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714A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714A
KR20170061714A KR1020177013007A KR20177013007A KR20170061714A KR 20170061714 A KR20170061714 A KR 20170061714A KR 1020177013007 A KR1020177013007 A KR 1020177013007A KR 20177013007 A KR20177013007 A KR 20177013007A KR 20170061714 A KR20170061714 A KR 2017006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inner tube
balloon catheter
slip element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363B1 (ko
Inventor
야스히로 오카와
가츠 엔도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pecial balloon surface topography, e.g. pores, protuberances, spikes or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나아가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가 혈관의 굴곡 부위나 다른 디바이스 등에 간섭하는 일이 없고, 탈락하는 일도 없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는, 아우터 샤프트(10)와, 아우터 샤프트(10)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30)과, 아우터 샤프트(10)의 루멘 및 벌룬(30)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40)와, 이너 튜브(40)의 외주면에 고착되고, 당해 이너 튜브(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벌룬(30)의 확장 시에 당해 벌룬(30)의 내표면을 가압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 {BALLOON CATHETER}
본 발명은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 내의 병변(협착부)에 혈관 형성술을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벌룬 카테터에는,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것이 요망된다.
여기서,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벌룬 카테터로서, 절단날을 구비한 절개기를 벌룬의 외표면에 복수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벌룬 카테터(커팅 벌룬 카테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벌룬의 확장 시에 절단날에 의해 협착부에 절입이 형성되므로, 확장 중의 혈관의 응력이 완화되어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서는, 벌룬에 절단날을 고정하는 데 특수한 탑재부(절개기)를 설치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이러한 절단날이 벌룬으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함께,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혈관 형성용 벌룬 카테터로서, 벌룬의 외표면으로부터는 분리된 상태에서 벌룬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요성의 가늘고 긴 요소(미끄럼 방지 요소)가, 벌룬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3개소)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이러한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벌룬을 확장시킴으로써, 벌룬의 양단에 접착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 요소를, 벌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병소부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병소부에 길이 방향 축선 방향 채널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벌룬의 확장 시에 벌룬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일본 특허 공개 평5-29317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0928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벌룬 카테터의 사용 전(벌룬을 확장시키기 전)에 있어서의 미끄럼 방지 요소는, 절첩된 상태의 벌룬에 의해 덮여 있지만, 벌룬을 일단 확장시켰다가 수축시키면, 벌룬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만 접착되어 있는(선단부 및 후단부 이외의 벌룬의 외표면에는 접착되지 않은)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는, 벌룬의 외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늘어진 상태로 되고, 벌룬을 확장시키기 전의 상태로 빼내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상태의 벌룬 카테터를 다음 병변을 향하여 혈관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 벌룬의 외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늘어진 상태의 미끄럼 방지 요소가, 혈관의 굴곡 부위에 걸림으로써, 벌룬 카테터의 삽입 관통성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또한, 벌룬의 외표면으로부터 미끄럼 방지 요소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당해 벌룬의 선단측으로 다른 디바이스를 삽입하거나, 벌룬의 후단측에 다른 디바이스가 있는 상태에서 당해 벌룬 카테터를 빼내거나 할 때, 벌룬의 외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늘어진 상태의 미끄럼 방지 요소가 당해 다른 디바이스에 걸려(벌룬의 외표면과 미끄럼 방지 요소의 사이에 다른 디바이스가 들어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벌룬 카테터의 파손(미끄럼 방지 요소의 탈락을 포함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축시킨 벌룬을 가이딩 카테터 등의 루멘으로 빼낼 때, 가이딩 카테터의 개구에 미끄럼 방지 요소가 걸려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벌룬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는, 여전히,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가 벌룬으로부터 탈락하게 되는 리스크를 피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나아가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가 혈관의 굴곡 부위나 다른 디바이스 등에 간섭하는 일이 없고, 탈락하는 일도 없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는, 아우터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과,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루멘 및 상기 벌룬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의 외주면에 고착 또는 상기 이너 튜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벌룬의 확장 시에 상기 벌룬의 내표면을 가압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벌룬을 확장시켰을 때, 벌룬 벽을 통하여(벌룬 벽과 함께) 미끄럼 방지 요소를 협착부에 파고 들게 하여 병변 조직에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확장 시의 벌룬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벌룬 카테터와는 달리, 미끄럼 방지 요소가 벌룬의 내부에 존재하므로,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가, 혈관의 굴곡 부위나 다른 디바이스에 간섭하는 일은 없고,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가 벌룬으로부터 이격되어 탈락하는 일도 없다.
(2)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벌룬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의 돌출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 요소의 사이즈 다운을 도모할 수 있고, 혈관 삽입 관통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의 형상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벌룬을 확장시켰을 때의 벌룬(볼록부)의 벽에, 미끄럼 방지 요소의 가압에 수반하여 과대한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에 따르면, 벌룬의 미끄럼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고, 나아가 미끄럼 방지 요소가 혈관의 굴곡 부위나 다른 디바이스 등에 간섭하는 일이 없고,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가 탈락하는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벌룬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벌룬 절첩 방식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벌룬 절첩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벌룬 내표면을 가압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가 혈관의 협착부에 파고든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는, 경피적 관상 동맥 혈관 형성술(PTCA) 등에 사용된다.
이 벌룬 카테터(100)는, 수지 튜브를 포함하는 선단측 샤프트(10)(아우터 샤프트)와,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 접속된 금속 튜브를 포함하는 후단측 샤프트(20)와, 선단측 샤프트(10)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30)과,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 및 벌룬(30)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수지 튜브이며, 선단측 샤프트(10)의 측면에 있어서, 그 후단이 가이드 와이어 포트로서 개구되고, 벌룬(30)의 선단부에 그 선단부가 고정되어, 그 선단이 개구되는 이너 튜브(40)와, 이너 튜브(40)의 외주면에 접착 고정되어 이너 튜브(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벌룬(30)의 확장 시에 있어서 당해 벌룬(30)의 내표면을 가압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50)와, 후단측 샤프트(20)의 후단에 접속된 허브(60)와, 후단측 샤프트(20)의 후단과 허브(60)의 접속부에 설치된 스트레인 릴리프(70)와,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코어 와이어(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선단측 샤프트(10)는, 수지 튜브를 포함하는 아우터 샤프트이다.
선단측 샤프트(10)(아우터 샤프트)에는, 벌룬(30)을 확장시키기 위한 유체를 유통시키는 루멘(확장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샤프트(1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외경은, 통상 0.7 내지 1.0mm로 되고, 이 수지 튜브의 내경은, 통상 0.65 내지 0.95mm로 된다.
선단측 샤프트(10)의 길이는, 통상 150 내지 450mm로 된다.
선단측 샤프트(1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재료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X)(등록 상표) 및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PEBAX가 바람직하다.
선단측 샤프트(1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경도로서는, D형 경도계에 의한 경도로 63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측 샤프트(10)의 후단에는 후단측 샤프트(20)가 접속되어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후단측 샤프트(20)에는,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에 연통되는 루멘(확장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측 샤프트(20)는, 스테인리스, Ni-Ti 합금, Cu-Mn-Al계 합금 등의 금속 튜브(하이포튜브)로 구성되어 있고, 이 금속 튜브의 선단 부분에는, 나선상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후단측 샤프트(20)를 구성하는 금속 튜브는, 그의 선단부가 선단측 샤프트(10)를 구성하는 수지 튜브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있음과 함께, 그 후단부가 허브(60)에 삽입되어 있다.
후단측 샤프트(20)를 구성하는 금속 튜브의 외경은, 통상 0.5 내지 0.8mm로 되고, 이 금속 튜브의 내경은, 통상 0.4 내지 0.7mm로 된다.
후단측 샤프트(20)의 길이는, 통상 900 내지 1500mm로 된다.
선단측 샤프트(10)의 선단에는 벌룬(30)이 장착되어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벌룬(30)은, 선단측 샤프트(10) 및 후단측 샤프트(20)의 루멘을 유통하는 액체에 의해 확장된다. 여기서, 액체로서는, 생리 식염수나 조영제를 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벌룬(30)은, 부분 원통상부(30A)와, 볼록부(30B)를 포함하고, 그의 횡단면 형상은, 종래 공지된 벌룬과 같은 원형이 아니라, 일방향으로 오므라든 물방울형으로 되어 있다(오므라든 부분이 볼록부(30B)임).
확장 시에 있어서의 벌룬(30)(부분 원통상부(30A))의 직경으로서는, 통상 1.0 내지 5.0mm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mm로 된다.
벌룬(30)의 길이로서는, 통상 5 내지 40mm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mm로 된다.
벌룬(30)의 구성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벌룬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합한 재료로서 PEBAX를 들 수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이너 튜브(40)는, 선단측 샤프트(10)의 루멘 및 벌룬(30)의 내부(내강)에 연장되어 있고,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루멘(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수지 튜브이다.
이너 튜브(40)의 후단은, 선단측 샤프트(10)의 측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41)는 가이드 와이어 포트로 되어 있다.
이너 튜브(40)의 선단부는, 벌룬(30)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벌룬(30)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너 튜브(40)의 선단에는 개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튜브(40)는, 벌룬(30)의 중심축으로부터, 볼록부(30B)가 위치하는 방향(후술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돌출 방향이며, 도 4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편심되어 연장되어 있다.
이너 튜브(40)의 외경은, 통상 0.48 내지 0.60mm로 되고, 그 내경은 통상 0.35 내지 0.45mm로 된다.
가이드 와이어 포트인 이너 튜브(40)의 개구(41)의 형성 위치로부터 벌룬(30)의 후단 위치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로서는, 통상 150 내지 300mm로 된다.
이너 튜브(40)의 개구(41)의 형성 위치로부터 후단측 샤프트(20)의 선단까지의 축 방향의 거리로서는, 통상 50mm 이하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mm로 된다.
이너 튜브(40)의 구성 재료로서는, PEBAX, 나일론, PEEK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너 튜브(40)를 구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JIS K 717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굽힘 탄성률)은, 통상 50 내지 10,000MPa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5,00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4,200MPa로 된다.
이너 튜브(40)를 구성하는 수지의 경도는, D형 경도계에 의한 경도로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너 튜브(40)의 외주면에는, 이너 튜브(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미끄럼 방지 요소(50)가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벌룬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50)는, 그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벌룬(30)의 볼록부(30B) 내(즉, 벌룬(30)의 내부)에 수용되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벌룬(30)의 확장 시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선단은 볼록부(30B)의 내표면을 가압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요소(50)는, 대략 삼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다. 여기서, 이 삼각형의 꼭지각(θ)으로서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로 된다.
이 각도(θ)가 지나치게 좁은 경우에는, 벌룬의 확장 시에 있어서, 협착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벌룬 벽을 손상시키거나(특히, 미끄럼 방지 요소의 경도가 높을 때), 미끄럼 방지 요소의 선단이 변형되어(특히, 미끄럼 방지 요소의 경도가 낮을 때) 협착부에 파고 들게 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한편, 이 각도(θ)가 지나치게 넓은 경우에도, 벌룬의 확장 시에 있어서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를 협착부에 파고 들게 할 수 없게 된다.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구성 재료로서는, 이너 튜브(40)의 구성 재료와 동일한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미끄럼 방지 요소(50)를 구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JIS K 717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굽힘 탄성률)은, 통상 50 내지 10,000MPa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5,00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4,200MPa로 된다.
미끄럼 방지 요소(50)를 구성하는 수지의 경도는, D형 경도계에 의한 경도로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굽힘 탄성률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벌룬의 확장 시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 요소의 선단이 변형되어 협착부에 파고 들게 할 수 없다. 한편, 미끄럼 방지 요소를 구성하는 수지의 굽힘 탄성률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벌룬의 확장 시에 있어서, 협착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벌룬 벽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그러한 미끄럼 방지 요소가 위치하는 벌룬 부분이 휘기 어려워지고, 만곡되어 있는 혈관에 추종하여 당해 부분을 커브시키기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벌룬 카테터로서의 혈관 삽입 관통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축 상태의 벌룬(30)은, 이너 튜브(40) 및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주위를 권회하도록 하여 접을 수 있다.
여기서, 벌룬의 외측에 미끄럼 방지 요소를 구비한 종래의 벌룬 카테터에서는,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가 벌룬을 접을 때 방해가 되어 깔끔하게 절첩할 수 없었지만, 벌룬(30)의 내부에 미끄럼 방지 요소(50)를 구비한 이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쉬우면서도 깔끔하게 벌룬(30)을 절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벌룬(30)을 확장시켰다가 수축시킨 후에 있어서도, 사용 전과 마찬가지의 형태로 쉬우면서도 깔끔하게 절첩할 수 있다.
즉, 벌룬(30)의 내부에 미끄럼 방지 요소(50)가 위치하는 이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는, 리랩성도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협착부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과 함께, 확장 시의 벌룬(30)이 미끄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벌룬(30)을 확장시켰을 때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벌룬(30)(볼록부(30B))의 벽부와 함께, 미끄럼 방지 요소(50)를 혈관의 병변(협착부(90))에 파고 들게 하여 병변 조직에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혈관의 응력이 완화되어 협착부(90)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병변 조직과의 마찰 저항이 증대되어 벌룬(30)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벌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가 당해 벌룬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종래 공지된 벌룬 카테터와는 달리, 미끄럼 방지 요소(50)가 벌룬(30)의 내부에 존재하므로, 벌룬(30)의 외부에 있는 혈관의 굴곡 부위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하여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50)가 간섭하는 일은 없고,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50)가 벌룬(30)으로부터 이격되어 탈락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벌룬(3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너 튜브(40)가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돌출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벌룬의 중심축 상에 이너 튜브가 연장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미끄럼 방지 요소(50)를 작게 할 수 있고, 혈관 삽입 관통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0)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형상을 따라, 벌룬(30)에 볼록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벌룬(30)을 확장시켰을 때의 벌룬(30)(볼록부(30B))의 벽에 대하여, 미끄럼 방지 요소(50)의 가압에 수반하는 과대한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요소의 형상이나 개수는, 당해 미끄럼 방지 요소를 벌룬 벽을 통하여 협착부에 파고 들게 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복수의 미끄럼 방지 요소(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51, 52, 53))를 직선 상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요소(51', 52', 53')를 간격을 두고 배치해도 된다.
또한, 벌룬에는, 미끄럼 방지 요소의 형상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100: 벌룬 카테터
10: 선단측 샤프트(아우터 샤프트)
20: 후단측 샤프트
30: 벌룬
40: 이너 튜브
41: 개구(가이드 와이어 포트)
42: 개구
50: 미끄럼 방지 요소
60: 허브
70: 스트레인 릴리프

Claims (3)

  1. 아우터 샤프트와,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선단에 접속된 벌룬과,
    상기 아우터 샤프트의 루멘 및 상기 벌룬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의 외주면에 고착 또는 상기 이너 튜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벌룬의 확장 시에 상기 벌룬의 내표면을 가압하는 미끄럼 방지 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벌룬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의 돌출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 요소의 형상을 따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KR1020177013007A 2014-11-18 2015-07-10 벌룬 카테터 KR101767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34042 2014-11-18
JP2014234042A JP6304711B2 (ja) 2014-11-18 2014-11-18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CT/JP2015/069909 WO2016080017A1 (ja) 2014-11-18 2015-07-10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714A true KR20170061714A (ko) 2017-06-05
KR101767363B1 KR101767363B1 (ko) 2017-08-10

Family

ID=5601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007A KR101767363B1 (ko) 2014-11-18 2015-07-10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04711B2 (ko)
KR (1) KR101767363B1 (ko)
CN (1) CN107073247B (ko)
WO (1) WO20160800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45A1 (ko) * 2017-09-18 2019-03-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세스 시스
WO2020046022A1 (ko) * 2018-08-29 2020-03-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힌 혈관을 용이하게 통과하기 위한 지지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16238B2 (ja) * 2015-05-28 2018-04-2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7410706B2 (ja) * 2019-12-20 2024-01-10 株式会社カネカ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7305904B1 (ja) * 2021-11-09 2023-07-10 株式会社カネカ バルーンカテーテル
WO2023085149A1 (ja) * 2021-11-09 2023-05-19 株式会社カネカ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2655075B1 (ko) 2024-01-03 2024-04-04 이정현 풍선 카테터 결합형 병변 확장용 커팅 와이어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495Y2 (ko) * 1986-11-29 1991-11-14
US5320634A (en) * 1990-07-03 1994-06-14 Interventional Technologies, Inc. Balloon catheter with seated cutting edges
US5795325A (en) 1991-07-16 1998-08-18 Heartpor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choring an occluding member
US5413557A (en) * 1993-08-24 1995-05-09 Pameda N.V. Dilatation catheter with eccentric balloon
US6491711B1 (en) * 2000-11-14 2002-12-1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with non-circular balloon taper and method of use
US7186237B2 (en) * 2002-02-14 2007-03-06 Avantec Vascular Corporation Ballon catheter for creating a longitudinal channel in a lesion and method
JP2009511149A (ja) * 2005-10-14 2009-03-19 エンドクロス 血管閉塞を治療する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5135816B2 (ja) * 2007-02-09 2013-02-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結石除去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2147696B1 (en) * 2008-07-23 2011-11-30 Abbott Laboratories Vascular Enterprises Limited Balloon catheter
CN201564947U (zh) * 2009-10-30 2010-09-01 业聚医疗器械(深圳)有限公司 球囊导管
JP2011152181A (ja) * 2010-01-26 2011-08-11 Toray Ind Inc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202113470U (zh) * 2011-05-05 2012-01-18 天健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带防滑脱功能的药物球囊导管
JP2013226244A (ja) * 2012-04-25 2013-11-07 Terumo Corp 治療デバイス及び治療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45A1 (ko) * 2017-09-18 2019-03-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세스 시스
US11234731B2 (en) 2017-09-18 2022-02-01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Access sheath
WO2020046022A1 (ko) * 2018-08-29 2020-03-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힌 혈관을 용이하게 통과하기 위한 지지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KR20200025248A (ko) * 2018-08-29 2020-03-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힌 혈관을 용이하게 통과하기 위한 지지풍선이 부착된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363B1 (ko) 2017-08-10
JP2016096869A (ja) 2016-05-30
CN107073247B (zh) 2019-07-26
JP6304711B2 (ja) 2018-04-04
CN107073247A (zh) 2017-08-18
WO2016080017A1 (ja)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363B1 (ko) 벌룬 카테터
US9615848B2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EP3424552B1 (en) Low-profile occlusion catheter
US20210077790A1 (en) Balloon Catheter
US20050197668A1 (en) Occlusion balloon catheter with longitudinally expandable balloon
US20210023347A1 (en) Balloon Catheter
US8475405B2 (en) Esophageal balloon catheter with asymmetrical balloon
US10617855B2 (en) Balloon catheter
US20160175569A1 (en) Device for treating vascular occlusion
CN105963848B (zh) 球囊导管
KR101788491B1 (ko) 벌룬 카테터
EP4039315B1 (en) Guide extension catheter
US20100030141A1 (en) rapid-exchange catheter
US10463841B2 (en) Balloon catheter
JP6316238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9724496B2 (en) Intravascular balloon and deflation wire
US20190015629A1 (en) Multi-Lumen Catheters for Small Body Vessel Applications
JP2012196320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2977071A1 (en) Supportive balloon catheter
CN107148292B (zh) 球囊导管
JP6399809B2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