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253A -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253A
KR20170059253A KR1020150163374A KR20150163374A KR20170059253A KR 20170059253 A KR20170059253 A KR 20170059253A KR 1020150163374 A KR1020150163374 A KR 1020150163374A KR 20150163374 A KR20150163374 A KR 20150163374A KR 20170059253 A KR20170059253 A KR 2017005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yol
urethane resin
producing
dispersible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626B1 (ko
Inventor
조수영
홍승민
정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5016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626B1/ko
Priority to CN201611016762.6A priority patent/CN107011496B/zh
Publication of KR2017005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61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 C08G18/0866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the dispersing or dispersed phase being an aqueous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1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 C08G18/0823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rboxylate salt groups or group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37Poly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5Polyamine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4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08G18/348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92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 제조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폐 유기 용제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수용성 도료에 적용시 내수성, 내칩핑성 및 외관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a solvent-free type, water-dispersed urethane resin an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sin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 제조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폐 유기 용제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수용성 도료에 적용시 내수성, 내칩핑성 및 외관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폴리우레탄의 코팅은 유기 용제가 포함된 폴리우레탄의 용액으로부터 제조되어 왔는데, 용제형 폴리우레탄은 코팅 후 경화시에 유기 용제가 대기 중으로 증발하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위험한 공기 오염물을 배출한다. 유기 용제는 고가라는 점에서도 경제적으로 불리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유기 용제가 대기의 오염을 가져오고, 또한 제품을 취급하는 사람에 대해서 건강상의 위험을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유럽이나 국내에서는 사용되는 유기 용제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었다.
그 결과, 종래의 용제형 제품에 대한 대체물로서 수분산 폴리우레탄 제품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이하 NMP라 칭함) 용제 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디메틸올프로피오닉산(dimethylolpropionic acid, 이하 DMPA라 칭함)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고, 중화제로 중화시킨 후 수분산하는 공정을 통해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한국특허출원 제10-2006-0044117호 등). 그러나, 이 방법에서도 역시 NMP와 같은 유기 용제를 다량 사용하기 때문에 대량의 폐 유기 용제를 발생시키고, 그로 인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럽이나 국내에서의 규제 대상 용제인 NMP 대신 아세톤을 사용하여 수지를 합성한 뒤, 다시 아세톤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용제가 포함되지 않은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폐 아세톤의 발생 및 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정이 추가로 발생되어 공정 시간의 증가라는 단점을 지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제조시 NMP나 아세톤과 같은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폐 유기 용제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수용성 도료에 적용시 내수성, 내칩핑성 및 외관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1) 무용제 하에서 폴리올 성분을 3급 아민으로 중화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중화된 폴리올 성분을 4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우레탄 반응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반응 결과 혼합물을 수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도료 조성물(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상도 도료 조성물)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NMP나 아세톤을 사용하는 기존의 무용제형 수분산 우레탄 수지 제조방법들과 달리 폐 유기 용제를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 오염 및 작업자의 건강에 대한 위험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NMP나 아세톤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기존 제품과 동등한 또는 그 이상 수준의 물성을 나타내어 수용성 도료에 적용시 내수성, 내칩핑성 및 외관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1) 무용제 하에서 폴리올 성분을 3급 아민으로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우레탄 반응 후, 그 결과물을 아민으로 중화시킨 경우에는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고온(80~100℃)에서 우레탄 반응이 이루어져 수분산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무용제 하에서 폴리올 성분을 3급 아민으로 선(先)중화 시키는 경우, 우레탄 반응시간 및 반응온도를 낮춤으로써 수분산이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그림과 같이, 우레탄 반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R-O-H(폴리올)에서 H가 잘 떨어져야 비공유쌍인 O:- 가 생성되고, 비공유쌍인 O:-가 NCO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만들어진다. H가 잘 떨어지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3급 아민(예컨대, 1~4%)으로 폴리올을 중화시키고, 이 3급 아민의 사용으로 저온(40~60℃)에서도 우레탄 반응이 가능해진다. 즉,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 성분을 과량(예컨대, 1~4%)의 3급아민으로 중화하고, 이를 촉매로 사용하여 저온(40~60℃)에서도 우레탄 반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는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올과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로는, 디하이드록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유기산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하이드록시프로피오닉산, 디메틸올프로피오닉산, 디메틸올아세틱산, 디메틸올부티릭산, 디하이드록시벤조익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예컨대, 프탈릭산, 이소프탈릭산, 테레프탈릭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산, 헥사하이드로프탈릭산, 아디픽산, 퓨마릭산, 말레익산, 트리멜리틱산, 말릭산, 아코니틱산, 다이머산 등) 또는 그 무수물과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올(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선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 내지 6000일 수 있고, 수산기가는 20 내지 280 mgKOH/g일 수 있으며, 산가는 3 mgKOH/g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중 상기 (1)단계에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의 양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 100중량%를 기준으로, 50 내지 90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85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 성분으로서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총 폴리올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 100중량%를 기준으로,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은 1 내지 1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또는 이들의 조합은 50 내지 8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수분산 사이트가 줄어들어 분산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수지의 입자가 너무 작아져 동일 조건에서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수지의 분자량이 작아져 건조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수지의 분자량이 커지고 점도가 높아져 수분산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의 제(1)단계에서 폴리올 성분을 선(先)중화시키기 위한 3급 아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에틸디메틸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3급 아민 촉매는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고, 저온반응으로 인해 수분산시 점도를 낮추어 수분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중 상기 (1)단계에서 사용되는 3급 아민의 양은,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4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중량%일 수 있다. 3급 아민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수분산 안정성이 나오지 않아 요구하는 물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지나치게 많으면 부반응이 발생하여 수지 분자량 및 수지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는, 반응기 내에 폴리올 성분(예컨대,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과 3급 아민을 투입하고 80~100℃로 승온시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2)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중화된 폴리올 성분을 4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우레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는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디메틸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메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사이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2-사이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올리고머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6,6-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황변형이거나 입체장애가 없는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6,6-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중 상기 (2)단계에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양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 100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잔존하는 NCO%가 줄어 들어 분자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최종 NCO%가 높아져 부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중 상기 (2)단계에서 우레탄 반응 시간은 4 시간 내지 1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내지 7 시간이다. 우레탄 반응시간이 4시간 미만이면 반응이 충분치 않을 수 있고, 10시간을 초과하면 반응 결과물의 점도가 높아져 이후의 수분산 공정시 수분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중 상기 (2)단계에서 우레탄 반응 온도는 4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된다. 우레탄 반응 온도가 40℃ 미만이면 반응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고, 60℃를 초과하면 발열이 심할 수 있으며 부반응의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우레탄 반응은 반응 결과물의 NCO%가 규격을 만족할 때까지, 예컨대, 2.1 내지 2.4%로 될 때까지 유지되며, 이 규격이 만족되면 냉각하여 반응을 종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2)단계는, (1)단계의 결과 중화된 폴리올 성분을 40℃로 냉각한 후 이소시아네이트를 발열에 주의하면서 적가하고, 발열이 멈추면 주반응 온도(예컨대, 50~55℃)로 승온하여 NCO%가 규격을 만족할 때까지 반응을 유지하다가, 규격이 만족되면 40℃ 이하로 냉각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3) 상기 (2) 단계의 반응 결과 혼합물을 수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3)단계에서는 사슬연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사슬연장제로는, 예컨대, 에틸렌 아민, 에틸렌디아민, 1,4-디아미노부탄, 1,6-헥산디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사슬연장제는, 앞서 사용된 폴리올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 100중량%를 기준으로, 0.5 내지 30중량%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25중량%일 수 있다. 사슬연장제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수지의 분자량이 원하는 수준보다 작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지나치게 많으면 점도가 증가하고 잔존 아민으로 인해 도료내에서 불순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중 상기 (3)단계의 수분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온도에서 고속교반(예컨대, 35~45rpm)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3)단계는, (2)단계 완료 후 반응 결과 혼합물의 교반속도를 고속(예컨대, 35~45rpm)으로 조정한 후, 반응기 내 온도를 관리하면서 물을 균일하게 첨가하고, 사슬연장제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mgKOH/g,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mgKOH/g일 수 있고, 불휘발분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중량%일 수 있으며, 수분산된 입자의 평균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상도 도료 조성물)은,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도료 조성물 내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함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예컨대, 1 내지 2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5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추가의 수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수지 성분으로는, 예컨대, 코어/쉘 마이크로 겔 에멀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예컨대, 10 내지 5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경화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 성분으로는, 예컨대, 이미노기를 함유하는 멜라민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예컨대, 1 내지 1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촉매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 성분으로는 산 촉매, 예컨대, 도데실벤젠술폰산 타입 산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예컨대, 0.1 내지 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3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조용제, 습윤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증점제, 중화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 성분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용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n-프로필알콜 등을, 상기 습윤제로는 아세틸렌 알코올형 습윤제를,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상기 안료로는 알루미늄 페이스트 등의 금속 안료를, 상기 증점제로는 알칼리 용해 증점제를, 상기 중화제로는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등의 아민계 중화제를, 각각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안료의 경우 10 내지 4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5중량%일 수 있고, 나머지 첨가제 성분들은 각각 0.1 내지 10중량%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은 증류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예컨대, 10 내지 4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수용성 도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260g, 디메틸올프로피오닉에시드 12g 및 트리에틸아민 7g을 반응 용기에 넣고, 별도의 용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100℃로 승온하여 용해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40℃로 냉각시키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8g를 서서히 투입한 후, 50℃까지 승온하여 NCO 2.4%로 유지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우레탄 반응시간: 270분)하였다. 이온교환수 570g을 25~35℃의 상태에서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상기 프리폴리머를 20분에 걸쳐 투입하여 수분산체를 형성시켰다. 그 후 이온교환수 58g과 에틸렌 아민 5g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쇄연장 시켜서, 산가 20mgKOH/g, 고형분 35%, 입자사이즈 80nm, 점도 50cps의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260g, 디메틸올프로피오닉에시드 12g 및 N-메틸피롤리돈 70g을 반응 용기에 넣고 65℃로 승온하였다. 여기에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8g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이후 85℃까지 승온하여 NCO 2.4%로 유지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우레탄 반응시간: 270분)하였다. 이온교환수 520g 및 트리에틸아민 7g를 혼합하고 25~35℃의 상태에서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상기 프리폴리머를 20분에 걸쳐 투입하여 수분산체를 형성시켰다. 그 후 이온교환수 58g과 에틸렌 아민 5g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쇄연장 시켜서, 산가 20mgKOH/g, 고형분 35%, 입자사이즈 80nm, 점도 60cps의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260g, 디메틸올프로피오닉에시드 12g 및 트리에틸아민 7g을 반응 용기에 넣고 100℃로 승온하여 용해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40℃로 냉각시키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8g을 서서히 투입한 후, 70℃까지 승온하여 NCO 2.4%로 유지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이온교환수 570g 25~35℃의 상태에서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상기 프리폴리머를 20분에 걸쳐 투입하여 수분산체를 형성시켰다. 그 후 이온교환수 58g과 에틸렌 아민 5g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쇄연장 시켜서, 산가 20mgKOH/g, 고형분 35%, 입자사이즈 300nm, 점도 300cps의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도료 조성물 제조예 : 실시예 2 및 비교예 3~4
하기 표 1에 나타낸 순서대로 성분들을 혼합하면서 최종점도를 포오드컵#4로 55초에 맞추어 자동차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자동차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로 베이스코트를 전착면 위에 벨 도장한 후(건조도막두께: 10~20마이크론), 80℃에서 3분간 핫 에어를 불어주어 도료 내에 잔존하는 물을 증발시켰다. 그 위에 상도 투명 도료를 도장하고, 일반 오븐에서 140∼150℃로 20∼30분간 경화시켜 최종 도막을 형성시켰다. 최종 도막의 외관 및 물성들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평가 방법 및 기준]
- 도장작업성: 도료의 토출시 분무상태 양호하며, 소지에 젖음성이 좋을 것
- 도막외관: 자동차 외관 측정기인 Wave Scan DOI(BYK Gardner)를 적용하여 최종 CF value 측정(높을수록 유리함). 그 측정결과는 ◎-우수(CF 65이상), ○-양호(CF 60∼65), △-보통(CF 55∼60), ×-불량(CF 55미만)으로 나타냄
- 광택: 20도 광택 90 이상일 것
- 오버베이킹 재도장부착성: 150℃에서 20분간 최종도막 경화 후, 150℃에서 60분간 오버베이킹한 다음, 상도 도료와 투명상도 도료를 재도장 및 경화시킨 후 부착성 테스트를 실시함 (2㎜ 크로스컷 100개 제작 후 스카치 테잎을 사용하여 떼어낸 후 문제없을시 “양호”로 판단, 칼날의 크로스컷팅 부위에서도 떨어지는 것이 없을 때 “우수”로 판단)
- 내충격성: 500g의 추를 사용하여 30cm 이상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도막에 균열 및 박리가 없을 것
- 내수성: 40℃ 항온조에 완성된 도막을 10일간 침적 후 부착시험 및 변색평가
- 칠흐름성: 전착, 중도를 도장한 시편을 수직으로 걸어놓고 상도를 각 조건에서 도장한 후 경화시킨 후 관찰했을 때 도료의 흐름이나 광택저하 등이 없을 것
- 내한칩핑성: -20℃에서 3시간 방치 후 50g 칩핑 스톤을 사용하여 4bar의 압력으로 50g의 칩핑 스톤을 밀어내어 도막 표면을 가격시키는 방법을 사용(1mm 이하 크기의 손상이 10개 이하일 때 “우수” 판정, 1∼2mm 크기의 손상이 10개 이하일 때 “양호” 판정, 2∼3mm 크기의 손상이 10개 이하일 때 “보통” 판정)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실시예 1)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실시예 2)가,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기존의 수지(비교예 1)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비교예 3)와 비교하여 우수한 도막외관과, 부착성, 내수성, 내한칩핑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및 작업성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1) 무용제 하에서 폴리올 성분을 3급 아민으로 중화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중화된 폴리올 성분을 4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우레탄 반응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반응 결과 혼합물을 수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합계 100중량%를 기준으로, (1)단계에서 사용되는 3급 아민의 양이 1 내지 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단계에서 우레탄 반응 시간이 4 시간 내지 10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이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카르복시기를 가진 폴리올이 디하이드록시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과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올과의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이고, 폴리에테르폴리올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3급 아민이 트리에틸아민, 에틸디메틸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20150163374A 2015-11-20 2015-11-20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180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74A KR101806626B1 (ko) 2015-11-20 2015-11-20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CN201611016762.6A CN107011496B (zh) 2015-11-20 2016-11-18 无溶剂型水分散性氨基甲酸酯树脂的制备方法及包含由此制备的树脂的水溶性涂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374A KR101806626B1 (ko) 2015-11-20 2015-11-20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253A true KR20170059253A (ko) 2017-05-30
KR101806626B1 KR101806626B1 (ko) 2017-12-07

Family

ID=5905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374A KR101806626B1 (ko) 2015-11-20 2015-11-20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6626B1 (ko)
CN (1) CN107011496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8340A (en) 1993-03-10 1996-04-16 R. E. Hart Labs, Inc. Water-based, solvent-free or low voc, two-component polyurethane coatings
US5907012A (en) * 1996-04-08 1999-05-25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Water-based polyurethane-urea laminating adhesives and primers
JP2007269832A (ja) * 2006-03-30 2007-10-18 Arakawa Chem Ind Co Ltd ポリウレタン樹脂水分散液の製造方法
KR101124471B1 (ko) 2009-08-28 2012-03-16 대륭기업 주식회사 무용제형 수성 폴리우레탄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용제형 수성 폴리우레탄 에멀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11496A (zh) 2017-08-04
CN107011496B (zh) 2021-05-04
KR101806626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522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красочной системы
CN107814902B (zh) 一种含羟基的聚氨酯水分散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059586B1 (ko) 다층 코팅을 플라스틱 기판 상에 제조하는 방법
JP2013515096A (ja) 水性塗料組成物
KR20100019442A (ko) 산성화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분산액
KR101780076B1 (ko) 폴리우레탄 분산액, 그의 제조 방법, 코팅된 용품 및 용품의 코팅 방법
JP2010248326A (ja) 水性中塗り塗料組成物
EP2121801A1 (en) Water-dispersible, air-drying uralkyd resins
EP2426158B1 (en) A coating composition
KR101732918B1 (ko) 자동차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
TWI500715B (zh) 衍生自三級烷基縮水甘油酯之水性聚胺基甲酸酯分散液
WO2014093991A1 (en) Reaction products containing hydroxyalkylterephthala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07308587A (ja) 艶消し塗料用樹脂組成物及び艶消し塗料
JP6732014B2 (ja) マルチコートコーティングの製造方法
TWI570182B (zh) Polyamide ester resin aqueous dispersion and plastic film primer
KR101806626B1 (ko) 무용제형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20050069730A (ko) 자동차 플라스틱 내장재 코팅용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료조성물
CN112062923B (zh) 一种指甲油用水性聚氨酯-脲分散体及其制备方法
KR20170023104A (ko) 폴리우레탄 에어로졸 조성물, 용품, 및 관련 방법
TWI564343B (zh) An aqueous dispersion of a polyurethane resin and a coating agent for a plastic film using the same
CN108070318A (zh) 一种具有自修复型水性汽车涂料的制备方法及应用
EP2424915B1 (en) Aut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
JP2002194044A (ja) ポリウレタン樹脂水分散液の製造方法
KR102245709B1 (ko) 수용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HU214788B (hu) Legalább egy, hidroxilcsoport-tartalmú poliésztert tartalmazó bevonószer,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valamint alapozó lakként történő alkalmazása és eljárás többrétegű védő- és/vagy díszítő bevonat előállításá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