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885A -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885A
KR20170066885A KR1020150173089A KR20150173089A KR20170066885A KR 20170066885 A KR20170066885 A KR 20170066885A KR 1020150173089 A KR1020150173089 A KR 1020150173089A KR 20150173089 A KR20150173089 A KR 20150173089A KR 20170066885 A KR20170066885 A KR 20170066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ixing
wire
carriag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도형
문종현
박기범
박평원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6885A/ko
Publication of KR2017006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1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1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 B23K37/0223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fixed to the workpiece the guide member being a part of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용접캐리지, 상기 용접캐리지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용접팁이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장치{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의 주름부의 곡면을 용접하는 회전 가능한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기체 상태로 운반되기도 하지만, 액체상태인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로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육상에 운반되거나 또는 선박의 추진엔진에 공급되어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화천연가스는 부피가 천연가스의 600분의 1이고, 온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경우 저온상태에서도 강도 또는 취성이 약화되지 않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 또는 알루미늄(Al)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의 내벽에는 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여러 개가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는 열변형으로 인한 수축 및 팽창에도 저장탱크가 파손되지 않도록 코러게이션(Corruga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코러게이션은 저장탱크의 내벽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용접장치로는 코러게이션의 곡면에 대한 용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트를 변형없이 용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66102호(공개일: 2015.06.12)
본 발명은 곡면을 이루는 저장탱크의 시트의 주름부를 용접하는 용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용접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용접캐리지, 상기 용접캐리지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용접팁이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용접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용접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용접캐리지의 상기 일측에 구비된 수직레일 및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캐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에 용접을 위한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버퍼는 상기 용접캐리지에 상기 용접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용접와이어 라이너 및 상기 용접와이어 라이너와 분리되며, 상기 회전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용접팁에 연결되는 냉각수와이어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팁을 구비하는 회전부가 회전 가능하여 주름부의 곡면을 원활하게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가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의 용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저장탱크의 내벽에 설치되는 각각의 시트(50)를 용접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캐리지(100), 고정부(200) 및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용접캐리지(100)는 용접라인(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용접캐리지(100)는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용접캐리지(100)가 이동하는 레일(1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접캐리지(100)는 LM 가이드나 모터에 의해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용접캐리지(100)에는 와이어버퍼(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버퍼(150)는 이후 설명할 고정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레일(110)은 용접라인(L)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캐리지(100)가 용접라인(L)과 이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용접캐리지(10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이동부재(250)를 통해 용접캐리지(100)에 결합되며, 용접라인(L)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캐리지(100)가 이동함에 따라 용접라인(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300)는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용접팁(31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00)는 고정부(200)로부터 용접라인(L)을 향해 연장되여 형성될 수 있다.
용접을 하기 위한 시트(50)의 표면에는 주름부(50a)와 같은 곡면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곡면을 원활하게 용접하기 위하여 회전부(300)는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00)와 회전부(300)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고정부(200)와 회전부(300)는 중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0)의 하단에는 지름방향으로 관통된 홀(20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300)의 상단에는 고정부(200)의 홀(200a)에 삽입되는 고정핀(3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320)은 홀(20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부(300)는 고정핀(3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50)의 주름부(50a)를 원활하게 용접할 수 있도록 회전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주름부(50a)에 대한 용접 동작은 이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용접캐리지(100)에 설치되는 와이어버퍼(150)에 대해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와이어버퍼(150)는 용접캐리지(100)에 설치되며, 고정부(200) 및 회전부(300)에 용접을 위한 용접케이블(400)을 공급할 수 있다. 용접케이블(400)은 용접와이어 라이너(410)와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고정부(200)와 회전부(300)는 중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와이어 라이너(410)는 고정부(200) 및 회전부(3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와이어 라이너(410)는 속에 배치된 용접와이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용접와이어 라이너(41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회전부(3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는 용접와이어 라이너(410)와 분리되며, 회전부(300)의 측벽을 관통하여 용접팁(310)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는 냉각수의 유입라인과 냉각수 유출라인을 포함할 수 잇으며, 냉각수 입라인과 냉각수 유출라인에는 각각 전류를 공급해주는 나동선이 들어 있을 수 있다.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는 용접와이어 라이너(410)와 달리 유연하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3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정부(200)와 회전부(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는 용접와이어 라이너(410)와 같이, 와이어버퍼(150)으로부터 고정부(200)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부(200)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부(2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는 고정부(200)의 외측에서 다시 회전부(300)의 측벽을 관통하여 회전부(300)의 용접팁(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수와이어 라이너(420)는 고정부(200)와 회전부(3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부(3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와이어버퍼(150)는 용접캐리지(100)에 용접라인(L)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버퍼(150)는 용접캐리지(100)에 설치된 레일(16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부(300)가 회전하거나 또는 고정부(200)와 함께 이동라인(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와이어버퍼(150)는 용접케이블(400)에 의해 고정부(200)와 회전부(300)와 결합되며, 고정부(200) 및 회전부(300)의 이동이 방해 받지 않도록 용접라인(L)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의 고정부(200)는 이동부재(250)를 통해 용접캐리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250)는 고정부(200)와 결합되며, 고정부(200)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용접캐리지(100)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레일(210) 및 수평레일(2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수직레일(210)과 수평레일(220)은 서로 교차될 수 있으며, 수직레일(210) 또는 수평레일(22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레일(220)이 수직레일(210)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동부재(250)는 수평레일(22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레일(220)이 수직레일(2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접캐리지(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용접캐리지(100)의 일측 양단에는 수평레일(2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레일(220)은 수직레일(210) 및 지지부재(230)를 통해 용접캐리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200)는 이동부재(250)를 통해 용접캐리지(100)에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되거나 또는 회전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수직레일(210)과 수평레일(22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200)가 외부 구동수단이 아닌 회전부(30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즉, 작업자에 의해 회전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부(200)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의 구체적인 용접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용접팁(310)이 저장탱크의 시트(50)와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시트(50)의 평면을 용접할 경우 A 지점 및 B 지점에서와 같이, 회전부(300)가 용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각도로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용접라인(L) 상에서 전후 또는 용접라인(L)에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00)는 회전부(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시트(50)의 표면과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용접캐리지(100)의 일측을 따라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회전부(300)는 고정부(200)와의 결합각도 조절을 통해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거나 고정부(200)의 이동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외부 회전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장치는 용접캐리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시트(50)의 주름부(50a)에 대한 용접 과정을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의 지름은 용접팁(310)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주름부(50a)의 A1 지점을 용접할 경우 회전부(300)가 주름부(50a)에 걸려 용접팁(310)과 주름부(50a)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부(300)를 용접장치의 이동방향의 후단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접팁(310)은 주름부(50a)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접촉할 수 있다.
회전부(300)가 고정부(200)의 후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름부(50a)를 따라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 회전부(300)의 외측면이 도 7의 A3 지점에 걸려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주름부(50a)의 어느 한 지점에서 회전부(300)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름부(50a)의 A2 지점에서와 같이 회전부(300)를 점차 이동방향의 전단으로 회전하여 고정부(20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회전부(300)가 고정부(200)의 전단에 배치되도록 회전부(300)를 계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름부(50a)의 A3 지점에서와 같이, 용접팁(310)이 주름부(50a)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용접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00)는 용접장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주름부(50a)의 지름 크기 또는 회전부(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고정부(200)가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X 점을 중심으로 고정부(200) 역시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200)의 이동은 주름부(50a)의 곡면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회전부(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회전부(300)가 회전하면 고정부(200)와 주름부(50a) 사이의 이격거리가 가변되므로 고정부(200)가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장치는 회전부(300)를 회전할 수 있어 저장탱크의 다양한 크기의 주름부(50a)를 원활하게 용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시트 50a: 주름부
100: 용접캐리지 110, 160: 레일
150: 와이어버퍼 200: 고정부
200a: 홀 210: 수직레일
220: 수평레일 230: 지지부재
250: 이동부재 300: 회전부
310: 용접팁 320: 고정핀
400: 용접케이블 410: 용접와이어 라이너
420: 냉각수와이어 라이너 L: 용접라인

Claims (6)

  1. 용접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용접캐리지;
    상기 용접캐리지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용접팁이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형성된 홀에 십입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용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용접캐리지의 상기 일측에 구비된 수직레일 및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캐리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에 용접을 위한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버퍼를 더 포함하는 용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버퍼는 상기 용접캐리지에 상기 용접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용접와이어 라이너; 및
    상기 용접와이어 라이너와 분리되며, 상기 회전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용접팁에 연결되는 냉각수와이어 라이너;를 포함하는 용접장치.
KR1020150173089A 2015-12-07 2015-12-07 용접장치 KR20170066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89A KR20170066885A (ko) 2015-12-07 2015-12-07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89A KR20170066885A (ko) 2015-12-07 2015-12-07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85A true KR20170066885A (ko) 2017-06-15

Family

ID=5921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89A KR20170066885A (ko) 2015-12-07 2015-12-07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68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8974B (zh) 一种用于容器壁的防渗层
EP2322307A1 (en) Liner for guiding wire, in particular welding wire, with low friction
JP2007139145A (ja) 水素充填ステーション及び水素充填方法
JP4673181B2 (ja) 宇宙環境試験装置
JP2007298051A (ja) 高圧ガス貯蔵システム
JP6719377B2 (ja) 電気アーク溶接機
JP2015530261A (ja) バルクワイヤ送出システム
KR20170066885A (ko) 용접장치
KR101985206B1 (ko) 배출장치
US7448511B2 (en) Double-wall tank
CN108971717A (zh) 一种湿法焊接的电弧气囊辅助稳定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TWI693971B (zh) 噴嘴單元
KR101429604B1 (ko) 구면용접장치
KR101080933B1 (ko) 연속 회전식 용접장치
US8893739B2 (en) Maintenance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maintenance tool into an elongate hollow member
US20180050509A1 (en) Tank cooling device
KR101996810B1 (ko) 해수공급장치
CN202438778U (zh) 焊枪清理设备
KR20150012814A (ko) 선박의 배기가스 열영향 차단장치
KR101533587B1 (ko) 원자로 하부헤드 관통노즐 용접장치
KR100500997B1 (ko) 각도조절장치
CN102500884A (zh) 密闭圆柱容器钨极氩弧焊接设备
KR200447538Y1 (ko) 자동회전티그용접장치의 용접토오치의 위치조절장치
JP6577268B2 (ja) 長尺物挿入装置
CN115156672B (zh) 柔性可调式机器人氩弧焊接气体保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