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162A -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162A
KR20170058162A KR1020150162025A KR20150162025A KR20170058162A KR 20170058162 A KR20170058162 A KR 20170058162A KR 1020150162025 A KR1020150162025 A KR 1020150162025A KR 20150162025 A KR20150162025 A KR 20150162025A KR 20170058162 A KR20170058162 A KR 20170058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pressure
motor
dru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002B1 (ko
Inventor
노현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메디
노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메디, 노현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메디
Priority to KR102015016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0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5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e.g. vacuum cylinders, vein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시 석션압력을 감지하여 석션압력을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주사약물이 자동으로 신속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한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은, 내부에 약물이 충전되고 후방에 피스톤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전방에 결합되고 니들이 구비되는 석션캡과,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을 전후로 이동시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선형이송기구와, 석션관로를 통해 상기 석션캡에 연결되고 상기 석션캡 내의 석션압력을 발생시키는 석션모터와, 상기 석션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석션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석션관로에 분기연결되고 상기 석션모터의 작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석션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석션압력조절수단과, 전원 및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은, 전원스위치를 켜고 1차, 2차 및 3차 석션압을 포함한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석션모터를 작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석션캡을 시술부위에 밀착시켜 석션압력을 상기 1차 석션압까지 증가시켜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석션압력을 상기 2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킨 상태에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약물 주입시 석션압력에 의한 피부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4 단계와,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석션압력을 상기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켜 니들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약물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5 단계와, 설정된 시간지연 후 석션압력을 완전히 해제한 다음 석션캡을 상기 시술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SUCTION PRESSURE ADJUSTED TYPE AUTOMATIC INJECTION SYSTEM AND SUCTION PRESSURE ADJUSTING METHOD WHICHOF}
본 발명은 석션캡을 포함하는 니들을 구비하는 자동주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시 석션압력을 감지하여 석션압력을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주사약물이 자동으로 신속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한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조테라피(mesotherapy)란 1952년 프랑스 의사인 Dr. Pistor에 의해 개발된 치료 방법으로 현재 유럽과 남미 등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지고 있다. 치료 방법은 소량의 치료 약물을 특수한 주사 기구와 아주 가는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피부층과 피하층에 주사하는 것이다.
메조테라피 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은 대부분의 급·만성 통증과 부분 비만, 미용성형 분야로, 시술부위의 혈액 순환과 림프 순환을 증가시켜 여러 가지 통증과 부분 비만 그리고 피부주름을 제거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피부탄력을 증가하게 해 주며 그 효과가 즉각적이고 치료시 통증이 없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최근 들어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메조테라피 시술에 있어서 바늘의 굵기, 깊이, 각도, 주사량 및 시술부위에 따른 조절을 손끝에서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술자가 소정의 약물을 1회용 주사기에 수용하여 시술부위에 일일이 수동으로 주사하는 경우에는 장시간의 시술로 인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과도한 피로로 인해 시술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약물을 주입하는 수단으로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일 주사침으로는 피부두피 등 넓은 시술 부위에 일일이 주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다수개의 침관으로 구성된 멀티니들 주사침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1~1.5mm이내의 멀티니들에 의한 피부 시술의 경우에는 멀티니들의 침관들이 피부를 밀어 피부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관계로 니들이 삽입될 피부부위를 흡인하는 석션캡을 포함하는 니들이 개발되기에 이르었다.
석션캡을 포함하는 니들을 구비하는 자동주사시스템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43280호(2013.12.31, 공개)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이 개구된 석션주사침과, 상기 석션주사침의 전방에 구비되고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석션캡과, 상기 석션주사침의 내부로부터 상기 석션캡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하는 멀티니들과, 상기 석션주사침의 석션캡에 흡인압력을 증가시키는 흡인모터와,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부가 연결되어 석션캡의 흡인압력을 해소하는 기능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약물주입제어부가 연결되고 석션캡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석션주사침의 압력에 기반하여 약물주입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약물주입모터와, 약물주입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사기 피스톤을 미는 주사기 피스톤 밀개와 연결된 나사기어볼트와, 상기 나사기어볼트를 관통하며 상기 약물주입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나사기어축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흡인모터, 상기 압력센서, 상기 석션주사침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지 자동주사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흡인모터 제어부가 흡인모터를 작동시켜 석션주사침의 석션캡부위에 흡인압을 걸어주는 단계와, 석션주사침의 전단인 석션캡 부분이 주사부위의 피부에 접촉되고 석션캡의 흡인압이 증가되는 단계와, 압력센서가 연결구를 통해 석션캡의 압력을 측정하고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는 때에 압력센서와 연결된 약물주입모터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나사기어축이 연결된 약물주입모터의 구동에 의해 나사기어축이 관통하는 나사기어볼트가 주사기피스톤을 미는 단계와, 주사기피스톤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석션주사침을 통해 주사기에 저장된 약물이 주사부위에 주입되는 단계와, 약물주입모터의 구동을 중지하고, 흡인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석션캡의 흡인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력감지 자동주사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주사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에는 석션압을 단순히 ON/OFF 형태로 흡인모터로 석션압을 급격히 증가시켜 주사한 직후 솔레노이드 밸브로 석션압을 급격히 해소시킴에 따라 피부에 상당한 자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술시 석션압력을 감지하여 석션압력을 단계별로 조절함으로써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주사약물이 자동으로 신속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한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에 약물이 충전되고 후방에 피스톤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전방에 결합되고 니들이 구비되는 석션캡과,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을 전후로 이동시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선형이송기구와, 석션관로를 통해 상기 석션캡에 연결되고 상기 석션캡 내의 석션압력을 발생시키는 석션모터와, 상기 석션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석션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석션관로에 분기연결되고 상기 석션모터의 작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석션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석션압력조절수단과, 전원 및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석션관로에 병렬연결되고 외기와 연통되는 흡기관로 상에 설치되는 에어밸브와, 상기 에어밸브의 개방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는 서보모터, 스텝모터 및 DC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상기 석션압력이 상기 니들이 피부 내로 주입되도록 미리 설정된 1차 석션압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는 순간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통해 폐쇄 상태의 상기 에어밸브를 부분개방하여 상기 석션압력이 미리 설정된 2차 석션압으로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통해 상기 에어밸브를 추가적으로 부분개방하여 상기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켜 약물의 손실없이 상기 니들이 피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설정된 시간지연 후에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통해 상기 에어밸브를 완전 개방하여 흡입압력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석션캡이 피부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석션압력의 조절은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에 의한 상기 에어밸브의 개도 조절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에 의한 상기 에어밸브의 개도 조절과 상기 석션모터의 회전수 조절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석션관로에는 에어필터 및 댐퍼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장치는,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스위치와,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를 통해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고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가 발로 상기 선형이송기구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풋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에어밸브의 후방에는 상기 에어밸브의 고장시 또는 상기 니들의 최초 삽입시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원스위치를 켜고 1차, 2차 및 3차 석션압을 포함한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석션모터를 작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석션캡을 시술부위에 밀착시켜 석션압력을 상기 1차 석션압까지 증가시켜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석션압력을 상기 2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킨 상태에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약물 주입시 석션압력에 의한 피부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4 단계와,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석션압력을 상기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켜 니들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약물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5 단계와, 설정된 시간지연 후 석션압력을 완전히 해제한 다음 석션캡을 상기 시술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6 단계 이후에 시술부위를 옮겨 상기 제 3 단계부터 상기 제 6 단계가 반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4 단계의 약물주입은 풋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시간 동안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에 의하면, 석션캡을 시술부위에 밀착시켜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1차 석션압까지 증가시켜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2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킨 후 약물이 주입되도록 함에 따라 약물 주입시 과도한 석션압력의 유지로 인한 피부손상이나 통증유발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에 의하면, 약물주입이 완료된 후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킴에 따라 니들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약물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의 플로차트.
도 3은 풋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약물주입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의 플로차트.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약물이 충전되고 후방에 피스톤(11)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린지(10)와, 시린지(10)의 전방에 결합되고 니들(21)이 구비되는 석션캡(20)과, 피스톤(11)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21)을 전후로 이동시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선형이송기구(30)와, 석션관로(41)를 통해 석션캡(20)에 연결되고 석션캡(20) 내의 석션압력을 발생시키는 석션모터(40)와, 석션관로(41)에 연결되어 석션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50)와, 석션관로(41)에 분기연결되고 석션모터(40)의 작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정도를 조절하여 석션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석션압력조절수단(60)과, 전원과 상기 압력센서(50)와 연결되고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와, 컨트롤러(70)에 연결되고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린지(10)는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탑재되어 특정 시술부위에 약물이 주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약물이 충전되고 후방에는 피스톤(11)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시린지(10)의 전방에는 석션캡(20)이 결합되는데, 이 석션캡(20)은 시술부위에 밀착되어 석션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시술부위의 피부를 내부로 흡입함에 따라 니들(21)이 미끄러짐없이 피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방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약물이 충전된 시린지와 연통되는 침관 형태의 다수의 니들(21)이 구비된다.
니들(21)은 공지된 에어인젝션 주사시스템과 동일하게 외부로부터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유입되는 에어실린더의 개재하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술한 석션캡(20)에 대한 니들(21)의 전후이동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시린지(10)의 피스톤(11)은 선형이송기구(30)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선형이송기구(30)는 피스톤(21)을 전후로 이동시켜 약물이 설정된양만큼 주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린지(10)의 피스톤(11)의 단부가 결합되는 리드스크류(31)와, 이 리드스크류(31)를 회전구동시켜 시린지(10)의 피스톤(11)을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선형이송기구(30)도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탑재되며, 구동모터(33)는 정밀한 약물주입량의 제어를 위해 BLDC모터 또는 스탭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석션캡(20)에는 석션모터(40)가 석션관로(41)를 통해 연결되는데, 이 석션모터(40)는 에어를 흡입배출시킴에 따라 피부에 밀착된 석션캡(20) 내에 석션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음압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진공흡입모터로 형성된다. 이러한 석션모터(40)는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연결된 본체 내에 설치된다.
석션관로(41)에는 에어필터 및 댐퍼(4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필터는 석션모터(40)에 의해 니들(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피부각질이나 약물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댐퍼(43)는 급격한 압력변화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형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석션관로(41)에는 압력센서(50)가 연결되는데, 이 압력센서(50)는 석션캡(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석션관로(41)의 압력을 측정함에 따라 석션모터(40)에 의한 석션캡(20) 내의 석션압력을 측정하여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70)로 측정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압센서로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센서(50)는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연결된 본체 내에 설치된다.
전술한 석션관로(41)에는 석션압력조절수단(60)이 분기연결되는데, 이 석션압력조절수단은 석션모터(40)의 작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정도를 조절하여 석션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석션관로(41)에 병렬연결되고 외기와 연통되는 흡기관로(65) 상에 설치되는 에어밸브(61)와, 에어밸브(61)의 밸브몸체를 회동시켜 에어밸브(61)의 개방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밸브개도조절모터(63)를 포함한다.
밸브개도조절모터(63)는 에어밸브(61)의 개방정도를 단계별로 설정된 값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서보모터, 스텝모터 및 DC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션압력조절수단(60)은 일단은 석션관로(41)에 분기연결되고 타단은 외기와 연통된 흡기관로(65) 상에서 차후에 설명된 컨트롤러(70)의 제어에 따라 흡기관로(65)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석션모터(40)의 작동시에 외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석션캡(20) 내의 석션압력이 감압, 즉 낮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석션압력조절수단(60)도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연결된 본체 내에 설치된다.
전술한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은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 컨트롤러(70)는 전원과 연결됨과 동시에 압력센서(50)와 연결되고, 차후에 설명될 입출력장치(80)에 의해 설정된 작동파리미터와 압력센서(50)의 측정값에 따라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전체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70)는 압력센서(50)에 의해 석션압력이 니들(21)이 피부 내로 주입되도록 미리 설정된 1차 석션압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는 순간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밸브개도조절모터(63)를 통해 폐쇄 상태의 에어밸브(61)를 부분개방하여 석션압력이 미리 설정된 2차 석션압으로 감압되도록 한 상태에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약물주입시 과도한 석션압력으로 인한 부손상과 통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 다음에 컨트롤러(70)는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밸브개도조절모터(63)를 통해 에어밸브(61)를 추가적으로 부분개방하여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켜 약물의 손실없이 니들(21)이 피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통상 니들(21)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컨트롤러(70)는 선형이송기구(30)를 역방향으로 살짝 구동시켜 음압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약물을 니들(21) 내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약물손실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석션캡(20) 내의 석션압력이 선형이송기구(30)의 역방향 구동에 의한 음압보다 훨씬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컨트롤러(70)는 설정된 시간지연 후에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밸브개도조절모터(63)를 통해 에어밸브(61)를 완전 개방하여 흡입압력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석션캡(20)이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70)의 제어에 의한 석션압력의 단계적인 감압 조절은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밸브개도조절모터(63)에 의한 에어밸브(61)의 개도 조절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밸브개도조절모터(63)에 의한 에어밸브(61)의 개도 조절과 석션모터(40)의 회전수 조절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70)도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연결된 본체 내에 설치된다.
전술한 컨트롤러(70)에는 입출력장치(80)가 연결되는데, 이 입출력장치(80)는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전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입출력장치(80)는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스위치와,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를 통해 모드, 주사량, 주사속도, 주사기종류, 1차 석션압, 2차 석션압, 3차 석션압, 휴지기간 등과 같은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작동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컨트롤러(70)에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가 발로 밟아 선형이송기구(30)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풋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출력장치(80)는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에 연결된 본체 상에 설치된다.
컨트롤러(70)에는 정전감지회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전감지회로는 작동중에 발생되는 정전 또는 전원코드 이탈시에 경고램프나 부저 등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정전감지회로 및 경고램프 또는 부저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배터리가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에어밸브(61)의 후방에는 솔레노이드밸브(9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솔레노이드밸브(90)는 에어밸브(61)의 고장시에 또는 니들(21)이 1차 석션압으로 최초로 삽입될 때 작동되어 에어밸브(61)의 후방을 on/off 형태로 개폐시킴에 따라 에어밸브(61)의 작동을 대체하는 비상밸브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9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도 1 참조)의 석션압 조절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를 켜고 모드, 주사량, 주사속도, 주사기종류, 1차 석션압, 2차 석션압, 3차 석션압, 휴지기간 등을 포함한 선형이송기구(30), 석션모터(40) 및 석션압력조절수단(60)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석션모터(40)를 작동시켜 석션캡(20) 내에 음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 2 단계와, 석션캡(20)을 시술부위에 밀착시켜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1차 석션압까지 증가시켜 니들(21)이 피부에 미끄러짐없이 삽입되도록 하는 제 3 단계와,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2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킨 상태에서 선형이송기구(30)를 작동시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약물 주입시 석션압력에 의한 피부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4 단계와,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3차 석션압으로 더 감압시켜 니들(21)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약물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5 단계와, 설정된 시간지연 후 에어밸브(61)을 완전 개방시켜 석션압력을 완전히 해제한 다음 석션캡을 시술부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단계의 약물주입은 메조건(mesogun)이나 인젝션건(injection gun)의 조작에 의해 설정시간동안 실행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풋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시간 동안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 6 단계에서 에어밸브(61)을 완전 개방시켜 석션압력을 완전히 해제하는 경우에 석션모터(40)는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단계 이후에는 에어밸브(61)를 폐쇄시킨 다음, 석션모터(40)를 작동시켜 석션캡(20) 내에 음압이 발생되도록 한 후, 시술부위를 옮겨 전술한 제 3 단계부터 제 6 단계를 반복한다.
반복된 제 6 단계 이후에는 에어밸브(61)를 폐쇄시킨 다음, 석션모터(40)를 작동시켜 석션캡(20) 내에 음압이 발생되도록 한 후, 또 다른 시술부위를 옮겨 전술한 제 3 단계부터 제 6 단계를 계속 반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의 경우에는, 석션캡(20)을 시술부위에 밀착시켜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1차 석션압까지 증가시켜 니들(21)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2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킨 후 약물이 주입되도록 함에 따라 약물 주입시 과도한 석션압력의 유지로 인한 피부손상이나 통증유발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의 경우에는, 약물주입이 완료된 후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킴에 따라 니들(21)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약물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시린지
11 : 피스톤
20 : 석션캡
21 : 니들
30 : 선형이송기구
31 : 리드스크류
33 : 구동모터
40 : 석션모터
41 : 석션관로
43 : 에어필터 및 댐퍼
50 : 압력센서
60 : 석션압력조절수단
61 : 에어밸브
63 : 밸브개도조절모터
65 : 흡기관로
70 : 컨트롤러
80 : 입출력장치
90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11)

  1. 내부에 약물이 충전되고 후방에 피스톤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린지;
    상기 시린지의 전방에 결합되고 니들이 구비되는 석션캡;
    상기 피스톤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을 전후로 이동시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선형이송기구;
    석션관로를 통해 상기 석션캡에 연결되고 상기 석션캡 내의 석션압력을 발생시키는 석션모터;
    상기 석션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석션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석션관로에 분기연결되고 상기 석션모터의 작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석션압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석션압력조절수단;
    전원 및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석션관로에 병렬연결되고 외기와 연통되는 흡기관로 상에 설치되는 에어밸브와, 상기 에어밸브의 개방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는 서보모터, 스텝모터 및 DC모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상기 석션압력이 상기 니들이 피부 내로 주입되도록 미리 설정된 1차 석션압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는 순간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통해 폐쇄 상태의 상기 에어밸브를 부분개방하여 상기 석션압력이 미리 설정된 2차 석션압으로 감압된 상태에서 상기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통해 상기 에어밸브를 추가적으로 부분개방하여 상기 석션압력을 미리 설정된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켜 약물의 손실없이 상기 니들이 피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설정된 시간지연 후에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를 통해 상기 에어밸브를 완전 개방하여 흡입압력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석션캡이 피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석션압력의 조절은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에 의한 상기 에어밸브의 개도 조절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밸브개도조절모터에 의한 상기 에어밸브의 개도 조절과 상기 석션모터의 회전수 조절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션관로에는 에어필터 및 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스위치와,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를 통해 상기 선형이송기구, 상기 석션모터 및 상기 석션압력조절수단의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고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가 발로 상기 선형이송기구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풋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밸브의 후방에는 상기 에어밸브의 고장시 또는 상기 니들의 최초 삽입시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
  9. 전원스위치를 켜고 1차, 2차 및 3차 석션압을 포함한 작동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석션모터를 작동시키는 제 2 단계;
    석션캡을 시술부위에 밀착시켜 석션압력을 상기 1차 석션압까지 증가시켜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석션압력을 상기 2차 석션압으로 감압시킨 상태에서 약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약물 주입시 석션압력에 의한 피부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석션압력을 상기 3차 석션압으로 감압시켜 니들이 피부로부터 분리될 때 약물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 5 단계;
    설정된 시간지연 후 석션압력을 완전히 해제한 다음 석션캡을 상기 시술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 이후에 시술부위를 옮겨 상기 제 3 단계부터 상기 제 6 단계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약물주입은 풋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설정시간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시스템의 석션압 조절방법.
KR1020150162025A 2015-11-18 2015-11-18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KR10207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25A KR102071002B1 (ko) 2015-11-18 2015-11-18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25A KR102071002B1 (ko) 2015-11-18 2015-11-18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62A true KR20170058162A (ko) 2017-05-26
KR102071002B1 KR102071002B1 (ko) 2020-01-29

Family

ID=5905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25A KR102071002B1 (ko) 2015-11-18 2015-11-18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0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68B1 (ko) * 2018-09-20 2020-02-03 주식회사 삼웅테크 빅데이터를 이용한 피부 약물 자동 주사 건
CN111939392A (zh) * 2020-07-16 2020-11-17 深圳市中科微光医疗器械技术有限公司 一种美容针自动注射控制方法、装置及美容针
KR20200132354A (ko) *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노바메디 압력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82B1 (ko) 2023-04-17 2024-01-23 대신엔터프라이즈(주) 압력 감지 자동 약물 주사 시스템
KR102649939B1 (ko) * 2023-12-01 2024-03-21 대신엔터프라이즈(주) 자동주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주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788A (ko) * 2012-05-18 2013-11-27 (주)디앤케이 피부 시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43280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파나시 압력감지 자동주사 시스템
KR20140111754A (ko) * 2013-03-12 2014-09-22 (주)디앤케이 피부 시술 장치
KR101526474B1 (ko) * 2014-02-07 2015-06-16 주식회사 파나시 주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788A (ko) * 2012-05-18 2013-11-27 (주)디앤케이 피부 시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43280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파나시 압력감지 자동주사 시스템
KR20140111754A (ko) * 2013-03-12 2014-09-22 (주)디앤케이 피부 시술 장치
KR101526474B1 (ko) * 2014-02-07 2015-06-16 주식회사 파나시 주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68B1 (ko) * 2018-09-20 2020-02-03 주식회사 삼웅테크 빅데이터를 이용한 피부 약물 자동 주사 건
KR20200132354A (ko) *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노바메디 압력조절기
CN111939392A (zh) * 2020-07-16 2020-11-17 深圳市中科微光医疗器械技术有限公司 一种美容针自动注射控制方法、装置及美容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002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162A (ko) 석션압 조절식 자동주사장치 및 이의 석션압 조절방법
US10980668B2 (en) Surgical cassette
AU2015213267B2 (en) Automatically pulsing different aspiration levels to an ocular probe
KR101372403B1 (ko) 압력감지 자동주사 시스템
KR100814493B1 (ko) 약물주사용 건
CA2898138A1 (en) Pre-alignment surgical cassette interface
JP2019529019A (ja) 水晶体超音波乳化吸引術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JP6413248B2 (ja) 灌流吸引装置
KR101660457B1 (ko) 이중압력센서를 이용한 자동주입제어식 자동주사장치
KR20130128788A (ko) 피부 시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55004Y1 (ko) 지방 흡입과 주입 기능을 가지는 원심분리기
KR100610398B1 (ko) 지방 흡입과 주입 기능을 가지는 원심분리기
KR102626882B1 (ko) 압력 감지 자동 약물 주사 시스템
CA287738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attitude and alignment of a surgical cassette
KR102253571B1 (ko) 압력조절기
KR20230074743A (ko) 무바늘 인젝터, 관련 재장전 가능 및 일회용 노즐, 및 주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1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15

Effective date: 201905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