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700B1 - 미아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아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700B1
KR101345700B1 KR1020120105104A KR20120105104A KR101345700B1 KR 101345700 B1 KR101345700 B1 KR 101345700B1 KR 1020120105104 A KR1020120105104 A KR 1020120105104A KR 20120105104 A KR20120105104 A KR 20120105104A KR 101345700 B1 KR101345700 B1 KR 10134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server
terminal
location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
Original Assignee
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 filed Critical 김주
Priority to KR102012010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린이가 활동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활동영역을 벗어난 거리별로 보호자에게 위험요소를 알림과 동시에 거리별로 어린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해결책이 강구된 미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어린이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독출 가능한 단말 고유의 식별ID를 구비하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확인용단말; 상기 위치확인용단말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위치확인용서버; 및, 상기 위치확인용단말과 연동하며 상기 식별ID가 검출되는 경우 어린이가 안전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식별ID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보호자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는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부터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어린이의 위치정보의 주변에 있는 감시카메라부를 가동함으로써, 상기 어린이의 주변에 있는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아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본 발명은 미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가 보호자에서 일정거리 이탈하여 미아가 발생된 경우에, 보호자와 어린이간에 떨어진 거리별로 위험등급을 설정하여 알림과 동시에 최종 위험등급을 벗어난 경우에 위치정보와 보안카메라를 통해 어린이의 위치정보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미아가 발생되고 있으며, 찾지 못하고 있는 미아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미아 발생시 취할 수 있는 조처는 미아가 최종적으로 위치한 곳이나 잘 가는 곳을 살피거나, 경찰서와 같은 유관기관의 협조를 얻어 미아를 찾은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미아 발생시에 가장 큰 문제점은 미아가 사람들의 눈에서 보인 최종적인 지역이 어느 곳인지만을 알 뿐, 사람들의 시야에서 사라진 경우에는 찾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 선행문헌으로써,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4-0043534호에서는 미아방지를 위하여 어린이가 휴대하고 다니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송신기와, 송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미아방지 및 미아추적을 위한 위치안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선행문헌은 단순히 위치정보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미아가 송신기를 분실하거나 뺏기게 되는 경우에 미아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종래 선행문헌은 미아가 되기전 어린이의 활동영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위험을 알리는 대책이 강구되지 않았으며, 어린이가 활동영역에서 벗어난 경우에 어린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해결책도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미아가 발생되지 않도록하는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린이가 활동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활동영역을 벗어난 거리별로 보호자에게 위험요소를 알림과 동시에 거리별로 어린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해결책이 강구된 미아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아 방지 시스템은 어린이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독출 가능한 단말 고유의 식별ID를 구비하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확인용단말; 상기 위치확인용단말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위치확인용서버; 및, 상기 위치확인용단말과 연동하며 상기 식별ID가 검출되는 경우 어린이가 안전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식별ID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보호자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는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부터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어린이의 위치정보의 주변에 있는 감시카메라부를 가동함으로써, 상기 어린이의 주변에 있는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린이가 위치해야할 지역을 일정 거리별로 나누어 단계를 설정하고, 각 단계를 벗어난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보호자가 각 단계마다 즉각적으로 어린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해결수단을 미리 강구함으로써, 미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며,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해결수단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아 방지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미아 방지 시스템의 구동 상태에 관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아 방지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미아 방지 시스템의 구동 상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위치확인용단말(10), 위치확인용서버(20) 및, 보호자단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확인용단말(10), 위치확인용서버(20), 보호자단말(30), 감시카메라관리부(50) 및, 미아신고서버(60)들간에 연동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통신 방식은 후술하는 통신방식이외에 근거리통신망, 불루트스, 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식별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통신망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 및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접속망을 포함하는 통신 방식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위치확인용단말(10)은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지피에스 수신부와, 특정 식별ID을 포함하는 RFID부 및, 위치정보를 발신하기 위한 위치정보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확인용단말(10)은 어린이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근거리에서 위치를 전달하기 위한 구동과 장거리에서 위치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구동을 시행하게 된다. 먼저, 근거리에서 위치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써, 위칙확인용단말(10)은 RFID부에 포함된 식별ID를 후술할 보호자단말(30)로 전송하여 보호자단말(30)이 근거리에 위치한 어린이가 안정영역에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위치확인용단말(10)은 RFID부의 송수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송신부를 구동시켜 후술한 위치확인용서버(20)로 전달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확인용단말(10)이 RFID부를 이용하여 근거리통신을 수행하는 방식과, 지피에스 수신부 및 위치정보송신부를 이용하여 장거리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나누어 수행하는 이유는 어린이가 안정된 범위인 어린이집 내부에 있는 경우 또는 보육교사의 시야 내에 있는 경우에 위치확인용단말(10)이 지피에스부 또는 송신부가 계속적으로 구동되지 않도록 정지시킴으로써, 위치정보가 계속적으로 전달되어 위치확인용서버(20)의 과부화나 위치확인용단말(10)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위치확인용서버(20)는 위치확인용단말(10)과 연동되어 위치확인용단말(10)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위치확인용서버(20)가 위치확인용단말(10)로부터 위치정보를 받는 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용단말(10)의 지피에스부 및 송신부가 가동한 때이다. 이러한 위치확인용서버(20)는 위치확인용단말(10)의 가동시에 위치확인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어린이가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이 경우, 후술하는 보호자단말(30)은 위치확인용서버(20)에 접속하여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호자단말(30)은 RFID를 이용한 근거리통신시에는 위치확인용단말(10)과 연동하여 위치확인용단말(10)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여 보호자단말(30) 주변 일정 반경이내에 어린이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과, RFID를 이용하여 위치확인용단말(10)의 식별ID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 위치확인용서버(20)와 연동하여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구동을 하게 된다.
먼저, 보호자단말(30)의 근거리통신의 수행시에는 위치확인용단말(10)과 연동하여 위치확인용단말(10)의 RFID부로부터, 상기 식별ID을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보호자단말(30)은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나 보호자가 휴대용하고 다니는 것으로써, 근거리에 위치한 위치확인용단말(10)에서 특정 식별ID을 검출할 수 있는 RF식별ID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ID과 대응하는 식별ID정보와, 상기 식별ID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어린이의 신상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어린이의 신상정보는 어린이의 이름, 어린이의 나이, 어린이의 정지 영상 및 동영상정보, 보호자 이름, 보호자 연락처, 어린이집 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단말(30)은 보육교사가 어린이들을 인솔하는 경우, 어린이들이 휴대하고 있는 우치확인용단말(10)들 각각으로부터 식별ID을 입력받고, 식별ID가 기저장된 식별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어린이들이 안전한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보호자단말(30)은 피씨, 타블릿피씨, 노트북 및,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가능한 휴대용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린이집과 같은 어린이 보호구역내에 고정형으로 설치되거나 보육교사나 보호자가 휴대하는 형태로 이용된다.
다음, 보호자단말(30)의 장거리 통신 수행시에는 보호자단말(30)이 안전범위내에 어린이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보호자단말(30)은 어린이가 안전범위를 벗어나 식별ID을 입력받을 수 없는 상태, 즉, RFID를 이용한 근거리통신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서 기저장된 식별ID정보에 상기 식별ID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수신되지 않는 식별ID에 대응하는 어린이의 이탈메세지를 생성함으로, 보호자가 이를 보고 어느 어린이가 안전범위를 이탈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보호자단말(30)은 안전범위내의 어린이가 이탈한 경우에 위치확인용단말(10)의 지피에스 수신부와 위치정보송신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위치확인용단말(10)로 전송하고, 위치확인용단말(10)은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 위치정보를 위치확인용서버(20)로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확인용서버(20)에서는 위치확인용단말(10)과 연동하여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계속적으로 갱신하고, 보호자단말(30)의 접속시에 보호자단말(30)에서 안전영역을 벗어난 어린이가 휴대한 위치확인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안전영역에서 벗어난 어린이를 위치정보를 보고 찾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인솔되는 어린이들이 위치확인용단말(10)을 휴대하고, 보육교사와 같은 보호자가 보호자단말(30)을 휴대한 상태에서, 보호자단말(30)이 근거리에 있는 위치확인용단말(10)의 식별ID을 지속적으로 수신받아 어린이들이 안전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위치확인용단말(10)을 휴대하고 있는 어린이들 가운데 어느 한명이 안전범위내를 이탈하게 되면, 보호자단말(30)에는 식별ID을 통해 어느 어린이 이탈하였는지에 관한 이탈메세지를 수신받아 보호자가 어린이를 곧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미아를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어린이가 RFID의 송수신 가능 영역인 안전범위를 이탈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확인용단말(10)은 위치정보를 위치확인용서버(30)로 송출하며, 위치확인용서버(30)에서는 위치확인용단말(10)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한 상태에서 보호자단말(30)로 안전범위에서 이탈한 위치확인용단말(10)을 구비한 어린이의 위치정보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는 위치정보를 보고 해당 위치에서 어린이를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를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른 해결수단을 강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감시카메라관리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50)는 길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부들과, 상기 카메라부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송출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 및 판독하는 영상관리부 및, 상기 카메라부들과 상기 카메라제어부 및 상기 영상관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부들과 상기 카메라제어부 및 상기 영상관리부의 구동상태와 시스템 운용 상태를 기록하고 다른 운영 장치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관리부(50)는 위치확인용서버(20)와 연동하게 되는데, 감시카메라관리부(50)에서는 위치확인용서버(20)로부터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다음,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은 감시카메라관리부(50)에서는 어린이의 위치정보의 주변에 있는 감시카메라를 가동하여 어린이의 영상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정보는 위치확인용서버(20)로 전달되고, 보호자단말(30)은 위치확인용서버(20)로 전달된 영상정보를 통해 어린이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치확인용서버(20)에서 송출되는 영상정보는 보호자단말(30) 이외에 피씨, 노트북,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단말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위치확인용서버(2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보호자단말(30)이 실시간으로 어린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어린이가 안전영역 내로 돌아오는 경우, 즉, 어린이가 보호자의 주변이나 어린이집 근처에 있는 경우, 위치확인용서버(20)는 감시카메라관리부(50)에서 공급받은 영상정보의 송출 금지 메시지를 요청하여 영상정보의 송출을 중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찾을 수 없는 경우 해당 위치의 주변의 감시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50)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위치확인용서버(20)로 송출하고, 이를 보호자단말(30) 또는 다른 단말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가 주변 어느 곳에 있는지를 영상정보를 보고 파악하여 어린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정보를 이용한 대비책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미아신고서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아신고서버(60)는 위치확인용서버(20)와 연동하는 서버로써, 나라와 같은 유관기간과의 협조를 위한 서버이다. 이러한 미아신고서버(60)는 유관기관의 전산시스템과 연동하여 유관기관에 미아를 실시간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자단말(30)은 영상정보에 어린이의 위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위치확인용서버(20)에서 유관기관 협조요청 메시지를 송출하고, 위치확인용서버(20)는 어린이가 최종적으로 위치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미아신고서버(60)에 어린이의 최종위치정보와 함께 미아발생 신고메세지를 송출하게 된다. 이 경우, 미아발생 신고메세지에는 전술한 어린이의 신상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미아신고서버(60)에 미아발생신고메세지가 송출되면, 미아신고서버(60)는 어린이의 최종위치정보에 인접한 유관기간에 미아를 찾을 수 있도록 협조요청메세지를 송출하고, 인접한 유관기관에서는 협조요청메세지를 보고 미아신고서버(60)에 접속하여 어린이의 최종위치정보와 신상정보를 토대로 어린이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어린이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위치확인용서버(20)에 기설정된 어린이의 신상정보와 최종위치정보를 토대로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미아발생 신고메세지를 어린이가 최종적으로 위치한 주변의 유관기관에 즉각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미아 발생시에 유관기관의 수색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방지 시스템은 어린이가 위치해야할 지역을 일정 거리별로 나누어 위험 단계를 설정하고, 각 단계를 벗어난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보호자가 각 단계마다 즉각적으로 어린이를 찾을 수 있도록 해결수단을 미리 강구함으로써, 미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위치확인용단말 20 ; 위치확인용서버
30 ; 보호자단말
50 ; 감시카메라관리부 60 ; 미아신고서버

Claims (5)

  1. 어린이가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독출 가능한 단말 고유의 식별ID를 구비하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확인용단말;
    상기 위치확인용단말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위치확인용서버; 및,
    상기 위치확인용단말과 연동하며 상기 식별ID가 검출되는 경우 어린이가 안전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식별ID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확인용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보호자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는 감시카메라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카메라관리부는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부터 어린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어린이의 위치정보의 주변에 있는 감시카메라부를 가동함으로써, 상기 어린이의 주변에 있는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단말은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용서버와 연동하는 미아신고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자단말은 영상정보에 어린이의 위치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 위치확인용서버에서는 유관기관 협조요청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위치확인용서버는 어린이가 최종적으로 위치한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미아신고서버에 어린이의 최종위치정보와 함께 미아발생 신고메세지를 송출하며,
    상기 미아신고서버는 어린이의 최종위치정보에 인접한 유관기간에 미아를 찾을 수 있도록 협조요청메세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방지 시스템.
KR1020120105104A 2012-09-21 2012-09-21 미아 방지 시스템 KR10134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04A KR101345700B1 (ko) 2012-09-21 2012-09-21 미아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04A KR101345700B1 (ko) 2012-09-21 2012-09-21 미아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700B1 true KR101345700B1 (ko) 2013-12-26

Family

ID=4998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104A KR101345700B1 (ko) 2012-09-21 2012-09-21 미아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80A (ko) * 2014-12-19 2016-06-29 (주)에스모바일 위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위치 제공 서버,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20160077408A (ko) 2014-12-23 2016-07-04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위험 감지 시스템
CN106297183A (zh) * 2016-08-25 2017-01-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安全监控方法及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80A (ko) * 2014-12-19 2016-06-29 (주)에스모바일 위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위치 제공 서버,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102125493B1 (ko) * 2014-12-19 2020-06-23 (주)에스모바일 위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위치 제공 서버,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20160077408A (ko) 2014-12-23 2016-07-04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위험 감지 시스템
CN106297183A (zh) * 2016-08-25 2017-01-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安全监控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2625B2 (en) Person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386438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RU2513920C2 (ru) Система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rfid метки
TWI586988B (zh) 追蹤裝置以及追蹤裝置控制方法
CN104247369A (zh) 用于使设备标识符变模糊的方法和设备
CN104603854A (zh) 用于在基地安全区划之外时改进跟踪器电池寿命的方法和装置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CN105557031A (zh) 用于提高检测能力和安全的交织通告分组
KR101792339B1 (ko)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20010899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 시스템과 인증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1018319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KR101345700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CN105282700A (zh) 追踪方法、追踪服务器及追踪系统
KR101324933B1 (ko)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954441B1 (ko) IoT 기반 노인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080050A (zh) 定位跟踪保护系统和方法
JP5102232B2 (ja) 端末装置、位置情報制御方法および位置情報制御システム
JP2017076201A (ja) 屋外設置用の防犯用監視カメラ及び該防犯用監視カメラを備えた防犯システム
KR20130058573A (ko)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태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경고 알람 시스템
WO2018211830A1 (ja) 不正利用検知システム及び不正利用検知プログラム
KR102420549B1 (ko)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16207A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미아방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540060B1 (ko) 스마트 양방향 무선 태그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시스템
US20140038543A1 (en) Personal security system for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