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134A -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134A
KR20170064134A KR1020150169296A KR20150169296A KR20170064134A KR 20170064134 A KR20170064134 A KR 20170064134A KR 1020150169296 A KR1020150169296 A KR 1020150169296A KR 20150169296 A KR20150169296 A KR 20150169296A KR 20170064134 A KR20170064134 A KR 20170064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ead
display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금병직
박성호
윤순표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134A/ko
Publication of KR2017006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G02B2027/0179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3Adaptation to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부, 차량 좌측과 우측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차량 좌측과 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각각 감지하는 후방 센서,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차선변경 판단부, 및 차선변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후방 센서로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후방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후방 카메라를 통해 사각지대를 촬영한 후, 사각지대를 촬영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DISPLAYING CONTROL APPARATUS OF HEAD UP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좌우측의 사각지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윈드 쉴드에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는 운전자의 주의가 분산되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정보 제공 장치로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가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윈드 쉴드 상단에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시선을 돌릴 필요가 없어 사고 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공되는 정보들의 위치가 전방의 실제 영상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될 경우, 운전자가 표시된 정보를 인지하기 위하여 인지적 부하가 걸려 오히려 운전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바탕으로 전방에 위치한 실제 물체들의 영상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정보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증강현실형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대두되고 있다. 증강현실형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가상 그래픽을 생성하여 운전자 전방의 실제 영상과 합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운전자 전방의 실제 물체와 함께 표시되는 것처럼 운전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후방을 촬영한 영상을 윈드 쉴드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선 변경시 안전운행을 도모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후방 영상을 교통 상황이나 주행 상태 등을 고려하지 않고 계속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불필요하게 전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22402 (1998.07.06)의 '차량의 후방시계확보를 위한 헤드업디스플레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에 따라 해당 방향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을 기 설정된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선 변경시 해당 방향의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 및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표시하여 추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을 사각지대에 물체가 존재할 경우에만 표시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원 소비를 방지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는 차량 좌측과 우측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차량 좌측과 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각각 감지하는 후방 센서;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차선변경 판단부; 및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후방 센서로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후방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에 의해 감지된 차선 변경 방향의 영상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과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서로 다른 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는 턴 시그널 및 조향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는 충돌 가능성 예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가능성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충돌 가능성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충돌 가능성을 문자와 이미지, 색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조도 감지부를 통해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에 따라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은 차선변경 판단부가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후방 센서를 통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후방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후방 카메라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에 의해 감지된 차선 변경 방향의 영상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는 턴 시그널 및 조향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후방 센서에 의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충돌 가능성 예측부가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돌 가능성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충돌 가능성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충돌 가능성을 문자와 이미지, 색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가 조도 감지부를 통해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에 따라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에 따라 해당 방향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을 기 설정된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선 변경시 해당 방향의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 및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표시하여 추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안전 운행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을 사각지대에 물체가 존재할 경우에만 표시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으로 영상 및 충돌가능성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으로 영상 및 충돌가능성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는 후방 카메라(10), 후방 센서(20), 충돌 가능성 예측부(30), 차선변경 판단부(40), 제어부(50),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 및 조도감지부(70)를 포함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는 운전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윈드 쉴드에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즉,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는 운전자 전방의 실제 영상과 가상의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시야를 바탕으로 전방에 위치한 윈드 쉴드에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에 의해, 운전자는 정보가 운전자 전방의 실제 물체와 함께 표시되는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는 후방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예를 들어 차량 양측 후방의 사각지대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의 영상을 윈드 쉴드에 표시한다.
후방 카메라(10)는 차량 양측의 사각지대 및 사이드 미러의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 사각지대 및 사이드 미러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를 위해 후방 카메라(10)는 차량 좌측 후방을 촬영하는 제1 후방 카메라(11) 및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하는 제2 후방 카메라(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각지대는 차량의 좌우측에 배치된 사이드 미러만으로는 운전자가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관측할 수 없는 지대이다. 이 사각지대는 운전자가 차량 운행 중 차선 변경을 시도할 경우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미러의 영상은 사이드 미러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을 촬영한 영상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후방 카메라(11)와 제2 후방 카메라(1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후방 카메라(10)를 이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후방 카메라(10)로는 FIR(Far Infra Red) 카메라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이 채용될 수 있다. CMOS 카메라나 CCD 카메라는 가시광 영역의 빛을 감지하여 투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비슷한 영상을 획득한다.
조도 감지부(70)의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
후방 센서(20)는 차량 좌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를 각각 감지한다. 후방 센서(20)는 차량 좌측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 좌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 후방 센서(21) 및 차량 우측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 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2 후방 센서(22)를 포함한다. 이러한 후방 센서(20)로는 레이더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충돌 가능성 예측부(30)는 차선 변경에 의한 자기차량과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한다. 이 경우 충돌 가능성 예측부(30)는 후방 센서(20)에 의해 감지된 물체의 위치와 속도, 자기 차량의 위치와 속도 및 주행 방향 등을 이용하여 충돌 가능성을 계산한다. 이러한 충돌 가능성은 후방의 물체와 자기 차량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이나 백분율 등으로 도출될 수 있다.
차선변경 판단부(40)는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차선변경 판단부(40)는 방향 지시등으로부터 턴 시그널을 입력받거나 조향각 센서로부터 조향각을 입력받고, 이러한 턴 시그널 또는 조향각을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차선변경 판단부(40)는 조향각이 기 설정된 설정각도 이상 회전한 경우에 해당 방향으로 차선 변경 시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차선변경 판단부(40)의 판단 결과 차선 변경 시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후방 센서(20)를 통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다. 이때, 후방 센서(20)에 의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후방 카메라(10)를 통해 해당 사각지대를 촬영한 후, 사각지대를 촬영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기 설정된 표시영역(61)에 표시한다.
이 경우, 차선변경 판단부(40)에 의해 좌측 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시도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제1 후방 센서(21)를 통해 차량 좌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어 제1 후방 카메라(11)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을 촬영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차량 좌측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 설정된 표시영역(61)에 해당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차선변경 판단부(40)에 의해 우측 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시도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제2 후방 센서(22)를 통해 차량 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어 제2 후방 카메라(12)를 통해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차량 우측의 영상을 표시하는 기 설정된 표시영역(61)에 해당 영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해당 영상에는 사각지대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의 영상도 포함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차량 좌측의 사각지대가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61)과 차량 우측의 사각지대가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61)은 서로 상이하며, 일 예로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전체 영역 중 좌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센서(20)에 의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충돌 가능성 예측부(30)는 자기차량과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한다. 이때, 제어부(5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가능성 예측부(30)에 의해 예측된 충돌 가능성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상기한 충돌 가능성을 문자와 이미지, 색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표시 영역에 충돌 가능성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충돌 가능성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에는 충돌 가능성을 해당 표시 영역의 테두리(빗금친 영역)에 표시한 예가 도시되었다.
더욱이, 제어부(50)는 조도 감지부(70)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설정조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조도가 설정조도 이하이면 상기한 제1 후방 카메라(11) 및 제2 후방 카메라(12)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표시영역(61)에 각각 표시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제1 후방 카메라(11) 및 제2 후방 카메라(12)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야간에 후방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차선변경 판단부(40)는 방향 지시등으로부터 입력된 턴 시그널 또는 조향각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향각을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한다(S10).
차선변경 판단부(40)의 판단 결과 차선 변경 시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후방 센서(20)를 이용하여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다(S20).
이때, 후방 센서(20)에 의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S30), 제어부(50)는 후방 카메라(10)를 통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고(S40), 촬영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표시한다(S60).
즉, 차선변경 판단부(40)에 의해 좌측 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시도가 감지되고 제1 후방 센서(21)에 의해 차량 좌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제1 후방 카메라(11)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체 영역 중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61)에 표시한다.
또한, 차선변경 판단부(40)에 의해 우측 차선으로의 차선 변경 시도가 감지되고 제2 후방 센서(22)에 의해 차량 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제2 후방 카메라(12)를 통해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체 영역 중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61)에 표시한다.
한편, 후방 센서(20)에 의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충돌 가능성 예측부(30)는 자기차량과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한다(S50).
이때, 제어부(50)는 충돌 가능성 예측부(30)에 의해 예측된 충돌 가능성을 문자와 이미지, 색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S60).
한편, 제어부(50)는 조도 감지부(70)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기 설정된 설정조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조도가 설정조도 이하이면 상기한 제1 후방 카메라(11) 및 제2 후방 카메라(12)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각각의 표시영역(61)에 표시하되,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야간에 후방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에 따라 해당 방향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을 기 설정된 표시영역(61)에 표시하고, 차선 변경시 해당 방향의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 및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표시하여 추돌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 운행을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사각지대를 촬영한 영상을 사각지대에 물체가 존재할 경우에만 표시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후방 카메라
11: 제1 후방 카메라
12: 제2 후방 카메라
20: 후방 센서
21: 제1 후방 센서
22: 제2 후방 센서
30: 충돌 가능성 예측부
40: 차선변경 판단부
50: 제어부
60: 헤드업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차량 좌측과 우측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차량 좌측과 우측의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각각 감지하는 후방 센서;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차선변경 판단부; 및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후방 센서로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후방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한 후, 촬영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에 의해 감지된 차선 변경 방향의 영상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과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서로 다른 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는 턴 시그널 및 조향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표시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는 충돌 가능성 예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가능성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충돌 가능성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충돌 가능성을 문자와 이미지, 색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조도 감지부를 통해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에 따라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8. 차선변경 판단부가 운전자의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후방 센서를 통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후방 센서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후방 카메라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에 의해 감지된 차선 변경 방향의 영상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변경 판단부는 턴 시그널 및 조향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표시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센서에 의해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가 감지되면, 충돌 가능성 예측부가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충돌 가능성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충돌 가능성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충돌 가능성을 문자와 이미지, 색상,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조도 감지부를 통해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에 따라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 또는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0150169296A 2015-11-30 2015-11-30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64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296A KR20170064134A (ko) 2015-11-30 2015-11-30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296A KR20170064134A (ko) 2015-11-30 2015-11-30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134A true KR20170064134A (ko) 2017-06-09

Family

ID=5922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296A KR20170064134A (ko) 2015-11-30 2015-11-30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1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45B1 (ko) * 2023-06-28 2024-03-06 주식회사 에이스뷰 차량의 운행정보를 반영한 차량용 실시간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4146B1 (ko) * 2023-06-28 2024-03-06 주식회사 에이스뷰 차량의 운행정보를 반영한 영상 관제 기능을 갖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45B1 (ko) * 2023-06-28 2024-03-06 주식회사 에이스뷰 차량의 운행정보를 반영한 차량용 실시간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4146B1 (ko) * 2023-06-28 2024-03-06 주식회사 에이스뷰 차량의 운행정보를 반영한 영상 관제 기능을 갖는 avm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5123B2 (en) Vehicular camera monitoring system with stereographic display
JP7160301B2 (ja) モニター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方法
JP6643969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10029621B2 (en) Rear view camera system using rear view mirror location
KR10151158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US9123179B2 (en) Surrounding image display system and surrounding image display method for vehicle
JP4941760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EP2476587B1 (en) Vehicle surrounding monitor apparatus
US10863141B2 (en) Vehicle monitor system
US20170361771A1 (en) Mirror Replacement System For A Vehicle
WO2017195684A1 (ja) 車両用視認装置
JP2006248384A (ja) 車両周囲監視装置
EP2476588A1 (en) Vehicle surrounding monitor apparatus
JP2010058742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0130647A (ja) 車両周辺確認装置
EP288473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rear view camera system of a motor vehicle, rear view camera system and motor vehicle
WO2015129280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877116B2 (ja) 車両の表示装置
JP2019040354A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2009073250A (ja) 車両後方表示装置
KR2017006413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244864A1 (en)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apparatus
JP2008162550A (ja) 外部環境表示装置
KR20150055181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나이트 비전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786581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