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066A -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5066A KR20170065066A KR1020150170760A KR20150170760A KR20170065066A KR 20170065066 A KR20170065066 A KR 20170065066A KR 1020150170760 A KR1020150170760 A KR 1020150170760A KR 20150170760 A KR20150170760 A KR 20150170760A KR 20170065066 A KR20170065066 A KR 201700650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piping
- module body
- module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bracket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of a common suppo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은 양단에 이음부를 구비하여 상호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복수의 상기 파이프 둘레를 감싸는 모듈몸체; 및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상기 모듈몸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은 (a) 복수의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모듈몸체를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을 따라 고정시키는 단계; 및 (b) 상호 인접한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대응하는 파이프의 이음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하고, 일치된 상태의 상기 이음부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은 (a) 복수의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모듈몸체를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을 따라 고정시키는 단계; 및 (b) 상호 인접한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대응하는 파이프의 이음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하고, 일치된 상태의 상기 이음부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배관 시공에 따른 시공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박스형태의 건물유닛들을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시공하는 유닛식 건물이 등장하고 있다.
건물유닛들은 공장에서 설계에 따라 미리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송되고, 현장으로 이송된 건물유닛들은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의 단순한 조립공정만을 거쳐 건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닛식 건물은 공사기간 단축효과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건물을 시공할 때는 건물 내부와 주변으로 가스, 오배수, 난방수 등을 포함하는 유체의 안내를 위한 배관을 시공하게 되는데, 아직까지 이와 같은 배관 분야에서는 유닛식으로 배관시공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술이 제대로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건물의 배관시공에 따른 시공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물의 배관시공에 따른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물의 배관시공에 따른 오차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단에 이음부를 구비하여 상호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복수의 상기 파이프 둘레를 감싸는 모듈몸체; 및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상기 모듈몸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 상기 파이프지지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결합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지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일단에 상기 파이프 둘레가 파지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상기 파이프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를 그 전진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마련된 제1몸체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마련된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몸체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대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몸체의 제1지지대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양단에 이음부를 구비하여 상호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와, 복수의 상기 파이프 둘레를 감싸는 모듈몸체와,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상기 모듈몸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모듈몸체를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을 따라 고정시키는 단계; 및 (b) 상호 인접한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대응하는 파이프의 이음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하고, 일치된 상태의 상기 이음부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은 수직방향이고,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모듈몸체를 양단이 슬라브의 배관공 둘레에 밀착되도록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건물의 슬라브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은 수평방향이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모듈몸체는 슬라브 하부에 설치된 전산볼트에 고정되며, 상기 b단계 이후, 상호 인접한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상기 모듈몸체를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호 밀착되게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은 배관에 이용되는 복수의 파이프가 모듈몸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함께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건물용 배관모듈의 각 모듈몸체를 파이프의 배관방향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건물용 배관모듈의 대응하는 파이프 사이를 상호 일치시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배관방법에 따르면, 건물용 배관모듈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배관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건물의 배관시공에 따른 시공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그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모듈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건물용 배관모듈은 파이프의 연결오차와, 모듈몸체의 설치오차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모듈몸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몸체의 제1지지대 사이의 결합구조를 발취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파이프연결부에 있어서 파이프지지부의 슬라이딩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 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파이프들이 수직방향으로 배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파이프의 위치조절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파이프들이 수평방향으로 배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건물용 배관모듈의 파이프 사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모듈몸체 사이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슬라이딩결합부의 일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모듈몸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몸체의 제1지지대 사이의 결합구조를 발취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파이프연결부에 있어서 파이프지지부의 슬라이딩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 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파이프들이 수직방향으로 배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파이프의 위치조절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파이프들이 수평방향으로 배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건물용 배관모듈의 파이프 사이가 연결된 상태에서 모듈몸체 사이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에 있어서 파이프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슬라이딩결합부의 일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배관모듈은 미리 정해진 설계에 따라 공장에서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배관시공 현장으로 옮겨지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하수, 오배수, 난방수, 가스 등의 유체를 안내하는 건물의 배관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파이프가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용 배관모듈(10)은 양단에 이음부(21)를 구비하여 상호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20)와, 복수의 파이프(20)가 지지되는 모듈몸체(30)를 구비한다.
모듈몸체(30) 및 파이프(20)의 사이즈와, 모듈몸체(30)에 지지되는 파이프(20)의 숫자는 건물용 배관모듈(10)을 통해 동시에 시공하고자 하는 배관의 수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각 파이프(20)는 양단에 이음부(21)를 구비하며, 이음부(21)는 체결홀(21b)이 형성된 플랜지(21a)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21a)는 체결나사와 같이 체결홀(21b)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건물용 배관모듈(10)의 파이프(20) 사이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음부(21)는 파이프(20)의 연결방식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이프(20)가 압착식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할 경우, 이음부(21)는 파이프(20) 단부와 동시에 압착되어 원형으로 눌려지도록 마련된 이음쇠(미도시)가 될 수 있다.
모듈몸체(30)는 복수의 파이프(20)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각각의 파이프(20)가 한 몸을 이루도록 하면서도 복수의 파이프(2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몸체(30)는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모듈몸체(30)는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마련된 제1몸체(30A)와, 파이프(2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마련된 제2몸체(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30A)와 제2몸체(30B)는 각각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41,42)와, 제1지지대(41,4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지지대(43)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몸체(30A,30B)는 각각 복수의 제2지지대(43)가 사각의 틀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연결된 틀부(40)를 구비하고, 복수의 제1지지대(41,42)는 제1 및 제2몸체(30A,30B)의 틀부(40) 각 모서리에 서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몸체(30A,30B)는 제1지지대(41,42)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몸체(30A,30B)의 제1지지대(41,42)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몸체(30A,30B)의 제1지지대(41,42)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한 쪽 제1지지대(42)는 단면적이 다른 쪽 제1지지대(4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도록 마련되며, 상호 슬라이딩되는 제1지지대(41,42)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홀(41a,42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몸체(30)는 제1지지대(41,42) 사이의 슬라이딩 거리에 따라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며, 모듈몸체(3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호 일치된 제1지지대(41,42)의 고정홀(41a,42a)에 볼트(44)를 체결하여 제1지지대(41,42)의 슬라이딩 동작이 제한되도록 함에 따라 모듈몸체(30)는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와 달리 제1지지대(41)에는 고정홀(41a)을 형성하지 않고, 제2지지대(42)에는 하나의 고정홀(42a)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는 고정홀(42a)에 체결된 볼트(45)의 단부로 제1지지대(41) 외면을 압박하거나 압박이 해제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제1지지대(41,42) 사이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공장에서 시공현장으로 이송되는 건물용 배관모듈(10)은 정방형을 이룬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됨은 물론 적층이 편리하여 이송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모듈몸체(30)는 복수의 파이프(20)가 모듈몸체(3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모두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물용 배관모듈(10)은 복수의 파이프(20)를 모듈몸체(30)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연결부(50)를 구비한다. 파이프연결부(50) 파이프(20) 별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연결부(50)는 파이프(20)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60)와, 파이프지지부(60)가 파이프(2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슬라이딩결합부(70)와, 제1슬라이딩결합부(70)가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딩결합부(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용 배관모듈(10)의 파이프(20)는 제2슬라이딩결합부(80)에 대한 제1슬라이딩결합부(70)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제1슬라이딩결합부(70)에 대한 파이프지지부(60)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파이프(2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2슬라이딩결합부(80)는 모듈몸체(30)에 고정되는 레일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재(81)에는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레일홈(81a)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부재(81)는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모듈몸체(30)에 용접이나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모듈몸체(30)의 길이조절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레일부재(81)는 모듈몸체(30)의 제1몸체(30A)와 제2몸체(30B) 중 어느 한 쪽에만 고정되고 다른 한 쪽에는 단순히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결합부(70)는 제1슬라이딩부재(71)와, 레일부재(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슬라이딩부재(71)와 결합되는 슬라이더(7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72)는 레일홈(8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슬라이더(72)에는 레일홈(81a) 외부로 체결부(72a)가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72a)에는 체결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재(71)는 레일부재(81)에 지지되는 지지판부(73)와, 파이프(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지지판부(73) 양측에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판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부(73)에는 체결부(72a)가 끼워지도록 체결공(73a)이 마련되며, 가이드판부(74)에는 레일홈(81a)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74a)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공(73a)에 끼워진 체결부(72a) 외주에는 고정너트(75)가 결합되며, 제1슬라이딩부재(71)는 체결부(72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75)의 조임 정도에 따라 레일부재(81)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슬라이딩이 제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지지부(60)는 제1슬라이딩결합부(70)의 제1슬라이딩부재(71)에 가이드공(74a)의 형성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61)와, 제2슬라이딩부재(61)에 결합되는 홀더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재(61)는 일면에 인출공(61a)를 구비하는 중공의 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제2슬라이딩부재(61)의 양측에는 고정볼트(63)가 결합되도록 결합공(6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재(61)가 제1슬라이딩부재의 양쪽 가이드판부(74)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공(61b)에는 가이드공(74a) 외부로부터 고정볼트(63)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슬라이딩부재(61)는 고정볼트(63)에 의해 가이드공(74a)에 가이드되면서 가이드공(74a)의 형성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볼트(63)의 헤드부가 가이드공(74a) 주변의 가이드판부(74)에 가압되도록 고정볼트(63)가 조여질 경우, 제2슬라이딩부재(61)는 슬라이딩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홀더부재(62)는 파이프(20) 둘레가 파지되도록 일단에 마련된 파지부(62a)와, 인출공(61a)에 걸리도록 제2슬라이딩부재(61) 내부로 진입되는 걸림부(62b)와, 파지부(61a)와 걸림부(62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2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62c)는 파지부(62a) 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결부(62d)와, 제1연결부(62d)와 결합되도록 걸림부(62b) 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부(62e)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62c)는 외주에 나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둘레에는 조절너트(6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62b)는 제2슬라이딩부재(61) 내부에서 파이프(20)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제2슬라이딩부재(61) 내부에는 걸림부(62b)를 전진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65)가 설치될 수 있다. (64)는 걸림부(62b)를 파이프(20)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범위 내에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지지부(60)는 걸림부(62b)와 조절너트(64)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조절너트(64)의 위치를 조절함 따라 파이프(20) 쪽으로 진퇴하는 홀더부재(62)의 진퇴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파지부(62a)는 파이프(20) 둘레를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안전하게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연결부(50)는 제2슬라이딩결합부(80)에 대한 제1슬라이딩결합부(70)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파이프(20)를 그 길이방향(도면에서 y축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게 되고, 제1슬라이딩결합부(70)에 대한 파이프지지부(6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파이프(20)를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도면에서 x축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파이프(20)는 파이프지지부(60)를 구성하는 제2슬라이딩부재(61)에 대한 홀더부재(62)의 진퇴동작을 통해 도면에서의 z축 방향으로도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 11과 같이, 제1슬라이딩결합부(70´)는 제1슬라이딩부재(71´)의 가이드판부(74´)에 상기 가이드공(74a)가 수직으로 교차하는 가이드공(74b)이 추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슬라이딩결합부(70´)는 파이프지지부(60)의 제2슬라이딩부재(61)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된 가이드공(74a,74b)을 따라 레일홈(81a)에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는 물론 레일홈(81a)의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레일부재(81)와 파지부(62a) 사이의 간격조절 폭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물용 배관모듈(10)을 이용한 건물배관의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건물용 배관모듈(10)을 이용하여 건물배관을 시공할 때는 공장으로부터 시공현장으로 옮겨진 복수의 건물용 배관모듈(10)의 모듈몸체(30)를 파이프(20)의 배관방향을 따라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건물용 배관모듈(10)의 대응하는 파이프(20)의 이음부(21)가 상호 일치되도록 파이프(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일치된 상태의 이음부(21)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배관방향이 수직방향을 경우, 모듈몸체(30)는 파이프(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양단이 상부와 하부의 슬라브(1)에 형성된 배관공(2) 둘레에 지지되도록 건물의 슬라브(1)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시공자는 모듈몸체(30)의 길이를 조절하여 모듈몸체(30)를 양단이 상부와 하부 쪽 배관공(2) 둘레의 슬라브(1)에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건물의 시공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슬라브(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모듈몸체(30)의 고정작업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듈몸체(30)들이 고정되면, 상호 대응하는 각 건물용 배관모듈(10)의 파이프(2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대응하는 단부 쪽 이음부(21)가 상호 일치된 상태로 맞대어진 파이프(20) 사이는 이음부(21)들 사이를 바로 결속시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음부(21) 사이가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되거나 이음부(21)가 일치되지 않는 파이프(20)들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연결부(50)를 통해 파이프(20)들의 위치를 조절하여 파이프(20)의 이음부(21) 사이가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20) 사이를 연결오류 없이 안정된 상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배관방향이 수직방향을 경우, 모듈몸체(30)는 파이프(20)가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브(1) 하부에 설치되는 전산볼트(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모듈몸체(30)는 제1몸체(30a)와 제2몸체(30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통일된 형태로 전산볼트(3)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산볼트(3)에 고정된 상태에서 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모듈몸체(3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모듈몸체(30)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호 인접한 건물용 배관모듈(10)의 대응하는 파이프(20)의 이음부(21)가 상호 일치되도록 파이프(2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호 일치된 상태의 이음부(21)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20) 사이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각 모듈몸체(30)의 길이를 조절하여 모듈몸체(30) 사이를 상호 밀착시킬 수 있다. 도면과 같이, 각 모듈몸체(30)가 제1몸체(30A)를 통해 전산볼트(3)에 고정되었을 경우, 모듈몸체(30)는 제2몸체(30B)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이웃하는 모듈몸체(30)의 대응하는 단부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호 밀착된 모듈몸체(30) 사이는 용접, 볼트 체결, 와이어 결속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용 배관모듈(10)의 모듈몸체(30) 사이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는 파이프(20)의 전구간을 배관몸체(30)를 통해 덮어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수평방향으로 배관된 파이프(20)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10: 건물용 배관모듈
20: 파이프
21: 이음부 30: 모듈몸체
30A: 제1몸체 30B: 제2몸체
40: 틀부 41,42: 제1지지대
43: 제2지지대 50: 파이프연결부
60: 파이프지지부 61: 제2슬라이딩부재
62: 홀더부재 62a: 파지부
62b: 걸림부 62c: 연결부
70: 제1슬라이딩결합부 71: 제1슬라이딩부재
72:슬라이더 74a: 가이드공
80: 제2슬라이딩결합부 81: 레일부재
81a: 레일홈
21: 이음부 30: 모듈몸체
30A: 제1몸체 30B: 제2몸체
40: 틀부 41,42: 제1지지대
43: 제2지지대 50: 파이프연결부
60: 파이프지지부 61: 제2슬라이딩부재
62: 홀더부재 62a: 파지부
62b: 걸림부 62c: 연결부
70: 제1슬라이딩결합부 71: 제1슬라이딩부재
72:슬라이더 74a: 가이드공
80: 제2슬라이딩결합부 81: 레일부재
81a: 레일홈
Claims (10)
- 양단에 이음부를 구비하여 상호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복수의 상기 파이프 둘레를 감싸는 모듈몸체; 및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상기 모듈몸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 건물용 배관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 건물용 배관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는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
상기 파이프지지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슬라이딩결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결합부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딩결합부;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지부는 상기 제1슬라이딩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일단에 상기 파이프 둘레가 파지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상기 파이프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를 그 전진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건물용 배관모듈.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마련된 제1몸체와,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마련된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몸체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지지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대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몸체의 제1지지대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건물용 배관모듈. - 양단에 이음부를 구비하여 상호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와, 복수의 상기 파이프 둘레를 감싸는 모듈몸체와,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상기 모듈몸체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연결부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모듈몸체를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을 따라 고정시키는 단계;
(b) 상호 인접한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대응하는 파이프의 이음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하고, 일치된 상태의 상기 이음부 사이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은 수직방향이고,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모듈몸체를 양단이 슬라브의 배관공 둘레에 밀착되도록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건물의 슬라브 사이에 고정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의 배관방향은 수평방향이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모듈몸체는 슬라브 하부에 설치된 전산볼트에 고정되며,
상기 b단계 이후, 상호 인접한 상기 건물용 배관모듈의 상기 모듈몸체를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호 밀착되게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용 배관모듈을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0760A KR101795369B1 (ko) | 2015-12-02 | 2015-12-02 |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0760A KR101795369B1 (ko) | 2015-12-02 | 2015-12-02 |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5066A true KR20170065066A (ko) | 2017-06-13 |
KR101795369B1 KR101795369B1 (ko) | 2017-11-09 |
Family
ID=5921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0760A KR101795369B1 (ko) | 2015-12-02 | 2015-12-02 |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536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88027A (zh) * | 2018-11-23 | 2019-03-19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管道精准定位结构 |
KR102016734B1 (ko) * | 2018-12-28 | 2019-09-02 | 주식회사 휴나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576B1 (ko) * | 2019-07-02 | 2020-02-10 | 주식회사 엠디아이 | 배관형 랙 모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
KR102304038B1 (ko) * | 2019-09-06 | 2021-09-17 | 김성열 | 배기장치 지지용 지그 |
KR102341996B1 (ko) * | 2021-07-15 | 2021-12-22 |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 전기, 통신, 소방 매립 배관 지지대 |
KR102670168B1 (ko) * | 2022-01-20 | 2024-05-2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배관 및 덕트 모듈 적층 시공 방법 |
KR102627831B1 (ko) | 2023-09-13 | 2024-01-23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건축물에 매설되는 전기, 통신, 소방 배관의 고정장치 |
KR102627830B1 (ko) * | 2023-09-13 | 2024-01-23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전기, 통신, 소방 매립 배관의 지지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58118B2 (ja) * | 1996-11-27 | 2005-06-08 |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 竪管施工用の仮固定装置及び竪管の施工方法 |
-
2015
- 2015-12-02 KR KR1020150170760A patent/KR10179536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88027A (zh) * | 2018-11-23 | 2019-03-19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管道精准定位结构 |
CN109488027B (zh) * | 2018-11-23 | 2023-10-13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管道精准定位结构 |
KR102016734B1 (ko) * | 2018-12-28 | 2019-09-02 | 주식회사 휴나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5369B1 (ko) | 2017-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5369B1 (ko) | 건물용 배관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배관 시공방법 | |
KR200473891Y1 (ko) | 배관 고정구 | |
KR101685879B1 (ko) | 관부재 고정장치 | |
RU2007136842A (ru) |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для сборного демонстрационного стенда | |
KR101752279B1 (ko) | 철근 기계식 이음장치 | |
KR101948112B1 (ko) |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배관 연결이 가능한 배관용 연결구 | |
KR20170121955A (ko)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
CN104790537A (zh) | 一种h型钢结构构件与圆钢管柱空间斜交刚接连接节点 | |
JP6230804B2 (ja) | 組立什器及び組立什器の製造方法 | |
KR102074371B1 (ko) | 수전 시공 지그 | |
KR102079030B1 (ko) |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 |
KR20120100553A (ko) | 유로폼 지지파이프 고정장치 | |
JP4681342B2 (ja) | 配管固定具 | |
CN217326411U (zh) | 一种可调节的盘扣式脚手架水平杆 | |
CN205377210U (zh) | 一种组合式电缆桥架 | |
CN100513726C (zh) | 现浇混凝土梁模板支撑组合结构 | |
CN210397956U (zh) | 预制管道用连体管卡 | |
KR101477752B1 (ko) | 자유각 시공이 용이한 방호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 |
KR101940195B1 (ko) | 온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조립체 | |
KR101231152B1 (ko) | 방벽용 유리 고정장치 | |
CN113323146B (zh) | 钢结构屋面檩条的连接装置及方法 | |
ITTO20130079U1 (it) | Gruppo distributore di gas atto ad essere montato in cucina | |
CN220928952U (zh) | 一种连接卡套及其连接管组件 | |
CN220379049U (zh) | 一种适用于模块化立管的调偏对接装置 | |
CN118623186A (zh) | 一种模块化拼接的可调节综合支架及其安装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