기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유지 기구.
상기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듈은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유지 기구.
상기 부착 기구가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유지 기구.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유지 기구.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스냅인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유지 기구.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기 청구된 유지 기구.
이동 기기와; 유지 기구로서, 상기 유지 기구 및 상기 이동 기기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기구,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시스템.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듈은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시스템.
상기 부착 기구가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시스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시스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스냅인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시스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기 청구된 시스템.
상기 이동 기기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웹 장비, 피트니스 기기, 의료 기기, 시간 측정기, 통신 장치, 및 기록 장치로 이루어진 그룹 중의 한 유형인, 상기 청구된 시스템.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는 것; 상기 유지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것;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를 사용하며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서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방법.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방법.
스냅인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방법.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방법.
기계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기계로 하여금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하게 하고,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게 하며,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달하게 하는 명령을 구현하는,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상기 청구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서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상기 청구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상기 청구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스냅인 모듈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상기 청구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장치로서, 상기 장치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수단;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상기 장치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장치.
상기 장치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장치.
상기 부착 수단이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장치.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장치.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와의 데이터 통신하는 스냅인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청구된 장치.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기 청구된 장치.
본 개시의 요약은 기술적 개시의 본질을 독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요약을 요구하는 37 C.F.R. §1.72(b)에 부합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 하에 제출된다. 또한,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 내용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특징들이 하나의 실시예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개시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는 것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범위가 반영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주제는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은 것에 있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범위는 이에 의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로서 그 자신에 의거한다.

Claims (25)

  1. 유지 기구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기구;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유지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듈은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요소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기구가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유지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스냅인 모듈을 포함하는
    유지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유지 기구.
  7. 이동 기기와;
    유지 기구로서, 이 유지 기구 및 상기 이동 기기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기구,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듈은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통신하는 스냅인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기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이동 전화기, 스마트폰, 웹 기구, 피트니스 기기, 의료 기기, 시간 측정기, 통신 장치, 및 기록 장치로 이루어진 그룹 중의 한 유형인
    시스템.
  13.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는 것;
    상기 유지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것;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스냅인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7. 기계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기계로 하여금 유지 기구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하게 하고, 유지 기구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게 하며,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달하게 하는 명령을 구현하는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클립을 사용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서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스냅인 모듈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달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기계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
  21.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수단;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및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다른 전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부착되는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을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대로 결정하기 위한 컴퓨팅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이 하나 이상의 스트랩 또는 밴드와, 상기 스트랩 또는 밴드를 특정 부착 지점에 조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부착 기구의 사이즈 조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77012385A 2014-12-08 2015-11-04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0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63,630 US9380855B2 (en) 2014-12-08 2014-12-08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a wearable device profile
US14/563,630 2014-12-08
PCT/US2015/058968 WO2016093985A1 (en) 2014-12-08 2015-11-04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a wearable device prof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836A true KR20170067836A (ko) 2017-06-16
KR102301405B1 KR102301405B1 (ko) 2021-09-10

Family

ID=5609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385A KR102301405B1 (ko) 2014-12-08 2015-11-04 착용형 기기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80855B2 (ko)
JP (1) JP6708356B2 (ko)
KR (1) KR102301405B1 (ko)
CN (1) CN107077171B (ko)
WO (1) WO2016093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5221B2 (en) * 2013-11-27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dynamic local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104507B1 (en) 2017-05-05 2018-10-16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to locate and operate a portable device on smart clothing
US10545578B2 (en) 2017-12-22 2020-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mmending activity sensor usage by image processing
WO2019160877A1 (en) * 2018-02-13 2019-08-22 West Virginia University A rapid pulse confirmation device
CN109003655A (zh) * 2018-06-29 2018-12-14 上海东巍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环监测的运动康复计划定制系统及方法
CN109003654B (zh) * 2018-06-29 2020-11-24 绍兴东巍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可穿戴式设备的老年人健身动作纠正系统及方法
US11308744B1 (en) * 2019-12-27 2022-04-19 Jimcy Exantus Wrist-wearable tracking and monitoring device
CN111443776A (zh) * 2020-04-29 2020-07-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可穿戴电子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45475A (ko) * 2020-05-25 2021-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스트랩 장치
EP4018879A1 (en) * 2020-12-22 2022-06-29 Guangzhou Landscape Communication Equipment Co., Ltd Electronic product fixator
JP7208687B1 (ja) 2022-05-26 2023-01-19 株式会社D.O.N 取付具
JP7232557B1 (ja) 2022-05-26 2023-03-03 株式会社D.O.N 取付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39486A1 (en) * 2012-11-20 2014-05-2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Placement of Optical Sensor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4124483A1 (en) * 2013-02-14 2014-08-21 Deakin University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037A (ja) * 1998-11-24 2000-06-06 Mitsutoyo Corp 測定センサ付きベルトおよびそのプリセット方法
JP2000259577A (ja) * 1999-03-12 2000-09-22 Hitachi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01005561A (ja) * 1999-06-22 2001-01-12 Toshiba Corp 衣服または身体付帯型情報処理装置
US20030030561A1 (en) * 2001-08-08 2003-02-13 Byron Yafuso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cking and communication
US8073548B2 (en) * 2004-08-24 2011-12-06 Sensors For Medicine And Science, Inc. Wristband or other type of band having an adjustable antenna for use with a sensor reader
US9314192B2 (en) * 2005-12-15 2016-04-19 Koninklijke Philips N.V. Detection and compensation method for monitoring the place of activity on the body
JP2007185233A (ja) * 2006-01-11 2007-07-26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測定装置
US8260384B2 (en) 2006-09-05 2012-09-04 Symbol Technologies, Inc. Wearable mobile computing system
US8370549B2 (en) 2007-09-07 2013-02-05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KR101519652B1 (ko) 2008-06-26 201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EP2892421A1 (en) * 2012-09-04 2015-07-15 Whoop,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heart rate monitoring and interpretation
US9466187B2 (en) 2013-02-04 2016-10-11 Immersion Corporation Management of multiple wearable haptic devices
WO2014130871A1 (en) * 2013-02-22 2014-08-28 Thalmic Labs Inc. Methods and devices that combine muscle activity sensor signals and inertial sensor signals for gesture-based control
US10318708B2 (en) * 2013-03-14 2019-06-11 Nike,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thletic activity from multiple body locations
US10725550B2 (en) * 2014-01-07 2020-07-28 Nod,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a plurality of gestures using roll pitch yaw data
GB201407240D0 (en) * 2014-04-24 2014-06-11 Hunter David Monitoring system
US9603569B2 (en) * 2014-07-11 2017-03-28 Verily Life Sciences Llc Positioning a wearable device for data collection
US9781984B2 (en) * 2015-03-08 2017-10-10 Apple Inc. Dynamic fit adjustment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39486A1 (en) * 2012-11-20 2014-05-2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Placement of Optical Sensor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4124483A1 (en) * 2013-02-14 2014-08-21 Deakin University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53057B2 (en) 2018-12-11
WO2016093985A1 (en) 2016-06-16
US20160157590A1 (en) 2016-06-09
JP2018500643A (ja) 2018-01-11
US20170277850A1 (en) 2017-09-28
JP6708356B2 (ja) 2020-06-10
CN107077171B (zh) 2021-07-30
KR102301405B1 (ko) 2021-09-10
US9380855B2 (en) 2016-07-05
CN107077171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30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a wearable device profile
CN108268095B (zh) 电子设备
US11639878B2 (en) Waist measuring belt
US20180279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Wireless Earpieces
US110446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mount of user physical activity
CN111386729B (zh) 电子设备及其通信方法
US9954857B2 (en) Digital charms system and method
US20160278647A1 (en) Misalignment detection of a wearable device
KR20170011557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114178B1 (ko)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810788A (zh) 一种无线耳机的佩戴情况检测方法、装置及无线耳机
KR102349757B1 (ko) 생체 센서의 전극을 이용한 충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US20160143079A1 (en)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WO20160873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ealth data using measurements of wearable device
KR102023822B1 (ko) 전력 관리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US9746834B2 (en) Self-recharging electronic watch
KR20180017404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6519860A (ja) アクセサリ検出
KR20160106410A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11096A (ko)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192398A (zh) 传感器数据的传输
US20180225988A1 (en) Sign language gesture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463301B2 (en) Wearable device band
JP2019009695A5 (ko)
KR102186528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