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858A -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858A
KR20170066858A KR1020150173029A KR20150173029A KR20170066858A KR 20170066858 A KR20170066858 A KR 20170066858A KR 1020150173029 A KR1020150173029 A KR 1020150173029A KR 20150173029 A KR20150173029 A KR 20150173029A KR 20170066858 A KR20170066858 A KR 2017006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windshield
magnetron
tim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윤홍
임상수
김운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6858A/ko
Publication of KR2017006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58A/ko
Priority to KR1020210106727A priority patent/KR102324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6Circuits comprising a signal generator and power amplifier, e.g. using solid state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룸 미러에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설치하고, 룸 미러에서 윈드실드 방향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눈이 얼어붙어서 결빙된 얼음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여 차량 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발생에 요구되는 전력량이 작고, 마이크로파가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차량 실내의 운전자(승객 포함)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빙 및 제설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극심한 저온에서 눈이 결빙된 경우에는 분자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와셔액 등의 추가적인 액체 성분을 이용하여 제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SNOW-REMOVING APPARATUS OF WINDSHIEDL GLAS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FOR THE SNOW-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운전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전면에는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윈드실드(윈드실드 글라스라고도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윈드실드는 평상시에는 운전자의 가시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겨울철에 윈드실드에 눈이나 성에가 쌓이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성에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해야 한다. 특히 러시아와 같이 겨울이 길고 추운 환경에서는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성에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윈드실드의 제설 및 제빙을 위해 현재 열선과 온풍을 이용한 기술이 가장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폭설로 인해 윈드실드에 많은 눈이 쌓이거나 극심한 저온으로 눈이 얼어붙어서 결빙되는 경우에는 열선과 온풍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룸 미러에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설치하여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는,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한다.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유도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안테나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마이크로파는 토출구를 통해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부; 입력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는,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일정 시간마다 다르게 제어하여 윈드실드에 전달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는, 마이크로파의 발생 시에 와셔액을 분사한다.
또한, 제어부는,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전체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마그네트론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는,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부; 입력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고;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전체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마그네트론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는,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 방향으로 유도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은,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및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를 그 내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와,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구비하는 제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고;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은,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일정 시간마다 다르게 제어하여 윈드실드에 전달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은, 마이크로파의 발생 시에 윈드실드에 와셔액을 분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은,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전체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마그네트론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룸 미러에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설치하고, 룸 미러에서 윈드실드 방향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눈이 얼어붙어서 결빙된 얼음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여 차량 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발생에 요구되는 전력량이 작고, 마이크로파가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차량 실내의 운전자(승객 포함)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빙 및 제설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극심한 저온에서 눈이 결빙된 경우에는 분자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와셔액 등의 추가적인 액체 성분을 이용하여 제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내장한 룸 미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룸 미러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파의 열에너지 발생 매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내장한 룸 미러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에서 사용자 조작을 통해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륜(21, 2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24),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실드(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1)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24)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21) 또는 후륜(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24)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윈드실드(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또는 전면 유리라고도 한다.
윈드실드(17)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와이퍼(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차량(1)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DS, PS), 차량(1)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1)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계기가 마련되는 대시 보드(30; dashboard), 차량(1)의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60)이 마련될 수 있다.
시트(DS, PS)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DS),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PS), 차량(1)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30)에는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기하는 속도 계기, 연료 계기, 자동 변속 선택 레버 표시등, 타코 미터, 구간 거리계 등의 계기판(31)과, 기어박스(40), 센터페시아(5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기어박스(4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 기어(41)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AVN 장치(51)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10)가 설치된다.
센터페시아(50)에는 공조 장치, 시계, AVN 장치(5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5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5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5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1)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6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61)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6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6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6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AVN 장치(51)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AVN 장치(51)는 차량(1) 내 오디오와 멀티미디어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로서, 차량(1)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상파 라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라디오를 재생하는 라디오 서비스, CD(Compact Disk)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을 재생하는 비디오 서비스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차량(1)과 연결된 이동 단말의 전화 수신 여부를 제어하는 전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AVN 장치(51)는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음성을 입력받아 상술한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내비게이션 서비스,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인식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51)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을 장착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멀티디어용 휴대 장치와 연결되며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AVN 장치(51)는 대시보드(30)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센터페시아(50)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AVN 장치(51)를 통해 라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AVN 장치(51)는 내비게이션 단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당업자들에게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AVN 장치(51)는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라디오 화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내비게이션 화면, 전화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AVN 장치(51)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VN 장치(51)는 상술한 공조 장치와 연동하여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공조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VN 장치(51)는 공조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1) 내의 공조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51)는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기능 및 지시나 명령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AVN 장치(51)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계(OS, operation system), AVN 장치(51)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소정의 화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본 화면은 터치 조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터치 스크린부(120)가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상황에 따라서 터치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터치 조작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화면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부(120)의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저항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정전 용량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방식,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학식 터치 스크린 방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윈드실드(17)의 내측면 상부에는 차량(1)의 후방에 설치된 유리를 통해 운전자가 후방 도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룸 미러(200; room mirror)가 설치되어 있다. 룸 미러(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내장한 룸 미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룸 미러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룸 미러(200)는 피봇 장치를 통해 적어도 2-자유도 이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윈드실드(17)의 상부 측에 부착 또는 결합된 형태로 설치된다.
룸 미러(200)는 윈드실드(17)의 내측면 상부에 룸 미리 지지대(250)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룸 미러(200)는 미러부(210)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20)에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미러부(210)는 미러 고정부(230)에 의해 하우징(220)에 결합된다.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40)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파 발생기(240)는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241)과, 마그네트론(241)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유도하는 안테나(242)와,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를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하는 가이드부(243)를 포함한다.
마그네트론(241)은 약 2.45G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고주파 발진관이다.
가이드부(243)는 마그네트론(241)에서 발생되어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가 방사되도록 토출구(243a)를 형성하며, 토출구(243a)를 통해 방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발생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전파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면 토출구(243a)를 통해 방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차량(1) 실내의 운전자(승객 포함)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설 및 제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파 발생기(240)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장치로, 주파수가 높은 전자기파인 마이크로파에 기인한 유전 가열 현상을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를 전기장에 노출시키면 피가열체 내부의 물 분자 등과 같은 쌍극자 모멘트를 구비하는 분자가 전기장의 방향으로 배향하면서 분극이 발생한다. 만약 피가열체를 마이크로파와 같은 교류 전기장에 노출시키면 이와 같은 쌍극자 배향(dipole orientation)이 단시간에 반복되면서 쌍극자가 진동 또는 회전 운동을 일으키면서 열을 발생시켜 피가열체를 가열시킨다. 마이크로파 발생기(240)는 이러한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전 가열 현상을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가열체를 가열시키는 마이크로파의 열에너지 발생 매커니즘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파의 열에너지 발생 매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액체나 고체를 구성하는 분자가 쌍극을 가지고 있는 경우, 마이크로파가 양극과 음극 사이를 지나면서 분자의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분자가 다른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높은 주파수의 진동이 발생하고, 이 현상을 통해 열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런 현상이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분자의 대표적인 예가 물이다. 마이크로파는 물 분자의 진동을 유발하여 쉽게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극심한 저온에서 눈이 결빙되는 경우에는 분자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와셔액 등의 추가적인 액체 성분을 이용하여 제빙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파는 요구되는 전력량이 작기 때문에 차량(1)에 적용되는 기본 배터리의 12V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근거리장이 목표이며, 눈 및 얼음이 액상으로 변하는 정도의 에너지만 요구된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 목표에 따라 룸 미러(200) 내부에 설치가 가능한 정도의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기 때문에 차량(1)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내장한 룸 미러를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듯이, 룸 미러(20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파 발생기(240)는 마그네트론(241)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토출구(243a)를 통해 차량(1)의 전방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토출구(243a)를 차량(1)의 전방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되므로 차량(1) 내부에 탑승한 운전자(승객 포함)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40)를 룸 미러(200)의 내부에 설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차량(1) 전방의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되는 어떠한 위치에 설치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300)는 입력부(310), 센서부(32), 제어부(330), 저장부(350) 및 통신부(360)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폭설로 인해 윈드실드(17)에 많은 눈이 쌓이거나 극심한 저온으로 눈이 얼어붙어서 결빙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도록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기 위한 크러쉬패드 작동 버튼을 포함한다.
작동 버튼은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의 결빙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제어하도록 복수의 단계(1단, 2단 또는 3단)로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
1단은 정해진 시간(약, 5초)마다 제1시간(약, 1초) 동안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에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한다.
2단은 정해진 시간(약, 5초)마다 제2시간(약, 2초) 동안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에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한다. 제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는, 제1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비해 크다.
3단은 정해진 시간(약, 5초)마다 제3시간(약, 3초) 동안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에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한다. 제3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는, 제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비해 크다.
제3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와셔액 등의 액체 성분을 추가적으로 분사한다. 이는 극심한 저온으로 인해 밤사이 내린 눈이 얼어붙어 결빙된 경우에 윈드실드(17)에 결빙된 얼음을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마이크로파의 발생과 함께 추가로 액체를 분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신호를 제어부(330)에 전달한다.
센서부(320)는 차량(1)의 주행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차량(1)의 주행 속도, 주행 거리 및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관성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3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정해진 시간마다 제1시간, 제2시간 또는 제3시간 동안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의 전체 작동 시간(Tm)을 카운트하여 기준 시간(Ts;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설 및 제빙 시간, 약 10분)을 경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의 작동 시간(Tm)이 기준 시간(Ts)을 경과하면 마그네트론(241)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마이크로파의 발생을 강제로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로부터 1단, 2단 또는 3단의 조작 신호가 전달되면, 전달된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마그네트론(241)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제어한다. 이는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의 결빙 정도에 따라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제어하여 눈이나 얼음을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저장부(350)는 제설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130)는 1단, 2단 또는 3단의 조작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운영 체제 또는 정보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50)는 차량(1)을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351) 및 제설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353), 맵 데이터와 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 베이스(355), 사용자가 선정한 목적지와 관련된 목적지 정보(357)를 저장한다.
여기서, 맵 데이터는 AVN 장치(51)가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지도이고, 로드 데이터는 AVN 장치(51)가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지도에 포함된 도로와 관련된 정보이다.
로드 데이터는 도로의 위치, 도로의 길이 및 도로의 제한 속도 등 차량의 주행 및 경로 안내를 위하여 필요한 도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도에 포함된 도로를 거리 또는 다른 도로와의 교차 여부 등을 기준으로 복수의 도로 구간으로 구획하고, 로드 데이터는 각각 구분된 도로 구간별로 도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목적지 정보(357)는 사용자가 AVN 장치(51)를 통하여 경로를 검색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이다. 목적지 정보(357)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검색한 날짜, 목적지의 명칭, 목적지의 주소, 목적지의 경도 및 위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350)는 제설 장치(300)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동작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361), 단일의 외부 장치와 일-대-일로 통신하거나 소수의 외부 장치와 일-대-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36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 모듈(365) 및 위성 등으로부터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모듈(36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60)는 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360)는 GPS 위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현재 차량(1)의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송수신하거나,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1)의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60)는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60)는 차량(1) 근처에 위치한 이동 단말 또는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6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연결되어 스마트 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의 동작 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에서 사용자 조작을 통해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8에서, 사용자는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의 결빙 정도를 확인하고, 입력부(310)를 통해 1단, 2단 또는 3단의 조작 신호를 입력한다(400).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를 제어부(330)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가 1단인가를 판단한다(402).
단계 402의 판단 결과, 1단이면 제어부(330)는 룸 미러(200)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241)에 정해진 시간마다 제1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한다(404).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이 인가되면, 마그네트론(241)에서는 제1시간 동안 약 2.45G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고(406), 마그네트론(241)에서 제1시간 동안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다.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는 가이드부(243)를 통해 안내되고, 토출구(243a)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다. 토출구(243a)는 윈드실드(17)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된다(408).
마이크로파가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됨에 따라 윈드실드(17)에 제1시간 동안 열에너지가 전달되므로,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330)는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의 전체 작동 시간(Tm)을 카운트하여 기준 시간(Ts; 윈드실드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설 및 제빙 시간, 약 10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410).
단계 410의 판단 결과, 기준 시간(Ts)이 경과하지 않으면 단계 402로 피드백하여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정해진 시간마다 제1시간 동안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계속해서 진행한다.
한편, 단계 402의 판단 결과, 1단이 아니면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가 2단인가를 판단한다(412).
단계 412의 판단 결과, 2단이면 제어부(330)는 룸 미러(200)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241)에 정해진 시간마다 제2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한다(414).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이 인가되면, 마그네트론(241)에서는 제2시간 동안 약 2.45G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고, 마그네트론(241)에서 제2시간 동안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다.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는 가이드부(243)에 형성된 토출구(243a)를 통해 방사된다.
마이크로파가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됨에 따라 윈드실드(17)에는 제2시간 동안 열에너지가 전달된다. 이때 제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는, 제1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비해 크므로,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보다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412의 판단 결과, 2단이 아니면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가 3단인가를 판단한다(416).
단계 416의 판단 결과, 3단이 아니면 제어부(330)는 단게 402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단계 416의 판단 결과, 3단이면 제어부(330)는 룸 미러(200)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241)에 정해진 시간마다 제3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한다(418).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이 인가되면, 마그네트론(241)에서는 제3시간 동안 약 2.45G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고, 마그네트론(241)에서 제3시간 동안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다.
안테나(242)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는 가이드부(243)에 형성된 토출구(243a)를 통해 방사된다.
마이크로파가 윈드실드(17) 방향으로 방사됨에 따라 윈드실드(17)에는 제3시간 동안 열에너지가 전달된다. 이때 제3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는, 제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윈드실드(17)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비해 크므로,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가장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부(310)를 통해 3단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판단하기에 윈드실드(17)에 쌓인 얼음의 결빙 정도가 심하여 얼음을 제거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어부(330)는 제3시간 동안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와셔액을 추가로 분사한다. 이는 극심한 저온으로 인해 밤사이 내린 눈이 얼어붙어 결빙된 경우에 윈드실드(17)에 결빙된 얼음을 제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마이크로파의 발생과 함께 추가로 액체를 분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의 결빙 정도를 판단하여 1단, 2단 또는 3단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라 정해진 시간마다 제1시간, 제2시간 또는 제3시간 동안 마그네트론(241)에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함으로써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410의 판단 결과, 마이크로파 발생기(240)의 전체 작동 시간(Tm)이 기준 시간(Ts)을 경과하면 제어부(330)는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고, 마그네트론(241)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한다(420).
마그네트론(241)에 인가되는 전압이 차단되면, 마이크로파의 발생이 강제로 정지되면서 동작을 종료한다(42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윈드실드(17)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1단, 2단 또는 3단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거나 각 단계에서의 마이크로파 발생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200 : 룸 미러
240 : 마이크로파 발생기 241 : 마그네트론
242 : 안테나 243 : 가이드부
243a : 토출구 300 : 제설 장치
310 : 입력부 320 : 센서부
330 : 제어부 350 : 저장부
360 : 통신부

Claims (20)

  1.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상기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유도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된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일정 시간마다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윈드실드에 전달되는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전체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마그네트론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파의 발생 시에 상기 윈드실드에 와셔액을 분사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0.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상기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유도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유도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단계별로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전체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마그네트론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4.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상기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유도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16.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 및 상기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윈드실드 방향으로 방사하는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를 그 내부에 설치하는 차량.
  17. 차량의 윈드실드에 설치되는 룸 미러와, 상기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구비하는 제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일정 시간마다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윈드실드에 전달되는 상기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발생 시에 상기 윈드실드에 와셔액을 분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의 전체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마그네트론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73029A 2015-12-07 2015-12-07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66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29A KR20170066858A (ko) 2015-12-07 2015-12-07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06727A KR102324509B1 (ko) 2015-12-07 2021-08-12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29A KR20170066858A (ko) 2015-12-07 2015-12-07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27A Division KR102324509B1 (ko) 2015-12-07 2021-08-12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58A true KR20170066858A (ko) 2017-06-15

Family

ID=592175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29A KR20170066858A (ko) 2015-12-07 2015-12-07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06727A KR102324509B1 (ko) 2015-12-07 2021-08-12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27A KR102324509B1 (ko) 2015-12-07 2021-08-12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66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1281A1 (de) 2022-08-23 2024-02-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Umfeldsensor eines Fahrzeugs zum Entfernen einer Ablagerung von einer Sensorabdeckung mittels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Sensoranordnung, Fahrzeug sowie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64U (ko) * 1997-03-20 1998-11-05 임경춘 혼 안테나를 이용한 차량의 성에 제거 장치
JP2005007963A (ja) 2003-06-17 2005-01-13 Calsonic Kansei Corp デフロスタ装置
KR101690331B1 (ko) * 2010-10-07 2016-1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진 주파수를 이용한 차량 유리 물기 제거 시스템
KR20150129385A (ko) * 2014-05-12 2015-11-20 주식회사 동우티엔씨 자동차 유리의 서리방지용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509B1 (ko) 2021-11-11
KR20210102173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7296B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和控制该车辆的方法
CN110167815B (zh) 传感器表面物体检测方法和系统
US1096076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016435B (zh) 安装在车辆中的车辆控制设备以及车辆控制方法
US1052805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976425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US20180057000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10201425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8422967B (zh) 操作半自主机动车辆的风挡玻璃刮水器的系统和方法
KR20180010670A (ko) 차량용 램프
US20170149123A1 (en) Antenna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916728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0328902B2 (en) Rain sensor, vehicl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70197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warning
JP2014129067A (ja) 制御装置
KR102324509B1 (ko) 윈드실드의 제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설 장치의 제어방법
JP2008170173A (ja) レーダ反射装置
KR20180106227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5595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operate a vehicle
KR20170044429A (ko) 컨트롤 패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4930A (ko) 박자 동기화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6036523B2 (ja) 運転支援装置
US20230100326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2161504B1 (ko) 속도 가변 리어스포일러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