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694A -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 Google Patents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694A
KR20170064694A KR1020150170466A KR20150170466A KR20170064694A KR 20170064694 A KR20170064694 A KR 20170064694A KR 1020150170466 A KR1020150170466 A KR 1020150170466A KR 20150170466 A KR20150170466 A KR 20150170466A KR 20170064694 A KR20170064694 A KR 2017006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oor
fermented food
inner contain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652B1 (ko
Inventor
장대자
송유정
김희진
김상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6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71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0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4/22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케이스 도어, 내부용기, 내부용기 도어, 수신부, 센서부, 조절부,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은 전통식품 명인의 제조법, 즉 숙성 및 발효조건에 따라 온도, 습도, 통풍, 광량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조 용기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전통발효식품을 손쉽게 직접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ICT- based Digital Device for producing traditional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 또는 숙성에 의하여 제조되는 우리나라 전통식품을 제조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통발효식품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명인 및 명장의 제조법, 즉 발효 및 숙성조건에 따라 온도, 습도, 통풍, 광량 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요리에 필요한 재료와 조리방법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조리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만들고자 하는 요리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여 별 무리없이 조리를 할 수 있으나, 조리에 서투른 사람은 요리에 관한 서적을 펼쳐놓고 조리를 하거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웹서핑으로 인터넷상의 다양한 요리정보를 얻는다.
단시간에 조리가 가능한 일반적인 음식은 그 정보와 재료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고, 일반적인 사람들이 오랜 경험 없이도 큰 부담없이 조리할 수 있으며, 쿠커, 전자렌지 등 다양한 조리 기구는 조리과정의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크게 덜어 준다.
그러나, 고추장, 된장, 간장, 장아찌 등 전통장류와 같은 숙성식품과 청국장, 젓갈, 식혜, 전통주와 같은 발효식품은 일반적인 요리와 달리 숙성 및 발효 조건이 까다롭고, 완성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는 것으로, 김치냉장고, 청국장 제조기와 같은 가전제품이 상용화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통 장독을 대체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단순히 온도만 조절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때문에, 전통적인 발효 및 숙성식품(이하 ‘전통발효식품’이라 한다)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가 인증 또는 검증된 명인 및 명장(이하 ‘전통식품 명인’이라 한다)의 조리방법을 완벽하게 알게 되었다고 해도 전통식품 명인의 제조과정을 따라 전통발효식품을 제조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KR 20-0169816 Y1 (2000. 2. 15.) KR 10-2000-0012797 A (2000. 3. 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통식품 명인의 전통발효식품의 조리법(발효 조건 또는 숙성 조건)을 수신하고, 이 조리법에 따라 도어의 개폐는 물론 온도, 습도, 통풍, 광량, 살균 등의 조절기능을 갖춘 제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비자가 취득한 전통식품 명인의 전통발효식품 조리법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고, 소비자별로 필요한 양 만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 또는 숙성에 의하여 전통발효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 측면판 및 상측의 개방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30), 바닥판, 측면판 및 상측의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용기(20),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내부용기 도어(40), 상기 케이스(10) 또는 케이스 도어(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10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200) 및 조절부(300), 상기 센서부(200)의 측정값과 수신부(100)의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에 따라 조절부(300)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500)를 포함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 도어(40)는 빛을 차단하는 제1도어(41), 빛을 투과하는 투명한 재질의 제2도어(42); 망사 재질의 제3도어(4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00)는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 이거나,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포트 또는 수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0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01),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02), 빛의 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203), 공기의 순환을 감지하는 공기센서(204),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센서(20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절부(300)는 상기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를 개폐하는 도어 조절부(301), 가열 또는 냉각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냉온 조절부(302), 가습 또는 제습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303), 공기의 순환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304), 광량을 조절하는 LED 조절부(305), 살균수단을 조절하는 살균 조절부(30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통식품 명인의 전통발효식품 조리법을 취득한 소비자가 전통발효식품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취향이나, 필요한 양에 맞추어 전통발효식품 조리과정을 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에 포함되는 세부 구성 및 프로세스의 개요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인 냉, 온 조절수단을 갖는 이중구조 숙성 용기에 대한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발효 또는 숙성에 의하여 전통발효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 측면판 및 상측의 개방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30)와, 바닥판, 측면판 및 상측의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내부용기 도어(40)와, 상기 케이스(10) 또는 케이스 도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10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200) 및 조절부(300) 및 상기 센서부(200)의 측정값과 수신부(100)의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에 따라 조절부(300)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5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바닥판은 사각형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측면판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바닥판에 결합되거나, 곡면으로 이루어져 원통형 형상으로 바닥판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용기(20)의 바닥판 및 측면판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판 및 측면판과 대응하여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에 대하여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외형의 디자인 혹은 다른 가구나 가전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내부용기(20)와 후술할 센서부(200), 조절부(300), 콘트롤러(500) 등을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과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인 재질일 경우 케이스(10) 측면판의 내부 또는 내측에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와 내부용기(20)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 되거나 단열 물질이 충전될 수 도 있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전통발효식품의 식재료를 수용하여 발효 및 숙성과정이 일어나는 곳이다. 내부용기(20)는 전통적인 옹기 재질이거나, 세라믹, 강화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도어(30)는 케이스(10)의 상측, 즉 케이스(10)의 측면판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10) 상측의 개방부를 열거나 닫는다. 상기 내부용기 도어(40)는 내부용기(20)의 상측, 즉 내부용기(20) 측면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 상측의 개방부를 열거나 닫는다.
[도면 1]에서는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가 상기 케이스(10) 측면판의 상단 및 내부용기(20) 측면판의 상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의 결합관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케이스 도어(30)와 내부용기 도어(40)가 절첩 또는 롤 구조로 형성되어 절첩 또는 감겨지거나 펴서 개방부를 개폐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의 측면판 상단에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케이스 도어(30)와 내부용기 도어(40)가 슬라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형태이거나,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의 측면판 내부에 가이드홈 및 수용홈을 구비하고 케이스 도어(30)와 내부용기 도어(40)가 힌지 결합되어, 개방부를 폐쇄했던 케이스 도어(30)와 내부용기 도어(40)가 90°회전하여 개방된 후 측면판 내부의 수용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 도어(30)와 내부용기 도어(40)는 일측 측면판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의 개방부는 일측 측면판에 형성되고,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의 상측은 상면판으로 폐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0)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구획벽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어질 수 도 있는데, 이로서 복수의 전통발효식품을 숙성 또는 발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 케이스 도어(30), 내부용기 도어(40)는 세척 및 유지관리를 위해 탈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용기 도어(40)는 제1도어(41), 제2도어(42), 제3도어(43)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내부용기(20) 내의 숙성 및 발효과정에 보다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41)는 상 케이스 도어(30)와 마찬가지로 내부용기(20) 개방부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도어(42)는 유리, 강화유리, 투명한 재질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햇빛의 투과가 가능하다. 이로서 내부용기(20) 내측에 자연채광은 가능하게 하면서 공기의 출입은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3도어(43)는 망사 재질로 이루어진다. 망사 재질은 제한이 없으나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용기(20) 내측에 자연채광과 자연통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본 발명의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가 일반 가정의 옥상, 베란다와 같이 자연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곳에 배치된다면, 제1 내지 제3 도어(41,42,43)의 개폐에 의하여 자연조건에 가까운 숙성 및 발효과정을 만들 수 있다.
제2도어(42) 및 제3도어(43)가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1도어(41)는 물론 상기 케이스 도어(30)가 열려져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는 상기 케이스(10) 또는 케이스 도어(30)의 일측에 수신부(100)를 구비하는데, 수신부(100)는 소비자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전통식품 명인의 제조법을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에 송신할 경우, 이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상기 수신부(100)는 유선잭 또는 USB 메모리 칩을 삽입할 수 있는 포트로 형성되거나, SD카드 등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로 형성되거나,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수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내부용기(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용기(20) 내의 식재료가 발효 또는 숙성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변수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200)는 온도센서(201), 습도센서(202), 광량센서(203), 공기센서(204), 세균센서(2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되거나 측정되는 값은 식재료의 발효 또는 숙성과정의 조건에 적합한 환경인지 판단할 때 이용된다.
상기 온도센서(201), 습도센서(202), 광량센서(203)는 각각 케이스(10) 내부 또는 내부용기(20) 내부의 온도, 습도, 광량을 감지한다.
상기 공기센서(204)는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 내의 공기 흐름, 즉 통풍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공기센서(204)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즉, 케이스(10) 내의 공기에 악취성분 및 유해성분이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세균센서(205)는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 내의 유해세균을 감지하는 것으로 전통발효식품의 숙성 또는 발효에 필요한 박테리아 외에, 독성을 가지거나 숙성 및 발효에 부적합한 세균을 감지하는 화학센서일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500)는 상기 수신부(100)로부터 전통식품 명인의 전통발효식품 제조법에 따른 발효 및 숙성 조건을 전달받아 저장한다. 저장된 발효 및 숙성 조건은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및 숙성에 필요한 온도, 습도, 통풍, 채광 등의 기본값과 설정된 주기들이 포함된다.
상기 콘트롤러(500)는 센서부(200)가 감지한 측정값도 제공받는다. 온도 센서부(201)가 감지한 온도, 습도센서(202)가 감지한 습도, 광량센서(203)가 감지한 광량, 공기센서(204)가 감지한 공기의 흐름과 악취 또는 유해성분 여부와 정도, 세균센서(205)가 감지한 유해세균 여부와 정도를 제공받는다.
상기 콘트롤러(500)는 상기 수신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 발효 및 숙성 조건과 상기 센서부(200)가 감지한 측정값을 비교 판단한다. 센서부(200)가 감지한 측정값이 발효 및 숙성에 필요한 기본값 및 주기와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콘트롤러(500)는 전통발효음식에 적당한 조건을 유지하도록 후술할 조절부(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조절부(300)는 상기 콘트롤러(500)의 제어에 따라 전통발효음식의 숙성 및 발효조건이 최적화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조절부(300)는 도어 조절부(301), 냉온 조절부(302), 습도 조절부(303), 공기 조절부(304), LED 조절부(305), 살균 조절부(306)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조절부(301)는 상기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를 개폐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개폐할 수 있으나, 상기 컨트롤러(500)가 통풍, 환기, 채광 등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를 제어할 경우 자동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온 조절부(302)는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온 조절부(302)는 히터부와 냉각부로 이루어진다. 히터부는 열선 등 발열부재와 온수 파이프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공기의 확산을 위하여 송풍부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는 공지의 냉각기로 형성된다.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온도가 설정값 보다 낮을 경우에는 히터부가 작동하고,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온도가 설정값 보다 높을 경우에는 냉각부가 작동한다.
상기 습도 조절부(303)는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습도를 조절한다. 상기 습도 조절부(303)는 가습부와 제습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습도가 낮을 경우 가습부가 작동하고,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습도가 높을 경우 제습부가 작동한다.
상기 공기 조절부(304)는 통풍부와 환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통풍, 즉 공기의 흐름이 필요할 경우 통풍부의 송풍팬이 작동하여 공기의 흐름을 향상시키고, 공기센서(204)가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악취나 유해성분을 감지한 경우 상기 공기 조절부(304)의 환기부가 작동하여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내의 공기를 케이스(10)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0)에는 소정의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LED 조절부(305)는 상기 케이스(10) 또는 내부용기(20)내에 설치된 LED를 점멸시킨다. 상기 케이스(10) 또는 내부용기(20)의 상부에는 백색, 청색, 녹색, 황색의 LED가 설치된다. 상기 LED는 기본적인 조명기능 외에 자연광을 대체하는 기능을 가진다. 내부용기(20)내의 채광량이 부족할 경우 햇빛을 대신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가 햇빛이 들지 않는 곳에 설치될 경우에도 자연채광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조절부(306)는 상기 케이스(10) 및 내부용기(20) 내에 유해세균이 있을 경우 상기 콘트롤러(500)에 의해 제어되어 미스트, 연무, 램프 등 다양한 형태로 살균 기능을 발휘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 조절부(306)는 살균제를 미스트 또는 연무 형태로 분사하는 노즐 또는 자외선 살균램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 실시예 ]
소비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통식품 명인이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전통발효식품의 제조법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전통발효식품을 선택하여 그 제조법을 다운로드 한다. 다운로드 받은 제조법에는 식재료의 종류, 식재료별 량, 식재료의 배합조건,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이 포함되어 있다.
소비자는 다운로드 받은 제조법의 식재료 관련 정보에 따라 적정한 량의 식재료를 구입한다. 구입한 식재료는 생산지에서 출하된 상태이거나, 사전 손질 또는 1차 가공된 상태일 수 있는데, 전통식품 명인의 제조법에서 제시하는 식재료 조건을 충족하면 어떠한 상태이든 상관이 없다.
소비자는 구입한 식재료를 전통식품 명인의 제조법에서 제시하는 배합조건에 따라 배합하여 본 발명의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의 내부용기(20)에 저장한다.
한편, 소비자는 다운로드한 제조법을 상기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의 수신부(100)로 송신한다. 송신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소비자의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와 상기 수신부(100)의 포트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송신할 수 있고, 소비자의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USB 메모리 칩 또는 SD 카드 등 메모리 카드에 제조법을 저장한 후, 상기 수신부(100)의 포트 또는 삽입부에 결합시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100)가 무선 수신모듈일 경우 무선으로도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전통발효식품의 숙성 및 발효조건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저장되어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의 기능발휘에 기본값으로 사용된다.
상기 케이스(10) 또는 내부용기(20) 내에 설치되는 센서부(200), 즉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01),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02), 빛의 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203), 공기의 순환을 감지하는 공기센서(204),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센서(205)가 감지한 각종 측정값을 상기 콘트롤러(500)가 기본값과 비교 판단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러(500)는 저장된 발효 또는 숙성조건에 적합환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조절부(300)를 제어한다.
상기 콘트롤러(500)의 제어에 따라 도어 조절부(301)의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의 개폐, 냉온 조절부(302)의 히터부 또는 냉각부의 작동, 습도 조절부(303)의 가습부 또는 제습부의 작동, 공기 조절부(304)에 의한 통풍 및 환기, LED 조절부(305)에 의한 LED의 점멸, 살균 조절부(306)에 의한 살균제의 분사 또는 살균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져 내부용기(20)에 저장된 식재료의 발효 또는 숙성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위와 같이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케이스
20 : 내부용기
30 : 케이스 도어
40 : 내부용기 도어
41 : 제1도어 42 : 제2도어
43 : 제3도어
50 : 송풍팬
60 : 냉온기
70 : LED
100 : 수신부
200 : 센서부
201 : 온도 센서 202 : 습도 센서
203 : 광량 센서 204 : 공기 센서
205 : 세균 센서
300 : 조절부
301 : 도어 조절부 302 : 냉온 조절부
303 : 습도 조절부 304 : 공기 조절부
305 : LED 조절부 306 : 살균 조절부
500 : 콘트롤러

Claims (5)

  1. 발효 또는 숙성에 의하여 전통발효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 측면판 및 상측의 개방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케이스(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케이스 도어(30);
    바닥판, 측면판 및 상측의 개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용기(20);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용기(2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내부용기 도어(40);
    상기 케이스(10) 또는 케이스 도어(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을 수신하는 수신부(10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부(200) 및 조절부(300); 및 상기 센서부(200)의 측정값과 수신부(100)의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에 따라 조절부(300)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도어(40)는 빛을 차단하는 제1도어(41), 빛을 투과하는 투명한 재질의 제2도어(42), 망사 재질의 제3도어(4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100)는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이거나, 전통발효식품의 발효 또는 숙성 조건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포트 또는 수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01),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02), 빛의 량을 감지하는 광량센서(203), 공기의 순환을 감지하는 공기센서(204),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센서(20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00)는 상기 케이스 도어(30) 및 내부용기 도어(40)를 개폐하는 도어 조절부(301), 가열 또는 냉각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냉온 조절부(302), 가습 또는 제습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303), 공기의 순환 및 배출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304), 광량을 조절하는 LED 조절부(305), 살균수단을 조절하는 살균 조절부(30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발효식품 제조 용기.
KR1020150170466A 2015-12-02 2015-12-02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KR10176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466A KR101765652B1 (ko) 2015-12-02 2015-12-02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466A KR101765652B1 (ko) 2015-12-02 2015-12-02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694A true KR20170064694A (ko) 2017-06-12
KR101765652B1 KR101765652B1 (ko) 2017-08-07

Family

ID=5921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466A KR101765652B1 (ko) 2015-12-02 2015-12-02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6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4139A (zh) * 2017-12-29 2018-05-08 中山卡士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发酵箱
KR102043335B1 (ko) * 2019-09-06 2019-11-13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용 가래떡 연속 제조설비의 자동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31132A (ko) *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한국면역연구소 청국장 제조시스템
CN115507596A (zh) * 2021-06-07 2022-12-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170B1 (ko) 2018-12-13 2020-11-25 정태우 복합 신경망 알고리즘을 적용한 주류 발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449A (ja) 2008-04-30 2009-11-19 Nuc Electronics Co Ltd 人工知能型発酵製造機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加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4139A (zh) * 2017-12-29 2018-05-08 中山卡士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发酵箱
CN108004139B (zh) * 2017-12-29 2023-08-29 中山卡士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家用发酵箱
KR20200131132A (ko) *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한국면역연구소 청국장 제조시스템
KR102043335B1 (ko) * 2019-09-06 2019-11-13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용 가래떡 연속 제조설비의 자동화 모니터링 시스템
CN115507596A (zh) * 2021-06-07 2022-12-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507596B (zh) * 2021-06-07 2024-04-19 青岛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652B1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652B1 (ko)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US11168894B2 (en) Combination cooking oven with operator friendly humidity control
CN206596942U (zh) 一种智能烹饪系统
CN102577595A (zh) 用于烹饪器具的闭环自适应控制系统
CN106136939A (zh) 控制方法、控制装置和烹饪器具
AU2007229323A1 (en) Modulated power burner system and method
CN105942880A (zh) 一种烹饪方法、烹饪系统和烹饪装置
CN105411378A (zh) 一种自沥式传统烧饭功能装置
CN110037536A (zh) 有色糙米烹饪控制方法、装置和电饭煲
CN106539483A (zh) 一种智能烹饪设备
WO2022069530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limatic chamber for the thermo-hygrometric treatment of food
CN203802244U (zh) 食物烹煮装置
US20150320251A1 (en) Food cooking device
CN206612393U (zh) 一种温煮一体化智能餐桌
CN102200298A (zh) 灶具及其智能控制方法
CN200998180Y (zh) 一种封闭式烧烤装置
CN105831555A (zh) 宫面的烘干方法
KR20060115331A (ko) 스팀 오븐에서 조리된 음식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CN205053860U (zh) 一种可进行热风循环的电烤箱
CN104089309A (zh) 一种可下载烹饪程序的燃气灶
CN205378752U (zh) 一种设有安全装置的鲜花饼烤箱
CN200952007Y (zh) 家用恒温发酵器
ES2250014B1 (es) Dispositivo de control para aparatos de cocina y aparato de cocina dotado de dicho dispositivo.
CN211380786U (zh) 与集成灶合为一体的长时间预约烹饪机
CN208070459U (zh) 饭菜保温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