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213B1 -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213B1
KR100719213B1 KR1020050133066A KR20050133066A KR100719213B1 KR 100719213 B1 KR100719213 B1 KR 100719213B1 KR 1020050133066 A KR1020050133066 A KR 1020050133066A KR 20050133066 A KR20050133066 A KR 20050133066A KR 100719213 B1 KR100719213 B1 KR 10071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und
resin composition
ab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욱
나희석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각 성분을 적정 비율로 조정하고,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을 특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가소성 ABS수지는 낮은 선팽창계수와 고내열성, 고내충격성과 도장/도금 등의 후 공정을 위한 우수한 표면광택을 가지며, 이는 온도변화가 매우 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의 내/외장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선팽창계수, 내열성,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 무기충전재(filler), 내충격성, 표면 광택성

Description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조성물{ABS Resin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적절한 무기충전재(filler)와 상용화제를 적용한 선팽창계수가 작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표면광택과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이하 ABS 수지)는 스티렌의 우수한 가공성, 아크릴로니트릴의 내약품성, 부타디엔의 내충격성 등의 물성 발란스(balance)와 외관특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기기부품, 자동차 부품 등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온도변화가 매우 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ABS 수지는 고내열성, 고내충격성과 도장/도금 등의 후 공정을 위한 우수한 표면광택뿐 아니라 낮은 선팽창계수가 요구된다.
현재까지는 주로 ABS수지의 충격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많이 진행되었다. 대표적으로, 유화 그라프트 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유화중합 고무입자를 연속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고무입자와 함께 적용하는 방법이 미국특허 제4,430,478호를 비롯한 미국특허 제5,605,963호, 미국특허 제5,696,204호 외 다수의 특허에 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고내충격성 ABS수지는 선팽창계수가 높아져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온도 변화가 심한 장소에 노출되는 제품의 경우 팽창과 수축의 반복에 따른 응력 누적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동차 내/외장용으로 사용될 경우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다.
종래 기술은 선팽창계수를 낮추고,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의 변동을 적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무기충전제(filler)를 이용하고, 특히 탄성률(modulus)과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유리섬유(glass fiber)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선팽창계수는 낮출 수 있으나, ABS 수지의 강점 중 하나인 표면광택이 저하되어 외장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미국특허 제4,816,510호나, 미국특허 제5,965,655호에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나 폴리카보네이트에 운모(mica)나 규회석(wollastonite)을 적용하여 선팽창계수를 낮출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ABS수지의 내열도와 치수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고무탄성체 함량을 최소화하고 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이용되어지는데, N-페닐 말레이미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내열도 향상은 가능하지만 선팽창계수를 낮추는 데는 효과가 적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ABS 수지의 물성과 성형성을 보다 향상시킨 낮은 선팽창계수와 고내열성, 높은 충격강도 및 우수한 표면 광택을 가지는 신규한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성분을 적정 비율로 조정하고,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을 특정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고내열성, 높은 충격강도 및 우수한 표면 광택을 가지면서도 자동차용도에 적합한 낮은 선팽창계수를 구현할 수 있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A) 고무질 중합체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그라프트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 10-100 중량부와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a2) 0-9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B)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0 중량부; 및
(C) 한쪽은 점토광물과 이온교환반응을 할 수 있는 오늄이온을, 다른 한쪽은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비닐기나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광물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한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 수지는 흔히 ABS수지로 알려져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는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과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a2)의 공중합체의 혼합된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와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a2)의 중량비는 10:90 - 100: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5 - 100:0 이다.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부족하게 된다.
상기의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1)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통상적으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화, 괴상, 용액, 현탁 중합 등 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나 그 중에서도 주로 유화중합과 괴상중합이 많이 사용되며, 한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두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 중합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괴상 중합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는 고무질 중합체에 시안화 비닐 화합물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단량체의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에 있어서의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10-7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6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함량은 30-9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 전체에 있어서는,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비는 5-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부이다. 고무질 중합체가 5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부족하게 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선팽창계수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다양한 제조방법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바, 통상적으로 부타디엔(butadiene) 단량체를 유화 또는 괴상 중합시켜 얻으며, 이 때 한 가지 이상의 공단량체(comonomer)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부타디엔(butadiene)이외에 알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공단량체(comonomer)로는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알킬스티렌,알킬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등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공단량체(comonomer)는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중합되는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스티렌, o-, m-,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중량비는 50:50 - 90:10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안화비닐 화합물이나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로 대체할 수 있다.
(a2)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a2)는 유화, 괴상, 용액, 현탁 중합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중량비는 50:50 - 90:10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600,000 수준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스티렌, o-, m-,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안화비닐 화합물이나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B)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Figure 112005077654817-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원자이거나 메틸기이고; R2는 C1∼C12 의 알킬기로서 수소 원자이거나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부틸, 이소부틸, 이소아밀, t-아밀기의 알킬기이며; m과 n은 중합도로서 m과 n의 비율은 300:1∼10:90 임)
상기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랜덤, 블록, 멀티블록,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1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1중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선팽창계수가 충분히 저하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90℃, 2.16㎏f 조건에서 0.01∼4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190℃, 2.16㎏f 조건에서 0.1∼10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0.01g/10분 미만이거나, 40g/10분 초과이면 (A) 및 (C)와 균일하게 섞이지 않아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C)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
통상적으로 점토(clay)광물은 약 500-2000Å의 길이와 폭, 9-12Å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광물로서, 각 층간의 거리는 약 10Å정도이며 적층상태로서 응집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점토(clay)광물은 100그램당 50∼200밀리 당량의 양이온치환능력을 가진 바, 아조기 혹은 퍼옥사이드기를 함유하는 암모늄이온과 같은 오늄이온으로 이온교환반응을 통하여 쉽게 개질(유기화)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C)은 상기한 점토광물 중에서도 스멕타이트 형태의 점토(clay)광물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몬트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와 같은 것들이며, 이들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본 발명의 유기화된 점토광물에 사용된 점토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해 1-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10중량부이다. 1중량부 미만이면 선팽창계수가 충분히 작아지지 않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점토(clay)광물의 유기화제로는, 한쪽은 점토(clay)광물과 이온교환반응을 할 수 있는 오늄이온을, 다른 한쪽은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비닐기나 하이드록시기 같은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사용되며, 이들은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비닐기나 하이드록시기 같은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선팽창계수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비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비닐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닐벤질트리에틸암모늄브로마이드, 비닐벤질트리에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디메틸 디에톡시메틸 하이드로화탈로우알킬 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 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응성기를 가진 화합물로 유기화 처리된 점토(clay)광물(C)에 포함된 유기화제의 함량은 10-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부이다. 유기화제가 1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에의 분산성이 약하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 분해가능성이 높아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특정한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a2),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B),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C) 및 반응성기가 없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광물(D)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1)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a1-1)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5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로 구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1-2)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1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부, 스티렌 60 중량부로 구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a2)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부, 스티렌 70 중량부로 구성되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200,000 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B)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미국 Dupont사의 Elvaloy AC (상품명) EMA-1330를 사용하였다.
(C)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광물
(C-1)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광물
약 500-2000Å의 길이와 폭, 9-12Å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몬트모릴로나이트 형태의 점토(clay)광물 75중량부를 스테아릴 비스(2-히드록시에틸)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25중량부로 유기화 처리한 점토(clay)광물을 사용하였다.
(C-2) 비닐기 가진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광물
약 500-2000Å의 길이와 폭, 9-12Å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몬트모릴로나이트 형태의 점토(clay)광물 75중량부를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20중량부로 유기화 처리한 점토(clay)광물을 사용하였다.
(D) 반응성기가 없는 화합물로 유기화 처리된 점토(clay)광물
약 500-2000Å의 길이와 폭, 9-12Å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몬트모릴로나이트 형태의 점토(clay)광물 75중량부를 디메틸 디하이드로화탈로우알킬 암모늄클로라이드 25중량부로 유기화 처리한 점토(clay)광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7]
상기 각 구성성분 및 직경 10㎛인 유리 섬유(glass fiber)와 직경 5㎛인 활석(talc)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용융,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29, 직경 45㎜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실린더 온도는 240 ℃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으로 물성시편을 사출 성형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사출성형 시편을 1.0 cm × 1.0 cm × 0.6 cm 크기로 가공하여 선팽창계수를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7654817-pat0000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펠렛 및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ASTM D256 (1/4", 23 ℃)에 따라 측정하였다.
(2) 내열도(HDT)는 ASTM D648 (1/4", 18.5 kgf/㎠, 120 ℃/hr)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선팽창계수는 열기계분석기(TMA)를 이용하여 30 ℃~80 ℃ 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측정하였다.
(4) 광택도는 가드너 그로스 미터(gardner gloss meter,60˚)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비교 예에 비하여 충격강도, 선팽창계수, 내열도, 광택도 등이 우수하며 잘 조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성기를 가진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광물 (C-1)이나 (C-2)대신 반응성기가 없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광물(D)이나 유리 섬유(glass fiber)를 적용한 비교예 1, 2 및 7의 경우 충격강도와 광택도가 현저히 낮아 자동차용이나 도금/도장용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C) 대신 활석(talc)을 적용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충격강도의 저하는 적으나 선팽창계수가 감소하지 않아 역시 자동차용이나 도금/도장용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B)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 및 6 역시 실시예에 비하여 선팽창계수가 감소하지 않거나 충격강도가 현저히 낮아서 자동차용이나 도금/도장용으로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과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a2)의 각 성분의 함량을 적정비율로 하고,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반응성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clay) 광물을 혼합 적용하여 제조한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및 표면 광택성을 가지는 동시에 자동차용도에 적합한 현저히 낮은 선팽창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A)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 10-100중량부와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a2) 0-9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
    (B)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0 중량부; 및
    (C) 한쪽은 점토광물과 이온교환반응을 할 수 있는 오늄이온을, 다른 한쪽은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비닐기나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화합물로 유기화된 점토광물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는 고무질 중합체 10-70중량부에 시안화비닐 화합물 50-90중량%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 10-5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30-90중량부를 그라프트하여 제조한 고무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a1)와 시안화비닐 화합물 50-90중량%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 10-50중량%의 공중합체(a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고무질 중합체의 중량비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 전체에 있어서 5-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B)는 용융지수가 190℃, 2.16㎏f 조건에서 0.01-4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B)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 1-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된 점토광물에 사용된 점토는 스멕타이트 형태의 점토로서 몬트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및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유기화된 점토광물 전체에 대하여 10-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충격보강제, 산화방지제, 활제, 광안정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수지 조성물.
KR1020050133066A 2005-12-29 2005-12-29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KR10071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066A KR100719213B1 (ko) 2005-12-29 2005-12-29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066A KR100719213B1 (ko) 2005-12-29 2005-12-29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213B1 true KR100719213B1 (ko) 2007-05-16

Family

ID=3827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066A KR100719213B1 (ko) 2005-12-29 2005-12-29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55B1 (ko) 2011-12-02 2014-06-10 (주)엘지하우시스 Abs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abs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4165A (en) * 1977-10-06 1979-04-28 Teijin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9990049933A (ko) * 1997-12-16 1999-07-05 유현식 고무변성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3621A (ko) * 2002-12-17 200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나노복합 수지 조성물
KR20040067255A (ko) * 2003-01-22 2004-07-3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저광택 열가소성 압출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4165A (en) * 1977-10-06 1979-04-28 Teijin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9990049933A (ko) * 1997-12-16 1999-07-05 유현식 고무변성 열가소성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3621A (ko) * 2002-12-17 200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나노복합 수지 조성물
KR20040067255A (ko) * 2003-01-22 2004-07-3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저광택 열가소성 압출용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855B1 (ko) 2011-12-02 2014-06-10 (주)엘지하우시스 Abs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abs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342B2 (en)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KR100666797B1 (ko) 고충격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저광택도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
KR2019011489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665804B1 (ko) 내화학성과 내크랙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 수지 조성물
KR100962175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8576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1828272B1 (en)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dimensional stability and blow molding property
KR100821066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나일론/abs/pmma 얼로이
KR20190060432A (ko) 수지 조성물
KR2021001510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9190298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070102245A (ko) 웰드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3826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19213B1 (ko) 저선팽창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조성물
US8114933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KR1024839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10294B1 (ko) 종이 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0006472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643739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나일론/abs 얼로이
KR1022550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9038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29255B1 (ko) 블로우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3015907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2008342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