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770A - 터보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보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770A
KR20170067770A KR1020177009806A KR20177009806A KR20170067770A KR 20170067770 A KR20170067770 A KR 20170067770A KR 1020177009806 A KR1020177009806 A KR 1020177009806A KR 20177009806 A KR20177009806 A KR 20177009806A KR 20170067770 A KR20170067770 A KR 2017006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s
circuit
fuel
combustion chamber
igni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메인 티리에트
쟝-미셀 바제트
길라우메 코틴
카멜 세르그힌
빠뜨릭 마르꼬니
베르트란드 모이네
벵상 뽀마레데
Original Assignee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filed Critical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Publication of KR2017006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2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 F02P7/021Mechanical distributors
    • F02P7/026Distributors combined with other ignition devices, e.g. coils, fuel-injectors
    • F02P7/028Distributors combined with other ignition devices, e.g. coils, fuel-injectors combined with circuit-makers or -br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9/00Starting of machines or engines;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in connection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32Fuel valves; Draining valv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6Starting; Ignition
    • F02C7/264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266Control of fuel supply specially adapted for gas turbines with intermittent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0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combined with electronic control of other engine functions, e.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3/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engines
    • F02B53/12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48Control of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nother control of the plant
    • F02C9/56Control of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nother control of the plant with power transmiss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80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02T50/67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
본 발명은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연소개시 과정 동안 상기 연소실(2)속으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복수 개의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6)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는 상기 복수 개의 스타트업 인젝터들 중 일부 스타트업 인젝터들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1 스타트업 회로(20)라고 언급되는 제1 서브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타트업 인젝터들 중 다른 스타트업 인젝터들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2 스타트업 회로(30)라고 언급되는 제2 서브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보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IGNITION SYSTEM FOR A COMBUSTION CHAMBER OF A TURBO ENGINE}
본 발명은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탠드바이(standby) 모드로 설정되고 필요한 경우에 신속하게 재활성(reactivated)화될 수 있는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것처럼, 트윈 엔진 또는 세 개의 엔진을 가진 헬리콥터는 두 개 또는 세개의 터보 샤프트 엔진을 포함한 추진 시스템을 가지며, 각각의 터보 샤프트 엔진은 가스발생기에 의해 회전되고 출력 샤프트와 강하게 연결된 자유터빈 및 가스 발생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자유 터빈(free turbine)의 출력 샤프트는 헬리콥터의 로터를 구동하는 파워 트랜스미션 유닛의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는 공급회로에 의해 공급된 연료의 인젝터가 삽입되는 연소실을 포함한다.
헬리콥터가 순항 비행 상태일 때(즉, 이륙, 상승(ascent), 착륙 또는 호버링(hoversing) 비행의 전이 상태(transitional phases)를 제외한 모든 비행 상태에서 상기 헬리콥터가 정상 상태로 전진하고 있을 때)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은 최대 연속 출력보다 낮은 저출력 레벨(low power level)을 발생시킨다. 상기 저 출력 레벨은, 터보 샤프트 엔진에 의해 시간당 소비되는 연료의 소비 및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에 의해 공급되고 기계적 출력의 비율로서 정의되고 최대 이륙 출력의 소비율(specific consumption)(이하 SC라고 한다)의 약 30%보다 큰 SC를 발생시킨다.
또한, 헬리콥터용 터보 샤프트 엔진은 엔진들 중 한 개가 고장 나는 경우에 헬리콥터의 비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오버사이즈(oversized)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비행상태들은 엔진 실속(loss of engine) 다음에 발생하며 각각의 작동 엔진은 엔진의 공칭 출력보다 훨씬 더 큰 출력 레벨을 제공하여 헬리콥터는 위험 상황에 대처하고 다음에 비행을 계속한다.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은 또한 오버사이즈되어 항공기 제조사에 의해 규정되는 전체 비행 범위에 걸쳐서 비행, 특히 고온 날씨와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헬리콥터가 최대 이륙 중량에 근접한 중량을 가질 때 요구하는 것이 많은 이러한 비행순간(flight points)은, 특정 이용환경에서만 발생된다.
오버사이즈된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은 중량 및 연료소비와 관련하여 문제점을 가진다. 순항 비행시 상기 연료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터보 샤프트 엔진들 중 적어도 한 개를 비행시 스탠드바이로 설정하는 것이 고려된다. 다음에 작동 중인 엔진 또는 엔진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 레벨에서 작동하여 필요한 모든 출력을 제공하고 따라서 훨씬 유리한 SC 레벨에서 작동한다.
터보 샤프트 엔진을 스탠드바이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을 스탠드바이 상태로부터 신속하게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신속 재작동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동은 예를 들어, 작동 중인 엔진들 중 한 개가 고장날 때 또는 비행상태가 갑자기 악화되는 경우에 발생되어야 하며 전체 출력이 다시 한번 요구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특히 터보 샤프트 엔진이 스탠드바이 상태로 있을 때 및 이용가능한 전체 출력이 다시 한번 요구되는 비행 조건을 나타낼 때 터보 샤프트 엔진을 신속하게 재작동시킬 수 있도록 출원인은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최적화하려고 한다.
공지된 것처럼, 헬리콥터용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시스템은, 터보 샤프트 엔진이 초기화되면 연소를 초기화하기 위한 스타트업 인젝터(start- up injectors) 및 연소를 유지하기 위한 메인 인젝터(main injectors)들을 포함한다. 메인 인젝터들은 메인 회로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고 상기 스타트 업 인젝터들은 상기 메인 회로와 분리된 스타트업 회로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점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연소실내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을 연소시키기 위한 스파크(spark)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스타트업 스파크 플러그와 연결된 스타트업 인젝터에 의해 연소가 개시될 수 있다.
터보 샤프트 엔진을 위한 점화시스템을 설계할 때 엔지니어들은, 화염이 메인 인적터를 향해 신속하게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연료는 모든 인젝터들로 전달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걸리는 다수의 스타트업 인젝터들을 이용하거나, 연료가 더욱 신속하게 스타트업 인젝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화염이 메인 인젝터로 전달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걸리는 소수의 스타트업 인젝터들을 이용할 것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발명자들은, 상기 화염이 메인 인젝터를 향해 스타트업 인젝터로부터 신속하게 확산되는 동시에 스타트업 인젝터들이 신속하게 연료로 충진되는 해결책을 제안하려고 한다.
다시 말해, 발명자들은 원리적으로 양립될 수 없는 두 개의 대안들과 타협하려고 한다.
스탠드바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터보 샤프트 엔진을 가진 헬리콥터의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공지된 시스템과 비교하여 개선된 신뢰성을 가지는 점화시스템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연소실을 신속하게 점화하는 동시에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이 신속하게 재작동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로부터 메인 인젝터들을 향해 신속하게 확산하는 화염이 가지는 장점 및 신속하게 충진되는 스타트업 인젝터들의 장점을 결합한 점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시스템과 비교하여 개선된 신뢰성을 가진 점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을 가진 터보 샤프트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공기용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점화시스템은,
상기 연소실속으로 도입되고 연소 개시 과정동안 상기 연소실속으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복수 개의 스타트업 인젝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고 스타트업 회로라고 언급되는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속으로 도입되고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에 의해 연소가 개시되면 연소작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속으로 연료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메인 인젝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이 가지는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타트업 회로가,
제1 스타트업 인젝터라고 언급되는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 중 일부 스타트업 인젝터들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1 스타트업 회로라고 언급되는 제1 서브 회로를 포함하고,
제2 스타트업 인젝터라고 언급되는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 중 다른 스타트업 인젝터들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2 스타트업 회로라고 언급되는 제2 서브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시스템이 가지는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스타트업 회로 및 제2 스타트업 회로는 각각,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스타트업 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타트업 인젝터에 대해 연료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분리된 두 개의 스타트업 회로들을 포함하고 즉 제1 스타트업 인젝터들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한 개의 제1회로 및 제2 스타트업 인젝터들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한 개의 제2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회로는 상기 인젝터들로 연료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다수의 스타트업 인젝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젝터들이 분리된 두 개의 공급회로들에 걸쳐서 분포하기 때문에 인젝터를 충진하기 위해 긴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분리된 두 개의 공급회로들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시스템들보다 더욱 신뢰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스타트업 회로들 중 한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장 나는 경우에, 다른 회로의 작동으로 넘어가고 터보 샤프트 엔진이 재작동된다. 그러므로, 터보 샤프트 엔진이 필요한 경우에 재작동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어서 신뢰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상기 형태의 점화시스템은 비행하는 동안 스탠드바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터보 샤프트 엔진에서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스타트업 밸브는 상기 항공기의 비행상태에 따라 선택되는 시퀀스 또는 동시(sequential or simultaneous) 과정을 이용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항공기 예를 들어, 헬리콥터의 비행 조건은 예를 들어, 터보 샤프트 엔진의 가스 발생기가 가지는 회전속도, 주위 압력, 주입 온도 등을 포함한다. 두 개의 스타트업 회로들을 위한 동시 스타트업 과정 또는 두 개의 회로들을 위한 시퀀스 스타트업 과정 중에서 상기 비행 조건을 고려하여 터보 샤프트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최선의 수행 과정을 결정하도록 상기 서로 다른 매개변수들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이용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고장에 의한 작동 정지(dormancy)를 단일 비행으로 한정하기 위해 각각의 스타트업 회로가 지상에서 각각의 비행에 대해 교대로 이용되도록 솔레노이드 스타트업 밸브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상에서 상기 터빈은 각각의 비행을 위해 단일 스타트업 회로에서 교대로 시동되도록 점화시스템이 설계된다. 따라서 고장에 의한 작동 정지가 단일 비행으로 한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스타트업 인젝터는 상기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레일과 연결되고, 제1 스타트업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레일은 제2 스타트업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레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을 가져서 연료가 더 신속하게 충진된다.
상기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회로들은 서로 다르다. 상기 제1 회로는, 제2 인젝터에 비해 감소된 체적을 가진 충진 레일(filling rail)을 가지는 인젝터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인젝터들은 신속하게 연료로 충진될 수 있고 연소실내에서 신속하게 연소를 개시할 수 있다. 제2 인젝터들은 계속해서 연소를 수행하고 제1 인젝터들과 함께, 연소가 개시되면 화염이 메인 인젝터들을 향해 확산되는 것을 보장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각각의 스타트업 인젝터와 마주보게 배열된 한 개의 스파크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크 플러그는 상기 연소실내에서 연료를 발화시키기 위한 스파크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각각의 스타트업 인젝터, 즉 제1 및 제2 스타트업 인젝터들과 마주보게 배열된 스파크 플러그에 의해 연소작용을 가속시키고 메인 인젝터들을 향해 화염의 확산을 가속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두 개의 제1 스타트업 인젝터 및 두 개의 제2 스타트업 인젝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따르고 상기 유리한 실시예 또는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특히 스탠드바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터보 샤프트 엔진에 조립되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을 재작동시킨다.
헬리콥터가 지상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스타트업 회로들은 회로들의 무결성(integrity)을 점검하고 비행하는 동안 하이브리드 터보 샤프트 엔진이 스탠드바이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시험된다.
그러므로, 헬리콥터가 순항 비행 중일 때 하이브리드 터보 샤프트 엔진은 스탠드바이(standby)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은, 지상에서 상기 터빈은 각각의 비행을 위해 단일 스타트업 회로에서 교대로 시동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고장에 의한 작동 정지가 단일 비행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리콥터가 순항 비행 과정으로부터 착륙과정으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비행조건들에 의해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이 정상적으로 재작동해야 하는 경우에, 두 개의 스타트업 회로들 즉, 제1 스타트업 회로 및 제2 스타트업 회로 및 스파크 플러그의 서로 다른 전원공급 경로들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점화시스템이 이용된다. 상기 제1 스타트업 회로 및 제2 스타트업 회로는 동시에 제어되거나 시퀀스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터보 샤프트 엔진의 정상적인 재작동은, 재작동 명령후에 10초 내지 1분, 특히 30초 내지 1분내에 발생된다.
예를 들어, 작동하는 터보 샤프트 엔진들 중 한 개가 갑자기 고장나서 상기 비행 조건들에 의해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이 신속하게 재작동되어야 한다면, 연소실이 점화된 것이 감지되고 상기 제1 스타트업 회로를 제어하고 다음에 계속해서 제2 스타트업 회로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점화시스템이 이용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회로들이 동시에 제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소실을 포함한 터보 샤프트 엔진에 관한 것이고, 상기 터보 샤프트 엔진은 본 발명을 따르는 점화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을 따르는 적어도 한 개의 터보 샤프트 엔진을 포함한 항공기 특히, 헬리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특징들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스템, 터보 샤프트 엔진 및 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 1에 관련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예를 참고하는 하기 설명으로부터 공개되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점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에서 스케일과 비율은 설명과 이해를 위해 다를 수 있다.
도 1은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2)을 점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연소실(2)속으로 도입되고 연소 개시 과정 동안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들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연소실(2)속으로 도입되고 연소작용이 개시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유동율을 가지며 상기 연소실(2)속으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인 인젝터(12)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실(2)은 이해를 위해 도 1의 직사각형으로 개략 도시된다. 실제로, 연소실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원형 벽들 즉, 한 개의 벽이 다른 한 개의 벽내부에서 연장되고 연소실의 원형 바닥 벽에 의해 연결되는 외부 벽 및 내부 벽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 인젝터들은 연소실의 전체 원주에 걸쳐 분포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메인 인젝터(12)에 연료를 공급하고 메인 회로(main circuit)(5)라고 설명되는 회로 및, 스타트업 인젝터(21,31)에 연료를 공급하고 스타트업 회로(6)라고 설명되는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회로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연료 저장실로부터 연료를 끌어내도록 설계된 펌프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유입구(7)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21,31)에 연료를 공급하는 스타트업 회로(6)는 두 개의 서브 회로들 즉, 제1 스타트업 인젝터(21)라고 설명되는 인젝터들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1 스타트업 회로(20)라고 설명되는 제1 서브 회로 및, 제2 스타트업 인젝터(31)라고 설명되고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2 스타트업 회로(30)라고 설명되는 제2 서브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타트업 회로(20)는 또한 예를 들어, 헬리콥터의 (약자 EECU 라고 알려진) 엔진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타트업 회로(30)는 또한, 상기 EECU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2)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는, 제1 스타트업 인젝터(21)로 연료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2)는, 제2 스타트업 인젝터(31)로 연료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1 스타트업 인젝터(21)는, 상기 제2 스타트업 인젝터(31)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레일들의 체적보다 작은 체적을 가진 연료 공급 레일(fuel supply rails)을 가진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될 때 상기 제1 스타트업 인젝터(21)들은 신속하게 작동하고 연소실(2)내에서 연소를 개시한다. 일단 해당 레일이 충진되면 상기 제2 스타트업 인젝터(31)들은 계속해서 연소작용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스타트업 인젝터들이 상대적으로 큰 체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과정은 상기 제1 스타트업 인젝터보다 제2 스타트업 인젝터에 대해 약간 더 오래 걸린다.
일단 스타트업 인젝터(21,31)들이 작동하면,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21,31)로부터 메인 인젝터(12)까지 화염의 확산과 관련된 메인 회로의 인젝터(12)들이 작동하여 연소실내부의 연소작용이 유지된다. 일단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21,31)들로부터 메인 인젝터(12)들이 작동을 넘겨받으면, 제1 및 제2 스타트업 회로들은 블리딩되고(bled) 연료 잔류물이 채널(25,35)들을 통해 수집기로 방출된다.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이 연료 공급을 중단한 후에 스타트업 인젝터들의 블리딩이 형성되어 코킹(coking)(파이프내에서 연료의 탄화(carbonisation))이 회피되고 따라서 인젝터가 막히는(clogged)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가 상기 인젝터와 마주보게 배열된 스파크 플러그(23a,23b,33a,33b)와 연결된다. 고전압 전력 공급원을 포함한 전기 회로(24,34)로부터 각각의 스파크 플러그(23a,23b,33a,33b)에 전기가 공급된다. 각각의 스파크 플러그는 상기 연소실(2)내에서 공기 및 연료의 혼합물을 발화시키는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다.
스타트업 인젝터 당 한 개의 스파크 플러그가 구성되어, 화염이 메인 인젝터를 향해 확산하기 위한 시간이 감소되고 따라서 상기 형태의 점화시스템을 가진 터보 샤프트 엔진의 스타트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점화시스템은 네 개를 초과하는 스타트업 인젝터 및/또는 서로 다른 갯수의 제1 스타트업 인젝터들 및 제2 스타트업 인젝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2....연소실,
21a,21b,31a,31b....스타트업 인젝터,
6....스타트업 회로,
12....메인 인젝터,
21a,21b....제1 스타트업 인젝터,
20....제1 스타트업 회로,
30....제2 스타트업 회로.

Claims (8)

  1. 항공기를 위한 터보 샤프트 엔진의 연소실(2)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연소실(2)속으로 도입되고 연소 개시 과정동안 상기 연소실(2)속으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복수 개의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에 연료를 공급하고 스타트업 회로(6)라고 언급되는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실(2)속으로 도입되고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에 의해 연소가 개시되면 연소작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연소실(2)속으로 연료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메인 인젝터(12)를 포함하는 점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업 회로(6)는
    제1 스타트업 인젝터(21a,21b)라고 언급되는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 중 일부 스타트업 인젝터들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1 스타트업 회로(20)라고 언급되는 제1 서브 회로를 포함하고,
    제2 스타트업 인젝터(31a,31b)라고 언급되는 상기 스타트업 인젝터들 중 다른 스타트업 인젝터들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제2 스타트업 회로(30)라고 언급되는 제2 서브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타트업 회로(20) 및 제2 스타트업 회로(30)는 각각,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스타트업 밸브(22,32)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에 대해 연료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스타트업 밸브는 상기 항공기의 비행상태에 따라 선택되는 시퀀스 또는 동시 과정을 이용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장에 의한 작동 정지(dormancy)를 단일 비행으로 한정하기 위해 각각의 스타트업 회로가 지상에서 각각의 비행에 대해 교대로 이용되도록 솔레노이드 스타트업 밸브(22,32)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타트업 인젝터(21a,21b,31a,31b)는 상기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레일과 연결되고, 제1 스타트업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레일은 제2 스타트업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레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을 가져서 연료가 더 신속하게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화 시스템은 각각의 스타트업 인젝터와 마주보게 배열된 한 개의 스파크 플러그(23a,23b,33a,33b)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크 플러그는 상기 연소실(2)내에서 연료를 발화시키기 위한 스파크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화 시스템은 두 개의 제1 스타트업 인젝터(21a,21b) 및 두 개의 제2 스타트업 인젝터(31a,31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시스템.
  7. 연소실을 포함한 터보 샤프트 엔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연소실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샤프트 엔진.
  8. 제7항을 따르는 적어도 한 개의 터보 샤프트 엔진을 포함한 항공기.
KR1020177009806A 2014-10-13 2015-10-06 터보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 KR20170067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9811A FR3027059B1 (fr) 2014-10-13 2014-10-13 Systeme d'allumage d'une chambre de combustion d'un turbomoteur
FR1459811 2014-10-13
PCT/FR2015/052682 WO2016059319A1 (fr) 2014-10-13 2015-10-06 Systeme d'allumage d'une chambre de combustion d'un turbomo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770A true KR20170067770A (ko) 2017-06-16

Family

ID=5193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806A KR20170067770A (ko) 2014-10-13 2015-10-06 터보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292491A1 (ko)
EP (1) EP3207224A1 (ko)
JP (1) JP2017532491A (ko)
KR (1) KR20170067770A (ko)
CN (1) CN106795777A (ko)
CA (1) CA2963837A1 (ko)
FR (1) FR3027059B1 (ko)
RU (1) RU2017113350A (ko)
WO (1) WO2016059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7026B2 (en) * 2017-02-04 2019-05-1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Power demand anticipation systems for rotorcraft
FR3078142B1 (fr) * 2018-02-22 2020-03-20 Safran Aircraft Engines Chambre de combustion comportant deux types d'injecteurs dans lesquels les organes d'etancheite ont un seuil d'ouverture differ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424A (en) * 1988-02-16 1991-01-15 Sundstrand Corporation Fuel injection system for a turbine engine
GB0206220D0 (en) * 2002-03-15 2002-05-01 Lucas Industries Ltd Fuel system
EP2744996B1 (en) * 2011-08-19 2020-03-18 Woodward, Inc. Split control unit
FR3001497B1 (fr) * 2013-01-29 2016-05-13 Turbomeca Ensemble de combustion de turbomachine comprenant un circuit d alimentation de carburant ameliore
FR3002284B1 (fr) * 2013-02-18 2015-02-13 Turbomeca Procede de surveillance d'un degre de colmatage d'injecteurs de demarrage d'une turbo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2491A (ja) 2017-11-02
US20170292491A1 (en) 2017-10-12
EP3207224A1 (fr) 2017-08-23
CN106795777A (zh) 2017-05-31
CA2963837A1 (fr) 2016-04-21
RU2017113350A (ru) 2018-11-15
FR3027059A1 (fr) 2016-04-15
WO2016059319A1 (fr) 2016-04-21
FR3027059B1 (fr)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9925B2 (en) Descent operation for an aircraft parallel hybrid gas turbine engine propulsion system
US10337409B2 (en) Method for assisting a turboshaft engine in standby of a multiple-engine helicopter, and architecture of a propulsion system of a helicopter comprising at least one turboshaft engine that can be in standby
US10907834B2 (en) Slinger combustor having main combustion chamber and sub-combustion chamber, and gas turbine engine system having the same
US20130219905A1 (en) Method of optimizing the specific fuel consumption of a twin engine helicopter and twin engine architecture with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it
US104941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rting the engines of a twin-engine aircraft
CA2546550C (en) Control system for gas turbine aeroengine
CN106414910B (zh) 用于涡轮轴发动机的紧急启动的液压设备、配备有一个该设备的多引擎直升机的推进系统和对应的直升机
CN105593493A (zh) 用于优化双发动机直升机的比耗量的方法
JP6280139B2 (ja) ロケット・モータ・ターボポンプのための始動デバイス
RU2664900C1 (ru) Многоколлек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камеру сгор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EP4123145A1 (en) Multi-fuel engine for an aircraft
KR20170067770A (ko) 터보 엔진의 연소실을 위한 점화시스템
KR20160057401A (ko) 항공기 터보머신의 비상 시동 시스템 및 방법
US1045150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fault within a flow divider
EP3617475B1 (en) High altitud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urbocharger and exhaust combustor
US117605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ling a fuel manifold of a gas turbine engine
CN210105991U (zh) 辅助喷射系统、发动机、动力总成
KR101985057B1 (ko) 멀티-연료 내연 기관의 작동
US20140165586A1 (en) Turbine start method
EP272249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gas turbine with sequential combustion
RU2643282C2 (ru) Ракетный двигател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