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502A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502A
KR20170059502A KR1020150163052A KR20150163052A KR20170059502A KR 20170059502 A KR20170059502 A KR 20170059502A KR 1020150163052 A KR1020150163052 A KR 1020150163052A KR 20150163052 A KR20150163052 A KR 20150163052A KR 20170059502 A KR20170059502 A KR 20170059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silicon thin
semiconductor lay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959B1 (ko
Inventor
추병권
나정균
배준화
정병호
황인선
김무겸
조주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5Doping the layers
    • H01L21/32155Doping polycristalline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01L27/32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51/56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레이저 빔을 상기 비정질 실리콘 박막에 조사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제1 정반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슬러리(slurry)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반 및 상기 제1 정반과 마주보는 제2 정반을 회전 시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 상에 형성된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제1 정반에서 탈착하는 단계,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은 전하 운반체인 전자의 이동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반면에,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 Silicon)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에서는 불가능하였던 구동 회로를 기판상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결정 실리콘으로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복수개의 단자와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와의 접속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생산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패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저온 조건에서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고상 결정화법(Solid Phase Crystallization, SPC), 금속유도 결정화법(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MIC), 금속유도측면 결정화법(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 MILC), 엑시머 레이저 열처리법(Excimer Laser Annealing, ELA) 등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제조 공정에서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결정화하는 엑시머 레이저 열처리법(ELA)을 사용한다.
그러나, 엑시머 레이저 열처리법(ELA)의 레이저 결정화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 기판을 스캔하며 대상 박막에 결정화를 진행하는 경우,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에 의도하지 않은 돌기가 발생한다. 이러한 돌기는 다결정 실리콘층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결정화 시 다결정 실리콘층에서 발생하는 돌기를 제거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은 비정질 실리콘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레이저 빔을 상기 비정질 실리콘 박막에 조사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제1 정반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슬러리(slurry)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반 및 상기 제1 정반과 마주보는 제2 정반을 회전 시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 상에 형성된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제1 정반에서 탈착하는 단계,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을 친수성 상태로 바꾸어 주는 친수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 처리 단계는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에 계면 활성제(surfactant)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러리의 입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반 및 상기 제2 정반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사용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1nm 미만이 될 때까지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약 80nm미만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중첩하는 게이트전극, 상기 반도체층과 중첩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약 1nm 미만이다.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약 80nm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을 덮고 있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고 있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스 전극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반도체층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 소스 전극 및 구동 드레인 전극, 상기 구동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약 1nm 미만이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약 80nm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결정화 시 다결정 실리콘층에서 발생하는 돌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도체층의 특성이 향상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Ⅳ-XⅣ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도 16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도 18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 19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20은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산란특성(Haze)을 실험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120) 및 비정질 실리콘 박막(130a)이 차례로 형성된 기판(110)를 준비한다. 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의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버퍼층(120)은 질화규소(SiNx)의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질화 규소(SiNx)와 산화 규소(SiO2)가 적층된 이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비정질 실리콘 박막(130a)은 저압화학 증착법, 상압화학 증착법, PECVD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법, 진공증착법(vacuum evaporation)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1)의 빔을 비정질 실리콘 박막(130a)에 조사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 한다. 레이저(1)는 일방향(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비정질 실리콘층을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결정화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정질 실리콘 박막(130a)의 레이저 결정화 공정을 진행하기 전 영역(A)은 비정질 실리콘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비정질 실리콘층에 레이저(1)를 이용하여 레이저 결정화 공정을 진행한 영역(B)은 다결정 실리콘층이 된다. 결정화 공정을 위한 레이저에는 일례로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 공정이 진행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의 표면에는 도 3과 같이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에 돌기(131)가 발생하게 된다. 즉, 레이저(1)의 빔에 의해 용융된 비정질 실리콘층이 그레인(grain)을 중심으로 다시 재결정화하면서 그레인 간의 경계부에 돌기(131)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의 표면의 돌기(131)를 연마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을 제1 정반(2)에 부착하고,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에 노즐(4)을 통하여 연마재, 분산제, 안정제, 부식방지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러리(slurry)(5)를 공급한다. 제1 정반(2) 및 제1 정반(2)과 마주보는 제2 정반(3)으로 가압하면서 제1 정반(2)과 제2 정반(3)을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 시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 상에 형성된 돌기(131)를 제거한다. 제1 정반(2) 및 제2 정반(3)은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가속, 감속 운동과 병진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정반(2)과 제2 정반(3)을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 시켜 연마하는 단계 중에, 지속적으로 제1 정반(2)과 제2 정반(3) 사이에 노즐(4)을 통하여 슬러리(slurry)(5)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정반(2)과 제2 정반(3)은 730mm×920mm의 기판을 부착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또는2200mm×2500mm의 기판을 부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일 수도 있다.
돌기 연마 공정 후 연마가 제대로 되었는지 정반을 열어서 회절 및 소수성 표면 검사 등을 진행할 수 있으나 실제 양산 적용 시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돌기(131)를 연마하는 공정을 진행한 다음에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을 친수성 상태로 바꾸어 주는 친수 처리 단계를 진행한다. 돌기(131)를 연마하는 공정이 끝난 후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의 표면은 후세정 장치에 로딩하기 까지 상당한 시간 동안 대기에 노출된 상태가 되는데, 돌기(131)를 연마하는 공정 후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은 소수성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은 급속한 건조 현상이 일어나며, 그로 인하여 연마 공정 중에 발생한 슬러리 입자 등 잔류 오염물과 대기중의 오염물이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에 강하게 흡착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오염물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에 강하게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후세정 공정을 실시하여도 오염물이 잘 제거되지 않는 등 후세정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의 표면 결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의 친수 처리를 통해 오염물이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에 강하게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 처리 단계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103b) 표면에 계면 활성제(surfactant)를 공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친수 처리 단계 다음에는 2차 연마 과정인 버핑(buffing)단계를 진행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103b) 표면의 슬러리의 입자들을 제거할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103b)을 제1 정반에서 탈착한 후, 친수 처리한 표면이 마르지 않도록 다결정 실리콘 박막(103b)을 친수 처리제에 담가 이동한 뒤 세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세정하는 단계는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I Water)세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탈이온수 세정은 이온화되지 않은 물을 강한 압력으로 분사시켜 기판을 세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103b) 표면을 세정한 뒤 표면에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에어 나이프(air knife) 혹은 열풍건조(hot air dry)를 통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거친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의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1nm 미만일 수 있다. 도 5는 상기 공정을 거친 뒤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비교하였을 때 표면의 거칠기가 확연하게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기가 제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135)을 형성한다(도 6 참조). 반도체층(135)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80nm미만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도 7 참조).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 전극(125)를 형성한다(도 8 참조). 게이트 전극(125)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을 형성하고 접촉 구멍을 형성한다(도 9 참조).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을 형성한다(도 10 참조). 그 위에는 보호막(180)을 형성하고 접촉구멍을 형성한 뒤, 화소 전극(710)을 형성한다(도 11 참조). 도 11에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게이트 전극이 반도체층 상에 있는 탑 게이트(Top Gate)구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도체층 및 소스, 드레인 전극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있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제조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각종 절연막과 반도체층, 각종 전극은 다양한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뿐만 아니라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대해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의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버퍼층(120)은 질화규소(SiNx)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SiNx)와 산화 규소(SiO2)가 적층된 이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불순물 또는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층(120) 위에는 반도체층(135)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35)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반도체층(135)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은 연마 공정을 거쳐 돌기가 제거되어 있을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은 표면이 편평한 단면을 갖는 그레인(grain)을 가지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1nm 미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연마 공정을 거쳐 제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돌기의 높이가 최소화되므로, 반도체층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도체층(135)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질화 규소 및 산화 규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단층 또는 복수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80nm미만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 전극(12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5)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질화 규소 또는 산화 규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60)과 게이트 절연막(140)에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각각 노출하는 소스 접촉 구멍과 드레인 접촉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6)과 소스 접촉 구멍을 통해서 소스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177)은 소스 전극(176)과 마주하고 드레인 전극(177)은 드레인 접촉 구멍을 통해서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7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 전극(71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710)은 보호막(18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서 드레인 전극(17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이하,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배치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XⅣ-XⅣ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스캔 신호(또는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스캔선(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스캔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T1),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T2),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선(121)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d)를 흘린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또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연결 관계는 바뀔 수 있다.
그러면 도 12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도 12와 함께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의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버퍼층(120)은 질화규소(SiNx)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SiNx)와 산화 규소(SiO2)가 적층된 이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불순물 또는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층(120) 위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35a, 135b)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은 연마 공정을 거쳐 돌기가 제거되어 있을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은 표면이 편평한 단면을 갖는 그레인(grain)을 가지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1nm 미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연마 공정을 거쳐 제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돌기의 높이가 최소화되므로, 반도체층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은 각각 채널 영역(1355)과 채널 영역(135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으로 구분된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의 채널 영역(1355)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즉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의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은 도전성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즉 불순물 반도체(impurity semiconductor)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및 구동 반도체층(135b)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질화 규소 및 산화 규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단층 또는 복수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80nm미만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스캔선(121), 구동 게이트 전극(125b) 및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이 형성되어 있다. 스캔선(12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스캔 신호를 전달하며, 스캔선(12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35a)으로 돌출한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을 포함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25b)은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35b)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5b)은 각각 채널 영역(1355)과 중첩한다.
스캔선(121), 구동 게이트 전극(125b) 및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은 게이트 절연막(140)과 마찬가지로 질화 규소 또는 산화 규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60)과 게이트 절연막(140)에는 소스 영역(1356)과 드레인 영역(1357)을 각각 노출하는 소스 접촉 구멍(61)과 드레인 접촉 구멍(62)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의 일부를 노출하는 스토리지 접촉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스위칭 소스 전극(176a)을 가지는 데이터선(171), 구동 소스 전극(176b) 및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을 가지는 구동 전압선(172),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연결되는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게이트선(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다.
스위칭 소스 전극(176a)은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35a)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구동 소스 전극(176b)은 구동 전압선(172)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35b)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스위칭 소스 전극(176a)과 구동 소스 전극(176b)은 각각 소스 접촉 구멍(61)을 통해서 소스 영역(1356)과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은 스위칭 소스 전극(176a)과 마주하고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은 구동 소스 전극(176b)과 마주하며,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은 각각 드레인 접촉 구멍(62)을 통해서 드레인 영역(1357)과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은 연장되어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63)을 통해서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은 구동 전압선(172)에서 돌출하여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중첩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은 층간 절연막(160)을 유전체로 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이룬다.
스위칭 반도체층(135a), 스위칭 게이트 전극(125a), 스위칭 소스 전극(176a)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1)를 이루고, 구동 반도체층(135b), 구동 게이트 전극(125b), 구동 소스 전극(176b)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은 구동 트랜지스터(T2)를 이룬다.
스위칭 소스 전극(176a), 구동 소스 전극(176b), 스위칭 드레인 전극(177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b)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제1 전극인 화소 전극(7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 전극(71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710)은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접촉 구멍(181)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구동 드레인 전극(17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70)의 애노드 전극이 된다.
보호막(180) 및 화소 전극(710)의 가장자리부 위에는 화소 정의막(35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화소 전극(710)을 노출하는 개구부(351)를 가진다. 보호막(180)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또는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와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의 개구부(351)에는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 정공 수송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인 화소 전극(710)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 및 유기 발광층(720) 위에는 제2 전극인 공통 전극(730)이 형성된다. 공통 전극(73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73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70)의 캐소드 전극이 된다. 화소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공통 전극(73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70)를 이룬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유기 발광 장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효과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도 16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SEM 이미지이다. 도 17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 15를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표면은 돌기가 제거되어 있고 표면이 편평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6을 보면,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의 돌기(131)가 제거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 표면이 편평하지 않고 돌기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암점, 약명점 등의 불량을 발생시킨다. 또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지 않고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7을 보면, 다결정 실리콘 박막(130b)이 편평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게이트 절연막(140)도 돌기가 생길 수 있으며 그 두께도 더 두꺼워 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약 140nm 정도의 두께를 갖거나 적어도 100nm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는데 이는 적층 구조의 불합리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에도 영향을 미친다. 도 18을 보면 비교예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는 왼쪽의 빨간색 그래프이며 평균 9nm 정도이다. 도 18을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는 오른쪽의 파란색 그래프이며 평균1nm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경우 돌기로 인한 암점, 약명점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 감소로 적층 구조의 불합리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730mm x 920mm 기판 에서 다결정 실리콘 잔막 두께 산포가 3.5 nm에서 돌기 제거 후 1.6 nm로 개선된다.
도 19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19의 빨간색 그래프가 돌기 미제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실험결과 이며, 파란색 그래프가 돌기가 제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돌기가 제거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은 돌기가 제거되지 않은 비교예에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종래보다 절반 수준으로 낮게 형성하여 전류량 증가 등의 이점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0은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산란특성(Haze)을 실험한 결과이다.
돌기가 제거된 박막의 경우는 돌기에 의한 산란이 기존 돌기가 있는 박막에 비해 도 20과 같이 1/5 수준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돌기에 의한 줄무늬 등 모니터링을 방해하는 노이즈를 없앨 수 있어 높은 수율의 공정 확보가 가능하다.
비정질 실리콘을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 후 광학 현미경(optical microscope)을 통한 검사를 하는데,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검사 시 돌기에 의한 줄무늬로 인하여 입자(particle) 검출력이 1μm 크기에 불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경우 입자(Particle) 검출 오류 이미지 제거 및 오류 이미지 선별을 위한 공수 제거가 가능하며, 검출력을 0.4μm이하 크기로 불량 검출을 위한 감도 향상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소자간 특성 산포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돌기 제거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의 캡(cap)의 면적산포가 개선되며 이로 인해 특성 산포 개선되기 때문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의 롱 레인지(Long range) 특성 산포가 개선되어 화질 및 점등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고해상도로 갈수록 PR(photo resist)의 감도가 높아지는 것이 불가피한데, 감도가 높아지면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돌기에 의한 회절에 의해 PR 잔사가 생기며 이로 인해 브릿지(bridge) 불량과 돌기 잔사 불량이 발생한다. 그러나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돌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고해상도 모델에 반드시 필요한 고감도 PR 사용에 따른 이슈 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10: 기판 120: 버퍼층
130a: 비정질 실리콘 박막 130b: 다결정 실리콘 박막
135: 반도체층 140: 게이트 절연막
125: 게이트 전극 160: 층간 절연막
176: 소스 전극 177: 드레인 전극
180: 보호막 350: 화소 정의막
710: 화소 전극 720: 유기 발광층
730: 공통 전극

Claims (13)

  1. 비정질 실리콘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레이저 빔을 상기 비정질 실리콘 박막에 조사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제1 정반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에 슬러리(slurry)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반 및 상기 제1 정반과 마주보는 제2 정반을 회전 시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 상에 형성된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제1 정반에서 탈착하는 단계,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을 친수성 상태로 바꾸어 주는 친수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친수 처리 단계는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에 계면 활성제(surfactant)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슬러리의 입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반 및 상기 제2 정반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사용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돌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의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1nm 미만이 될 때까지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약 80nm미만의 두께로 형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1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과 중첩하는 게이트전극,
    상기 반도체층과 중첩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약 1nm 미만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1. 제10항에서,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약 80nm미만의 두께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12.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을 덮고 있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고 있는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
    상기 스위칭 게이트 전극 및 구동 게이트 전극을 덮고 있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스 전극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반도체층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 소스 전극 및 구동 드레인 전극,
    상기 구동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반도체층 및 구동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결정 실리콘 박막의 표면은 거칠기 실효치(RMS roughness)가 약 1nm 미만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약 80nm미만의 두께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163052A 2015-11-20 2015-11-20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248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052A KR102487959B1 (ko) 2015-11-20 2015-11-20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052A KR102487959B1 (ko) 2015-11-20 2015-11-20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502A true KR20170059502A (ko) 2017-05-31
KR102487959B1 KR102487959B1 (ko) 2023-01-12

Family

ID=5905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052A KR102487959B1 (ko) 2015-11-20 2015-11-20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9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247A (ko) * 2018-03-08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US11164919B2 (en) 2018-11-19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20077261A1 (en) * 2020-09-08 2022-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17458B2 (en) 2019-12-04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4251A (ja) * 2000-03-30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21211A (ko) * 2004-09-02 2006-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14880A (ko) * 2006-05-30 2007-1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폴리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이용한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2008226935A (ja) * 2007-03-09 2008-09-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65391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4251A (ja) * 2000-03-30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21211A (ko) * 2004-09-02 2006-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14880A (ko) * 2006-05-30 2007-1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폴리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이용한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2008226935A (ja) * 2007-03-09 2008-09-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65391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247A (ko) * 2018-03-08 2019-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US11164919B2 (en) 2018-11-19 2021-11-02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817458B2 (en) 2019-12-04 2023-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20220077261A1 (en) * 2020-09-08 2022-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715739B2 (en) * 2020-09-08 2023-08-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959B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65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0037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329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0352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N102082164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754453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KR102179973B1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431641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KR10248795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US1004386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21815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5007374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6312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polishing capping layer coplanar with active layer
US963407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84184B2 (ja)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US92997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259807C (zh) 光发射器以及其制造方法
US9484556B2 (en) Method of repai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9299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47695B1 (ko)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200238A1 (en)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thin film transistor
KR101560228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3175913A1 (ja) 有機el装置及び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KR101201719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TW201413978A (zh) 形成多晶矽膜之方法、包含多晶矽膜之薄膜電晶體及包含多晶矽膜之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