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867A -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867A
KR20170056867A KR1020150160227A KR20150160227A KR20170056867A KR 20170056867 A KR20170056867 A KR 20170056867A KR 1020150160227 A KR1020150160227 A KR 1020150160227A KR 20150160227 A KR20150160227 A KR 20150160227A KR 20170056867 A KR20170056867 A KR 2017005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space
discharged
pipe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관흠
Original Assignee
심관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관흠 filed Critical 심관흠
Priority to KR1020150160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867A/ko
Publication of KR2017005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two or more screws or w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탈수기능은 물론 수분의 배출 전 수분에 함유된 부유물의 응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 후 진행되는 수처리 과정에서 부유물과 물 간의 분리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탈수과정 및 추후 진행되는 수처리 과정의 전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탈수조의 배출과정에서 고형물의 배출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고형물이 탈수조 내부로부터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MULTI PALLET}
본 발명은 다기능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탈수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수분과 고형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수분에 함유된 부유물의 추가적인 분리를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추후 진행되는 수처리 과정에서의 부유물 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나 기타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처럼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처리를 요하는 대상물들은 모두 매립이나 연소처리 전에 함유된 수분을 최대한 제거하는 탈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탈수 과정은 별도의 탈수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탈수장치는 크게 밀폐된 공간 내에서 탈수대상물을 가압하여 수분을 빼내는 압축형 탈수장치와 탈수대상물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회전형 탈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 중 회전형 탈수장치는 압축형 탈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탈수율이 높고 탈수 시간이 짧으며 구조가 간소한 장점 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형 탈수장치는 외부에서 투입된 탈수 대상물이 탈수드럼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탈수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탈수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이 원심력에 의해 탈수드럼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회전형 탈수장치는 탈수드럼으로 배출된 액상의 수분이 그대로 직접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때 액상의 수분 내에는 탈수 과정에서 탈수드럼을 통과한 미세크기의 부유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탈수장치로부터 배출된 수분은 추후 별도의 수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부유물을 걸러내는 과정을 추가로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수분배출 시 배출 전 수분에 함유된 부유물의 함유량이 높을 경우 그만큼 추후 진행되는 수처리과정에서의 침전과정 시간 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즉 기존에는 수분의 배출과정에서 부유물의 함유상태 및 추후 진행될 수처리 과정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단순 탈수기능만을 발휘함에 따라 탈수 및 이후 진행될 수처리과정 전체적으로 공정 단축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기존의 탈수장치는 수분이 분리된 고형물의 배출과정에서 고형물의 배출구가 특정 지점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됨에 따라 탈수조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고형물이 해당 배출구로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려우므로 배출구 주변에 적체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 된다.
더불어 기존에는 단순히 탈수조의 일측을 개방하고 해당 개방지점을 통해 고형물이 단순히 밀려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형물의 종류 등에 따라 배출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해 배출구가 막히는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탈수기능은 물론 수분의 배출 전 수분에 함유된 부유물의 응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 후 진행되는 수처리 과정에서 부유물과 물 간의 분리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탈수과정 및 추후 진행되는 수처리 과정의 전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탈수조의 배출과정에서 고형물의 배출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고형물이 탈수조 내부로부터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고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케이스의 타측 외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케이스 외측 지점에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 내 지점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관 내부로 투입된 탈수대상물을 상기 유입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유도스크류,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투입관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유입구 주변 지점에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이송유도관, 상기 이송유도관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탈수드럼, 상기 이송유도관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탈수드럼 내부로 배출된 탈수대상물을 상기 투입구쪽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송유도 스크류날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탈수드럼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드럼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수호퍼, 상기 케이스 하측에 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내부가 상기 배수호퍼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와류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와류유도관, 상기 와류유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와류형성공간으로 유입된 수분의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유도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 중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실의 바닥면에는 고형물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실 내에 위치하고 있고 중앙지점이 상기 유입관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탈수조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탈수드럼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는 상기 탈수드럼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유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둘레면에는 상기 배출유도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고형물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토출부는 테두리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회전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도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각 회전격벽 간 사이 공간이며, 상기 고형물 토출공은 상기 각 배출유도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 테두리에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수드럼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고형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각 배출유도공간과 고형물 토출공을 통해 하우징 사방으로 토출된 후 상기 배출구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응집제를 상기 와류형성공간에 유입된 수분과 혼합되어 수분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응집시키고, 상기 와류유도스크류는 상기 응집제 투입된 수분을 교반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킴으로써 부유물질과 응집제 간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유도스크류는 상기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날개 및 상기 스크류날개의 표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되 스크류날개 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보조와류유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탈수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수분이 외부로 최종 배출되기 전에 와류형성스크류에 의해 휘저어져 와류가 형성된 상태로 배출됨에 따라, 와류 형성으로 인해 수분의 원활하고 신속한 배출이 유도된다.
또한 와류유도공간 내 수분에 응집제가 투입된 상태에서 와류형성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응집제와 부유물 간의 결합이 유도되고 그로 인해 부유물의 응집이 촉진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추후 진행되는 수처리 과정에서 수분과 부유물 간의 분리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와류유도공간 내에서 부유물의 응집이 이루어지더라도 와류형성스크류에 으해 수분의 와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배수공의 막힘 현상 없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토출부가 회전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 하는 탈수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고형물이 원활하게 회전토출부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이 가능하고,
회전토출부의 회전 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해 사방으로 배출되므로 그만큼 고형물이 회전토출부로부터 월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고형물이 각 회전격벽 사이에 분할 수용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그만큼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1은 전체 단면도
도2는 탈수대상물의 투입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이송유도관으로부터 배출된 탈수대상물이 탈수조 내부에서 이송유도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며 탈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고형물이 회전토출부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고 수분이 와류유도공간 내에서 와류유도스크류에 의해 교반된 상태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회전토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0)와 회전축(200), 투입관(300), 투입유도스크류(330), 이송유도관(400), 이송유도 스크류날개(420), 탈수드럼(900), 와류유도관(700) 및 와류유도스크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탈수장치의 외곽 케이스 역할 및 내부에 타 구성요소의 설치 공간 제공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지지다리(150)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케이스(100)의 구조 및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스(100)에는 회전축(200)이 설치된다.
회전축(200)은 후술하는 이송유도관(400)과 이송유도 스크류날개(420) 및 탈수드럼(900)을 회전시켜, 탈수드럼(900) 내에서 탈수대상물(1)의 이송과 탈수드럼(900)의 회전을 통한 수분배출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일측 외부로부터 케이스(100)를 횡방향으로 관통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200)의 일측 단부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별도의 제1구동모터(21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케이스(100) 내 수용공간(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투입관(300)은 케이스(100)의 타측 외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케이스 외측 지점에는 투입구(3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110) 내 지점에는 유입구(320)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투입유도스크류(330)는 상기 투입관(3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관(300) 내부로 투입된 탈수대상물(1)을 상기 유입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유도관(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상기 투입관(300)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유입구(320) 주변 지점에는 토출구(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탈수드럼(900)은 이송유도관(400)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축(200)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를 띠며 매쉬나 타공망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탈수대상물 중 입자크기가 큰 고형물은 탈수드럼(9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수분과 미세부유물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유도 스크류날개(420)는 이송유도관(400)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410)를 통해 상기 탈수드럼(900) 내부로 배출된 탈수대상물(1)을 상기 투입구(310)쪽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호퍼(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10) 중 상기 탈수드럼(900)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드럼(900)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와류유도관(700)은 상기 케이스(100) 하측에 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내부가 상기 배수호퍼(500)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와류형성공간(71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공이송유도 스크류날개(420)는 이송유도관(400)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410)를 통해 상기 탈수드럼(900) 내부로 배출된 탈수대상물(1)을 상기 투입구(310)쪽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호퍼(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10) 중 상기 탈수드럼(900)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드럼(900)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와류유도관(700)은 상기 케이스(100) 하측에 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내부가 상기 배수호퍼(500)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와류형성공간(71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공(7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와류유도스크류(600)는 와류유도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2구동모터(630)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와류형성공간(710)으로 유입된 수분의 와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와류유도스크류(600)는 와류유도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2구동모터(630)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와류형성공간(710)으로 유입된 수분의 와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케이스(100)는 내부 중 상기 수용공간(110) 일측에 격실(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실(120)의 바닥면에는 고형물(3)의 배출구(130)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격실(120)에는 회전토출부(800)가 설치되는데, 회전토출부(800)는 격실(120) 내에 위치하고 있고 중앙지점이 상기 투입관(300)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탈수드럼(90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탈수드럼(900)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는 상기 탈수드럼(900)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유도공간(8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둘레면에는 상기 배출유도공간(830)과 외부를 연통하는 고형물 토출공(84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토출부(800)는 테두리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810) 및 상기 하우징(810)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회전격벽(8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유도공간(830)은 상기 하우징(810)의 내부 중 상기 각 회전격벽(820) 간 사이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 고형물 토출공(840)은 상기 각 배출유도공간(830)과 연통 되도록 상기 하우징(810) 테두리에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수드럼(90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810) 내부로 유입된 고형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각 배출유도공간(830)과 고형물 토출공(840)을 통해 하우징(810) 사방으로 토출된 후 상기 배출구(130)로 유입된다.
더불어 이러한 구조에서 응집제투입부()는 케이스(100)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응집제를 상기 와류형성공간(710)에 유입된 수분(2)에 투입하여 수분과 응집제가 혼합되어 수분에 함유된 부유물질이 응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와류유도스크류(600)는 상기 응집제가 투입된 수분을 교반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킴으로써 부유물질()과 응집제 간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더불어 상기 와류유도스크류(600)는 스크류봉(610)이 상기 제2구동모터(630)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고 스크류날개(620)가 상기 스크류봉(610)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이 상태에서 스크류날개(620)의 표면에는 보조와류유도돌기()가 스크류날개(620) 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구조가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와류유도돌기()에 의해 와류 형성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응집제가 투입되었을 때 응집제와 부유물질 간의 결합을 더욱 유도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격실(120)에는 회전토출부(800)가 설치되는데, 회전토출부(800)는 격실(120) 내에 위치하고 있고 중앙지점이 상기 유입관()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탈수드럼(90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어 탈수드럼ㅍ과 함께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는 상기 탈수드럼(900) 내부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유도공간(8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둘레면에는 상기 배출유도공간(830)과 외부를 연통하는 고형물 토출공(84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토출부(800)는 테두리가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810) 및 상기 하우징(810) 내부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회전격벽(8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유도공간(830)은 상기 하우징(810)의 내부 중 상기 각 회전격벽(820) 간 사이 공간이 된다.
이송유도 스크류날개(420)는 이송유도관(400)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410)를 통해 상기 탈수드럼(900) 내부로 배출된 탈수대상물(1)을 상기 투입구(310)쪽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호퍼(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10) 중 상기 탈수드럼(900)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드럼(900)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와류유도관(700)은 상기 케이스(100) 하측에 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내부가 상기 배수호퍼(500)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와류형성공간(71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와류유도스크류(600)는 와류유도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2구동모터(630)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와류형성공간(710)으로 유입된 수분의 와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유도 스크류날개(420)는 이송유도관(400)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410)를 통해 상기 탈수드럼(900) 내부로 배출된 탈수대상물(1)을 상기 투입구(310)쪽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호퍼(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110) 중 상기 탈수드럼(900)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드럼(900)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와류유도관(700)은 상기 케이스(100) 하측에 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내부가 상기 배수호퍼(500)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와류형성공간(71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와류유도스크류(600)는 와류유도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2구동모터(630)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와류형성공간(710)으로 유입된 수분의 와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1 : 탈수대상물 2 : 수분
3 : 고형물 4 : 응집제
100 : 케이스 110 : 수용공간
120 : 격실 130 : 배출구
200 : 회전축 210 : 제1구동모터
300 : 투입관 310 : 투입구
320 : 유입구 330 : 투입유도스크류
400 : 이송유도관 410 : 토출구
420 : 이송유도 스크류날개 500 : 배수호퍼
600 : 와류유도스크류 610 : 스크류봉
620 : 스크류날개 630 : 제2구동모터
700 : 와류유도관 710 : 와류형성공간
720 : 배수공 800 : 회전토출부
810 : 하우징 820 : 회전격벽
830 : 배출유도공간 840 : 고형물 토출공

Claims (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횡 방향으로 관통하고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케이스의 타측 외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케이스 외측 지점에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 내 지점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투입관,
    상기 투입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관 내부로 투입된 탈수대상물을 상기 유입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유도스크류,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투입관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유입구 주변 지점에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이송유도관,
    상기 이송유도관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고 일측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탈수드럼,
    상기 이송유도관의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탈수드럼 내부로 배출된 탈수대상물을 상기 투입구쪽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송유도 스크류날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탈수드럼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탈수드럼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수호퍼,
    상기 케이스 하측에 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내부가 상기 배수호퍼와 연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와류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와류유도관,
    상기 와류유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기 와류형성공간으로 유입된 수분의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유도스크류
    를 포함하는
    탈수장치.
KR1020150160227A 2015-11-16 2015-11-16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KR20170056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27A KR20170056867A (ko) 2015-11-16 2015-11-16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27A KR20170056867A (ko) 2015-11-16 2015-11-16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867A true KR20170056867A (ko) 2017-05-24

Family

ID=5905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227A KR20170056867A (ko) 2015-11-16 2015-11-16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9201A (zh) * 2019-01-29 2019-05-17 浙江其奋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回收利用处理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9201A (zh) * 2019-01-29 2019-05-17 浙江其奋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回收利用处理工艺
CN109759201B (zh) * 2019-01-29 2021-08-24 浙江其奋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回收利用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552B (zh) Centrifugal dewatering and centrifugal dewatering
KR200439085Y1 (ko)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JP6035644B2 (ja) 濃縮脱水装置
JP2018083161A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CN208395030U (zh) 一种新型含油污泥脱水处理装置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70056867A (ko)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KR20170055671A (ko) 우엉탈피장치
KR20150127311A (ko) 탈수장치
KR20170056872A (ko) 다기능 파렛트
KR20170055668A (ko) 탈수장치
KR20170055670A (ko) 탈수장치
KR20170056869A (ko) 폐기물처리 및 이를 이용한 가열연료 제조방법
CN215195546U (zh) 一种二沉池污泥处理系统
CN105880038A (zh) 一种自来水污泥彻底分离设备
JP2006272058A (ja) 遠心分離装置
RU2417844C1 (ru) Центрифуга с непрерывной выгрузкой осадка
KR20120091553A (ko) 폐수처리용 고액분리장치, 스크루 탈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JP2012130859A (ja) 汚泥脱水装置
KR101892241B1 (ko) 유분 분리 장치
CN206996877U (zh) 结晶反冲洗离心机
KR201000416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유닛
CN106316039A (zh) 新型智能污泥浓缩处理装置
JP5087053B2 (ja) 泥水の脱水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27046B1 (ko) 함수슬러지의 수분분리를 위한 원심분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