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110A -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110A
KR20170063110A KR1020150169107A KR20150169107A KR20170063110A KR 20170063110 A KR20170063110 A KR 20170063110A KR 1020150169107 A KR1020150169107 A KR 1020150169107A KR 20150169107 A KR20150169107 A KR 20150169107A KR 20170063110 A KR20170063110 A KR 20170063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ngraving
seat
seat pad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3110A/ko
Publication of KR2017006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조각 패드들로 구성되는 시트 패드; 상기 조각 패드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각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조각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편안한 시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pad }
본 발명은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 패드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시트 형상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운전자가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는 좁은 공간으로 충분히 넓게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주행하는 경우나 노면 상태가 나쁘더라도 편안함을 추구할 수 있는 쪽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의 시트는, 운전자의 등부위가 접촉되는 시트백과 엉덩이 부위가 접촉되는 시트쿠션(또는 시트 패드)로 구성된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경우, 탑승자의 착좌 자세나 신체 특징에 상관없이 기존 차량 구매 고객 약 1만 6천여명으로부터 모집단 정보를 추출하여 시트 형상을 설계하고 있다. 즉, 모집단 정보를 기초로 고객들의 체형 95%를 수용할 수 있는 평균적인 외관 치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치수를 토대로 단일 형상의 시트를 설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 구조에 있어서, 시트 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균적인 치수를 토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개개인의 체형에 정확하게 잘 맞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체형에 잘 맞지 않은 시트에 착석하게 되면 피로도를 쉽게 느끼게 되고, 운전중에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운전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0796호(1998.05.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탑승하는 탑승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게 시트 패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는, 복수개의 조각 패드들로 구성되는 시트 패드; 상기 조각 패드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각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조각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조각 패드에 대응되는 제어판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판은, 상기 조각 패드 중의 특정 조각 패드를 선택하는 위치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조각 패드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판은, 상기 조각 패드 중의 특정 조작 패드를 선택하고 압력을 가하는 위치 선택 가압부와, 상기 위치 선택 가압부에 의해 선택된 조작 패드의 동작 방향을 선택하는 방향 선택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한 최적값을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패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게 시트 패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 맞춤형 시트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피로감을 줄이고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구비된 시트 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구비된 시트 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구비된 시트 패드(200)는, 자동차의 실내에 위치한 시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엉덩이 부위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시트 패드(200)는 조각 패드(201)이 복수개(도 1에서는 50개)가 모여 하나의 시트 패드(200)를 구성한다. 이러한 시트 패드(200)는 각각의 조각 패드(201)에 차례대로 고유 번호를 할당하여 각 조각 패드(201)을 특정할 수 있고, 각 조각 패드(201)의 x,y축 좌표를 할당하여 각 조각 패드(201)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패드(200)에는 각 조각 패드(201)들이 안착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각 조각 패드(201)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이드하면서 좌우방향의 이동은 제한하여 고유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시트 패드(200)의 고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 패드(200)의 각 조각 패드(201)들의 상측에는 추가적으로 매트리스(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조각 패드(201)들이 상하로 이동될 때, 각 조각 패드(201)들 간의 비선형적인 곡선을 완만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트 패드(200)는 각 조각 패드(201)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지 않고 논리적으로만 분리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조각 패드들로 분리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시트 패드(200)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시트 패드(200) 하부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 패드(200)를 변환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는 자동차의 시트 패드(200)와, 시트 패드(200)의 하측에 시트 패드(2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시트(100)는 운전자의 등부위가 접촉되는 시트백(101)과 엉덩이 부위가 접촉되는 시트 패드(200)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시트 패드(200)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출 수 있도록 시트 패드(200)의 하측에 구동부(300)를 배치시킨다.
구동부(300)는 도 1에 도시된 각 시트 패드(200)의 조각 패드(201)마다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부(300)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는, 각 조각 패드(201)마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30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동부(300)을 제어할 제어신호를 생성할 제어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제어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400)의 좌측에는 조각 패드들 중의 높낮이를 조절할 특정 조각 패드를 선택하는 위치 선택부(401)와, 선택된 조각 패드의 이동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제어부(403)를 포함하여 원하는 위치의 조각 패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구현하였다.
여기서, 방향 제어부(403)는 방향 뿐만 아니라 높낮이의 크기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의 양 끝단에 가까울수록 상하 방향의 움직임 폭이 점점 커지도록 구현함으로써 방향과 크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어부의 구현 방식외에도, 조각 패드 중의 특정 조작 패드를 선택한 후, 해당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 선택 가압부(미도시)와, 위치 선택 가압부(미도시)에 의해 선택된 조작 패드의 동작 방향을 선택하는 방향 선택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제어부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방향 선택부(미도시)에서는 위 또는 아래의 방향만 선택하고 높낮이는 가압력의 크기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방향과 크기, 위치를 선택하도록 제어부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400) 상에서 각 조각 패드에 대응되는 제어판을 표시하고, 제어판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조각 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위치를 가압한 후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방향을 지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별도의 방향 선택부나 방향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는, 구동부와 제어부를 통해 설정한 최적값을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적값을 저장함으로써 재착석시에 다시 최적의 값을 설정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자신의 체형에 맞는 시트 패드로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탑승자가 자동차의 시트(100)에 탑승한 후, 터치 스크린(400)을 조작한다.
각 조각 패드(201)들을 선택하여 자신의 몸에 맞는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면, 터치 스크린(400)의 조작을 중단하고, 이와 같은 최적값을 저장시킨다.
이후, 탑승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좌석에서 편안함과 긴밀한 착석감을 느끼면서 운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탑승자가 재탑승시에는 기존에 저장하였던 최적값을 선택하여 체형에 맞추는 작업을 다시 반복하지 않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높이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시트 101: 시트백
200: 시트 패드 201: 조각 패드
300: 구동부 400: 터치 스크린
401: 위치 선택부 403: 방향 제어부

Claims (5)

  1. 복수개의 조각 패드들로 구성되는 시트 패드;
    상기 조각 패드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조각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조각 패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조각 패드에 대응되는 제어판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은,
    상기 조각 패드 중의 특정 조각 패드를 선택하는 위치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조각 패드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은,
    상기 조각 패드 중의 특정 조작 패드를 선택하고 압력을 가하는 위치 선택 가압부와,
    상기 위치 선택 가압부에 의해 선택된 조작 패드의 동작 방향을 선택하는 방향 선택부;를 포함하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한 최적값을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KR1020150169107A 2015-11-30 2015-11-30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KR20170063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07A KR20170063110A (ko) 2015-11-30 2015-11-30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107A KR20170063110A (ko) 2015-11-30 2015-11-30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110A true KR20170063110A (ko) 2017-06-08

Family

ID=5922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107A KR20170063110A (ko) 2015-11-30 2015-11-30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31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533B2 (en) Switch for selecting and adjusting seat-related functions of motor vehicle seats
EP1839932B1 (de) Systeme und Verfahren zur Auswahl und Verstellung sitzbezogener Funktionen in einem Kraftfahrzeug
US10086731B2 (en) Flexible vehicle seat
US201400320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assage functions of a motor vehicle seat
CN107264354B (zh) 扶手装置中的控制元件
EP3251889B1 (en) Sitting position adjustment system
CN104943579B (zh) 用于控制和选择机动车辆座椅按摩功能的系统
US10124704B2 (en) Vehicle seat for a motor vehicle
CN108928281A (zh) 具有显示装置的车辆座椅
EP2735469A1 (en) Vehicle seat part selection arrangement
KR20170063110A (ko) 시트 패드 높이 조절장치
EP3544852B1 (en) Seat for vehicles with segmented backrest and movable lumbar portion
CN110356287B (zh) 车辆座椅调节方法、装置、车辆座椅和车辆
JP2021020561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JP6933423B2 (ja) ヘッドレストの調整方法及びヘッドレスト装置
KR20220135853A (ko) 차량의 시트 제어 안전 장치
JP6665685B2 (ja) 乗物用シート
JPH0221815A (ja) 自動車用シート
JP6440022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9111875A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KR100516583B1 (ko) 차량 뒷좌석의 헤드 레스트
JP2021169249A (ja) 車両用シート
JP2017218025A (ja) ランバサポート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2009208550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