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339B1 -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339B1
KR101792339B1 KR1020150124272A KR20150124272A KR101792339B1 KR 101792339 B1 KR101792339 B1 KR 101792339B1 KR 1020150124272 A KR1020150124272 A KR 1020150124272A KR 20150124272 A KR20150124272 A KR 20150124272A KR 101792339 B1 KR101792339 B1 KR 10179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application
mobile
open platform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522A (ko
Inventor
김준욱
전기영
Original Assignee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3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가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매환자가 소지하거나 치매환자에게 부착되어 치매환자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내장된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자신의 비콘 식별정보(beacon ID)를 불특정 다수의 리스너에게 송신하는 이동형 비콘과 비콘의 위치추적 결과를 다양한 서비스 서버에 개방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지향하는 오픈 플랫폼은 쉽고 빠르게 무수히 많은 리스너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치매환자를 신속하게 발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OPEN PLATFORM OF TRAKING BEACON POSSESSED BY DEMENTIA PATIENT}
본 발명은 치매환자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치매환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다.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치매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치매 노인에 대한 돌봄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지만, 가정이나 시설에서 돌보고 있던 치매 노인은 잠깐 한눈 파는 사이 밖으로 나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치매 노인이 밖으로 돌아다니며 배회하게 되면 여러 사고에 휘말리거나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행방을 놓친 경우 한시라도 빨리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이는 간병인들에게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비콘 기술을 탐구하였다. 실내 비콘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다양한 마케팅 기술이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애플의 iBeaconTM이 있다. 매장에 설치된 비콘에서 상품의 할인정보, 이벤트 내역, 할인 쿠폰 발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비콘은 이동하지 않으며 고정되어 설치된다. 게다가 폐쇄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04409호는 비콘기술을 이용한 미아방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선행문헌은 피보호자가 착용하며 주기적으로 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위치발신기 및 보호자와 피보호자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수신기를 포함한다. 위치수신기는 위치발신기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다가 위치발신기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질 경우 경고를 울리는 방법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피보호자가 보호자로부터 멀어지는 순간을 체크하는 기술이므로, 피보호자가 보호자로부터 멀어진 이후에는 더 이상 피보호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특허문헌은 기본적으로 보호자가 항상 피보호자 주변에 함께 있어야만 하는데, 현실적으로 보호자가 피보호자와 늘 함께 생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피보호자가 보호자의 통제에 있다면 비콘기술이 그다지 필요한 것도 아니다. 더욱 큰 문제는 능동형 위치추적기와 미아발생감지기 사이의 위치추적 시스템이 폐쇄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비콘 기술의 응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하여 비콘을 소지한 치매환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파를 발신하는 비콘을 체계적으로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비콘 난립으로 인한 전파공해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는 동시에 비콘에 대한 중복투자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콘을 중심으로 한 치매환자의 위치추적과 관련한 다양한 비즈니스 생태계의 상생공존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하는 각종 함수를 오픈소스 형태로 개방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는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이 제공하는 비콘을 이용하기만 하면 별도로 비콘을 제작하여 배포하는데 시간과 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되며, 단지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만으로도 치매환자 추적과 관련한 비즈니스를 런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자면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에 등록된 비콘은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고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국면은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하여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치매환자가 소지하거나 치매환자에게 부착되어 치매환자와 함께 이동하며,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자신의 비콘 식별정보(beacon ID)를 불특정 다수의 리스너에게 송신하는 이동형 비콘;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이동형 비콘으로부터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스마트폰; 및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식별정보 및 보호자정보를 등록하는 비콘 등록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형 비콘에 대한 위치추적 결과를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는 이동형 비콘이 위치해도 안전한 지역인 안심존(Safe zone)을 설정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형 비콘이 상기 안심존을 이탈한 경우 알람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형 비콘은 치매환자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는 이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1스마트폰 그룹 및 제2스마트폰 그룹으로부터 동시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을 실행하고,
상기 이종 어플리케이션은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소셜네트워스서비스(SNS) 어플리케이션, 포털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출고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동통신사의 요구에 따라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프로그램을 통해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하는 응용서비스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식별정보 및 비콘 보호자정보를 등록하고,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 또는 응용서비스 제공서버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이동형 비콘을 사전에 등록하도록 하여, 너무 많은 비콘이 오프라인 상에서 전파를 송출하여 전파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콘에 대하여 중복투자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파 간섭과 충돌로 인해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동형 비콘의 사전 등록은 위치추적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위치추적 전용앱)이 설치된 스마트폰만으로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하는 서비스는 위치추적이 부정확하거나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수가 적거나, 해당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수신기능을 오프해둔 경우 위치추적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은 물론 이종 디바이스를 하나의 리스너 네트워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추적의 정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종 디바이스 간 리스너 네트워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복수의 리스너를 이용하여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리스너가 수집한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주체에 따른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안심존을 설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복수의 안심존을 설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형 비콘(200), 리스너(220),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비콘(200)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자신의 비콘 식별정보(beacon ID)를 불특정 다수의 리스너에게 송신하는 장치이다. 이동형 비콘(200)은 주기적으로 비콘 식별정보(beacon ID)를 발신하며, 이때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함께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비콘(200)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형 비콘과 달리 위치추적 대상과 함께 이동하는 비콘이다. 따라서, 이동형 비콘(200)은 매우 작고 가볍게 제작되며, 노인, 아동, 애완견, 또는 소지품 등과 같은 위치추적 대상에 쉽게 부착되거나 소지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예를 들어, 이동형 비콘(200)은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및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본체와 외부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외부하우징은 위치추적 대상이 휴대하기 편리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목걸이, 반지, 손목밴드, 카드, 허리벨트버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형 비콘(200)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한다. 이 경우 이동형 비콘(200)은 대략 50m 범위 내(최대 70m까지)에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블루투스를 사용하면 이동형 비콘의 소비전력을 급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mA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600~700mSec 주기로 비콘 식별정보를 발신하는 이동형 비콘은 배터리 교체없이도 1년 이상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형 비콘(200)은 자주 충전해야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이동형 비콘(200)은 스스로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GPS모듈을 포함하지 않는다. GPS모듈은 이동형 비콘(200)의 비용, 부피, 무게, 소비전력을 상승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면 위치추적 대상이 이동형 비콘(200)을 휴대하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므로 일상생활에서 늘 소지하도록 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간단하게 위치추적대상에게 부착시키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증가되면 자주 충전해야하는 문제가 있으며, 위치추적 도중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이동형 비콘(20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동형 비콘(200)으로부터는 최소한의 정보(예를들어 비콘 식별정보)만을 발신하도록 하는 대신, 크라우드소싱에 동원되는 장치에 포함된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이동형 비콘(2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하, 크라우드소싱을 수행하는 복수의 리스너에 대해 설명한다.
리스너(220)는 이동형 비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불특정 다수의 디바이스이다. 리스너(220)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동형 비콘(200)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대응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스너(220)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너(220)는 이동형 비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외에 수신한 비콘 식별정보를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스너(220)가 스마트폰인 경우 3G 또는 4G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리스너(220)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기인 경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유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너(220)는 이와 같은 별도의 통신모듈을 통해서 수신한 비콘 식별정보(경우에 따라서 자신의 GPS좌표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리스너(220)가 스마트폰인 경우는 이와 같은 데이터 송신에 의해 무선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실제 사용하는 무선 데이터 사용량은 미미하다. 비콘 식별정보의 데이터는 평균적으로 20byte 내외가 될 것이며 GPS좌표정보 또한 용량이 크지 않다. 또한, 스마트폰이 비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주기를 제어하거나, 스마트폰이 사용할 수 있는 총 데이터의 사용량을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리스너(220)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리스너(220)는 GPS모듈을 탑재하여 직접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스너는 수신한 비콘 식별정보와 자신의 GPS정보를 동시에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한다.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리스너라면 GPS좌표를 알 수 있으므로 별도의 GPS모듈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리스너가 간접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의 중계기를 통해 해당 리스너(스마트폰)의 위치를 삼각측량방법으로 알아낼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리스너(220)는 스마트폰, 테블릿, WiFi AP, 블루투스 중계기, 이동통신 중계기 등과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스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리스너로서 동작하기 위해 스마트폰에는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소셜네트워스서비스(SNS) 어플리케이션, 포털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출고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동통신사의 요구에 따라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위치추적 전용앱)이 설치된 스마트폰만으로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하는 서비스는 위치추적이 부정확하거나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의 수가 적거나, 해당 스마트폰이 블루투스 수신기능을 오프해둔 경우 위치추적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1스마트폰 그룹 및 제2스마트폰 그룹으로부터 동시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을 실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 리스너(220)로서 동작하는 스마트폰은 제1스마트폰 그룹(220(1)) 및 제2스마트폰 그룹(220(2))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스마트폰 그룹(220(1))은 제1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제1스마트폰그룹(220(1)) 및 제2스마트폰그룹(220(2))은 제1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제1스마트폰그룹(220(1)) 및 제2스마트폰그룹(220(2))은 하나의 리스너 네트워크로 설정되어 동시에 하나의 이동형 비콘(2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떤 통신사를 이용하는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는가를 불문하고 이론적으로 거의 모든 스마트폰을 리스너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만으로 위치추적을 하는 것과 비교하여 위치추적의 정확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는 이동형 비콘(200)의 비콘 식별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등록하는 비콘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는 비콘 등록서버(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500)은 비콘 등록서버(310)에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식별정보와 사용자정보를 등록한다. 비콘 식별정보와 사용자정보는 데이터베이스(315)에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다.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위치추적대상에 대한 정보, 위치추적결과를 통보받을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포함하며 복수 지정 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콘 등록절차를 통해 이동형 비콘의 난립을 통제할 수 있다. 이동형 비콘이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경우 블루투스가 이용하는 ISM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콘에 대하여 중복투자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파 간섭과 충돌로 인해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콘 등록서버(310)는 위치추적 대상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피추적자와 추적자에 대한 인증을 요구할 수 있으며, 추적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로서, 위치추적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는 이동형 비콘(200)에 대한 위치추적 결과를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는 위치추적 결과를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OPEN API)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beacon_ID를 입력하면 해당 beacon_ID의 position을 리턴하는 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는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위치추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프로그래밍 방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는 위치추적 서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 비콘을 등록한 사용자 단말에게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한다. 이를 위해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어플리케이션(411, 412) 또는 웹사이트(421, 422)를 운영하여 사용자 단말(500)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의 운영주체와 동일한 운영주체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른 제3자가 운영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일 실시예에서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며, 상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자가 운영하는 응용서비스 제공서버는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형 비콘을 등록한 사용자 단말에게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콘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비즈니스 생태계의 상생공존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하는 각종 함수를 오픈소스 형태로 개방하여 제공하므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가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는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이 제공하는 비콘을 이용하기만 하면 별도로 비콘을 제작하여 배포하는데 시간과 에너지를 쏟지 않아도 되며, 오픈 소스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만으로도 신규 비콘 비즈니스를 런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에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식별정보 및 비콘 사용자정보를 등록하고, 응용서비스 제공서버에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위해 사용자 단말(500)은 스마트폰(510) 또는 컴퓨터(520)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종 디바이스 간 리스너 네트워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스너는 스마트폰, 테블릿, WiFi AP, 블루투스 중계기, 이동통신 중계기 등과 같은 이종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종 디바이스를 리스너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이동형 비콘의 위치를 추적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보도블럭을 따라 이동하는 불특정인이 소지한 스마트폰(231) 또는 테블릿(233), 카페에 설치된 WiFi 또는 블루투스 중계기(235), 지상 또는 지하철 등에 설치된 이동통신 중계기(237)과 같은 이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밀도있는 리스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비콘(200)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210)에 있는 이종 디바이스(231, 233, 235, 237)를 이용하여 이동형 비콘(200)의 위치를 추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추적의 정확도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복수의 리스너를 이용하여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3은 두 개의 리스너가 이동형 비콘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 4는 다섯 개의 리스너가 이동형 비콘의 신호를 시순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개의 리스너(241, 242)가 이동형 비콘(200)의 신호수신범위(210) 내에 위치하고, 두 개의 리스너(241, 242)가 동일한 이동형 비콘(200)의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리스너(241, 242)를 중심으로 리스너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251, 252)을 원으로 표현한다. 두 개의 영역(251, 252)이 중복되는 부분을 X로 표시한다. X영역은 리스너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251, 252)이 중복되는 영역이므로, X영역 내에 이동형 비콘(200)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섯 개의 리스너(261 내지 265)가 이동형 비콘(200)의 신호수신범위(210)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다섯 개의 리스너(261 내지 265)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271 내지 275)을 각각 원으로 표현하고 중복된 영역을 Y로 표시한다. Y영역은 리스너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영역(271 내지 275)이 중복되는 영역이므로, Y영역 내에 이동형 비콘(200)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X영역과 도 4의 Y영역의 면적을 비교하면 Y영역이 면적이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만큼 이동형 비콘(200)의 위치추적 정밀도가 향상됨을 의미한다. 앞서 강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픈 플랫폼을 이용하여 비콘의 위치를 추적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은 물론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디바이스를 모두 하나의 리스너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이동형 비콘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위치추적의 정밀도가 현저하게 상승됨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리스너가 수집한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주체에 따른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비콘(200)의 신호수신범위(210) 내에 위치한 스마트폰 (220)이 이동통신 중계기(280)를 경유하여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에 비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에 포함된 비콘 등록서버(310) 및 위치추적 서버(320)는 해당 비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형 비콘(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위치추적 결과를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한다.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가 제공한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500)에게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비콘(200)의 신호수신범위(210) 내에 위치한 스마트폰 (220)이 이동통신 중계기(280)를 경유하여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에 비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300)가 제공한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비콘 식별정보에 대한 위치추적을 요청한다. 응용서비스 제공서버(400)는 위치추적 결과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안심존을 설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형 비콘이 위치해도 안전한 지역을 소정의 범위로 표시한 안심존(Safe zone)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심존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내로 설정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안심존은 위치추적 대상의 일상생활에서의 동선을 중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7의 위치추적 대상의 주거지인 아파트 단지(620)를 기준으로 안심존(A)을 설정할 수 있다.
안심존의 설정을 위해 본 발명은 안심존을 설정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안심존 설정포인트(711, 712, 713, 714, 715, 716, 717)과 같은 포인트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의 터치화면에 표시된 안심존 설정포인트(711, 712, 713, 714, 715, 716, 717)의 위치를 변경하여 안심존(A) 설정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는 이동형 비콘의 이동패턴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안심존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비콘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이동형 비콘의 이동패턴을 추출하고, 이동패턴에서 이동이 거의 없고 체류시간이 긴 지역을 안심존으로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안심존은 해당 지역의 지도정보를 매칭하여 안심존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아파트 단지에서 이동형 비콘의 체류시간이 높다면 해당 아파트 단지 전체를 안심존으로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심존의 자동추천과 안심존 설정포인트를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이 보다 쉽고 세밀하게 안심존을 설정하도록 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복수의 안심존을 설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형 비콘의 생활권은 복수개의 주생활영역을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비콘은 집, 학교, 학원과 같은 영역을 주생활영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반영하여 복수의 안심존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거주지에 대응하는 A 안심존을 설정하는 것 이외에도 학교에 대응하는 B 안심존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B 안심존을 설정하기 위한 안심존 설정포인트(721, 722, 723, 724)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A 안심존과 B 안심존을 연결하는 도로(610)를 C 안심존으로 자동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로(610)를 C 안심존으로 설정하기 위해 이동형 비콘의 이동패턴을 분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평소에 늘 다니던 통학로를 안심존으로 설정하면 이동형 비콘이 A 안심존 또는 B 안심존 영역을 이탈하더라도 경고를 울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통학로를 수동으로 설정하여 별도의 안심존으로 지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동형 비콘이 안심존을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게 경고를 통보할 수 있다. 경고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에 대한 연락처는 비콘 등록서버(310)의 데이터베이스(315)에 저장될 수 있으며, 통보받을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다. 경고의 통보는 문자, 어플리케이션 푸시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 제공 서버가 비록 위치추적 결과를 제3자인 응용서비스 제공서버에게 제공하는 것과 별도로, 본 발명은 리스너로서의 스마트폰 또는 이동형 비콘을 등록한 사용자 단말에게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형 비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지 여부를 체크하는 비콘신호 체크모듈, 이동형 비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주기 및 수신가능 시간을 설정하는 비콘신호 체크설정모듈, 위치추적할 이동형 비콘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비콘등록 관리모듈, 등록된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와 최근 위치 이력을 확인하는 비콘위치 확인모듈, 지도 상에서 이동형 비콘의 안전범위인 안심존을 설정하고, 이동형 비콘이 상기 안심존에서 벗어나는 경우 푸시 알림을 송출하도록 설정하는 안심존 제어모듈, 이동형 비콘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스마트폰에 도움요청을 푸시하는 도움요청 발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
(1) 본 발명의 비콘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라 블루투스 비콘 이외에도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 리스너로서 동작하는 스마트폰에는 리스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리스너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형 비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리스너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필수 기능을 수행하기만 하면되며, 누가 개발하여 배포하는지, 주된 용도가 무엇인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스너 어플리케이션은 응용서비스 제공서버는 물론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리스너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위치추적 전용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도 누가 개발하여 배포하는지, 주된 용도가 무엇인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기능으로 이동형 비콘 위치추적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오픈 플랫폼 기반 위치추적 서비스는 사회복지 분야에 IoT 기술을 접목시킨 공공적인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되는 공공서비스의 일환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소정의 등급을 인정받은 경우 해당 이동형 비콘을 치매환자에게 저렴하게(또는 무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 차원에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배포할 수도 있다.
한편, 관련 법률의 도움으로 모든 스마트폰에 리스너 어플리케이션을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거나,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보급하는 경우 보상(세제해택 등)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4) 치매환자용 이동형 비콘
치매환자에게 부착되는 이동형 비콘은 의도적 또는 부지불식간에 제거하기 어렵도록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매환자용 이동형 비콘 잠금장치가 포함된 브로치, 손목밴드, 허리벨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동형 비콘은 한명의 피 추적자에 복수 개의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잠금장치가 포함된 이동형 비콘은 치매환자용 이외에도 미아방지용 이동형 비콘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치매환자가 소지하거나 치매환자에게 부착되어 치매환자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내장된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자신의 비콘 식별정보(beacon ID)를 불특정 다수의 리스너에게 송신하는 이동형 비콘;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이동형 비콘으로부터 비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복수의 스마트폰; 및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식별정보 및 보호자정보를 등록하는 비콘 등록절차를 구축하고, 상기 이동형 비콘에 대한 위치추적 결과를 미리 정한 절차에 따라 개방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는 서로 다른 이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1스마트폰 그룹 및 제2스마트폰 그룹으로부터 동시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는 이동형 비콘이 위치해도 안전한 지역인 안심존(Safe zone)을 설정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형 비콘이 상기 안심존을 이탈한 경우 알람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인,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비콘은 치매환자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어플리케이션은 리스너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소셜네트워스서비스(SNS) 어플리케이션, 포털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출고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이동통신사의 요구에 따라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위치추적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 결과를 서비스하는 응용서비스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식별정보 및 비콘 보호자정보를 등록하고, 오픈 플랫폼 제공서버 또는 응용서비스 제공서버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150124272A 2015-09-02 2015-09-02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79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72A KR101792339B1 (ko) 2015-09-02 2015-09-02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272A KR101792339B1 (ko) 2015-09-02 2015-09-02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22A KR20170027522A (ko) 2017-03-10
KR101792339B1 true KR101792339B1 (ko) 2017-11-01

Family

ID=5841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272A KR101792339B1 (ko) 2015-09-02 2015-09-02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3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125B1 (ko) * 2019-07-24 2020-02-28 주식회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자의 측위 분석 방법
KR20200061956A (ko) 2018-11-26 2020-06-03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단말기를 통한 치매환자의 거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58322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치매 환자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2662251B1 (ko) 2023-07-24 2024-04-30 주식회사 이투온 인공지능 기반의 치매 환자 추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0989B1 (en) 2019-09-27 2021-04-06 Tereo Corporation, Inc. Proximity alert device and method
KR102395585B1 (ko) * 2020-07-29 2022-05-09 주식회사 푸른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이동통신기기 확인방법
KR102578042B1 (ko) * 2021-03-24 2023-09-14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114527A (ko) *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푸른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이동통신기기 확인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41B1 (ko) * 2014-12-16 2015-07-09 강동길 블루투스비콘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KR101550302B1 (ko) * 2014-07-08 2015-09-07 주식회사 유시스 비콘신호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02B1 (ko) * 2014-07-08 2015-09-07 주식회사 유시스 비콘신호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535041B1 (ko) * 2014-12-16 2015-07-09 강동길 블루투스비콘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956A (ko) 2018-11-26 2020-06-03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단말기를 통한 치매환자의 거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83125B1 (ko) * 2019-07-24 2020-02-28 주식회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자의 측위 분석 방법
KR20220158322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치매 환자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2662251B1 (ko) 2023-07-24 2024-04-30 주식회사 이투온 인공지능 기반의 치매 환자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522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339B1 (ko)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9002372B2 (en) Locating system for autistic child and others
US111644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evice restriction zone maintenance
KR101410988B1 (ko) 위치 관리 시스템
TWI586988B (zh) 追蹤裝置以及追蹤裝置控制方法
KR102343580B1 (ko) 인지 장애인 및 이들의 부양자를 위한 개선된 위치 인지 및 위치 확인 시스템
CN104871576A (zh) 包含近场通信的移动设备情境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KR20180026500A (ko) 단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위치 시스템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WO2015180674A1 (zh) 防丢失系统用随身设备和防丢失系统
Boulos et al. Geo-enabled technologies for independent living: examples from four European projects
KR101708124B1 (ko) 추적한 비콘의 이동경로를 고려한 지오펜싱 방법
CN104410432B (zh) 微型数字信标器及快速查寻移动目标的监控系统和方法
JP2017005668A (ja) 防犯及び防災システム
KR101281832B1 (ko) 애완견 위치알림 시스템
US2021034894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and Tracing Proximity Contacts
CN107851362A (zh) 电子监视系统及方法
KR20070071569A (ko) 미아방지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777465B1 (ko)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하여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140107990A (ko) 착용 단말을 이용한 환자 관리시스템
RU2488855C2 (ru) Датчик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объекта
KR101542575B1 (ko)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onir et al. IoT enabled geofencing for COVID-19 home quarantine
CN204349971U (zh) 微型数字信标器及快速查寻移动目标的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