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602A -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602A
KR20170058602A KR1020150162382A KR20150162382A KR20170058602A KR 20170058602 A KR20170058602 A KR 20170058602A KR 1020150162382 A KR1020150162382 A KR 1020150162382A KR 20150162382 A KR20150162382 A KR 20150162382A KR 20170058602 A KR20170058602 A KR 2017005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pool
valve
gradually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863B1 (ko
Inventor
서문원
Original Assignee
서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원 filed Critical 서문원
Priority to KR102015016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8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86Braking, pressure equilibration, shock absor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와,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토출구를 갖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창작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내부의 스플이동로에 장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한 자기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스플몸체; 및 상기 스플몸체 하단에 구비되어, 개방시 상기 유체토출구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유입시키고, 폐쇄시 상기 유체토출구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키는 완충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Hydraulic pressure buffer solenoid valv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프링에 연결된 플런저와 전자석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유입관(4)과 유출관(5)을 갖는 밸브본체(1)의 상부 즉 유출구 반대측에 코어(6)가 고정되고 상기 코어(6)의 하부에는 볼(11)을 갖는 플런저(9)가 솔레노이드 코일(3)의 자화 및 스프링(1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된다. 유출구(12b)는 플런저(9)의 볼(11)에 의하여 택일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 상태와 개통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밸브의 차단시에는 솔레노이드 코일(3)에 전류를 공급하지 아니하여 전자석을 오프 상태로 한다. 그러면 플런저(9)에 연결된 스프링(10)에 의하여 플런저(9)가 플런저유출구(13) 측으로 이동되어 플런저의 볼(11)이 플런저유출구(13)를 차단하게 되어 밸브가 폐쇄된다.
밸브의 페쇄 상태는 밸브 본체(1) 내의 압력과 유출관(5) 내의 압력의 차이 및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한편, 밸브의 개통시에는 솔레노이드 코일(3)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자석을 온 상태로 함으로써 코어측으로 플런저(9)가 자기력에 의해 잡아당겨지게 되어 플런저유출구(13)가 개통되어 유입관(4)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 등이 유출관(5)으로 유출되어 밸브가 개통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석에 의해 유체의 유입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유출구를 받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닫히는 것이 아닌 짧은 시간에 한번에 닫히기 때문에, 이때 충격이 발생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주로 의료용 의자에 적용되어,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페달 등을 밟을 때, 특히, 폐달을 떼어 동작이 멈추면서 충격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는 단계에서, 개방시 서서히 유체가 유입되게하고, 폐쇄시 서서히 유체의 흐름을 감소시켜, 밸브 개폐에 따른 충격, 노이즈를 감소, 방지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1582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401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977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807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974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에 의해 스플이 스플유출로를 개폐하는 경우,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의 하단에 돌출부를 갖고, 이러한 돌출부에 점진적으로 하부측에 대해 폭이 증가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개방시 서서히 유체가 유입되게 하고, 폐쇄시 서서히 유체의 흐름을 감소시켜, 밸브 개폐에 따른 충격, 노이즈를 감소, 방지할 수 있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와,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토출구를 갖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창작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내부의 스플이동로에 장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한 자기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스플몸체; 및 상기 스플몸체 하단에 구비되어, 개방시 상기 유체토출구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유입시키고, 폐쇄시 상기 유체토출구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키는 완충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몸체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입된 유체를 브라켓 내부 측으로 유동시키는 스플 유입로와, 상기 유체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완충용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스플유출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용 밸브는, 상기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하단면에 상기 스플유출로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플유출로로 삽탈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관체의 측면에는 하부 점진적으로 폭이 증가되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플이동로를 형성하는 스플장착단과, 상기 스플이동로의 상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코어와, 상기 코어와 상기 스플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개방모드는, 밸브몸체의 유체유입구로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밸브몸체 내의 스플유입로를 통해 유체가 브라켓 내로 유입되는 단계; 전원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로 전압을 인가하여 자기력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자기력에 의해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가 개방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가 스플유출로로 유입되는 단계; 및 유체가 밸브몸체의 유체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폐쇄모드는,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압인가를 중단시키는 단계;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가 스플유출로를 점진적으로 폐쇄하면서 점진적으로 스플유출로로의 유입이 차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유출로로 유입되는 단계는, 상기 완충용 밸브의 하우징 하단면에 구비된 돌출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이 점진적으로 개방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가 스플유출로로 유입되고, 상기 스플유출로로의 유입이 차단되는 단계는, 상기 홈이 점진적으로 폐쇄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유량조절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에 의해 스플이 스플유출로를 개폐하는 경우,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의 하단에 돌출부를 갖고, 이러한 돌출부에 점진적으로 하부측에 대해 폭이 증가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개방시 서서히 유체가 유입되게 하고, 폐쇄시 서서히 유체의 흐름을 감소시켜, 밸브 개폐에 따른 충격, 노이즈를 감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의 폐쇄상태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2b는 종래 기술의 개통상태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에 완충용 밸브가 구비된 스플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밸브의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밸브의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밸브의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상태의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통과정에서의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통상태의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에 완충용 밸브(50)가 구비된 스플몸체(4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밸브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밸브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밸브몸체(20), 브라켓(30), 및 하단에 완충용 밸브(50)가 장착된 스플몸체(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20)는 일측단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21)와, 타측단에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토출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체유입구(21)와 연결되어 유체유입구(21)로 유입된 유체를 밸브몸체(20)의 상단에 결합되는 브라켓(30) 측으로 유입시키는 스플유입로(22)와,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플몸체(40)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50)에 의해 개폐되는 스플유출로(23)가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유체유입구(21)와, 유체토출구(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러한 유량조절수단(60)은 유량조절볼트로 구성될 수 있고, 유량조절볼트는 스플유출로(23)와 유체토출구(24)가 연결되어진 부분에 구비되어, 유량조절볼트의 위치 이동에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은, 밸브몸체(20)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32)이 창작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3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31)에 의해 스플이동로(34)를 형성하는 스플장착단(33)이 고정결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플장착단(33)의 내부공간인 스플이동로(34)의 상단에는 체결부재(31)에 의해 고정된 코어(35)가 구비되며, 스플이동로(34)의 하단으로는 스플몸체(40)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코어(35)와 스플몸체(40) 사이에는 탄성부재(41)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스플이동로(3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스플몸체(40)는 솔레노이드 코일(3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해 하단측으로 이동되어, 스플몸체(40)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50)에 의해 스플유출로(23)를 폐쇄하게 되고, 전원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코일(32)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자기력에 의해 스플몸체(40)가 상부측으로 이동되면서, 완충용 밸브(50)에 의해 스플유출로(23)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몸체(40)의 하단에는, 개방시 스플유출로(23)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유입시키고, 폐쇄시 스플유출로(23)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키는 완충용 밸브(50)를 포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용 밸브(50)는 스플몸체(4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51)과, 하우징(51) 하단면에 구비되는 돌출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2)는 스플유출로(23)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스플몸체(40)의 이동에 의해 스플유출로(23)로 삽탈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52)는 전체적으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관체의 측면에는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증가되는 복수의 홈(53)을 형성되어 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부(52)에 형성된 복수의 홈(53)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증가되는 형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폐쇄과정에서 완충용 밸브(50)가 하단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플유출로(23)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개방과정에서도, 완충용 밸브(50)가 상단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플유출로(23)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밸브 개폐에 따른 충격, 노이즈를 감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상태의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통과정에서의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통상태의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작동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폐쇄모드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3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5)와 스플몸체(40)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해 스플몸체(40)의 완충용 밸브(50)가 스플유출로(23)를 폐쇄하여(S1), 유체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스플유출로(23)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개방모드로 전환되게 되면(S2), 전원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32)로 전압을 인가하여 자기력이 생성되고(S3), 밸브몸체(20)의 유체유입구(21)로 유체가 유입되게되며(S4), 밸브몸체(20) 내의 스플유입로(22)를 통해 유체가 브라켓(30) 내로 유입되게 된다(S5);
그리고, 자기력에 의해 스플몸체(40)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50)가 개방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가 스플유출로(23)로 유입되게 된다(S6).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용 밸브(50)의 하우징(51) 하단면에 구비된 돌출부(52)에 형성된 복수의 홈(53)이 점진적으로 개방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가 스플유출로(23)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홈(5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측으로 점진적으로 그 폭이 감소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완충용 밸브(50)가 개방되면서, 먼저, 홈(53)의 상단측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고, 완충용 밸브(50)가 상부측으로 서서히 이동되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밸브 개방에 따른 충격, 노이즈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완충용 밸브(50)가 완전히 개방되어(S7),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밸브몸체(20)의 유체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개방모드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체유입구(21)와, 유체토출구(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유량조절수단(60)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폐쇄모드로 다시 전환되게 되면(S8), 솔레노이드 코일(32)로의 전압인가를 중단시키게 된다(S9).
솔레노이드 코일(32)로의 전압을 차단하게 되면, 탄성부재(41)의 탄성력에 의해 스플몸체(40)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50)가 스플유출로(23)를 점진적으로 폐쇄하면서 점진적으로 스플유출로(23)로의 유체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S10).
즉, 완충용 밸브(50)의 홈(53)이 점진적으로 폐쇄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 유입이 차단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홈(53)은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그 폭이 증가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고, 완충용 밸브(50)가 폐쇄되면서, 즉, 완충용 밸브(50)가 상부측으로 서서히 이동되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밸브 폐쇄에 따른 충격, 노이즈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밸브본체
3:솔레노이드 코일
4:유입관
5:유출관
6:코어
9:플런저
10:스프링
11:볼
12a:유입구
12b:유출구
13:플런저 유출구
20:밸브몸체
21:유체유입구
22:스플유입로
23:스플유출로
24:유체토출구
30:브라켓
31:체결부재
32:솔레노이드 코일
33:스플장착단
34:스플이동로
35:코어
40:스플몸체
41:탄성부재
50:완충용 밸브
51:하우징
52:돌출부
53:홈
60:유량조절수단
100: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9)

  1.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와,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토출구를 갖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일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솔레노이드 코일이 창작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내부의 스플이동로에 장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의한 자기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스플몸체; 및
    상기 스플몸체 하단에 구비되어, 개방시 상기 유체토출구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유입시키고, 폐쇄시 상기 유체토출구 측으로 유체를 점진적으로 폐쇄시키는 완충용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입된 유체를 브라켓 내부 측으로 유동시키는 스플 유입로와, 상기 유체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완충용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스플유출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밸브는,
    상기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하단면에 상기 스플유출로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플유출로로 삽탈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관체의 측면에는 하부 점진적으로 폭이 증가되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플이동로를 형성하는 스플장착단과, 상기 스플이동로의 상단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코어와, 상기 코어와 상기 스플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7.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개방모드는,
    밸브몸체의 유체유입구로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밸브몸체 내의 스플유입로를 통해 유체가 브라켓 내로 유입되는 단계;
    전원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로 전압을 인가하여 자기력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자기력에 의해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가 개방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가 스플유출로로 유입되는 단계; 및
    유체가 밸브몸체의 유체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폐쇄모드는,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압인가를 중단시키는 단계;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스플몸체의 하단에 결합된 완충용 밸브가 스플유출로를 점진적으로 폐쇄하면서 점진적으로 스플유출로로의 유입이 차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유출로로 유입되는 단계는,
    상기 완충용 밸브의 하우징 하단면에 구비된 돌출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이 점진적으로 개방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가 스플유출로로 유입되고,
    상기 스플유출로로의 유입이 차단되는 단계는,
    상기 홈이 점진적으로 폐쇄되면서, 점진적으로 유체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입구와, 상기 유체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유량조절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KR1020150162382A 2015-11-19 2015-11-19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KR10182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82A KR101821863B1 (ko) 2015-11-19 2015-11-19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82A KR101821863B1 (ko) 2015-11-19 2015-11-19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602A true KR20170058602A (ko) 2017-05-29
KR101821863B1 KR101821863B1 (ko) 2018-01-25

Family

ID=5905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82A KR101821863B1 (ko) 2015-11-19 2015-11-19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8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707A (ko) * 2018-03-07 2019-09-18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약액 제어 밸브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152177B1 (ko) * 2019-10-28 2020-09-04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유량제어밸브 및 이를 갖는 유량제어밸브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715A (ko) 2018-02-23 2019-09-02 양기선 공압 스위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707A (ko) * 2018-03-07 2019-09-18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약액 제어 밸브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152177B1 (ko) * 2019-10-28 2020-09-04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유량제어밸브 및 이를 갖는 유량제어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863B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230B2 (en) Solenoid valve
US9133954B2 (en) Electromagnetic linear valve
JP5732126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
KR101821863B1 (ko) 완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및 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방법
US9714634B2 (en) Electromagnetic valve for controlling an injector or for regulating pressure of a high-pressure fuel accumulator
JP2010532850A5 (ko)
JP5726506B2 (ja) 電動式パイロット型制御弁
JP2008501917A (ja) 電気的に作動可能なバルブ
WO2013186859A1 (ja) 常閉型電磁弁
US20150377378A1 (en) A magnetic valve with an armature arranged inside a piston
JP5874696B2 (ja) 燃料噴射弁
WO2013047418A1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KR10044784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5156703A (zh) 一种调节闸阀
KR100454034B1 (ko)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0057793A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TW201920857A (zh) 閥裝置
US20060081806A1 (en) Solenoid valve and a solenoid assembly
JPH0590057U (ja) ポペット弁
JP2000008989A (ja) 燃料噴射弁のための弁制御ユニット
RU204821U1 (ru) Бесшумный клапан с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катушкой
JP2005308090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4158038B2 (ja) 電磁弁
JPH0542292Y2 (ko)
JPH01193479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