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318A -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318A
KR20170067318A KR1020150173847A KR20150173847A KR20170067318A KR 20170067318 A KR20170067318 A KR 20170067318A KR 1020150173847 A KR1020150173847 A KR 1020150173847A KR 20150173847 A KR20150173847 A KR 20150173847A KR 20170067318 A KR20170067318 A KR 2017006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compound
aromatic vinyl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760B1 (ko
Inventor
박인혁
김태훈
김성룡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7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f)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CHEMICAL RESISTANCE AND MOLDED PRODUCT PREPARED THEREFORM}
본 기재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곡강도의 저하 없이 방향제에 대한 내화학성이 크게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내열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이하, ASA라 함) 수지는 우수한 내충격성과 함께, 가공성, 미려한 외관뿐만 아니라 열변형 온도가 높으므로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제품, 건축 자재 등 그 쓰임이 점점 확장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부품의 경우 ASA 수지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에 비하여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 즉 내후성이 우수한 특징으로 인하여 태양광에 노출이 잦은 외장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내후성이 요구되는 내장재에 대해서도 그 쓰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내장재는 방향제, 탈취제 등의 각종 화학 물질과의 접촉할 기회가 많아짐으로 인해 높은 내화학성이 요구되는데, 기존의 ASA 수지는 내화학성이 취약하다. 특히 방향제, 탈취제, 곰팡이 제거제 등의 화학물질을 자동차 에어컨에 도포하는 경우에 ASA 수지로 만들어진 자동차 에어벤트 부분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현상이 발견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결정성 폴리머를 첨가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지만, 충분한 내화학성을 구현하지 못하고 오히려 다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2-002915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굴곡강도의 저하 없이 방향제에 대한 내화학성이 크게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f)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의 포함하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르면 굴곡강도의 저하 없이 방향제에 대한 내화학성이 크게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f)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범위 내에서 굴곡강도의 저하 없이 방향제에 대한 내화학성이 크게 개선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상기 (a) 공중합체는 일례로 13 내지 27 중량%, 또는 15 내지 2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공중합체는 일례로 아크릴계 고무 10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6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5 중량%; 또는 아크릴계 고무 2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충격강도, 내열성 및 외관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일례로 평균입경이 3500 내지 5000Å, 또는 4000 내지 5000Å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일례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독으로 중합된 중합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가 유화제, 개시제, 그라프팅제, 가교제 및 전해질을 포함하여 유화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일례로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고무,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상기 (b) 공중합체는 일례로 5 내지 15 중량%, 또는 10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공중합체는 일례로 평균입경 1.5 내지 3㎛, 또는 2 내지 3㎛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공중합체는 일례로 공액디엔 고무 10 내지 25 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50 내지 80 중량%; 공액디엔 고무 10 내지 20 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공중합체는 일례로 괴상중합된 괴상 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내화학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괴상중합은 무용매 또는 유기용매 하에서 중합하는 방법으로, 유화제를 사용하여 물과 단량체를 유화시켜 중합하는 유화중합과 대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고무는 일례로 부타디엔 중합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R),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NBR)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D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c) 공중합체는 일례로 43 내지 57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c) 공중합체는 α-메틸 스티렌계 화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 또는 α-메틸 스티렌계 화합물 60 내지 7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α-메틸 스티렌계 화합물은 일례로 α-메틸 스티렌과 α-메틸 스티렌의 수소 중 1 또는 1 이상이 알킬 등과 같은 치환기로 치환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상기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3 내지 17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 유동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말레이미드계 단량체가 40 중량% 이상, 또는 40 내지 99 중량% 함유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단량체 35 내지 55 중량%; 및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0.1 내지 5 중량%;가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N-페닐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충분한 내열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N-페닐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N-페닐 말레이미드-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N-페닐 말레이미드-방향족 비닐 화합물-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3 내지 17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화학성 및 기계적 물성 특히 굴곡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결정성 부분과 비결정성 부분이 함께 존재하여 결정성 부분은 내화학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비결정 부분은 신율을 향상시켜 잔류 스트레스를 적게 한다.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결정성인 폴리에스터 그룹과 비결정인 폴리이써 그룹을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쇼어(shore) 경도가 30 내지 50D, 35 내지 45D, 또는 37 내지 42D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화학성, 충격강도 및 물성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테트라메틸렌글리콜 엘라스토머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30 내지 50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 및 테트라메틸렌글리콜 50 내지 70 중량%, 또는 55 내지 65 중량%가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내화학성, 충격강도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f)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
상기 화학식 1은 일례로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0.5 내지 7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굴곡 강도를 유지하면서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기재의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차단제, 안료 및 무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790에 의거한 굴곡강도가 1900 MPa 이상, 또는 1900 내지 2200 MPa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256에 의거한 충격강도가 10 kgf·cm/cm 이상, 또는 10 내지 20 kgf·cm/cm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648에 의거한 열변형 온도가 104℃ 이상, 또는 104 내지 11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용융지수(220℃, 10kg)가 6 g/10분 이상, 또는 6 내지 20 g/10분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내화학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f)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혼련은 일례로 210 내지 290℃, 또는 230 내지 270℃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 내장재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a): 평균입경 4500~5000Å의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50 중량%, 스티렌 3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ASA 공중합체
* (b): 평균입경 3㎛의 부타디엔 고무 15 중량%, 스티렌 7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가 공중합된 ABS 공중합체
* (b'): 평균입경 1000~1500Å의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50 중량%, 스티렌 3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ASA 공중합체
* (c): α-메틸 스티렌 7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가 공중합된 내열 SAN 공중합체
*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MSNB, DENKA)
*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BT2140D, LG화학)
* (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S2008, SK케미칼)
* (f):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대로 각각의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첨가하여 믹서로 혼합하고, 240~260℃ 조건 하에서 이축압출기(twin-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펠렛 형태로 제조하고, 이 펠렛으로 사출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평균입경: Particle size analyzer 인 NICOMP 38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내화학성: 2.0% 곡률을 가지는 지그(jig)에 인장 시편(200×12.7×3.2mm)을 고정하고, 면으로 된 패치를 시편에 부착 후 방향제를 1ml을 도포하고 168시간 후에 크랙 발생 정도를 다음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X: 취약
- 방향제 1: 라이프테크사의 아로마 내츄럴스(베르가모트 향)
- 방향제 2: 센텍사의 아바타(자스민 향)
* 굴곡강도(MPa): ASTM D790 규격에 의거하여 시편 두께 6.4mm로 3 mm/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 아이조드 충격강도(kgf·cm/cm): ASTM D256방법에 의거하여 시편 두께 3.2mm에 노치를 낸 후 측정하였다.
* 열변형 온도(℃): ASTM D648에 의거하여 시편 두께 6.4mm로 하중 18.6kgf/cm2에서 측정하였다.
* 유동지수(g/10분):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Kg 하중에서 10분간 측정하였다.
구 분 실시에 비교예
1 2 3 4 1 2 3 4 5



(a)
(중량%)
20 20 20 20 20 20 20 20 20
(b)
(중량%)
10 10 15 15 5 10 15 10 -
(b')
(중량%)
- - - - - - - - 10
(c)내열SAN
(중량%)
50 50 50 50 50 50 50 50 50
(d)
(중량%)
10 10 10 10 10 10 10 10 10
(e)
(중량%)
10 10 5 5 15 10 5 - 10
(e')
(중량%)
- - - - - - - 10 -
(f) (중량부) 3 1 3 1 - - - 3 3



방향제1 X
방향제2 X
굴곡강도 1,900 1,950 2,100 2,150 1,700 1,950 2,100 2,000 1,600
아이조드
충격강도
20 13 10 13 16 13 10 6 6
열변형 온도 104 104 105 105 103 104 105 106 105
유동지수 6 7 6 7 5 6 7 5 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은 방향제 1 및 2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굴곡강도, 아이조드 충격강도, 열변형 온도 및 유동지수가 우수하였다.
반면에, (f)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 및 2는 내화학성은 양호하였지만 굴곡강도 또는 충격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f) 성분이 포함되지 않으면서 (e)가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3은 충격강도 및 내화학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대신에 (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이 포함된 비교예 4는 내화학성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b) 성분 대신에 (b') 성분이 사용된 비교예 5는 내화학성은 유지되었지만 굴곡강도가 매우 저하되었다.

Claims (17)

  1.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f)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 10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6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여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중합체는 공액디엔 고무 10 내지 25 중량%,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5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중합체는 괴상중합된 괴상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α-메틸 스티렌계 화합물 5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N-페닐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페닐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는 N-페닐 말레이미드-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N-페닐 말레이미드-방향족 비닐 화합물-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결정성인 폴리에스터 그룹과 비결정인 폴리이써 그룹을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테트라메틸렌글리콜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는 쇼어(shore) 경도가 30 내지 50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한 굴곡강도가 190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한 충격강도가 10 kgf·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한 열변형 온도가 10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220℃, 10kg)가 6 g/10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a) 평균입경 3000 내지 5000Å의 아크릴계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 10 내지 30 중량%; (b) 평균입경 1 내지 3.5㎛의 공액디엔 고무에 비닐시안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된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c) 내열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d)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e)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f)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탄소수 10 내지 25개의 알킬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50173847A 2015-12-08 2015-1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8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47A KR102085760B1 (ko) 2015-12-08 2015-1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47A KR102085760B1 (ko) 2015-12-08 2015-1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18A true KR20170067318A (ko) 2017-06-16
KR102085760B1 KR102085760B1 (ko) 2020-03-06

Family

ID=5927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47A KR102085760B1 (ko) 2015-12-08 2015-1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61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73995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10050180A (ko)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239938A1 (ko) * 2021-05-10 2022-11-17 (주) 엘지화학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US11584849B2 (en) 2018-01-10 2023-02-21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9156A (ko) 2010-09-16 2012-03-26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14001374A (ja) * 2012-05-25 2014-01-09 Toray Ind Inc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20150068313A (ko) * 2013-12-10 2015-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계 내화학성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9156A (ko) 2010-09-16 2012-03-26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14001374A (ja) * 2012-05-25 2014-01-09 Toray Ind Inc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20150068313A (ko) * 2013-12-10 2015-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계 내화학성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61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90073995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584849B2 (en) 2018-01-10 2023-02-21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20210050180A (ko)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239938A1 (ko) * 2021-05-10 2022-11-17 (주) 엘지화학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60B1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110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reveal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lt flow property
KR10208576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666797B1 (ko) 고충격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저광택도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
KR100881335B1 (ko) 내후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0081729B2 (en) (Meth)acrylic co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of said resin composition
KR100665804B1 (ko) 내화학성과 내크랙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 수지 조성물
KR2018007306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20090072651A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5814702A (en) Elastomer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dified therewith
KR20150068313A (ko) 스티렌계 내화학성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694447B1 (ko) 성형가공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228828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056543B1 (e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olycarbonate resin for window frames
KR20180075095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EP3943545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388854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20668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719213B1 (ko)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KR101839483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창호재용 수지 조성물
JP4727831B2 (ja) 車両外装用樹脂組成物および車両外装用部品
US5196461A (en) Styrenic copolymer/polyacetal blend compositions
KR20150143020A (ko) 스크래치 보강제, 내스크래치성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8165422A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KR20200005154A (ko) 사출 성형용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EP0442633A1 (en) Styrenic copolymer/polyacetal blend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