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034B1 -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034B1
KR100454034B1 KR10-2001-0045617A KR20010045617A KR100454034B1 KR 100454034 B1 KR100454034 B1 KR 100454034B1 KR 20010045617 A KR20010045617 A KR 20010045617A KR 100454034 B1 KR100454034 B1 KR 10045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plunger
open solenoid
power
normally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0942A (ko
Inventor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0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1One-way valv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의 2차 안전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종래의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원리를 반대로 적용시킨 것으로서, 전자기코일(2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가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밸브 본체의 상부로 밀려 올라가 있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21)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금속성 플런저(11)가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로드(13) 및 패킹(16)이 다이어프램 챔버(18)의 유입공(17)을 차단하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종래의 밸브 기능을 반대로 응용한 것으로서 밸브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설치함으로써, 1차 밸브의 작동 오류를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Normal Open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되며 전원을 인가되면 폐쇄되는 작동을 하는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 사용되고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폐쇄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개방되는 상시 폐쇄형이 대부분이다. 즉, 정수기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정수 유로를 개방시키게 되지만 정전 등의 이유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유로를 차단시키는 1차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고 차단되고 하는 정수기의 특성상, 이러한 1차 차단밸브는 그 반복적인 작동으로 인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유로가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수탱크의 물이 넘쳐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전원 공급의 불안정으로 인한 오동작이나, 패킹의 마모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되고,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폐쇄되는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상기한 종래의 1차 차단밸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유로 차단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케이스(22)와 전자기코일(21)과, 상기 코일의 내부에 위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플런저 가이드(12)와, 선단에는 패킹(16)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금속성의 플런저(11)가 고정되는 플런저로드(13)와, 상기 플런저로드(13) 외주연에 감겨 상기 플런저(11)와 상기 플런저가이드(12)에 고정된 스토퍼(15) 사이에 삽설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지는 상시개방형 솔레노이드밸브(10)와, 고압을 컨트롤할 수 있는 공지의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시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3, 14: 스프링
11: 플런저 12: 플런저가이드
13: 플런저로드 15: 스토퍼
16: 패킹 17: 유입공
18: 다이어프램 챔버 19: 다이어프램 지지체
20: 다이어프램 판 21: 전자기코일
22: 케이스
A; 유입구 B: 유출구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로를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시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입구(A)와 유출구(B)를 갖는 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에 의하여 자기력을 생성하는 원통의 전자기코일(21)과, 상기 전자기코일(21)의 내부에 위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플런저 가이드(12)와, 선단에는 패킹(16)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금속성의 플런저(11)가 고정되는 플런저로드(13)와, 상기 플런저로드(13) 외주연에 감겨 상기 플런저(11)와 상기 플런저가이드(12)에 고정된 스토퍼(15) 사이에 삽설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구성요소의 외부에는 케이스(22)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에 체결되어서 구성된다.
도면부호 19는 다이어프램 판(20)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체이며, 도면부호 20은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 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즉, 전자기코일(2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가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밸브 본체의 상부로 밀려 올라가 있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21)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금속성 플런저(11)가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로드(13) 및 패킹(16)이 다이어프램 챔버(18)의 유입공(17)을 차단하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전자기코일(21)에 자기력이 형성되었을 때, 상기 플런저(11)가하방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런저(11)의 중심위치가 상기 전자기코일(21)의 중심위치 보다 높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종래의 1차 차단밸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유로 차단기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1차 밸브)는 전원이 인가(사용 개시)되면 유로가 개방되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로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 때 유로가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되므로, 누수 등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보다 정확하게 다시 한번 더 유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 밸브가 개방된 상태(정상 사용 중인 상태)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 즉 밸브가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정수기의 정상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원리를 반대의 개념에서 응용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되고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폐쇄되는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밸브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종래의 1차 차단밸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유로 차단기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입구(A)와 유출구(B)를 갖는 프레임(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에 의하여 자기력을 생성하는 원통의 전자기코일(21)과, 상기 전자기코일(21)의 내부에 위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플런저 가이드(12)와, 상기 전자기코일의 자기력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플런저(11)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1)는 비금속성의 플런저로드(13)의 상부 선단에 고정되되 상기 플런저(11)의 중심위치는 상기 전자기 코일의 중심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기 플런저로드(13)의 타단부 선단에는 패킹(16)이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로드(13) 외주연에 감겨 상기 플런저(11)와 상기 플런저가이드(12)에 고정된 스토퍼(15) 사이에 삽설되는 스프링(14)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구성요소의 외부에 형성되는 케이스(22)의 하부에는 다이어프램이 구비되어서 이루어져,
    전원이 상기 전자기코일(21)에 인가될 때에만 상기 플런저(11)가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플런저로드(13)의 패킹(16)이 다이어프램 챔버(18)의 유입공(17)을 차단하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01-0045617A 2001-07-27 2001-07-27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5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617A KR100454034B1 (ko) 2001-07-27 2001-07-27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617A KR100454034B1 (ko) 2001-07-27 2001-07-27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942A KR20030010942A (ko) 2003-02-06
KR100454034B1 true KR100454034B1 (ko) 2004-10-26

Family

ID=2771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617A KR100454034B1 (ko) 2001-07-27 2001-07-27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714A (ko)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엔비엘 소형 다이어프램 밸브
KR102212770B1 (ko) 2019-08-30 2021-02-05 주식회사 엔비엘 소형 다이어프램 래치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047B1 (ko) * 2002-04-11 2004-08-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100755338B1 (ko) * 2006-01-20 2007-09-04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석밸브
KR101132190B1 (ko) * 2010-05-12 2012-04-06 (주)포에스텍 직동식 개폐밸브
RU2457383C1 (ru) * 2010-12-17 2012-07-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компания "Промконтроллер" Клапан запорный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нормально открыты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1274A (ja) * 1982-12-27 1984-07-13 Taiheiyo Kogyo Kk 非通電時開型のパイロツト式電磁弁
US5088520A (en) * 1991-05-20 1992-02-18 South Bend Controls, Inc. Modular solenid valve
KR19990011665U (ko) * 1998-09-03 1999-03-25 양경모 취사용 압력솥의 다이아푸레임방식 상시 열림형 솔레노이드밸브
KR20000019297U (ko) * 1999-04-08 2000-11-06 유재원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압 조절장치
JP2001124229A (ja) * 1999-10-29 2001-05-11 Pacific Ind Co Ltd 電磁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1274A (ja) * 1982-12-27 1984-07-13 Taiheiyo Kogyo Kk 非通電時開型のパイロツト式電磁弁
US5088520A (en) * 1991-05-20 1992-02-18 South Bend Controls, Inc. Modular solenid valve
KR19990011665U (ko) * 1998-09-03 1999-03-25 양경모 취사용 압력솥의 다이아푸레임방식 상시 열림형 솔레노이드밸브
KR20000019297U (ko) * 1999-04-08 2000-11-06 유재원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압 조절장치
JP2001124229A (ja) * 1999-10-29 2001-05-11 Pacific Ind Co Ltd 電磁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714A (ko)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엔비엘 소형 다이어프램 밸브
KR102212770B1 (ko) 2019-08-30 2021-02-05 주식회사 엔비엘 소형 다이어프램 래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942A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731B1 (ko) 진공 압력 제어 장치
US6609698B1 (en) Ferromagnetic/fluid valve actuator
US4089348A (en) Reed valve
US2629401A (en) Magnetically controlled packless valve
US3784154A (en) Water valve diaphragm
US4099701A (en) Solenoid-controlled diaphragm valves
KR102629911B1 (ko) 전자기 밸브
KR100454034B1 (ko)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
US5950924A (en) Suck back valve
JPS6057081A (ja) 電磁弁
US4977923A (en) Pilot-controlled water pressure-operated diaphragm shut-off valve
US4225111A (en) Solenoid valve
KR100443047B1 (ko)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US20060278277A1 (en) Fluid pressure restricting valve
KR200245858Y1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압 조절장치
RU2319055C1 (ru) Клапан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с ручным дублером
KR100421638B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JP2005291411A (ja) 過流防止弁
CN109780220A (zh) 一种常开型直动式电磁阀
KR19990067962A (ko) 계량식 전자 펌프
KR20100083779A (ko) 배압대응형 밸브
KR20110003641U (ko) 차단 동작 소음 방지형 솔레노이드밸브
LU100577B1 (en) Pilot 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 with auxiliary piston
RU2772094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лапана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KR19990024652A (ko) 눈금이 있는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