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589A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589A
KR20170055589A KR1020150157990A KR20150157990A KR20170055589A KR 20170055589 A KR20170055589 A KR 20170055589A KR 1020150157990 A KR1020150157990 A KR 1020150157990A KR 20150157990 A KR20150157990 A KR 20150157990A KR 20170055589 A KR20170055589 A KR 20170055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nystagmus
information
replacement
dizz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화
박무균
홍민
오동익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코어
Priority to KR102015015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589A/ko
Publication of KR2017005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3Measuring or inducing nystag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F11/00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지럼증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어지럼증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이석치환술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스스로 손쉽게 어지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가 어지럼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석증,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 OF VARIOUS DIZZINESS USING WEARABLE DEVICE AND SMART DEVICE}
본 발명은 어지럼증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어지럼증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이석치환술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스스로 손쉽게 어지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석이란 귀 속의 난형낭에 있는 작은 칼슘덩어리로, 이석이 제자리에서 탈락되어 반고리관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전움직임을 감지하여야 하는 반고리관이 중력방향에 대한 머리의 움직임에도 반응을 하게 되어 두위 변화 시 심한 어지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이석증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이석증 치료에는 자세에 변화를 주어 이석의 위치를 회전자극이 덜한 곳으로 옮기는 이석치환술이 이용된다. 이석치환술은 이석이 위치한 반고리관의 부위와 방향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석의 위치를 정확히 진단하여야만 적절하고 효과적인 이석치환술이 가능하다.
이석의 위치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두위 변화에 따라 유발되는 안진의 방향을 관찰함으로써 이석이 위치한 반고리관을 진단하여야 한다. 안진이란 이석증과 같이 말초전정계 이상뿐만 아니라 대뇌에 이르는 다양한 안구 운동계의 이상에 의하여 물체의 상이 망막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이를 교정하기 위해 나타나는 교정성 안구운동을 말하며, 이석증은 이석의 위치에 따라 두위 변화 시 특징적인 안진이 나타나므로 이를 통해 이석의 위치를 진단할 수 있다.
이석의 위치에 따른 안진의 특징으로는, 이석이 측수평반고리관에 위치한 경우 수평성분의 안진이 발생하고, 앙와위에서 좌·우 두위에 따라 방향이 변하는 특징을 가지며, 이석이 후반고리관에 위치한 경우에는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병변쪽으로 45˚ 돌린 상태에서 현수위로 고개를 떨어뜨리는 딕스-홀파이크(Dix-Hallpike) 수기에 따라 향지성 회전성 안진(Geotropic Torsional Nystagmus)이 나타나지만 반대쪽을 주시하게 되면 상향안진이 발생한다.
이석증에 의한 어지럼증은 대응하는 이석치환술을 통해 비교적 손쉽게 치료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직접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적절한 이석치환술이 실시된 후에도 이석증이 재발할 가능성이 50% 정도까지 보고되고 있어 재발이 의심될 때마다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석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이석 위치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 위치에 따라 적절한 이석치환술을 스스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 스스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어지럼증의 대표적 질환인 이석증, 메니에르, 전정신경염을 검사하고 그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석증의 증상을 진단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하여 이석의 위치 및 방향을 검사하고, 이에 대응한 적절한 이석치환술을 제공하여 환자 스스로 병원 방문 없이도 이석치환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가 어지럼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석증,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발안진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평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발안진, 수평반고리관 이석증 또는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자세가 검사에 적합한 자세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발안진, 수평반고리관 이석증 및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는 각각, 트레이스 처리부가 트레이스 정보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구성하는 단계,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부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HMD 정보로 구성하는 단계, 판단부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와 HMD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영상처리부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영상 정보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부가 상기 HMD 정보와 영상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안진 현상 정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이석 위치가 수평반고리관인 경우, 반고리관 이석증일 때 Barbecue 치환술을 실시하고, 팽대부릉정 이석증일 때 Gufoni 치환술을 실시하며, 이석 위치가 후반고리관인 경우, Epley 치환술을 실시하고, 이석 위치가 상반고리관인 경우, Rahko 치환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Barbecue 치환술, Gufoni 치환술, Epley 치환술 및 Rahko 치환술을 실시하는 단계는 각각, 트레이스 처리부가 트레이스 정보를 가상현실로 구성하는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에 맞춰 HMD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단계, HMD 처리부가 HMD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판단부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와 HMD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영상처리부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 후, 안진 현상이 여전히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병원 방문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석증을 스스로 손쉽게 진단 및 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진단 및 감별한 이석증에 대응한 이석치환술을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하여 이석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확한 이석치환술이 가능하도록 전정재활치료 시 정확한 두위와 체위의 각도 및 강도를 제공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스마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어지럼증의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진 현상 발생 정보 획득 단계의 세분화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진 현상 발생 정보 획득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 구동 단계의 세분화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 구동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d 및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를 투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사용자 스스로 어지럼증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이석치환술을 수행하여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손쉽게 어지럼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어지럼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석증,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어지럼증이 있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어지럼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10).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간(또는 동물)의 몸에 착용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하는 전자 기기로서, 손, 팔목, 발목, 목, 몸통 등 여러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말하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안진 현상을 파악하여야 하기 때문에 눈을 포함하는 얼굴 부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내지 7c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며,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눈 부위에 디바이스가 위치하며 밴드 등을 통해 얼굴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7d 및 7e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부를 투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는데,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단말기 등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 해당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위치에 휴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는 사용자 눈동자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오목렌즈와 핀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적인 측면에서 트레이스 처리부(110), HMD 처리부(120), 영상처리부(130) 및 판단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S20), 안진이란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말초전정계 이상뿐만 아니라 대뇌에 이르는 다양한 안구 운동계의 이상에 의하여 물체의 상이 망막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이를 교정하기 위해 나타나는 교정성 안구운동으로서, 상기 안진 현상으로부터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어지럼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여러 가지 검사들로 세분화될 수 있는데,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진 현상 발생 정보 획득 단계의 세분화된 순서도가 도시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자발안진을 검사하는 단계(S21),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평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S22),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S23)로 세분화될 수 있는데, 각각의 단계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취하는 행동을 토대로 검사될 수 있다. 제공하는 안내 문구는 다음과 같다.
자발안진 검사: 1. 바로 앉은 자세로 눈을 뜨고 가만히 정면을 바라보세요.
수평반고리관 이석증 검사: 2. 뒤로 바로 누우세요. 3. 오른쪽 귀가 아래로 향하도록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리세요. 4. 왼쪽 귀가 아래로 향하도록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세요. 5. 다시 일어나 앉아 정면을 바라보세요.
후반고리관 이석증 검사: 6. 바로 앉은 자세에서 오른쪽으로 고개를 45˚ 돌린 상태에서 뒤로 누워 고개를 침대 밑으로 떨어뜨리세요. 7. 다시 일어나 앉으세요. 8. 바로 앉은 자세에서 왼쪽으로 고개를 45˚ 돌린 상태에서 뒤로 누워 고개를 침대 밑으로 떨어뜨리세요. 9. 다시 일어나 앉으세요.
상기 검사들과 안내 문구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추가될 수 있고,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각 검사들은 도 6에 도시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부 구성들이 담당하는 기능들을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지며, 그 기능은 도 3에 나타난 순서도와 같이, 트레이스 처리부(110)가 트레이스 정보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구성하는 단계(S200),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부(12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HMD 정보로 구성하는 단계(S210), 판단부(140)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와 HMD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 영상처리부(130)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영상 정보로 구성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판단부가 상기 HMD 정보와 영상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안진 현상 정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자발안진, 수평반고리관 이석증 또는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자세가 검사에 적합한 자세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4)를 더 포함하여 만약 사용자의 자세가 검사에 부적합한 자세였던 경우에는 다시 상기 검사들을 반복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한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석증,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 여부를 판단하고(S30), 만약 이석증이 아니라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이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엔 병원을 방문하도록 권유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70).
그렇지 않고 이석증에 해당한다는 판단이 도출될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석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S40). 안진 현상 즉, 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정의된 진단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이석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며, 이 정보는 추후 이석치환술을 제공할 근거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과정이 진행되는데(S50), 그 과정은 이석 위치가 수평반고리관인 경우, 반고리관 이석증일 때 Barbecue 치환술을 실시하고(S51), 팽대부릉정 이석증일 때 Gufoni 치환술을 실시하며(S52), 이석 위치가 후반고리관인 경우 Epley 치환술을 실시하고(S53), 이석 위치가 상반고리관인 경우 Rahko 치환술을 실시하게 된다(S54).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 구동 단계의 세분화된 순서도가 도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의 검사 단계에서 3번 안내 문구 제시 시 강한 오른쪽 방향 안진이 발생하고 4번 안내 문구 제시 시 약한 왼쪽 방향 안진이 일어난 경우는 오른쪽 수평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반고리관 이석증에 해당하므로 오른쪽 Barbecue 치환술을 실시하게 되고, 3번 안내 문구 제시 시 약한 오른쪽 방향 안진이 발생하고 4번 안내 문구 제시 시 강한 왼쪽 방향 안진이 일어난 경우는 왼쪽 수평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반고리관 이석증에 해당하므로 왼쪽 Barbecue 치환술을 실시한다.
그리고 3번 안내 문구 제시 시 약한 왼쪽 방향 안진이 발생하고 4번 안내 문구 제시 시 강한 오른쪽 방향 안진이 일어난 경우는 오른쪽 수평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팽대부릉정 이석증이므로 오른쪽 Gufoni 치환술을 실시하고, 3번 안내 문구 제시 시 강한 왼쪽 방향 안진이 발생하고 4번 안내 문구 제시 시 약한 오른쪽 방향 안진이 일어난 경우는 왼쪽 수평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팽대부릉정 이석증이므로 왼쪽 Gufoni 치환술을 실시한다.
또한, 6번 안내 문구 제시 시 향지성 회전성 안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오른쪽 후반고리관 또는 오른쪽 상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경우이므로 이를 판단하여 오른쪽 후반고리관에 이석이 위치한 경우에는 오른쪽 Epley 치환술을 실시하고 오른쪽 상반고리관에 이석이 위치한 경우에는 오른쪽 Rahko 치환술을 실시하며, 8번 안내 문구 제시 시 향지성 회전성 안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왼쪽 후반고리관 또는 왼쪽 상반고리관에 이석이 들어간 경우이므로 이를 판단하여 왼쪽 후반고리관에 이석이 위치한 경우에는 왼쪽 Epley 치환술을 실시하고 왼쪽 상반고리관에 이석이 위치한 경우에는 왼쪽 Rahko 치환술을 실시한다.
여기서 오른쪽 Barbecue 치환술이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오른쪽에서부터 90˚씩 총 360˚까지 머리와 몸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왼쪽 Barbecue 치환술이란 바로 누운 상태에서 왼쪽에서부터 90˚씩 총 360˚까지 머리와 몸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오른쪽 Gufoni 치환술이란 앉은 자세에서 빠르게 오른쪽으로 눕고 고개를 빠르게 바닥 쪽으로 향하게 45˚ 돌린 후 2분간 유지한 후 다시 앉는 것을 의미하고, 왼쪽 Gufoni 치환술이란 앉은 자세에서 빠르게 왼쪽으로 눕고 고개를 빠르게 바닥 쪽으로 향하게 45˚ 돌린 후 2분간 유지한 후 다시 앉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른쪽 Epley 치환술이란 앉은 자세에서 오른쪽으로 고개를 45˚ 돌린 후 빠르게 바로 누워 고개를 침대 아래로 떨어뜨리고 안진과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약 1~2분간 유지한 후에 머리와 몸통을 왼쪽으로 90˚ 돌리고 90˚ 더 돌려서 얼굴이 바닥을 향하게 한 자세로 1~2분간 유지한 뒤 고개방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다시 앉아 고개를 똑바로 하는 것을 의미하며, 왼쪽 Epley 치환술이란 앉은 자세에서 왼으로 고개를 45˚ 돌린 후 빠르게 바로 누워 고개를 침대 아래로 떨어뜨리고 안진과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약 1~2분간 유지한 후에 머리와 몸통을 오른쪽으로 90˚ 돌리고 90˚ 더 돌려서 얼굴이 바닥을 향하게 한 자세로 1~2분간 유지한 뒤 고개방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다시 앉아 고개를 똑바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오른쪽 Rahko 치환술이란 누운 상태에서 왼쪽으로 머리를 돌린 상태에서 머리를 45˚ 아래로 떨어뜨린 후 다시 머리를 올리고 다시 45˚ 위로 올리는 자세를 각각 30초씩 유지한 후 일어나 앉는 것을 의미하며, 왼쪽 Rahko 치환술이란 누운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머리를 돌린 상태에서 머리를 45˚ 아래로 떨어뜨린 후 다시 머리를 올리고 다시 45˚ 위로 올리는 자세를 각각 30초씩 유지한 후 일어나 앉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실시한다는 의미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이석치환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물리적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자세를 취해 해당 이석치환술을 실시할 수 있게끔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을 안내하는 것을 말한다.
각 이석치환술들을 실시하도록 하기 위해 치료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는 마찬가지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 구성들이 해당하는 기능들을 수행함에 따라 이루어지며, 그 기능은 도 5에 나타난 순서도와 같이 트레이스 처리부(110)가 트레이스 정보를 가상현실로 구성하는 단계(S500),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에 맞춰 HMD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단계(S510), HMD 처리부(120)가 HMD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520), 판단부(140)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와 HMD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530) 및 영상처리부(130)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540)를 포함한다.
치료 프로그램에 따른 해당 이석치환술을 모두 제공한 이후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60). 이는 이석치환술의 실시로 이석증이 치료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로, 만약 여전히 사용자에게 안진 현상이 발생한다면 다시 안진 현상 발생 정보 획득 단계로 되돌아가 정확한 진단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고, 아니면 진단의 정확성을 신뢰하여 다시 해당하는 이석치환술을 실시하도록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단계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가 진단 또는 자가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해당하므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병원 방문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7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이석증을 스스로 손쉽게 진단 및 감별하고, 이에 대응한 이석치환술을 수행하여 병원 방문 없이도 이석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정확한 이석치환술이 가능하도록 전정재활치료 시 정확한 두위와 체위의 각도 및 강도를 제공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어지럼증의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트레이스 처리부
120: HMD 처리부
130: 영상처리부
140: 판단부
200: 스마트 디바이스

Claims (7)

  1. 스마트 디바이스가 어지럼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석증,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발안진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평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발안진, 수평반고리관 이석증 또는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자세가 검사에 적합한 자세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발안진, 수평반고리관 이석증 및 후반고리관 이석증을 검사하는 단계는 각각,
    트레이스 처리부가 트레이스 정보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구성하는 단계;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부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HMD 정보로 구성하는 단계;
    판단부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와 HMD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영상처리부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영상 정보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부가 상기 HMD 정보와 영상 정보가 미리 설정된 안진 현상 정의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이석 위치가 수평반고리관인 경우, 반고리관 이석증일 때 Barbecue 치환술을 실시하고, 팽대부릉정 이석증일 때 Gufoni 치환술을 실시하며,
    이석 위치가 후반고리관인 경우, Epley 치환술을 실시하고,
    이석 위치가 상반고리관인 경우, Rahko 치환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Barbecue 치환술, Gufoni 치환술, Epley 치환술 및 Rahko 치환술을 실시하는 단계는 각각,
    트레이스 처리부가 트레이스 정보를 가상현실로 구성하는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에 맞춰 HMD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단계;
    HMD 처리부가 HMD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판단부가 상기 트레이스 정보와 HMD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영상처리부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 후,
    안진 현상이 여전히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병원 방문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KR1020150157990A 2015-11-11 2015-11-1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KR20170055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90A KR20170055589A (ko) 2015-11-11 2015-11-1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90A KR20170055589A (ko) 2015-11-11 2015-11-1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589A true KR20170055589A (ko) 2017-05-22

Family

ID=5904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990A KR20170055589A (ko) 2015-11-11 2015-11-11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5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73A1 (ko) * 2017-12-22 2019-06-27 서종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석 제거 방법
KR20190101125A (ko) * 2018-02-22 2019-08-30 부산대학교병원 어지럼증 치료를 위한 평형감각의 정량화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혼합현실장치와 그의 실행 방법
KR20190102732A (ko) * 2018-02-27 2019-09-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102178294B1 (ko) 2020-05-15 2020-11-12 가자마 이엔티 (주) 가상현실 기반의 어지럼증 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04637A (ko) 2019-07-05 2021-01-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성돌발성 두위 현훈 진단을 위한 안진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210140808A (ko) * 2020-05-13 2021-11-2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73A1 (ko) * 2017-12-22 2019-06-27 서종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석 제거 방법
KR20190101125A (ko) * 2018-02-22 2019-08-30 부산대학교병원 어지럼증 치료를 위한 평형감각의 정량화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혼합현실장치와 그의 실행 방법
KR20190102732A (ko) * 2018-02-27 2019-09-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20210004637A (ko) 2019-07-05 2021-01-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성돌발성 두위 현훈 진단을 위한 안진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210140808A (ko) * 2020-05-13 2021-11-2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78294B1 (ko) 2020-05-15 2020-11-12 가자마 이엔티 (주) 가상현실 기반의 어지럼증 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558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
US11883103B2 (en) ANS assessment systems, kits, and methods
JP2023022142A (ja) ス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JP6887953B2 (ja) 健康を損う疾病を診断して治療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urthoys et al. The video head impulse test (vHIT)
CN111278351A (zh) 用于捕捉和分析瞳孔图像以测定毒理学和神经生理学的系统和方法
JP2020509790A5 (ko)
US201201274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binocular anomalies
JP2023506141A (ja) 眼科デバイスのための個人化患者インタフェース
Straumann Bedside examination
KR100336176B1 (ko) 전정기관이상 검사 및 자극 기기
JP4303502B2 (ja) 直線加速度刺激装置
RU2480155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остояния вестибуло-моторной проек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69674B1 (ko)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KR10173069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외형적으로 대칭적이지 않은 질환을 위한 통증 치료 장치
RU179414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интерак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движений и параметров глаз с целью оценки психоэмоционального и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диагностики различного рода патологий
Polat et al. Vestibular substitution: comparative study
RU197165U1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движений и параметров глаз с целью диагностики ряда патологий, а также неинвазивной коррекции зрительных патологий
Kornilova et al. Effect of optokinetic stimulation on visual–manual tracking under the conditions of support-proprioceptive deprivation
JP2021168752A (ja) 痛み度測定装置
US20240138676A1 (en) Camera for diagnosing ophthalmic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30337909A1 (en) Device for retinal neuromodulation therapy and extrafoveal reading in subjects affected by visual impairment
KR102221915B1 (ko) 안저 카메라용 외부 주시 램프
Cavuoto et al. The Pediatric Eye Examination
Ischebeck et al. Musculoskeletal Science and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