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436A - 전기 연결 부품 - Google Patents
전기 연결 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9436A KR20170059436A KR1020177001287A KR20177001287A KR20170059436A KR 20170059436 A KR20170059436 A KR 20170059436A KR 1020177001287 A KR1020177001287 A KR 1020177001287A KR 20177001287 A KR20177001287 A KR 20177001287A KR 20170059436 A KR20170059436 A KR 201700594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loy
- nickel
- copper
- iron
- electrical connec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구리-아연 합금을 함유한 전기 연결 부품. 상기 구리-아연 합금은 (중량 퍼센트로) 28.0 내지 36.0%의 Zn, 0.5 내지 1.5%의 Si, 1.5 내지 2.5%의 Mn, 0.2 내지 1.0%의 Ni, 0.5 내지 1.5%의 Al, 0.1 내지 1.0%의 Fe, 선택적으로 또한 최대 0.1% 이하의 Pb, 선택적으로 또한 최대 0.1% 이하의 P, 선택적으로 최대 0.08% 이하의 S, 나머지 Cu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에는 철, 니켈과 망간을 함유한 혼합 규화물이 혼입되어 있다. 구조는 5 내지 45 부피 퍼센트의 ß상 및 20 부피 퍼센트 이하의 철, 니켈과 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의 혼입물을 함유한 α 기지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는 철, 니켈과 망간을 함유하고 줄기 형상을 가진 혼합 규화물 및 철과 니켈이 풍부하고 구형 형상을 가진 혼합 규화물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리-아연 합금을 함유한 전기 연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안전성, 편의성과 효율을 위한 수많은 새로운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기능과 부품을 의도한 대로 사용할 때에만 구현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이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에 대해 높아진 요건 때문에 최근에는 고성능 구리 합금에 대한 동향이 주시되고 있다. 석출 경화 구리 재료는 높은 기계적 강도, 높은 전도도와 양호한 변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1세대 Cu-HP 합금, 예를 들면 약 20 MS/m가 넘는 전기전도도를 가진 CuNi3SiMg로부터 시작해서 높은 강도와 높은 전도도의 특성 조합을 더욱 최적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하나의 단계는 예를 들면 46 MS/m와 강도가 610 MPa에 이르는 CuCrAgFeTiSi계 석출 경화 구리 합금의 개발이었다. 상기 합금의 실질적인 또 다른 장점은 200℃ 이하의 고온에서 사용할 때 재료의 완화 내성(relaxation resistance)이 매우 양호하다는 것이다. 상기 합금 유형의 용도에는 자동차, 산업용 전자장치와 통신 분야가 포함된다.
또한 입도가 최대 3 ㎛인 미세한 조직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도와 함께 성형특성이 크게 개선된다. 크게 개선된 성형성으로 인해 작업자는 좁은 곡률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선된 굴곡성을 통해 표준 청동을 사용할 때보다 성형 구간에서 조도를 실질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작은 층 두께로 추후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추가 가공시 상당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기전도도는 표준 청동과 동일하게 대략 7.5 내지 12 MS/m이다.
Ni-Co 혼합 규화물을 가진 또 다른 석출 경화 CuNi1CoSi 합금도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를 경제적으로 소형화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상기 재료는 고강도이면서 29 MS/m의 비교적 좋은 전기 및 열전도도를 갖고 있으며 가공성이 좋다.
상술한 재료들은 특히 천공/굴곡 자동화 장치에서 가공하는데 적합하지만 큰 비용을 들여야만 절삭가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용으로 절삭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부싱과 핀에 대해 탁월하게 적합한 로드와 와이어 형태의 다른 구리 재료들은 선반가공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에 있어서 까다로운 요구가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합금인 CuZn37PbO.5, CuZn35Pb1. CuZn35Pb2, CuZn37Pb2, CuZn36Pb3과 CuZn39Pb3과 함께 비용 효율적인 황동 재료의 재료 목록에 또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기술적 요구에 따라 높은 전기전도도, 높은 기계적 강도와 이들 특성을 모두 가진 재료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CuPblP 또한 절삭가공이 더욱 양호하면서 동시에 대략 50 MS/m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진 자동화 생산 재료이다. CuPblP는 특히 플러그 커넥터와 그외 다른 전기적 용도로 적합하다.
혼합 결정 경화 합금 이외에 다른 합금으로는 석출 경화 재료들이 있다. 여기에는 예를 들면 더 높은 강도, 적어도 32 MS/m의 더 좋은 전기전도도와 양호한 절삭가공성을 가진 저합금 구리 재료인 CuNi1Pb1P와 CuNiPbO.5P가 포함된다. 상기 재료는 Pb 함량에 의해 특히 전자기술과 전자장치에서 절삭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플러그 접촉 부품용으로 적합하다.
각각 4%의 주석, 아연과 납 함량을 가진 다성분 아연 청동 CuSn4Zn4Pb4P에 의해서도 적절한 탄성 특성과 함께 높은 강도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주석 청동은 냉간성형성이 좋고 절삭가공성이 탁월할 수 있다. 특별한 응용분야로는 탄성 전기 접촉 부품이 있다.
한편 합금 개발시 다양한 환경 지침과 물질 제한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플러그 커넥터에 적합한 특성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또는 보조적 합금에 대한 추가 개발 잠재력 또한 있다. 이때 물리적 특성 외에도, 특히 양호한 가공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저연 또는 무연 구리 합금으로 구성된 전기 연결 부품을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속항들에는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와 추가 실시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는 구리-아연 합금을 함유한 전기 연결 부품을 구성하기 위한 기술적 개시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구리-아연 합금은 (중량%로):
28.0 내지 36.0%의 Zn,
0.5 내지 1.5%의 Si,
1.5 내지 2.5%의 Mn,
0.2 내지 1.0%의 Ni,
0.5 내지 1.5%의 Al,
0.1 내지 1.0%의 Fe,
선택적으로 또한 최대 0.1% 이하의 Pb,
선택적으로 또한 최대 0.1% 이하의 P,
선택적으로 또한 0.08% 이하의 S,
나머지 Cu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에는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이 혼입되어 있다. 구조는 5 내지 45 vol%의 ß상 및 20 vol% 이하의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의 혼입물이 함유된 α 기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는 또한 줄기 형상을 가진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과 철-니켈이 풍부하고 구형 형상을 가진 혼합 규화물이 존재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조성은 전기 연결 부품용으로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출원인의 독일공개공보 DE 10 2007 029 991 A1에 따른 이러한 유형의 합금의 용도는 지금까지 연소기관, 변속기 또는 유압장치의 윤활 부품용으로만 제공되었다. 상기 공개공보의 내용은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용도들은 특수한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특성 조합의 또 다른 목적을 추구한다. 상기 구조의 강도, 내열성과 복합적인 내마모성 증가와 동시에 충분한 인성 특성으로 이루어진 특성 조합은 엔진 용도로 고려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특히 연속 또는 반연속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이 혼입된 구리-아연 합금을 이용하여 전기 연결 부품을 제공하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상기 구리-아연 합금은 혼합 규화물 형성과 구조 형성에 의해 재료 집합체에 비해 매우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상기 합금은 또한 인장 시험시 파괴 연신값에 의해 표시되는 연성이 어느 정도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도와 강도값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 조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요지는 예를 들면 경우에 따라 나사 결합부를 가진 선반 가공된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장치, 전기 단자와 같은 전기 연결 부품용으로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증명되었다.
상기 합금을 주조하기 전의 제조단계에서는 먼저 철- 및 니켈이 풍부한 혼합 규화물을 조기에 석출시킨다. 상기 석출물은 추가로 성장할 때 종종 줄기 형상을 가진 상당한 크기의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로 성장한다. 또한 기지 내 미세하게 분포되어 존재하는 상당량은 구형 형상으로 다소 작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상기 미세하게 분포된 규화물은 ß상을 안정화시키는 토대로서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합금은 냉간성형시 높은 연성을 갖는다. 이는 전기 연결 부품에서 통상적으로 재료를 크게 소성 변형시키는 크림핑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재료 내 균열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거의 모든 성형 중에 재료를 크림핑, 스퀴징 또는 폴딩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또한 절삭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전기 연결 부품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양호한 절삭가공성은 5 vol%의 ß상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45 vol% 이하의 높은 ß상 함량까지 바람직한 짧은 칩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삭 공정시 칩 형성이 개선된다. 5 vol% 미만의 ß상의 함량에 의하면 높은 절삭가공 속도에 비해 자동화 생산 재료로서 사용에 있어서 절삭가공성이 더 이상 만족스럽지 않다. ß상의 함량이 45 vol%를 넘으면 재료의 인성과 구조의 내열성이 악화된다. 각각의 제조 공정에서 합금의 최종 상태는 ß상이 α 기지로 구성된 구조에 섬(island) 모양으로 혼입되어 있다. ß상으로 구성된 이러한 섬 모양은 합금의 절삭가공성과 내부식성을 위해 특히 유리하다.
절삭가공된 표면의 특히 높은 표면 품질은 10 내지 25 vol%의 ß상 함량에 의해서 달성된다. 5 내지 45 vol%의 ß상의 부피 구간에서는 공구 마모가 비교적 작게 나타나 공구는 그에 따른 긴 수명을 갖게 되므로 공구 비용이 감소한다.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의 함량이 20 vol%가 넘으면 경도가 크게 증가하여 상기 재료는 유리한 특성의 조합에 있어서 균형이 깨진다.
특히 놀라운 것은 상기 재료의 완화 내성에 의해 전기 연결 부품의 탄성이 유지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특별한 장점은 구조의 강도, 내열성과 전기전도도의 증가 형태로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특성 조합과 이와 동시에 충분한 인성 특성에 기인한다.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 있는 재료는 납 성분이 치환되어 있는 통상적인 합금을 환경 친화적인 무연 합금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추가로 고려한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재료는 경도와 강도에 대한 높은 요건에도 어느 정도 가소성을 필요로 하는 특수한 용도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리-아연 합금은
30.0 내지 36.0%의 Zn,
0.6 내지 1.1%의 Si,
1.5 내지 2.2%의 Mn,
0.2 내지 0.7%의 Ni,
0.5 내지 1.0%의 Al,
0.3 내지 0.5%의 Fe를 함유한다.
함량을 좀 더 좁게 한정하면 특히 유리한 합금 조성이 선택된다. 이를 통해 인성 특성과 전기전도도가 경우에 따라 최종 응력제거 어닐링에 의해 훨씬 더 향상된다. 최종 응력제거 어닐링은 300℃ 내지 400℃에서 3 내지 4시간에 걸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구리-아연 합금은 33.5 내지 36.0%의 Zn을 함유할 수 있다. 높은 아연 함량에서도 전기 연결 부품에 필요한 인성 특성과 양호한 전기전도도가 구현될 수 있다. 매우 높은 아연 함량에 의해 다른 원소들의 함량, 특히 구리 함량이 줄어든다. 그 결과, 상기 합금은 저렴한 아연의 함량이 더 높아져 그만큼 금속 가격은 줄어들게 된다.
상기 합금의 전기전도도는 적어도 5.8 MS/m인 것이 유리하다. 적어도 10 MS/m 내지는 13 MS/m을 넘는 전도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값은 예를 들면 유연 황동과 같은 비슷한 재료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다. 더욱이 13 MS/m이 넘는 값은 적절한 추가 가공 단계를 통해서 나타날 수 있다.
5 내지 45 vol%의 ß상과 20 vol% 이하의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의 혼입물이 함유되어 있는 α 기지로 구성된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열간성형 및/또는 냉간성형과 경우에 따라 추가 어닐링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가공에 따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α 기지 내 서로 다른 크기 분포의 ß 혼입물과 경화상에 의해 상기 합금은 연결 부품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인성 특성을 가진 구조의 유리한 내열성이 확보된다.
추가 가공을 위해 상기 합금은 추가 가공시 다음 단계를 거친다:
- 600 내지 800℃의 온도 범위에서 압출 또는 열간압연,
- 바람직하게는 인발 또는 냉간압연에 의한 적어도 1회의 냉간성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합금은 추가 가공시 다음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 600 내지 800℃의 온도 범위에서 압출 또는 열간압연,
- 바람직하게는 인발 또는 냉간압연에 의한 적어도 1회의 냉간성형과 250 내지 700℃의 온도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5시간의 어닐링 시간에 의한 적어도 1회 어닐링의 조합. 인발에 의한 냉간성형과 250 내지 700℃의 온도범위에서 원형 와이어, 구조화된 와이어, 원형 로드, 구조화된 로드, 중공 로드와 튜브 형상으로 출발물질을 1회 이상 어닐링하는 조합에 의하면 불균질한 구조의 미세 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전기전도도에 대한 요구를 맞춰준다.
또한 ß상의 함량 수준과 분포 및 구조의 내열성 간 상관관계가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구리-아연 합금에서 면심 입방 결정형태는 필수적으로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ß 함량을 최소화하는 것은 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 결과에 의하면 압출 또는 열간압연/인발 또는 냉간압연/중간 어닐링은 상 분포에서 구리-아연 합금의 구조를 변형시켜 상기 구조는 높은 강도 이외에도 추가로 충분한 내열성, 연성과 양호한 전기전도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추가 가공시 성형 후 250 내지 450℃의 온도범위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의 어닐링 시간 동안 적어도 1회의 응력제거 어닐링이 이어질 수 있다.
제조 중에 1회 이상의 응력제거 어닐링에 의해 고유 응력의 수준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고유 응력의 감소는 또한 구조의 충분한 내열성을 보장하고 전기 연결 부품의 전구물로서 원형 와이어, 구조화된 와이어, 원형 로드, 구조화된 로드, 중공 로드와 튜브의 충분한 직선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하다.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시험에 따라 가장 좋은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로부터 벗어난 다른 실시형태들도 본 발명의 장점을 달성하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아연 합금의 주조 볼트를 연속 주조 또는 주형 주조에 의해 제조하였다. 합금 1의 연속 주조물과 합금 2와 3의 주형 주조물의 화학 조성은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Cu [%] |
Zn [%] |
Si [%] |
Mn [%] |
Ni [%] |
Sn [%] |
Al [%] |
Fe [%] |
|
합금 1 | 64.0 | 31.1 | 1.0 | 2.0 | 0.6 | <0.01 | 0.9 | 0.4 |
합금 2 | 64.0 | 30.8 | 1.1 | 2.1 | 0.6 | - | 0.9 | 0.5 |
합금 3 | 61.6 | 34.8 | 0.7 | 1.7 | 0.3 | - | 0.5 | 0.4 |
표 1: 있을 수 있는 불순물을 표시하지 않은 주조 볼트 또는 주조 블록의 화학조성(중량%)
제조 순서 1:
· 합금 1의 주조 볼트를 670-770℃의 온도에서 튜브로 압출
· 냉간성형/중간 어닐링(630-700℃/50분-3시간)/정렬/응력제거 어닐링(300-400℃/3시간)의 조합
연속 제조 후 동일 수준에서 치수(30.1×24.7) mm를 가진 튜브의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표 2에 수치로 나타내었다.
β 함량 [%] |
입도 [㎛] |
전기전도도 [MS/m] |
Rm [MPa] |
Rp0 .2 [MPa] |
파단변형률 A5 [%] |
경도 HB |
5 | 15-20 | 11.4 | 640 | 560 | 14.5 | 201 |
15-20 | 20-25 | 11.2 | 647 | 572 | 13.2 | 199 |
표 2: 최종 상태의 튜브의 2개의 위치에서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합금 1)
제조 순서 2:
· 합금 1의 주조 볼트를 650-750℃의 온도에서 원형 와이어로 압출
· 냉간성형/어닐링(630-720℃/50분-4시간)/정렬/응력제거 어닐링(350-450℃/2-4시간)의 조합
연속 제조 후 동일 수준에서 직경이 13.40 mm, 16.35 mm와 45.50 mm인 원형 로드의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표 3에 수치로 나타내었다.
원형 로드 φ[mm] |
β 함량 [%] |
입도 [㎛] |
전기전도도 [MS/m] |
Rm [MPa] |
Rp0 .2 [MPa] |
파단변형률 A5 [%] |
경도 HB |
13.40 | 5 | 20-25 | 11.4 | 607 | 512 | 12.4 | 191 |
16.35 | 15-20 | 25 | 10.9 | 638 | 549 | 12.0 | 199 |
45.50 | 10-15 | 25 | 10.7 | 570 | 420 | 20.1 | 172 |
표 3: 최종 상태의 원형 로드의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합금 1)
제조 순서 3:
· 합금 2와 3으로 구성된 주조 블록을 650-730℃의 온도에서 압연판으로 열간압연
· 15 내지 25%의 성형과 경우에 따라 응력제거 어닐링(300-450℃/2-4시간)과 함께 상기 판의 냉간압연
각각의 공정 단계 사이에 경우에 따라서 추가로 표면 밀링
합금 | β 함량 [%] |
입도 [㎛] |
전기전도도 [MS/m] |
Rm [MPa] |
Rp0 .2 [MPa] |
파단변형률 A5 [%] |
경도 HB |
합금 2 (ESG 없음) |
14 | 15-20 | 8.9 | 608 | 540 | 7.8 | 188 |
합금 2 (ESG 340℃/3시간) |
13 | 15-20 | 10.5 | 646 | 543 | 15.6 | 192 |
합금 2 (ESG 400℃/3시간) |
13 | 15-20 | 10.7 | 615 | 483 | 19.0 | 184 |
합금 3 (ESG 없음) |
20 | 20-25 | 11.0 | 596 | 516 | 11.3 | 178 |
합금 3 (ESG 340℃/3시간) |
18 | 20-25 | 12.7 | 593 | 464 | 18.6 | 176 |
합금 3 (ESG 400℃/3시간) |
18 | 20-25 | 12.7 | 580 | 428 | 21.6 | 170 |
표 4: 최종 상태의 압연판(압연판 두께 3 mm, 경우에 따라 최종 공정 단계로서 응력제거 어닐링 ESG)의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
제조 순서 4:
· 합금 2와 3으로 구성된 주조 블록을 650-730℃의 온도에서 압연판으로 열간압연
· 15 내지 25%의 성형과 경우에 따라 응력제거 어닐링(300-450℃/2-4시간)과 함께 상기 판의 어닐링(650℃/3h)과 냉간압연의 조합
각각의 공정 단계 사이에 경우에 따라서 추가로 표면 밀링
합금 | β 함량 [%] |
입도 [㎛] |
전기전도도 [MS/m] |
Rm [MPa] |
Rp0 .2 [MPa] |
파단변형률 A5 [%] |
경도 HB |
합금 2 (ESG 없음) |
10 | 10-15 | 9.3 | 573 | 510 | 11.8 | 180 |
합금 2 (ESG 340℃/3시간) |
10 | 10-15 | 10.6 | 587 | 470 | 19.4 | 176 |
합금 2 (ESG 400℃/3시간) |
10 | 10-15 | 10.6 | 583 | 452 | 20.0 | 174 |
합금 3 (ESG 없음) |
15 | 20-25 | 10.5 | 555 | 482 | 13.5 | 172 |
합금 3 (ESG 340℃/3시간) |
15 | 20-25 | 12.7 | 553 | 422 | 21.0 | 166 |
합금 3 (ESG 400℃/3시간) |
15 | 20-25 | 12.7 | 544 | 403 | 19.5 | 162 |
표 5: 최종 상태의 압연판(압연판 두께 3 mm, 경우에 따라 최종 공정 단계로서 응력제거 어닐링 ESG)의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
제조 순서 5:
· 합금 2와 3으로 구성된 주조 블록을 650-730℃의 온도에서 압연판으로 열간압연
· 15 내지 65%의 성형/어닐링(630-720℃/50분-4시간)과 함께 상기 판의 냉간압연의 조합
각각의 공정 단계 사이에 경우에 따라서 추가로 표면 밀링
합금 | β 함량 [%] |
입도 [㎛] |
전기전도도 [MS/m] |
Rm [MPa] |
Rp0 .2 [MPa] |
파단변형률 A5 [%] |
경도 HB |
|
합금 2 | 10 | 10-15 | 9.1 | 558 | 484 | 17.6 | 171 | |
합금 3 | 15 | 15-20 | 10.2 | 556 | 471 | 18.9 | 167 |
표 6: 최종 상태의 압연판(압연판 두께 2.3 mm, 응력제거 어닐링 ESG 없음)의 구조 특성값, 전기전도도와 기계적 특성
특히 전기전도도에 대한 특성값은 제조 순서 5에 따라 제조한 합금 2와 3의 판의 경우에 2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추가 실시한 응력제거 어닐링에 의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5개의 모든 제조 순서에서 ß 함량이 5-20%인 것이 중요하다. 다른 시험을 통해 ß 함량이 5-30%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조의 최종 상태에서 α 기지로 구성된 구조에 혼입된 ß상이 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외관이 다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ß상의 함량이 조금 증가시 특별한 경우에는 α 기지의 결정입자에 대해 가셋트를 채운(gusset-filling)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다소 서로 고립된 섬이 나타난다.
Claims (10)
- (중량%로):
28.0 내지 36.0%의 Zn,
0.5 내지 1.5%의 Si,
1.5 내지 2.5%의 Mn,
0.2 내지 1.0%의 Ni,
0.5 내지 1.5%의 Al,
0.1 내지 1.0%의 Fe,
선택적으로 또한 최대 0.1% 이하의 Pb,
선택적으로 또한 최대 0.1% 이하의 P,
선택적으로 또한 0.08% 이하의 S,
나머지 Cu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구리-아연 합금을 함유한 전기 연결 부품으로서,
- 기지에는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이 혼입되어 있고,
- 구조가 5 내지 45 vol%의 ß상과 20 vol% 이하의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의 혼입물이 함유된 α 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 상기 구조에는 줄기 형상을 가진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과 철-니켈이 풍부하고 구형 형상을 가진 혼합 규화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1항에 있어서,
30.0 내지 36.0%의 Zn,
0.6 내지 1.1%의 Si,
1.5 내지 2.2%의 Mn,
0.2 내지 0.7%의 Ni,
0.5 내지 1.0%의 Al,
0.3 내지 0.5%의 Fe를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2항에 있어서, 33.5 내지 36.0%의 Zn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의 전기전도도가 적어도 5.8 M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의 전기전도도가 적어도 10 M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의 전기전도도가 적어도 13 M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리-아연 합금으로 구성된 전기 연결 부품으로서, 상기 혼입물 내 5 내지 45 vol%의 ß상과 20 vol% 이하의 철-니켈-망간 함유 혼합 규화물의 혼입물이 함유되어 있는 α 기지로 구성된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열간성형 및/또는 냉간성형과 경우에 따라 추가 어닐링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가공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제7항에 따른 구리-아연 합금으로 구성된 전기 연결 부품으로서, 상기 합금이 추가 가공시 다음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600 내지 800℃의 온도 범위에서 압출 또는 열간압연,
- 적어도 1회의 냉간성형. - 제7항에 따른 구리-아연 합금으로 구성된 전기 연결 부품으로서, 상기 합금이 추가 가공시 다음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 600 내지 800℃의 온도 범위에서 압출 또는 열간압연,
- 적어도 1회의 냉간성형과 250 내지 700℃의 온도 범위에서 적어도 1회의 어닐링의 조합. -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구리-아연 합금으로 구성된 전기 연결 부품으로서, 추가 가공시 성형 후 250 내지 450℃의 온도범위에서 적어도 1회의 응력제거 어닐링이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4014239.6 | 2014-09-25 | ||
DE102014014239.6A DE102014014239B4 (de) | 2014-09-25 | 2014-09-25 |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
PCT/EP2015/001759 WO2016045770A1 (de) | 2014-09-25 | 2015-08-29 |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436A true KR20170059436A (ko) | 2017-05-30 |
Family
ID=5401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1287A KR20170059436A (ko) | 2014-09-25 | 2015-08-29 | 전기 연결 부품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204501A1 (ko) |
EP (1) | EP3198048B1 (ko) |
JP (1) | JP6514318B2 (ko) |
KR (1) | KR20170059436A (ko) |
CN (1) | CN106715731A (ko) |
DE (1) | DE102014014239B4 (ko) |
PL (1) | PL3198048T3 (ko) |
TW (1) | TWI651422B (ko) |
WO (1) | WO201604577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58402B1 (en) * | 2017-05-17 | 2023-04-05 | Infineon Technologies AG |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onic module and electronic assembly |
DE202018104958U1 (de) | 2018-08-30 | 2018-09-12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Steckverbinder mit Komponenten aus verbessertem Material |
DE202020101700U1 (de) * | 2020-03-30 | 2021-07-01 | Otto Fuchs - Kommanditgesellschaft - | Pb-freie Cu-Zn-Legierung |
DE102021118907A1 (de) * | 2021-07-21 | 2023-01-26 | Diehl Brass Solutions Stiftung & Co. Kg | Bleifreie Messinglegierung und Verwendung derselben |
CN113981268B (zh) * | 2021-10-29 | 2022-10-21 | 宁波金田铜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黄铜线材的制备方法 |
DE102022122831A1 (de) | 2022-09-08 | 2024-03-14 | Diehl Brass Solutions Stiftung & Co. Kg | Bleifreie Messinglegierung und daraus hergestelltes Maschinenelement |
DE102022122830A1 (de) | 2022-09-08 | 2024-03-14 | Diehl Brass Solutions Stiftung & Co. Kg | Bleifreie Messinglegierung und daraus hergestelltes Lagerbauteil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105441C (ko) * | 1959-06-03 | |||
IT241782Y1 (it) * | 1996-07-18 | 2001-05-17 | Trafimet Spa | Attacco per cavi di saldatura con incorporato un connettore per ilcollegamento al cavo di alimentazione elettrica. |
US6471792B1 (en) | 1998-11-16 | 2002-10-29 | Olin Corporation | Stress relaxation resistant brass |
JP4123459B2 (ja) * | 2000-06-12 | 2008-07-23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チャンファー部がすぐれた疲労強度を有する銅合金製熱間型鍛造シンクロナイザーリング |
CN1225564C (zh) * | 2003-03-14 | 2005-11-02 | 宁波博威集团有限公司 | 高锌锡锰铬黄铜合金及其线材制造工艺 |
CH693948A5 (fr) * | 2003-03-21 | 2004-05-14 | Swissmetal Boillat Sa | Alliage à base de cuivre. |
AU2003257936A1 (en) * | 2003-07-29 | 2005-03-07 | Gator Loc, Llc | Cable terminal and cable assembly |
JP4660735B2 (ja) | 2004-07-01 | 2011-03-30 |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 銅基合金板材の製造方法 |
JP4834592B2 (ja) * | 2007-03-29 | 2011-12-14 | 株式会社東芝 | 三次元映像表示装置 |
PL2806044T3 (pl) * | 2007-06-28 | 2018-03-30 | Wieland-Werke Ag | Stop miedzi i cynku, sposób jego wytwarzania i zastosowanie |
DE102007063643B4 (de) * | 2007-06-28 | 2012-07-26 | Wieland-Werke Ag | Kupfer-Zink-Legier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
CN103589903B (zh) * | 2013-08-16 | 2016-04-20 | 武汉泛洲中越合金有限公司 | 一种高强度耐磨铜合金及其制造方法 |
-
2014
- 2014-09-25 DE DE102014014239.6A patent/DE102014014239B4/de active Active
-
2015
- 2015-08-17 TW TW104126718A patent/TWI651422B/zh active
- 2015-08-29 WO PCT/EP2015/001759 patent/WO2016045770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29 US US15/326,788 patent/US201702045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8-29 EP EP15756842.9A patent/EP3198048B1/de active Active
- 2015-08-29 CN CN201580045155.XA patent/CN106715731A/zh active Pending
- 2015-08-29 PL PL15756842T patent/PL3198048T3/pl unknown
- 2015-08-29 JP JP2017504661A patent/JP6514318B2/ja active Active
- 2015-08-29 KR KR1020177001287A patent/KR201700594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98048B1 (de) | 2020-02-26 |
DE102014014239B4 (de) | 2024-04-11 |
PL3198048T3 (pl) | 2020-07-13 |
TW201617460A (zh) | 2016-05-16 |
US20170204501A1 (en) | 2017-07-20 |
DE102014014239A1 (de) | 2016-03-31 |
JP2017532436A (ja) | 2017-11-02 |
WO2016045770A1 (de) | 2016-03-31 |
EP3198048A1 (de) | 2017-08-02 |
CN106715731A (zh) | 2017-05-24 |
JP6514318B2 (ja) | 2019-05-15 |
TWI651422B (zh) | 2019-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59436A (ko) | 전기 연결 부품 | |
JP5260992B2 (ja) |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1997920B1 (en) | Copper alloy for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s | |
CN106460099B (zh) | 铜合金板材、由铜合金板材构成的连接器和铜合金板材的制造方法 | |
US20020127133A1 (en) | Copper alloy material for parts of electronic and electric machinery and tools | |
KR100535737B1 (ko) |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동합금과 그 제조방법 및그것을 사용한 단자ㆍ커넥터 | |
JP2009062610A (ja) | Cu−Zn−Sn系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コネクタ | |
KR20120085343A (ko) | 고강도 고도전 구리봉 선재 | |
MXPA06011498A (es) | Aleacion basada en cobre maquinable y metodo de produccion. | |
CA2710311A1 (en) | Copper-nickel-silicon alloys | |
KR101803797B1 (ko) | 내금형 마모성 및 전단가공성이 양호한 Cu-Ni-Si계 구리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 |
JP5243744B2 (ja) | コネクタ端子 | |
WO2005083137A1 (en) | Copper alloy | |
KR101627696B1 (ko) |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용 동합금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7374904B2 (ja) | 銅-亜鉛合金 | |
JP4350049B2 (ja) | 耐応力緩和特性に優れた銅合金板の製造方法 | |
JP4714943B2 (ja) | 析出硬化型銅合金条の製造方法 | |
KR101875806B1 (ko) | 자동차 및 전자부품용 구리-티타늄계 동합금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동합금재 | |
KR20160043674A (ko) | 고강도, 고내열성, 고내식성 및 우수한 굽힘가공성을 가진 자동차 커넥터용 동합금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JP4831969B2 (ja) | 黄銅材料の製造法および黄銅材料 | |
RU2772516C2 (ru) | Медно-цинковый сплав | |
KR101769535B1 (ko) | Cu-Mg-P 합금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Cu-Mg-P 합금 소재 | |
CN113637868B (zh) | 一种可铆接及切削加工的铜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WO2019131034A1 (ja) | 端子金具 | |
KR20100129778A (ko) | 전기전자기기용 동합금 재료 및 전기전자부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