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608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608A
KR20170058608A KR1020150162399A KR20150162399A KR20170058608A KR 20170058608 A KR20170058608 A KR 20170058608A KR 1020150162399 A KR1020150162399 A KR 1020150162399A KR 20150162399 A KR20150162399 A KR 20150162399A KR 20170058608 A KR20170058608 A KR 20170058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arabolic reflector
light
reflection unit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608A/ko
Publication of KR2017005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00
    • F21S48/1317
    • F21S48/234
    • F21S48/3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21W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히트 싱크,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후방을 향해 빛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히트 싱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하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 유닛,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 유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3 반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로 조명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에는 로우빔, 하이빔, 턴 시그널, 포지션 램프들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DRL(daytime running light)이 추가되는 경향이다. 그리고,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램프에는, 미등, 브레이크, 후진등, 턴 시그널 램프들이 설치된다.
최근 차량용 램프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LED는 기존의 벌브(bulb) 타입의 광원에 비해 긴 수명, 낮은 전력 소비, 수은 등의 유해물질 미함유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다만, LED는 점등 시에 발생하는 열로 인해 열화되며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의 열화를 최소화하며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히트 싱크,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후방을 향해 빛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히트 싱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하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 유닛,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 유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3 반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사 유닛은, 상기 광원을 초점으로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 유닛은,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입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락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사 유닛은,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 및 상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입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3 파락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히트 싱크를 전면에 노출하여 광원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광원의 열화를 최소화하여 광원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히트 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히트 싱크와 광원 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반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반사 유닛을 구성하는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의 설계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히트 싱크(110), 제1 반사 유닛(120), 제2 반사 유닛(130), 제3 반사 유닛(140) 및 광원 유닛(150, 도 3 참고)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히트 싱크(110)가 중앙부 전방으로 노출되고, 제1 반사 유닛(120)은 히트 싱크(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 반사 유닛(130)은 제1 반사 유닛(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3 반사 유닛(140)은 제1 반사 유닛(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광원 유닛(150)은 히트 싱크(110)와 제1 반사 유닛(120) 사이에 구비되어 히트 싱크(110)의 후방으로 빛을 출사한다(도 6 참고). 광원 유닛(150)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1 반사 유닛(120), 제2 반사 유닛(130) 및 제3 반사 유닛(140)에 의해 반사되어 히트 싱크(110)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히트 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히트 싱크와 광원 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10)는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 부재(11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히트 싱크(110)는 베이스부(111)로부터 3개의 방열 부재(112)가 연장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방열 부재(112)는 수 개 내지 수십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10)의 베이스부(111)에는 광원 유닛(150)이 구비된다. 광원 유닛(150)은 빛을 출사하는 광원(152)을 포함한다. 광원(152)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 광원 유닛(150)은 반도체 발광 소자인 광원(152)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유닛(150)은 베이스부(111)의 이면(후방면)에 설치되며,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히트 싱크(110)의 후방을 향해 출사되도록 설치된다.
광원(152)이 점등됨에 따라 광원(152) 및 회로 기판(151)에서 발생하는 열은 히트 싱크(110)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1 반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반사 유닛을 구성하는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의 설계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 유닛(120)은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를 포함한다.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는 광원(152)을 초점으로 공유하는 서로 다른 타원면을 반사면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L) 상에 존재하는 제1 초점(F1)과 제2 초점(F2)을 갖는 제1 타원(E1)과, 제1 타원(E1)과 장축(L) 및 제1 초점(F1)을 공유하며 장축(L) 상에 존재하는 제1 초점(F1)과 제2 초점(F3)을 갖는 제2 타원(E2)이 존재한다.
제1 타원(E1)과 제2 타원(E2)은 제1 초점(F1)을 공유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점에서 교차하게 된다.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 및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의 반사면은 제1 타원(E1)과 제2 타원(E2)의 교차점으로부터 상하로 각 타원(E1, E2)을 따라 일정 높이만큼 연장된 실선 부분이 장축(L)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형성되는 곡면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초점(F1)에는 광원(152)이 위치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 부분은 제1 타원(E1)의 단축(S1)과 제2 타원(E2)의 단축(S2)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에서 반사되어 상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과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에서 반사되어 하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이 각각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타원(E1)과 제2 타원(E2)이 초점 간의 거리가 동일하고, 각 타원(E1, E2)이 타원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각 타원(E1, E2)의 초점까지의 거리의 합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는 상하 대칭의 형상을 갖게 된다.
이 경우,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의 경계와 광원(152)을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는 광원(152)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고).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 유닛(130)은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와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를 포함한다.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는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대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물면으로 형성된 반사면을 포함하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의 반사면은 광원(15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는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대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물면으로 형성된 반사면을 포함하며,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의 반사면은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의 제2 초점(F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반사 유닛(140)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와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를 포함한다.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는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의 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대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물면으로 형성된 반사면을 포함하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의 반사면은 광원(15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는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의 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대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포물면으로 형성된 반사면을 포함하며,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의 반사면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의 제2 초점(F3)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 유닛(130)과 제3 반사 유닛(140)은 제1 반사 유닛(120)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는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와 상하 대칭의 형상을 갖고,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는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와 상하 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은 히트 싱크(110)의 후방으로 출사된 후, 제1 반사 유닛(120), 제2 반사 유닛(130) 및 제3 반사 유닛(140) 중 적어 도 하나에 의해 반사되어 히트 싱크(110)의 전방으로 출사된다.
구체적으로,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 중 일부(L1)는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후,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다.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의 반사면은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의 제2 초점(F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므로, 제1 타원형 리플렉터(121)와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132)에서 순차적으로 반사된 빛(L1)은 대략 전방을 향해 직진하게 된다.
또한,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 중 다른 일부(L4)는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반사된 후,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된다.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의 반사면은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의 제2 초점(F3)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므로, 제2 타원형 리플렉터(122)와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142)에서 순차적으로 반사된 빛(L4)은 대략 전방을 향해 직진하게 된다.
또한,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 중 다른 일부(L2)는 제1 반사 유닛(12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의 반사면은 광원(15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므로, 광원(152)으로부터 직접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131)로 입사된 빛(L2)은 대략 전방을 향해 직진하게 된다.
또한,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 L3, L4) 중 다른 일부(L3)는 제1 반사 유닛(12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로 입사될 수 있다.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의 반사면은 광원(152)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과 대응되므로, 광원(152)으로부터 직접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141)로 입사된 빛(L3)은 대략 전방을 향해 직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히트 싱크(110)가 전면에 노출되므로, 히트 싱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비해, 광원(152) 등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보다 쉽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52)의 열화에 의해 광원(152)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광원(152)으로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열화에 의한 수명 단축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에 의해 반도체 발광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히트 싱크(110)를 차량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도록 배치한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히트 싱크(110)를 전면 중앙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빛이 히트 싱크(110)의 상하로 출사되도록 하여 히트 싱크(110)를 램프의 디자인적 요소로 사용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용 램프 110: 히트 싱크
111: 베이스부 112: 방열부재
120: 제1 반사 유닛 121: 제1 타원형 리플렉터
122: 제2 타원형 리플렉터 130: 제2 반사 유닛
131: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 132: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
140: 제3 반사 유닛 141: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
142: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 150: 광원 유닛
151: 회로 기판 152: 광원
E1: 제1 타원 E2: 제2 타원
F1: 제1 초점 F2: 제1 타원의 제2 초점
F3: 제2 타원의 제2 초점 L: 장축
S1: 제1 타원의 단축 S2: 제2 타원의 단축

Claims (11)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히트 싱크;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후방을 향해 빛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히트 싱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하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 유닛;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2 반사 유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및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3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유닛은,
    상기 광원을 초점으로 공유하는 적어도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유닛은,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1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입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락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 유닛은,
    상기 제1 반사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 및
    상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3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입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락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을 초점으로 하는 포물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라볼릭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1 반사 유닛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반사된 빛을 전방을 향해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62399A 2015-11-19 2015-11-19 차량용 램프 KR20170058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99A KR20170058608A (ko) 2015-11-19 2015-11-1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99A KR20170058608A (ko) 2015-11-19 2015-11-1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608A true KR20170058608A (ko) 2017-05-29

Family

ID=5905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99A KR20170058608A (ko) 2015-11-19 2015-11-1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575U (ja) 照明構造
US9340147B2 (en) Vehicle lamp
US10260694B2 (en) Headlight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9447941B2 (en) Lamp for vehicle
CN106051572B (zh) 车用灯具
US9097400B2 (en) Automotive headlamp
KR10199461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JP2007324003A (ja) 車両用灯具
US10139067B2 (en) Laser car lamp
JP2013175391A (ja) 車両用前照灯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513407B1 (ko)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JP2019012623A (ja) 車両用灯具
JP6712204B2 (ja) 車両用灯具
JP2019032961A (ja) 車両用灯具
KR2015006814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465940B2 (ja) 照明構造とその配光方法
TW201247451A (en) Vehicle headlight having light divergence prevention structure
KR20170058608A (ko) 차량용 램프
JP5266607B2 (ja) 車両前照灯
JP2016170910A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を備える移動体
KR20170065296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402592B2 (ja) 車両用前照灯
CN216693396U (zh) 双光透镜车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