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913A -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913A
KR20170062913A KR1020150168692A KR20150168692A KR20170062913A KR 20170062913 A KR20170062913 A KR 20170062913A KR 1020150168692 A KR1020150168692 A KR 1020150168692A KR 20150168692 A KR20150168692 A KR 20150168692A KR 20170062913 A KR20170062913 A KR 2017006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etainer
missing
fastening hole
bol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덕엽
Original Assignee
덕성금속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금속공업(주) filed Critical 덕성금속공업(주)
Priority to KR102015016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913A/ko
Publication of KR2017006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는, 자동차 부품의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체결공과 상기 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볼트와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부품의 조립 후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을 위치시켜 상기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가 있는지 여부로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시 누락된 부품의 확인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부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과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A bolt assembling structure capable easy inspection}
본 발명은 조립시 부품의 누락 여부를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의 조립시 볼트 체결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볼트 체결시에는 볼트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 및 리테이너 등의 부품도 함께 체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부품의 조립이 완료되고 난 후, 볼트, 스페이서 및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가 누락되지는 않았는지 검사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8217호와 같이 비전 검사 방식으로 내부 부품의 누락 여부를 검사하다 보니 검사 기구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검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8217호(2011.6.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부품 조립시 볼트 체결과 관련한 부품의 누락 여부를 보다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볼트 체결과 관련한 부품의 누락 여부에 대한 검사 시간을 보다 최소화하고, 검사 기구를 더욱 단순하게 할 수 있는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는, 자동차 부품의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체결공과 상기 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볼트와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부품의 조립 후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을 위치시켜 상기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가 있는지 여부로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자동차 부품의 조립 후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을 위치시켜 상기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가 있는지 여부로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 누락된 부품의 확인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과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볼트 및 리테이너가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볼트 및 리테이너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볼트의 헤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자동차 부품이 놓인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리테이너가 누락된 경우에 검사시 볼트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볼트 및 리테이너가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볼트 및 리테이너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볼트의 헤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자동차 부품이 놓인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에서 리테이너가 누락된 경우에 검사시 볼트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1)는, 자동차 부품(2)의 볼트체결공(20)에 체결되는 볼트(11)와, 상기 볼트(11)가 상기 볼트체결공(2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체결공(20)과 상기 볼트(11)의 헤드부(111)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12)와, 상기 볼트(11)와 스페이서(1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11)가 상기 볼트체결공(2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13)를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부품(2)의 조립 후 상기 리테이너(13)의 누락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볼트(11)의 헤드부(111)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2)을 위치시켜 상기 자동차 부품(2)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11)가 있는지 여부로 상기 리테이너(13)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자동차 부품(2)은 엔진 등과 같이, 상기 볼트(11)로 체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볼트(11)는, 자동차 부품(2)의 볼트체결공(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112)와, 상기 나사부(112)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나사부(112)가 상기 자동차 부품(2)에 결합되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헤드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12)는 상기 볼트(11)의 나사부(1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볼트(11)의 헤드부(111)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 부품(2)의 볼트체결공(20)에 인접한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12)가 상기 자동차 부품(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1)가 상기 스페이서(12)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공(20)의 나사산을 따라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2)의 두께는 상기 볼트(11)가 결합되는 깊이를 상기 자동차 부품(2)을 조립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한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12)는 상기 볼트(11)가 체결되는 경우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볼트(11)의 체결시 상기 볼트(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자동차 부품(2)의 표면이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13)는 상기 볼트(11)의 나사부(112)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중공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11)가 상기 볼트체결공(20)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볼트(11)가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리테이터가 상기 볼트(11) 및 스페이서(12) 사이에 끼워지듯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체결공(20)의 내측에 상기 스페이서(12), 리테이너(13) 및 볼트(11)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볼트(11)가 상기 볼트체결공(20)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볼트(11)의 나사부(112) 외경은 상기 스페이서(12)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자동차 부품(2)의 조립시 상기 리테이너(13)가 누락되는 경우에 상기 볼트(11)가 상기 스페이서(12)에는 직접 고정될 수 없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낙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자동차 부품(2)을 상기 볼트(11)를 이용하여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조립시 상기 리테이너(13)가 누락되지는 않았는지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11)의 헤드부(111)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2)이 놓여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자동차 부품(2)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11)가 있으면 상기 볼트(11)가 분리된 지점에 리테이너(13)가 누락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동차 부품(2)의 조립 후 상기 리테이너(13)의 누락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볼트(11)의 헤드부(111)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2)을 위치시켜 상기 자동차 부품(2)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11)가 있는지 여부로 상기 리테이너(13)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 누락된 부품의 확인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과정이 보다 단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2 : 자동차 부품
11 : 볼트
12 : 스페이서
13 : 리테이너
20 : 볼트체결공
111 : 헤드부
112 : 나사부

Claims (3)

  1. 자동차 부품의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체결공과 상기 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볼트와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상기 자동차 부품의 조립 후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자동차 부품을 위치시켜 상기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볼트가 있는지 여부로 상기 리테이너의 누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공의 내측에 상기 스페이서, 리테이너 및 볼트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부 외경은 상기 스페이서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KR1020150168692A 2015-11-30 2015-11-30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KR20170062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92A KR20170062913A (ko) 2015-11-30 2015-11-30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92A KR20170062913A (ko) 2015-11-30 2015-11-30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913A true KR20170062913A (ko) 2017-06-08

Family

ID=5922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692A KR20170062913A (ko) 2015-11-30 2015-11-30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9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46A (ko) * 2017-12-29 2019-07-09 최종운 문화재에 대한 부착물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46A (ko) * 2017-12-29 2019-07-09 최종운 문화재에 대한 부착물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626B2 (en)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6576332B2 (ja) 内視鏡検査用開口部を含むターボ機械のケース
TWI596284B (zh) 具有附加壓縮限制套筒之緊固件
US9334904B2 (en) Propeller shaft and yoke structure of universal joint used for the propeller shaft
RU2017124939A (ru) Система ремонта крепления, которым оснащена стенка двигателя
KR100980998B1 (ko) 튜브용 비틀림 시험기의 고정지그
KR20180016561A (ko) 클립
JP2000027832A (ja) トルク角制限ホイ―ルナット
KR20170062913A (ko) 간편 검사 가능한 볼트 체결 구조
KR101379770B1 (ko) 볼 조인트 나사강도 시험장치
KR102236552B1 (ko) 센서 고정 장치
KR101795178B1 (ko) 테스트 바 및 이를 이용한 볼 스크류 지지용 베어링 유닛 설치방법
US20170023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a measurement at a connection element
WO2016084390A1 (ja)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EP2868940B1 (en) Dowel element
US20070164077A1 (en) Weld nut part detector for welding applications
KR101948977B1 (ko) 와셔 및 이를 포함한 지그
WO2021117664A1 (ja) 取付部材及びこの取付部材を備える運動案内装置
TWI658225B (zh) 下段構件的固定裝置及具備該下段構件的固定裝置之流體控制裝置
KR102379294B1 (ko) 마이크로미터를 활용한 테이퍼축 외경 검사 방법
CN209737395U (zh) 一种夹具
JP7091123B2 (ja) 締結構造
KR102024279B1 (ko) 너트 검사 및 용접장치
KR20130009273A (ko) 라인 레이저를 이용한 비전 검사용 지그
US20190283140A1 (en) Cutter arbor d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