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852A - 다층 평강 제품 및 그로부터 제조된 구성 부품 - Google Patents

다층 평강 제품 및 그로부터 제조된 구성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852A
KR20170063852A KR1020177011469A KR20177011469A KR20170063852A KR 20170063852 A KR20170063852 A KR 20170063852A KR 1020177011469 A KR1020177011469 A KR 1020177011469A KR 20177011469 A KR20177011469 A KR 20177011469A KR 20170063852 A KR20170063852 A KR 2017006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alloy
layer
alloy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스-울릭 벡커
슈테판 뮈즐로빅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6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4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rol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23K20/227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with ferrous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iron alloys or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5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 or the workpiece
    • B21D35/007Layer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6Composite materials, e.g. fibre reinforced
    • B23K2103/166Multi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51/00Treating composite or clad material
    • C21D2251/02Cla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된 복수의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로 이루어진 다층 평강 제품(1)이며,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는 제1 강 합금과는 다른 제2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제1 강 합금의 강은 고강도를 갖는 강이며, 제2 강 합금의 강은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이다. 본 발명은, 모든 방향으로, 국부적인 재료 특성의 기능 최적화된 모델링을 가능케 하기 위해, 제1 강 합금의 하나 이상의 강 및 제2 강 합금의 하나 이상의 강이 적어도 층(시트 평면) 내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응하는 평강 제품(1)으로 형성된, 특히 차체용 구성 부품(5)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평강 제품 및 그로부터 제조된 구성 부품{MULTI-LAYER FLAT STEEL PRODUCT AND COMPONENT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된 복수의 강 합금 층들로 이루어진 다층 평강 제품에 관한 것이며, 강 합금 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강 합금 층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는 제1 강 합금과는 다른 제2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제1 강 합금의 강은 고강도를 갖는 강이며, 제2 강 합금의 강은 (제1 강 합금의 강보다)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응하는 강 제품으로 이루어진 차체용 구성 부품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용어 "평강 제품"은 압연 공정을 통해 형성된 강 시트 또는 강 스트립 그리고 그로부터 분할된 블랭크 등으로 이해된다.
차량 제조 분야에서 충돌시에 승객 안전에 대한 요건이 점점 더 강화되고 있다. 동시에, 경량 구조는 법적으로 규정된 CO2 한계값을 준수하기 위한, 그리고 차량 구동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되고 있다. 차량의 사용자 측면에서는 편의성과 관련하여 더 높은 요구가 형성되는데, 이는 차량에 전자 부품의 비율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차량 무게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모순적인 요건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오래전부터 자동차 제조를 위한 차체 구조의 완성시에 경량 구조에 촛점이 집중되어 왔다.
충돌 관련 자동차 구성 부품을 위해, 특히, 열간 성형을 통해 그리고 이어서 수행되는, 망간-붕소-강으로 형성된 평강 제품의 경화를 통해 제조되는 구성 부품이 구현된다. 전문 용어로 프레스-경화로도 언급되는 이 제조 방법을 통해, 최적으로 얇은 벽 두께 및 수반되는 최소화된 무게에도 불구하고, 충돌의 경우에 그 거동과 관련하여 차체의 특히 민감한 지점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 부품이 제조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지 차량 제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산업적인 응용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모든 분야에서, 그러나 특히 차량 응용 분야에서 재료 특성과 관련된 구성 부품에 대한 국부적으로 상이한 요건이 형성된다. 재료 특성으로서 예를 들어 강도 및 연성이 언급될 수 있다. "국부적"은, 구성 부품의 제1 섹션에서 제2 섹션과는 다른 요건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건은 대립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동일한 재료 특성을 갖는 단일 구조 재료에 의한 해결책은, 설정된 모든 개별 요건들로부터 도출된 최대 절충안이다. 따라서, 차량 구조의 경량 구조 노력의 과정에서, 국부적으로 상이한 재료 특성을 통해, 예를 들어 그 무게와 관련하여 시트 두께의 감소를 통해 구성 부품의 최적화를 가능케 하는 맞춤형 재료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능가하는 경량 구조의 구현은 추가로, 개별 구성 부품 섹션들 내에서, 부분적으로 상반되는 재료 특성의 충족을 전제로 한다. 이는, 경량 구조의 일관된 추구를 위해 국부적으로 상이한 재료 특성이 시트 평면 내에서, 즉, 종방향(스트립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스트립 폭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해 수직으로(시트 두께 방향)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종방향은 X 방향으로, 횡방향은 Y 방향으로, 그리고 시트 두께 방향은 Z 방향으로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는, 구성 부품의 대량 생산시에, 시트 평면 내의 국부적으로 상이한 재료 특성의 설정이 필요에 맞는 블랭크(냉간 또는 열간 성형) 또는 필요에 맞는 템퍼링(열간 성형)과 같은 방법을 통해 가능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시트 두께 방향(Z 방향)으로의 재료 특성의 기능 최적화 모델링은 다층 평강 제품의 사용을 통해 달성된다.
하나 이상의 코어 층을 갖는 상호 결합된 복수의 강 합금 층들로 이루어진 다층 평강 제품은 예를 들어 DE 10 2007 022 453 A1에 설명된다. 이 경우에, 코어 층은 양호하게 변형 가능하고 연강 합금으로 형성되는 반면, 평강 제품의 외부 층은 최강도 강 합금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링크 (www.thyssenkrupp-steel-europe.com/en/presse/press release.jsp?cid=2778030)의 2014년 5월 27일자 언론 보도에서, 출원인은,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코어 층 및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 외부 층을 포함하는 다층 평강 제품인, 명칭 TriBond® - "열간 성형을 위한 3층 강 복합물"의 신제품을 공개하였다. 평강 제품은, 열간 성형되어 경화되는 차체용 구성 부품의 제조를 위해 제공된다.
그로부터, 본 발명의 과제는, 평강 제품에서, 특히 모든 방향(시트 평면, 시트 두께)으로, 국부적인 재료 특성의 기능 최적화된 모델링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위에서 소개되고 언급된 과제는, 상호 결합된 복수의 강 합금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평강 제품(평강 복합 재료)에서, 강 합금 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제1 강 합금과는 다른 제2 강 합금의 강이 강 합금 층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제1 강 합금의 강은 고강도를 갖는 강이며, 제2 강 합금의 강은 (제1 강 합금의 강보다)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이며, 적어도 층(시트 평면) 내에서, 제1 강 합금의 하나 이상의 강 및 제2 강 합금의 하나 이상의 강이 제공됨으로써 해결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에서, 특히 개별 층들 내에서, 예를 들어, 코어 층과 외부 층(커버 층)들의 각각의 하나 사이의 중간 층 내에서, 고강도 강으로 이루어진 층(즉,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층)이 그에 비해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으로 이루어진 층과 교호되며, 고강도 층을 갖는 강 및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으로 이루어진 섹션들이 교호된다. 이러한 상이한 강 합금 또는 상이한 탄소 함량을 갖는 섹션이 종방향(X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횡방향(Y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층 구조 방향(Z 방향)으로 직접 나란히 배열될 수 있는데, 즉, 서로 인접하며 그리고/또는 교호된다. 이러한 평강 제품의 열간 성형/프레스 경화를 통해, 예를 들어 강도 및 굽힘각과 관련하여 상이한 섹션 내에 상이한 재료 특성을 포함하는 구성 부품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강도를 갖는 강은, (경화된) 최종 상태에서, 적어도 1200MPa, 특히 적어도 1350MPa,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50MPa의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적어도 0.2 중량%, 특히 0.65 중량%까지의 탄소 함량을 갖는 강 합금으로 이루어진 강이다. 이는, DIN EN 10083에서 예를 들어 망간-붕소-강으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으로, 국부적인 재료 특성의 기능 최적화된 모델링이 시트 블랭크(시트 평면, 시트 두께)의 모든 방향으로 가능하다. 복합 재료 내에 설정된 재료 특성은 임의로, 서로 조합된 복합재 파트너 및 이의 비율의 선택을 통해, 그리고 시트 평면 및/또는 시트 두께의 방향으로의 분배를 통해 결정된다. 이러한 복합 재료의 형성을 위해, 관련 복합재 파트너의 슬래브(slab), 블룸(bloom), 트랜스퍼 바(transfer bar) 또는 블랭크(평강 제품)가 일정한 단면으로 차례로 포개어지며, 특히 압연 크래딩(clad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시트 평면 내에서 변경되는 복합재 특성의 설정은 특히 관련 복합재 파트너의 균질하지 않은 분배에 의해 구현된다.
이하, 종속 청구항의 대상인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다양한 구성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일 구성에 따르면, 고탄소 함량을 포함하는 고강도를 갖는 제1 강 합금의 강의 탄소 함량이 0.20 내지 0.65 중량%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50 중량%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45 중량%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저탄소 함량을 갖는 저강도를 갖는 제2 강 합금의 강의 탄소 함량은 0.20 중량%이하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5 중량%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1 중량%의 범위 내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강 합금의 강의 탄소 함량은 0.22 중량%이며, 제2 강 합금의 강의 탄소 함량은 0.1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평강 제품은 홀수의 강 합금 층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평강 제품은 본 발명에 따라 5개의 강 합금 층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평강 제품은 하나의 코어 층, 두 측면에 직접 접하는 중간 층 및 각각의 중간 층에 각각 외측에서 접하는 외부 층(커버 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평강 제품은, 고강도를 갖는 (고탄소 함량을 갖는) 제1 강 합금의 강을 갖는 강 합금 층으로 이루어진 코어 층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코어 층의 두 측면에는, 저강도를 갖는 (저탄소 함량을 갖는) 저강도를 갖는 제2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코어 층은 고강도를 갖는 (고탄소 함량을 갖는) 제1 강 합금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외부 층은 (외부 측면을 형성하는 2개의 커버 층을 의미함) 저강도를 갖는 (저탄소 함량을 갖는) 제2 강 합금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층 내에 또는 코어 층과 각각의 커버 층 사이의 2개의 중간 층들에는 제1 강 합금으로 형성된 섹션들 및 제2 강 합금으로 형성된 섹션들이 교호되거나 또는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X 방향 및/또는 Y 방향 및/또는 Z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중간 층 내에는 전체적으로 단지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강 합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강 제품은 예를 들어 구성 부품, 예를 들어 차체용 구성 부품의 제조 과정에서 후속적으로 경화되며, 개별 섹션들은 고강도를 포함하며 다른 섹션들은 저강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이한 강 합금으로 형성된 개별 섹션들이 상이한 재료 특성을 포함한다. 제2 강 합금으로서, 저강도를 갖는 강이 사용되는 경우, 프레스 경화시에 상기 섹션에서 경화가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경화가 약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경화 가능한 강으로 형성된 평강 제품 내의 섹션만이 경화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에 따라, 고강도를 갖는 제1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 특히 코어 층 및/또는 저강도를 갖는 제2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 특히 외부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 및 제2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이 각각 다른 강 합금의 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및/또는 층 구조 방향으로, 제1 강 합금의 강으로 형성된 섹션이 제2 강 합금의 강으로 형성된 섹션에 접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코어 층은 평강 제품의 두께의 30 내지 90%, 특히 50 내지 80%를 차지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으로 제조된 열간 성형/프레스 경화 구성 부품에서, 코어 층이 구성 부품의 강 시트의 전체 두께의 30 내지 90%, 특히 50 내지 80%를 차지하는 경우 바람직하다. 코어 층에 대한 두께 층의 두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어떠한 특성이 배경으로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코어 층은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나머지 층들의 개별 층 보다 두껍다. 예를 들어 코어 층은 5층 구조에서 50%를 차지하고, 4개의 나머지 층들은 각각, 평강 제품 또는 구성 부품의 강 시트의 전체 두께의 각각 12.5%를 차지한다. 상응하는 평강 제품은 예를 들어 차량 제조시에 메인 바디 빔용 반제품으로서 적합하다. 코어 층의 두께는 더 크게 선택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평강 제품 또는 구성 부품의 강 시트의 전체 두께의 70%를 차지할 수 있으며, 나머지 4개의 층들은 예를 들어 각각, 전체 두께의 7.5%를 차지할 수 있다. 상응하는 평강 제품은 예를 들어 차량 제조 분야에서 B-필라용 반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모든 강 합금 층은 열간 압연 또는 압연 크래딩을 통해 각각 인접한 강 합금 층(들)과 재료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실질적으로, 코어 층을 위해 사용된 강 또는 제1 강 합금의 강은 통상, 철 그리고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오염물 이외에, (중량%로),
C: 0.2 내지 0.5%, 특히 0.2 내지 0.45%,
Si: 0.15 내지 0.8%, 특히 0.2 내지 0.6%,
Mn: 1.0 내지 1.9%, 특히 1.15 내지 1.7%,
Al: 0.002 내지 0.05%, 특히 0.01 내지 0.04%,
Cr: 0.01 내지 0.5%, 특히 0.02 내지 0.4%,
Ti: 0.01 내지 0.5%, 특히 0.02 내지 0.3%,
B: 0.0002 내지 0.05%, 특히 0.001 내지 0.02%로 이루어진다.
오염물은, P: 0.03%까지, S: 0.03%까지, Cu: 0.1%까지, Mo: 0.05%까지, N: 0.02%까지, Ni: 0.1%까지, Nb: 0.2%까지, V: 0.01%까지, Sn: 0.03%까지, Ca: 0.01%까지 포함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외부 층들 중 하나 또는 2개의 외부 층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하나 또는 2개의 중간 층 또는 제2 강 합금의 강은 통상적으로, 철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오염물 이외에, (중량%로)
C: 0.15%까지, 특히 0.02 내지 0.11%,
Si: 0.7%까지, 특히 0.01 내지 0.6%,
Mn: 0.10 내지 1.9%, 특히 0.13 내지 1.8%,
Al: 0.6%까지, 특히 0.001 내지 0.2%,
Cr: 0.6%까지, 특히 0.025 내지 0.5%,
Nb: 0.5%까지, 특히 0.002 내지 0.2%,
Ti: 0.5%까지, 특히 0.02 내지 0.3%로 이루어진다.
오염물은, P: 0.25%까지, S: 0.15%까지, Cu: 0.15%까지, Mo: 0.05%까지, N: 0.06%까지, Ni: 0.15%까지, V: 0.02%까지, B: 0.01%까지, Sn: 0.04%까지, 그리고 Ca: 0.03%까지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전에 규정된 평강 제품의 열간 성형/프레스 경화를 통해 제조된, 특히 차체용 구성 부품에 의해 해결된다. 열간 성형/프레스 경화시에, 적어도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강(즉, 제1 강 합금의 강)이 경화되고, (최종 상태에서) 고강도를 얻고, 예를 들어 적어도 1200MPa, 특히 적어도 1350MPa,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50MPa의 인장 강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부품은 예를 들어 차량의 메인 바디 빔 또는 B-필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경화 가능한 강 재료로 형성된 특히 하나의 코어 층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 층의 강 복합 재료이다. 제조되는 구성 부품의 구성에 따라 그리고 충돌시에 흡수되는 반경 방향 및/또는 축방향 힘을 고려하여, 시트/슬래브 스택이 요건에 따라 조립되고 요구된 (최종) 두께로 열간 성형되고, 경우에 따라 냉간 성형되고, 열처리되고, 그리고/또는 표면 처리된다. 고강도 및 저강도를 갖는, 특히 상이한 탄소 함량을 갖는 강 재료들의 조합을 통해, 국부적으로 상이한 강도 및 굽힘각을 가지며 통상의 열간 성형 라인에서 제조될 수 있는 구성 부품이 제공될 수 있는데, 즉 반제품이 전체적으로 오스테나이트화되고 냉각 공구에서 열간 성형되고 그리고/또는 프레스 경화된다. 추가의 열처리는 (프레스) 경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반제품 내의 재료 조합을 통해, 필요에 맞는 템퍼링이 열간 성형 중에, 이전에 또는 이후에 실행될 필요 없이, 목표한 대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평강 제품 및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부품을 구성하여 개선하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 청구항 제1항을 인용하는 청구항 및 다른 한편으로, 도면과 관련되는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부품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상응하는 평강 제품(1)의 열간 성형/프레스 경화를 통해 제조된 차체용 구성 부품(5), 예를 들어 B-필러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평강 제품(1)에 대한 예가 도 1c 및 도 1d 그리고 도 2에 도시된다.
도 1b는 차체용 다른 구성 부품(5), 예를 들어 차량 메인 바디 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구성 부품(5)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1)으로부터 상술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구성 부품(5) 및 그 기초를 이루는 평강 제품(1)은 상호 연결된 복수의 강 합금 층으로 형성되는데, 즉 하나의 코어 층(2), 두 개의 외부 커버 층(3a, 3b) 및 커버 층(3a, 3b)과 코어 층(2) 사이에 배열된 중간 층(4a, 4b)으로 형성된다. 구성 부품(5)은 여기서 5층 구조를 포함한다.
코어 층(2)은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최종 상태에서) 고강도를 갖는 경화 가능한 강으로 형성되는 반면, 외부 층(3a, 3b)은, 코어 층(2)보다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 저강도를 갖는 경화 가능하거나 단지 약간 경화 가능한 강으로 형성된다. 중간 층(4a, 4b)은 각각, 비교적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 강으로 형성된 섹션(4a.1, 4b.1)뿐만 아니라,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강으로 형성된 섹션(4a.2 또는 4b.2)을 포함한다. 코어 층(2) 내에서 그리고 중간 층(4a, 4b)의 섹션(4a.2 및 4b.2) 내에서, 탄소 함량은 예를 들어 0.20 내지 0.65 중량%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지며, 특히 0.22 중량%이다. 외부 층(3a, 3b) 내에서 그리고 중간 층(4a, 4b)의 섹션(4a.1, 4b.1) 내에서, 탄소 함량은 예를 들어 0.20 중량%보다 작은 범위 내의 값을 가지며, 특히 0.15 중량%보다 작다.
도 1a의 구성 부품(5)에서, 하부 영역 내에서 단지 코어 층(2)이 고탄소 함량을 갖는 경화 가능한 강으로 형성되는 반면, 하부 영역 내의 나머지 층(3a, 3b, 4a, 4b)은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다른 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도 1b의 구성 부품(5)의 좌측 영역에 대해 적용된다. 각각의 구성 부품(5)의 나머지 영역[도 1a에서 구성 부품(5)의 상부 영역 및 도 1b에서 구성 부품(5)의 우측 영역]은, 코어 층(2)뿐만 아니라 중간 층(4a, 4b)도 비교적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경화 가능한 강으로 형성되지만, 단지 외부 층(3a, 3b)만이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a의 구성 부품(5)에서 코어 층(2)은 도 1b의 구성 부품(5)보다 더 두꺼운 것을 볼 수 있다. 도 1a에서 (좌측 외부 층으로부터 우측 외부 층으로의) 두께 비율은 예를 들어 10:10:60:10:10 이다. 도 1b에서 예를 들어 (상부 외부 층으로부터 하부 외부 층으로의) 두께 비율은 12.5:12.5:50:12.5:12.5 이다.
두 개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외부 층(3a, 3b)의 층 두께는 동일하다. 또한, 두 개의 중간 층(4a, 4b)의 층 두께도 동일하다. 특히, 외부 층(3a, 3b)의 층 두께는 중간 층(4a, 4b)의 층 두께와 동일하다. 각각의 구성 부품(5)의 층 두께에 대한 이전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라 기초를 이루는 다층 평강 제품(1)의 층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외부 층(3a, 3b) 및/또는 중간 층(4a, 4b)은 동일하게 두꺼울 수 있고, 특히 코어 층(2)보다 얇을 수 있다.
도 1c에서, 평강 제품(1)이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된다. 도 1d는, 도 1c에 도시된 절단 라인(Id 내지 Id)를 따르는 구성 부품(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도 1d의 시점은 압연 방향 또는 X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1c 및 도 1d의 평강 제품(1)에서, Y 횡방향에서, (최종 상태에서) 고강도를 갖는 제1 강 합금의 강으로 형성된 섹션(4a.1)이, 저강도를 갖는 제2 강 합금의 강의 섹션(4a.2)에 접하고, 그에 다시 제1 강 합금의 강으로 형성된 섹션(4a.1)이 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다른 중간층(4b)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또한, 도 1c에서, 상부 층(3a) 내에,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비대칭 영역 내에, 상이한 강 합금으로 형성된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대칭 또는 비대칭 섹션은 하나의 또는 복수의 다른 층들 내에, 예를 들어 하부 층(3b)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는, 평강 제품(1)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코어 층뿐만 아니라, 각각의 중간 층도 각각 상이한 강 합금의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몇몇 섹션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 함량을 갖는 경화 가능한 강을 포함하는 반면, 다른 섹션들은 비교적 낮은 탄소 함량을 갖는 강을 포함한다. 코어 층의 개별 섹션들은 "K0 내지 K9"로 표시되며, 중간 층들의 다양한 섹션들은 "Z1.0 내지 Z1.9" 또는 "Z2.0 또는 Z2.9"로 표시된다. 커버 층은 여기서 "D1" 또는 "D2"로 표시되며, 항상 전체적으로 동일한 강 합금으로 형성된다.

Claims (15)

  1. 상호 결합된 복수의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로 이루어진 다층 평강 제품(1)이며,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는 제1 강 합금과는 다른 제2 강 합금의 강이 제공되며, 제1 강 합금의 강은 고강도를 갖는 강이며, 제2 강 합금의 강은 저강도 및 저탄소 함량을 갖는 강인, 평강 제품에 있어서,
    적어도 층(시트 평면) 내에, 제1 강 합금의 하나 이상의 강 및 제2 강 합금의 하나 이상의 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강 합금의 강의 탄소 함량은 0.20 내지 0.65 중량%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50 중량%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45 중량%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제2 강 합금의 강의 탄소 함량은 < 0.20 중량%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5 중량%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1 중량%의 범위 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강 제품(1)은 홀수의 강 합금 층(2, 3a, 3b, 4a, 4b), 특히 5개의 강 합금 층(2, 3a, 3b, 4a, 4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강 제품(1)은 제1 강 합금의 강을 갖는 강 합금 층으로 형성된 코어 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5. 제4항에 있어서, 제2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3a, 3b, 4a.1, 4b.1)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3a, 3b, 4a, 4b)이 코어 층(2)의 두 측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2, 4a, 4b), 특히 코어 층(2), 및/또는 제2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3a, 3b, 4a, 4b), 특히 외부 층들(3a, 3b) 중 적어도 하나는 완전히 동일한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2, 4a, 4b) 및/또는 제2 강 합금의 강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강 합금 층(3a, 3b, 4a, 4b)이 각각 다른 강 합금의 강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섹션(4a.1, 4a.2, 4b.1, 4b.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8. 제7항에 있어서, 종방향(X) 및/또는 횡방향(Y) 및/또는 시트 두께 방향(Z)에서, 제1 강 합금의 강으로 이루어진 섹션(4a.2, 4b.2)이 제2 강 합금의 강으로 이루어진 섹션(4a.1, 4b.1)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 층(2)은 평강 제품(1)의 두께의 30 내지 90%, 특히 50 내지 80%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강 합금 층들(2, 3a, 3b, 4a, 4b)은 열간 압연을 통해 재료 결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강 합금은 철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오염물 이외에, (중량%로),
    C: 0.2 내지 0.5%,
    Si: 0.15 내지 0.8%,
    Mn: 1.0 내지 1.9%,
    Al: 0.002 내지 0.05%,
    Cr: 0.01 내지 0.5%,
    Ti: 0.0020 내지 0.5%, 및
    B: 0.0002 내지 0.05%를 포함하는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코어 층(2)은 철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오염물 이외에, (중량%로),
    C: 0.2 내지 0.45%,
    Si: 0.3 내지 0.6%,
    Mn: 1.1 내지 1.5%,
    Al: 0.001 내지 0.04%,
    Cr: 0.01 내지 0.45%,
    Ti: 0.002 내지 0.2%, 및
    B: 0.002 내지 0.01%를 포함하는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강 합금은 철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오염물 이외에, (중량%로),
    C: 0.15%까지,
    Si: 0.7%까지,
    Mn: 0.10 내지 1.9%,
    Al: 0.6%까지,
    Cr: 0.6%까지,
    Nb: 0.5%까지, 그리고
    Ti: 0.5%까지를 포함하는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외부 층(3a, 3b)은 철 및 제조로 인해 불가피한 오염물 이외에, (중량%로),
    C: 0.02 내지 0.11%,
    Si: 0.01 내지 0.6%,
    Mn: 0.13 내지 1.8%,
    Al: 0.001 내지 0.2%,
    Cr: 0.025 내지 0.5%,
    Nb: 0.002 내지 0.2%, 및
    Ti: 0.02 내지 0.3%를 포함하는 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평강 제품(1)의 열간 성형/프레스 경화를 통해 제조된, 특히 차체용 구성 부품(5).
KR1020177011469A 2014-10-02 2015-08-21 다층 평강 제품 및 그로부터 제조된 구성 부품 KR20170063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4365.5 2014-10-02
DE102014114365.5A DE102014114365A1 (de) 2014-10-02 2014-10-02 Mehrschichtiges Stahlflachprodukt und daraus hergestelltes Bauteil
PCT/EP2015/069277 WO2016050417A1 (de) 2014-10-02 2015-08-21 Mehrschichtiges stahlflachprodukt und daraus hergestelltes baute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852A true KR20170063852A (ko) 2017-06-08

Family

ID=5406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469A KR20170063852A (ko) 2014-10-02 2015-08-21 다층 평강 제품 및 그로부터 제조된 구성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02133B2 (ko)
EP (1) EP3200950B1 (ko)
JP (1) JP6778183B2 (ko)
KR (1) KR20170063852A (ko)
CN (1) CN106794671B (ko)
DE (1) DE102014114365A1 (ko)
WO (1) WO2016050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0219B (zh) * 2016-04-26 2019-03-2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冷弯加工性能优良的防弹钢板及其制造方法
EP3241675B1 (de) 2016-05-04 2019-08-07 voestalpine Stahl GmbH Dreilagiger verbundwerkstoff in form eines blechs oder bands
EP3243913A1 (de) * 2016-05-12 2017-11-1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rrosionsgeschützten kraftfahrzeugbauteilen
DE102016114068B3 (de) 2016-07-29 2017-08-1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Längsträger aus Mehrlagenstahl
DE102016117474A1 (de) * 2016-09-16 2018-03-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arosseriebauteil mit reduzierter Rissneig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6428968B1 (ja) * 2017-02-20 2018-11-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
CN110177895B (zh) * 2017-02-20 2021-06-11 日本制铁株式会社 钢板
DE102017203507A1 (de) * 2017-03-03 2018-09-06 Thyssenkrupp Ag Stahlflachhalbzeu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mponente und Verwendung
DE102017208251A1 (de) * 2017-05-16 2018-11-22 Thyssenkrupp Ag Sicherheitsstahl oder Verschleißsstahl und Verwendung
CN110621497B (zh) * 2017-05-16 2022-03-04 蒂森克虏伯钢铁欧洲股份公司 热成形材料,组件以及用途
US11110686B2 (en) 2017-05-16 2021-09-07 Thyssenkrupp Ag Hot-working material, component and use
CN111432981A (zh) * 2017-12-05 2020-07-17 蒂森克虏伯钢铁欧洲股份公司 钢材料复合物、用于制造构件的方法以及用途
DE102019203402A1 (de) * 2019-03-13 2020-09-1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Flachproduktpake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erkstoffverbundes und seine Verwendung
CN111215751B (zh) * 2019-03-29 2022-06-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带铝或者铝合金镀层的钢制差强焊接部件及其制造方法
DE102019130381A1 (de) * 2019-11-11 2021-05-1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bauteil mit gesteigerter Festigke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20186B2 (de) * 1973-04-19 1977-06-02 August Thyssen-Hütte AG,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m herstellen schwerer einteiliger wellen
JP2735380B2 (ja) * 1990-11-22 1998-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時効性、耐面歪み、耐デント性を有する加工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663089B2 (ja) * 1993-03-08 1997-10-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食性と低温靱性に優れた複合鋼板
JPH09271546A (ja) * 1996-04-04 1997-10-21 Takefu Tokushu Kozai Kk 硬靱フェースを有するクラブ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09812B2 (ja) * 1996-10-18 1999-06-23 武生特殊鋼材株式会社 化粧鋏の製造方法と、同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化粧鋏
US20040247494A1 (en) * 2003-03-24 2004-12-09 Engineered Materials Solutions, Inc. In-situ diffusion alloying and pre-oxidation annealing in air of FeCrAI alloy catalytic converter material
DE102005006606B3 (de) 2005-02-11 2006-03-16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walzplattiertem Warmband zur Weiterverarbeitung zu Kaltband und gewickeltes Coil aus solchem Warmband
DE102005045780A1 (de) * 2005-09-23 2007-04-12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rrosionsgeschützten Stahlflachprodukts
CN101505906B (zh) * 2006-07-27 2013-03-13 国立大学法人东京大学 多层钢和多层钢的制造方法
DE102007022453B4 (de) 2007-05-10 2020-02-06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Mehrschichtiges Verbundteil und aus diesem hergestelltes Bauteil
JP4960289B2 (ja) * 2008-03-27 2012-06-27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複層鋼
DE102008020473A1 (de) * 2008-04-23 2009-10-2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 der Dicke variierenden Blechplatinen
DE102008048389B4 (de) * 2008-09-22 2015-02-0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Felge für ein Kraftfahrzeug
ATE530674T1 (de) 2009-02-26 2011-11-1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Bauteil mit unterschiedlichen festigkeitseigenschaften
EP2524970A1 (de) * 2011-05-18 2012-11-2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ochfestes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4671A (zh) 2017-05-31
EP3200950A1 (de) 2017-08-09
JP2017535668A (ja) 2017-11-30
WO2016050417A1 (de) 2016-04-07
US20170297304A1 (en) 2017-10-19
DE102014114365A1 (de) 2016-04-07
CN106794671B (zh) 2020-04-07
EP3200950B1 (de) 2019-12-25
JP6778183B2 (ja) 2020-10-28
US9902133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3852A (ko) 다층 평강 제품 및 그로부터 제조된 구성 부품
US9975310B2 (en) Metal sheet or strip for a motor vehicle component
JP5076690B2 (ja) 車体閉断面構造部材の製造方法
DE102013108265B4 (de) Baugruppe von gehärteten Bautei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P3329022A1 (de) Karosserie- oder fahrwerkbauteil eines kraftfahrzeuges mit verbesserter crashperformanc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8044523A1 (de) Warmumformprofile
WO2016074666A1 (de) Karosserie- oder fahrwerkbauteil eines kraftfahrzeugs mit korrosionsschutz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8025404A (zh) 具有改进的接合特性的构件结构的生产方法和构件结构
KR102450752B1 (ko) 금속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3층 복합재, 이러한 복합재를 포함하는 부품, 및 이의 용도
US11110686B2 (en) Hot-working material, component and use
JP2023500810A (ja) 車両フロアおよび対応する製造方法
DE102017110851B3 (de) Verfahren zum Erzeugen von Stahlverbundwerkstoffen
JP6857618B2 (ja) オーステナイト鋼で作られたコンポーネント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3470145B1 (en) Method for partial cold deformation of steel with homogeneous thickness
US20190084273A1 (en) Semifinished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component, use of a semifinished part, and vehicle component
RU2790729C1 (ru) По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3625048A1 (de) Warmumformmaterial, bauteil und verwendung
US20180117879A1 (en) Multilayer automotive component
KR20200064109A (ko) 열간 성형 복합 재료, 그 열간 성형 복합 재료의 제조, 부품 및 그 부품의 용도
WO2018219412A1 (de) Blechumformbau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blechumformbaute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