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961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961A
KR20170066961A KR1020150173240A KR20150173240A KR20170066961A KR 20170066961 A KR20170066961 A KR 20170066961A KR 1020150173240 A KR1020150173240 A KR 1020150173240A KR 20150173240 A KR20150173240 A KR 20150173240A KR 20170066961 A KR20170066961 A KR 2017006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fixing member
side wal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930B1 (ko
Inventor
최현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930B1/ko
Priority to US15/361,764 priority patent/US10162102B2/en
Priority to CN201611114473.XA priority patent/CN106842694B/zh
Publication of KR2017006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측벽을 갖는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광판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의 표시 장치 이외에도,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휴대용 표시 기기, 휴대용 정보 기기 등의 표시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체 발광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배열구조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 방식과 에지형(Edge type)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에지형 방식은 광원이 도광판의 일측부에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직하형 방식은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직하형 방식은 박형화에 한계가 있어, 화면의 두께보다는 밝기가 중요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로 사용하고, 직하형 방식에 비해 경량 및 박형화가 가능한 에지형 방식은 노트북 PC나 모니터용 PC와 같은 두께가 중요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로 사용된다.
한편,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1), 반사 시트(2), 수납 케이스(3), 및 도광판 고정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은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가이드 하여 상부로 출사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의 배면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반사 시트(2)는 도광판(1)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 하측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1) 내부로 반사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3)의 일측은 반사 시트(2)를 지지하고, 타측은 도광판 고정부재(4)를 지지한다.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4)는 도광판(1)과 마주하도록 수납 케이스(3)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과 수납 케이스(3)의 조립 불량에 의해서 도광판(1)이 수납 케이스(3)에 안착되지 못하고, 도광판 고정부재(4)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납 케이스(3)에 도광판 고정부재(4)를 부착한 후에 도광판(1)을 조립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1)을 조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도광판(1)이 수납 케이스(3)에 제대로 조립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품질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품질 및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측벽을 갖는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광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광판이 흔들리더라도 다른 구성과의 마찰에 의해서 갈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을 수납 케이스에 수납한 후에, 도광판 고정부재를 수납 케이스에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도광판 고정부재에 의해 수납 케이스에 도광판을 조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울여 지는 경우, 하중에 의해 도광판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광판과 광원부의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광판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와 도광판 고정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모서리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서리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패널 지지부(120), 패널 구동부(130), 백라이트 유닛(140), 외관 케이스(150), 및 전면 부분 커버(1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하부 기판, 상부 기판, 하부 편광 부재, 및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각 화소별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에 의해 각 화소마다 형성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의 광 투과율에 따라 소정의 컬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패널 지지부(120)는 가이드 프레임(124) 및 수납 케이스(12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126)는 도광판(142)을 지지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24)을 지지한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126)는 후술될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끼우기 위한 결합 홈(126b1, 126b2)이 마련된다.
상기 패널 구동부(130)는 상기 하부 기판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화소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소정의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구동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에 연결된 복수의 회로 필름(132), 복수의 회로 필름(132) 각각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6), 복수의 회로 필름(132) 각각에 결합된 인쇄 회로 기판(134), 및 인쇄 회로 기판(134)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 필름(132) 각각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하부 기판의 패드부와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회로 필름(132)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면, 즉 하측면을 따라 벤딩되어 가이드 프레임(124)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6)는 복수의 회로 필름(132) 각각에 실장되어 회로 필름(132)를 통해 패드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6)는 타이밍 제어부(138)로부터 공급되는 화소별 화소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패드부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34)은 복수의 회로 필름(132)에 연결된다. 인쇄 회로 기판(13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를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6) 및 게이트 구동 회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인쇄 회로 기판(134)에는 각종 신호 배선, 각종 전원 회로(미도시), 및 메모리 소자(미도시) 등이 실장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38)는 인쇄 회로 기판(134)에 실장되어 외부의 구동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응답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6)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38)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136) 및 게이트 구동 회로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138)는 에지형 로컬 디밍 기술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140)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영역별 휘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면에 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140)은 수납 케이스(126)에 수납된다.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40)은 반사 시트(141), 도광판(142), 광학 시트부(143), 광원부(144), 및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 시트(141)는 도광판(142)의 하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4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42)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도광판(142)의 후면으로 진행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상기 도광판(142)은 일측면에 마련된 입광면을 가지도록 평판(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광원부(144)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시킨다.
상기 광학 시트부(143)는 도광판(142)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확산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이중 휘도 강화 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및 렌티큘러 시트 중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적층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부(144)는 도광판(142)의 일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42)의 일측면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한다. 일 예에 따른 광원부(144)는 어레이 기판에 실장되어 백라이트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광원부 구동 신호에 의해 발광하여 백색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입광면을 제외한 도광판(142)의 일측면과 마주하도록 수납 케이스(126)에 끼워지며,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도광판(142)의 일측을 지지하여 고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흔들리더라도 도광판(142)이 다른 구성과의 마찰에 의해서 갈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도광판(142)을 고정하여 광원부(144)와의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외관 케이스(150)는 수납 케이스(126)를 수납하면서 가이드 프레임(124)의 측면을 감쌈으로써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 부분 커버(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가이드 프레임(124)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 부분 커버(16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된 패널 구동부(130)를 은폐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142)을 수납 케이스(126)에 수납한 후에,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수납 케이스(126)에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도광판 고정부재(145)에 의해 수납 케이스(126)에 도광판(142)을 조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품질 및 신뢰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수납 케이스(126)에 결합하여 도광판(142)을 지지함으로써 도광판(142)이 다른 구성과의 마찰에 의해서 갈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울여 놓았을 때, 하중에 의해 도광판(142)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광판(142)과 광원부(144)의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126)는 수납 케이스(126)가 도광판(142)와 마주하는 면인 내측면(126c), 상기 내측면(126c)의 반대면인 외측면(126d), 도광판 고정부재(145)와 결합되도록 일측에 결합 홈(126b1, 126b2) 및 결합 돌기(126b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홈(126b1, 126b2)은 제1 결합 홈(126b1) 및 제2 결합 홈(126b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 홈(126b1, 126b2)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결합 홈(126b1, 126b2)는 도광판 고정부재(145) 하나와 결합되어 수납 케이스(126)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 돌기(126b3)는 제1 결합 홈(126b1) 및 제2 결합 홈(126b2)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결합 돌기(126b3)는 양 측에 마련된 제1 및 제2 결합 홈(126b1, 126b2)에 의해서 마련된 돌출부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홈(126b1, 126b2)이 마련되지 않은 수납 케이스(126)의 타측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결합 돌기(126b3)는 도광판 고정부재(145)에 마련된 홀과 결합되어 수납 케이스(126)에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는 결합 홈(126b1, 126b2) 및 결합 돌기(126b3)가 도광판(142)의 반입광면와 중첩되는 수납 케이스(126)의 일 측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입광면을 제외한 도광판(142) 타측과 중첩되는 수납 케이스(126)의 타측에도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126)는 후술되는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도광판(14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142)이 다른 구성과의 마찰에 의해서 갈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쪽으로 기울어 지더라도, 하중에 의해 도광판(142)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광판(142)과 광원부(144)의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126)는 도광판(142)이 수납된 후에,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도광판 고정부재(145)에 의해 수납 케이스(126)에 도광판(142)을 조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126)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품질 및 신뢰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광판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제1 고정부(1451), 제2 고정부(1452), 및 연결부(14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1451)는 케이스 측벽(126b)의 내측면(126c)과 도광판(14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42)을 지지하며 고정한다.
상기 제2 고정부(1452)는 제1 고정부(1451)와 나란하도록 케이스 측벽(126b)의 외측면(126d)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고정부(1452)는 어느 방향으로 케이스 측벽(126b)에 끼우더라도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고정부(1451)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53)는 케이스 측벽(126b)의 상부에서 제1 고정부(1451)와 제2 고정부(1452)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1453)는 제1 및 제2 고정부(1451, 1452)를 케이스 측벽(126b)에 고정한다. 이때, 연결부(1453)는 상면이 수납 케이스(126)를 둘러싸는 가이드 프레임(124)의 일면과 마주한다. 따라서,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1453)는 케이스 측벽(126b) 일부가 관통하는 중앙 홀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부(1453)는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Y축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제1 및 제2 고정부(1451, 1452) 사이에 마련된 측면 홈(145a), 연결부(1453)에 중앙에 마련된 중앙 홀(145b), 및 제1 및 제2 고정부(1451, 1452)의 모서리에 마련된 챔퍼부(145c)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홈(145a)은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측면 아래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으로,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이 삽입되어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홈(145a)은 수납 케이스(126)에 마련된 결합 홈(126b1, 126b2)과 결합되어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측면 홈(145a)은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Y축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홀(145b)은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상면을 관통하는 홀로,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 일부가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홀(145b)은 수납 케이스(126)의 결합 돌기(126b3)와 결합되어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중앙 홀(145b)은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X축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챔퍼부(145c)는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측면 모서리에 마련된 경사진 부분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453)의 반대면 모서리에 마련된다. 이때, 챔퍼부(145c)는 제1 고정부(1451)의 하부 모서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작업자가 어느 한 방향으로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케이스 측벽(126b)에 끼워도, 같은 형태가 되도록 제1 및 제2 고정부(1451, 1452) 양쪽에 대칭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챔퍼부(145c)는 탄성을 가진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도광판(142)과 수납 케이스(126) 사이에 끼워질 때 슬라이딩하며 좁은 공간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측면 홈(145a)과 중앙 홀(145b)이 수납 케이스(126)의 결합 홈(126b1, 126b2) 및 결합 돌기(126b3)와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흔들리더라도 측면으로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안정적으로 도광판(142)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광판(142)이 흔들리더라도 다른 구성과의 마찰에 의해서 갈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울여 놓았을 때, 하중에 의해 도광판(142)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광판(142)과 광원부(144)의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수납 케이스(126)에 도광판(142)이 수납된 후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광판 고정부재(145)에 의해 수납 케이스(126)에 도광판(142)을 조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품질 및 신뢰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와 도광판 고정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납 케이스(126), 가이드 프레임(124), 및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126)는 백라이트 유닛(140)을 수납한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126)는 바닥면(126a) 및 케이스 측벽(126b)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126a)은 백라이트 유닛(140)을 지지하며, 끝단만 벤딩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측벽(126b)은 도광판(142)의 측면을 감싸도록 바닥면(126a)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벤딩된다. 이러한, 케이스 측벽(126b)은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설치되어 도광판(142)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때, 케이스 측벽(126b)의 일측에는 결합 홈(126b1, 126b2) 및 결합 돌기(126b3)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4)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면서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을 둘러싼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24)은 결합 부재(122)를 통해 도광판(142)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122)는 양면 테이프, 열경화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또는 폼 테이프(foam tape) 등이 될 수 있으나, 충격 흡수를 위해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양면 테이프 또는 폼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결합 부재(122)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공부는 도광판(142)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면서 도광판(142)의 유동시 결합 부재(122)와 도광판(142)의 박리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24)은 패널 지지부(124a) 및 가이드 측벽(124b)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지지부(124a)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러한, 패널 지지부(124a)는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연결부(145c)를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패널 지지부(124a)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막는다.
상기 가이드 측벽(124b)은 패널 지지부(124a)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가이드 측벽(124b)은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제2 고정부(1452)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측면을 관통하는 측면 홈(145a)이 마련되어, 케이스 측벽(126b)에 마련된 결합 홈(126b1, 126b2)과 결합된다. 따라서,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일측은 수납 케이스(126)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타측은 수납 케이스(126)의 안쪽에 배치되어 도광판(142)과 마주한다. 이때, 도광판 고정부재(145)의 일측과 타측 아래 모서리에는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145)가 도광판(142)과 케이스 측벽(126b) 사이에 끼워질 때 슬라이딩하며 좁은 공간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챔퍼부(145c)가 마련된다. 또한,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상면을 관통하는 중앙 홀(145b)을 마련하여, 케이스 측벽(126b)에 마련된 결합 돌기(126b3)와 결합된다. 이때, 도광판 고정부재(145)는 중앙 홀(145b)을 둘러싸는 연결부(1453)를 마련한다. 이러한, 연결부(1453)는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을 둘러싸는 가이드 프레임(124)의 일면과 마주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도광판(142)이 수납된 수납 케이스(126)에 끼워 넣어 결합함으로써, 도광판 고정부재(145)에 의해 수납 케이스(126)에 도광판(142)을 조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품질 및 신뢰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광판 고정부재(145)를 수납 케이스(126)에 결합하여 도광판(142)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모서리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도면과 모서리 고정부재와 수납 케이스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서리 고정부재와 수납 케이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도광판(142)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도광판 고정부재(145)와 함께 도광판(142)을 고정한다. 이때,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외측부(146a) 및 내측부(146b)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부(146a)은 모서리 고정부재(146)에서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과 접하는 면으로, 모서리 고정부재(146)가 도광판(142)으로부터 더 이상 밀리지 않도록 케이스 측벽(126b)에 지지한다. 이러한 외측부(146a)은 케이스 측벽(126b)의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을 방지한다.
상기 내측부(146b)은 모서리 고정부재(146)에서 도광판(142)의 모서리와 접하는 면으로, 도광판(142)이 움직이지 않도록 모서리를 고정한다.
상기 수납 케이스(126)는 바닥면(126a), 케이스 측벽(126b), 및 모서리 홈(126e)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126a)은 도광판(142)을 지지하며, 끝단만 벤딩되어 상기 도광판(142)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측벽(126b)은 상기 바닥면(126a)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벤딩된다. 이러한, 케이스 측벽(126b)의 일측 또는 일측과 타측에는 결합 홈(126b1, 126b2) 및 결합 돌기(126b3)가 마련된다.
상기 모서리 홈(126e)은 상기 케이스 측벽(126b)의 모서리 부분에 마련된 홈으로, 모서리 고정부재(146) 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러한, 모서리 홈(126e)에 의해서, 모서리 고정 부재(146)의 외측부(146a)이 케이스 측벽(126b)의 바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 고정부재(146)를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에 배치하고 도광판(142)을 수납하는 경우, 탄성을 가진 모서리 고정부재(146)가 도광판(142)에 의해서 케이스 측벽(126b)에 마련된 모서리 홈(126e)으로 밀려나갔다가, 다시 원형으로 돌아오면서 도광판(142)이 수납 케이스(126)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서리 홈(126e)은 도광판(142)이 수납 케이스(126)에 쉽게 안착 될 수 있도록 케이스 측벽(126b)의 모서리에 마련되지만, 모서리 홈(126e)으로 빛이 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모서리 홈(126e)보다 큰 모서리 고정부재(146)를 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광판 고정부재(145)와 모서리 고정부재(146)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도광판(142)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광판(142)이 흔들리더라도 다른 구성과의 마찰에 의해서 갈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빛샘 현상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수납 케이스(126)의 케이스 측벽(126b)에 모서리 홈(126e)을 마련함으로써 도광판(142)이 수납 케이스(126)에 쉽게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품질 및 신뢰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서리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외측부(146a), 내측부(146b), 및 중공부(146c)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146)의 외측부(146a)은 케이스 측벽(126a)의 모서리에 접하고, 내측부(146b)은 도광판(142)의 모서리와 접한다. 이러한 모서리 고정부재(146)는 내측부(146b)으로 도광판(142)의 모서리를 감쌈으로써 상기 도광판(142)을 지지하며 고정한다.
상기 중공부(146c)는 모서리 고정부재(146)의 외측부(146a)과 내측부(146b) 사이를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홀이다. 이러한, 중공부(146c)는 탄성을 갖는 모서리 고정부재(146)에 압축 공간을 마련한다. 따라서, 중공부(146c)는 도광판(142)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흔들리게 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패널 지지부
130: 패널 구동부 140: 백라이트 유닛
150: 외관 케이스 160: 전면 부분 커버

Claims (10)

  1.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마련된 입광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측벽을 갖는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광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 측벽이 삽입되는 홈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 측벽 일부가 관통하는 중앙 홀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 측벽의 내측면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케이스 측벽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케이스 측벽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 측벽 일부가 관통하는 중앙 홀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를 덮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덮는 가이드 측벽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면 모서리에 경사지도록 마련된 챔퍼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고정부재는,
    상기 도광판의 각 측면 중 상기 입광면을 제외한 나머지 각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에는 모서리 홈이 마련되고,
    상기 도광판의 모서리 부분과 상기 수납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모서리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 위에 배치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73240A 2015-12-07 2015-12-0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240A KR102385930B1 (ko) 2015-12-07 2015-12-0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5/361,764 US10162102B2 (en) 2015-12-07 2016-11-28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611114473.XA CN106842694B (zh) 2015-12-07 2016-12-07 背光单元及包括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240A KR102385930B1 (ko) 2015-12-07 2015-12-0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61A true KR20170066961A (ko) 2017-06-15
KR102385930B1 KR102385930B1 (ko) 2022-04-12

Family

ID=5879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240A KR102385930B1 (ko) 2015-12-07 2015-12-07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62102B2 (ko)
KR (1) KR102385930B1 (ko)
CN (1) CN10684269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042A (ko) * 2017-07-14 2019-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10670799B2 (en) 2017-12-07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4740563A (zh) * 2022-03-28 2022-07-12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快递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351B2 (en) * 2017-02-13 2021-02-02 Signify Holding B.V. Frame for supporting a light guide panel and luminaire comprising the frame
CN206594333U (zh) * 2017-03-22 2017-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固定导光板的弹性固定件、对应的背板以及包括两者的液晶显示装置
CN209417476U (zh) * 2018-10-30 2019-09-20 重庆先进光电显示技术研究院 一种背光模组和显示面板
TWI766587B (zh) * 2021-02-23 2022-06-0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框架組件、背光模組及顯示裝置
CN113380150B (zh) * 2021-06-24 2022-11-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复合层和显示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9368A1 (en) * 2007-10-31 2009-04-30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06940A1 (en) * 2011-02-14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US20140043848A1 (en) * 2012-08-10 2014-02-13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933B (zh) * 2012-05-11 2015-10-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液晶显示装置
CN202791844U (zh) * 2012-08-28 2013-03-13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导光板固定组件
CN103822144A (zh) * 2014-03-10 2014-05-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用该背光模组的液晶显示装置
CN203927579U (zh) * 2014-05-13 2014-11-05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源及显示装置
CN104267522B (zh) * 2014-09-28 2017-07-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9368A1 (en) * 2007-10-31 2009-04-30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06940A1 (en) * 2011-02-14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US20140043848A1 (en) * 2012-08-10 2014-02-13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042A (ko) * 2017-07-14 2019-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10670799B2 (en) 2017-12-07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4740563A (zh) * 2022-03-28 2022-07-12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快递柜
CN114740563B (zh) * 2022-03-28 2024-04-12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快递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42694B (zh) 2020-10-27
KR102385930B1 (ko) 2022-04-12
CN106842694A (zh) 2017-06-13
US20170160464A1 (en) 2017-06-08
US10162102B2 (en)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696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101958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072823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10345512B2 (en) Display device
US2013023668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4760B1 (ko)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9235A (ko) 곡면 디스플레이용 지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0774A (ko) 표시장치
CN106932939B (zh) 液晶显示装置
KR10135439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6932938B (zh) 液晶显示装置
KR102316174B1 (ko) 백라이트 유닛 수납용 커버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JP4941376B2 (ja) 照明装置、液晶装置、電子機器
KR20170015814A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4506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102372343B1 (ko) 표시장치
KR102451754B1 (ko) 표시장치
KR20140042515A (ko) 리플렉터,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024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07901A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63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6042A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24613A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