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943A -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943A
KR20170056943A KR1020150160439A KR20150160439A KR20170056943A KR 20170056943 A KR20170056943 A KR 20170056943A KR 1020150160439 A KR1020150160439 A KR 1020150160439A KR 20150160439 A KR20150160439 A KR 20150160439A KR 20170056943 A KR20170056943 A KR 2017005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dentification signal
beacon
location identific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834B1 (ko
Inventor
이동현
노윤아
Original Assignee
노윤아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아, 이동현 filed Critical 노윤아
Priority to KR102015016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8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07C9/00007
    • G07C9/001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환경정보와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인접한 다른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로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와, 대상 지역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및 등록 단말로부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부를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대상 지역 내의 사용자 위치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환경정보도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Control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beacon}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환경정보와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인접한 다른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기등록된 사원 카드, 생체정보 등을 인식시켜 사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출입 관리 시스템은 근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보안이 필요한 지역의 통제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종래에는 출입구에서의 인증을 통해, 출입을 관리하는 대상 지역으로 진입한 사용자와 그 진입 시간 및 대상 지역을 이탈한 사용자와 그 이탈 시간을 확인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가 대상 지역으로 진입한 이후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보안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가스 및 유해물질 등을 처리하는 산업 설비가 존재할 때 사고로 인해 가스 또는 유해물질이 누출되면 위험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를 파악하거나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출입을 관리하는 대상 지역 내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급격하게 악화되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위급 상황의 발생을 확인할 수가 없었으며, 인접한 다른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 지역 내에서의 사용자 위치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지역 내의 특정 구역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특정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위험 상황의 발생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지역 내의 특정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위급 상황을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구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설치되고, 소정의 신호 도달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과 통신하여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 또는 일부 구역의 적어도 한 위치에 설치되고, 설치 위치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비콘(Beacon),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의 신호 도달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 상에서 가상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복수의 경계 구역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설치 위치로부터 가스, 온도 및 유해화학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할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로 위험 상황을 알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로부터 체온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생체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린다.
또한, 본 발명은 (1)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설치된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가, 소정의 신호 도달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과 통신하여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 또는 일부 구역의 적어도 한 위치에 설치된 환경 정보 수집부가, 설치 위치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4) 관제부가,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비콘(Beacon),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의 신호 도달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 상에서 가상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복수의 경계 구역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설치 위치로부터 가스, 온도 및 유해화학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할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로 위험 상황을 알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3)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생체 정보 전송부가, 사용자로부터 체온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린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로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와, 대상 지역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및 등록 단말로부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부를 구비하므로, 대상 지역에서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대상 지역 내의 사용자 위치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환경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제부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하면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의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도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제부는 등록 단말로부터 재전송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릴 수 있으므로,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구호 조치를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의 설치 위치에 따른 경계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의 설치 위치에 따른 경계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은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 환경 정보 수집부(120), 관제부(130) 및 생체 정보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10)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고 대상 지역의 환경정보, 위험 상황 및 타 사용자에게 발생한 위급 상황 등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지역은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지역으로, 사용자의 출입이 빈번한 상업용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이거나 사무용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일 수 있고 각종 산업 설비, 공업 설비, 가스 설비 또는 화학 설비가 수용된 건축물이 존재하는 지역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등록 단말(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을 포함하는 범용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록 단말(10)에는 후술할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와 통신하여 위치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식별 신호를 후술할 관제부(130)로 재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는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10)로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는 비콘(Beacon),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는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의 신호 도달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 상에서 가상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복수의 경계 구역을 형성하며, 예컨대, 상기 비콘이 존재하는 제 1경계 구역,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제 2경계 구역 및 상기 기지국의 전파가 도달가능한 범위의 제 3경계 구역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경계 구역은 상기 대상 지역에 존재하는 건물 내부의 안전 관리 또는 보안 관리가 필요한 특정 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 2경계 구역은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 제 1경계 구역을 제외한 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경계 구역은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에서 상기 제 1경계 구역 및 상기 제 2경계 구역을 제외한 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각각 설치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는, 소정의 신호 도달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10)과 통신하여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의 경우에는 비콘 ID를 상기 위치 식별 신호로서 상기 등록 단말(10)로 전송하고,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경우에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로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상기 등록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로부터 상기 등록 단말(10)로 각각 전송된 위치 식별 신호는 상기 등록 단말(10)을 통해 후술할 관제부(130)로 재전송됨으로써, 관제부(130)가 각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대상 지역에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가 설치됨은 물론이고, 후술할 환경 정보 수집부(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는 설치 위치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13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 또는 일부 구역의 복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는 상기 제 1경계 구역 및 상기 제 2경계 구역의 복수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설치 위치로부터 습도, 풍향 및 풍속 등을 측정하거나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가스, 온도 및 유해화학물질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대상 지역 내에 산업 설비, 공업 설비, 가스 설비 또는 화학 설비가 수용된 건축물이 존재할 경우,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가스 누출, 고온 발생 및 유해물질 누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센싱된 환경 정보는 후술할 관제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관제부(130)는 사용자의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대상 지역의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등록 단말(10)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버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근거로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대상 지역으로 진입하는지의 여부와 상기 대상 지역에서의 이탈 여부 및 상기 대상 지역 내에서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제부(130)에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의 설치 위치와 상기 위치 식별 신호가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1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 단말(10)이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로부터 비콘 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비콘 ID를 상기 관제부(130)로 재전송하고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가 상기 환경 정보를 상기 관제부(130)로 전송하면,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비콘 ID를 근거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전송된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할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10)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제부(130)는 후술할 생체 정보 전송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지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전송부(14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로부터 체온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전송부(140)는 밴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10)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등록 단말(10)은 상기 생체 정보 전송부(140)로부터 전송된 생체 정보를 상기 관제부(130)로 재전송함으로써, 상기 관제부(130)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생체 정보 전송부(14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한 위급 상황을 인식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10)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단말A(10A)가 상기 생체 정보 전송부(140)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110)로부터 비콘 ID를 전송받아 사용자 정보, 상기 생체 정보와 함께 상기 비콘 ID를 상기 관제부(130)로 재전송하면,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비콘 ID를 근거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제부(130)는 상기 등록 단말A(10A)를 소유한 사용자의 체온이 기설정된 기준 체온을 초과하거나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 미만인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타 사용자의 등록 단말B(10B)를 검색하여 위급 상황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은 사용자의 출입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 및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대상 지역 내에서 사고로 인해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피하거나 사고의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지역 내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위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구호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설치된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가, 소정의 신호 도달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과 통신하여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한다(S110).
이때,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비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의 신호 도달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 상에서 가상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복수의 경계 구역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로부터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된 위치 식별 신호는, 상기 등록 단말을 통해 관제부로 재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 또는 일부 구역의 적어도 한 위치에 설치된 환경 정보 수집부가, 설치 위치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상기 관제부로 전송한다(S120).
이때,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센서로 구비되어, 설치 위치로부터 가스, 온도 및 유해화학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정보를 상기 환경 정보로서 상기 관제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생체 정보 전송부가, 사용자로부터 체온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S130).
이때, 상기 등록 단말은 상기 생체 정보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생체 정보를 상기 관제부로 재전송하여, 상기 관제부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에는, 상기 관제부가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출입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대상 지역의 환경 정보와 각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S140).
이때, 상기 관제부는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S141),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142).
또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재전송된 상기 생체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S143).
또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할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거나(S144),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S14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 등록 단말
110 :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
120 : 환경 정보 수집부
130 : 관제부
140 : 생체 정보 전송부

Claims (14)

  1.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설치되고, 소정의 신호 도달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과 통신하여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 또는 일부 구역의 적어도 한 위치에 설치되고, 설치 위치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비콘(Beacon),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의 신호 도달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 상에서 가상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복수의 경계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설치 위치로부터 가스, 온도 및 유해화학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할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로부터 체온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생체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8. (1) 출입을 관제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내 복수 위치에 설치된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가, 소정의 신호 도달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유한 등록 단말과 통신하여 위치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2) 상기 대상 지역의 전체 또는 일부 구역의 적어도 한 위치에 설치된 환경 정보 수집부가, 설치 위치의 주변 환경을 센싱한 환경 정보를 관제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4) 관제부가,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대상 지역으로의 출입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된 환경 정보를 근거로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구역의 환경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비콘(Beacon),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및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위치 식별 신호 전송부는 상기 비콘, 상기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기지국의 신호 도달거리에 따라, 상기 대상 지역 상에서 가상의 경계선으로 구획된 복수의 경계 구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는 설치 위치로부터 가스, 온도 및 유해화학물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가스 누출, 임계치 이상의 고온 발생 및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할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해당 구역에 위치한 사용자의 등록 단말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생체 정보 전송부가, 사용자로부터 체온 및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재전송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와 인접한 다른 사용자들의 등록 단말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위치와 건강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방법.
KR1020150160439A 2015-11-16 2015-11-16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439A KR101773834B1 (ko) 2015-11-16 2015-11-16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439A KR101773834B1 (ko) 2015-11-16 2015-11-16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43A true KR20170056943A (ko) 2017-05-24
KR101773834B1 KR101773834B1 (ko) 2017-09-01

Family

ID=5905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439A KR101773834B1 (ko) 2015-11-16 2015-11-16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8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614A (ko) * 2020-06-08 2021-12-16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Uwb 센서를 이용한 응급 환자 모니터링 및 대응방법 및 그 대응 시스템
KR20220129161A (ko) * 2021-03-16 2022-09-23 송진규 출입통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발열 체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통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10B1 (ko) * 2008-11-18 2011-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응급 상황 긴급 대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34454B1 (ko) * 2010-06-08 2012-04-13 주식회사 코스펙정보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614A (ko) * 2020-06-08 2021-12-16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Uwb 센서를 이용한 응급 환자 모니터링 및 대응방법 및 그 대응 시스템
KR20220129161A (ko) * 2021-03-16 2022-09-23 송진규 출입통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발열 체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통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834B1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5710B (zh) 在安全和资产管理系统中基于移动的识别
EP3295442B1 (en) Method to auto-configure gas detectors based on real-time location
US9405948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an RFID-base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a spatially extensive area
US20100271208A1 (en) Wireless Network-Based Action-Oriented System For Remote Wireless Alerting And Action
EP3848915B1 (en) System for monitoring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compliance
KR20180031908A (ko) Rfid 기반의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JP6233078B2 (ja) 位置検知システム
KR101995948B1 (ko)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US20170041796A1 (en) Method for safe access to a field device
KR101773834B1 (ko)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560870A (zh) 用于使用可穿戴和ble设备的智能入侵控制的系统和方法
KR20150061102A (ko)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
KR101573500B1 (ko) 무선통신 데이터 로거 및 이를 이용한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3874067A (zh) 用于无线网络的认证和数据安全
KR101783003B1 (ko)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50087561A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1597A (ko)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EP39700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urse of work
KR101738056B1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통한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KR101345700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CN210051889U (zh) 一种用于化工厂中的位置监测系统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US11557905B2 (en) Safety device and method to prevent use of the same device if faulty
KR101643242B1 (ko) 비콘 기반의 id카드와 이를 활용한 산업안전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