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238A -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238A
KR20170055238A KR1020150158163A KR20150158163A KR20170055238A KR 20170055238 A KR20170055238 A KR 20170055238A KR 1020150158163 A KR1020150158163 A KR 1020150158163A KR 20150158163 A KR20150158163 A KR 20150158163A KR 20170055238 A KR20170055238 A KR 20170055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utting
wireless communication
chu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송준엽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238A/ko
Priority to PCT/KR2016/007252 priority patent/WO2017082511A1/ko
Publication of KR2017005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61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industrial machines or actu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61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industrial machines or actuators
    • G01L5/0076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machines
    • G01L5/009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material gripp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5Monitoring tool breakage, life or cond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공구의 실부하(절삭력)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부하 모니터링 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모듈 및 증폭모듈을 통해 회전 공구 팁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검출된 부하 신호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하여 회전 공구의 회전에 따른 부하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여 모니터링 신뢰도를 향상시킨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Wireless Monitoring Device of Cutting Resistance at the Tip of the Rotary Tool}
본 발명은 회전 공구의 실부하(절삭력)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부하 모니터링 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모듈 및 증폭모듈을 통해 회전 공구 팁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검출된 부하 신호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하여 회전 공구의 회전에 따른 부하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여 모니터링 신뢰도를 향상시킨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고속으로 가공하는 작업이나 공작물의 내경을 가공하는 보링등과 같은 가공작업들은 가공 특성상 가공중의 칩의 배출 불량, 구성인선의 발생, 공구의 손상 등과 같은 이상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기계 부품들의 경우 센서를 통해 직접 공구의 마모나 파손 등의 검출이 가능하여 실시간 감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구자체가 회전운동을 하는 공작기계의 경우 유선으로 센서로부터 직접 신호를 검출하여 이상 상태를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가공물의 형상 및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회전공구의 파손, 마모 등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현재까지는 간접적인 방식에 의해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회전체에서 신호를 받기 위해 사용한 브러시 타입 슬립링의 노이즈가 크기 때문에 센서신호를 획득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회전기계에 센서와 신호처리장치를 장착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고 회전기계에서 신호를 무선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구는 다각적으로 제시되고 시도되었으나, 노이즈 처리 및 신호처리의 고속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상용화 되지 않고 있다. 센서로부터 높은 신뢰성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공구에서 직접 신호를 검출하여 감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공구에 스트레인게이지 센서를 부착하여 절삭력을 감시하고, 이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하여 부하신호의 신뢰성을 확보한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는, 공작 기계에서 사용되는 척에 구비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하우징; 스트레인 게이지가 구비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 및 척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검출된 절삭력 신호를 산출 및 연산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임베디드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임베디드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절삭력 신호를 증폭하고, DSP로 신호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도출된 절삭력을 을 상기 공작 기계의 컨트롤러로 전달하되, RS-232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또한, 상기 임베디드부는, 상기 하우징 타측에 내설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며, DSP 보드로 이루어진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무선통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척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부는 복수 개가 상기 무선통신부의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척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툴의 타단부 둘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는 스트레인게이지 디바이스를 가공척 안쪽에 장착 사용하고 DSP를 통하여 내부 프로세싱 및 블루투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로 공구 끝단의 측정신호를 기계 밖에서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가공 조건에 따른 보다 회전공구 실부하 절삭력 변화를 측정하는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기에, 구성된 장치를 통해 조건별 절삭력 획득 및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이상적인 공구감시 (가공정밀도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툴 마모 정도 및 공정 장애에 영향을 끼치는 파손문제) 솔루션으로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임베디드 시스템에 무선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를 부착할 경우 원격으로 이러한 정보를 CNC 컨트롤러와 외부 작업자에게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실시간으로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단면도
도 4는 절입깊이를 0.1mm, 스핀들 회전속도를 1000rpm으로 하여 가공하였을 시 발행하는 절삭력 신호 그래프
도 5는 도 4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
도 6은 도 4의 가공조건으로 획득한 신호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 그래프
도 7은 X축 방향가공과 이송속도 200mm/min 조건에서 스핀들 속도와 절입깊이를 다르게 하여 가공한 결과를 각각 평균한 결과 그래프
도 8은 X축 방향가공과 이송속도 400mm/min 조건에서 스핀들 속도와 절입깊이를 다르게 하여 가공한 결과를 각각 평균한 결과 그래프
도 9 내지 도 11은 이송속도를 600mm/min, 800mm/min, 1000mm/min으로 하여 가공했을 시 나타나는 절삭력 변화 그래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1000, 이하,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000)는 공작기계에 구비되는 척(100)과, 척(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트레인 게이지(600, 도 2 참조)가 부착되고, 하우징(200)과 척(100)을 관통하는 관상의 툴(50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스트레인 게이지(600)에서 검출되는 절삭력 신호를 산출하고, 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임베디드부(300, 도 2 참조)가 내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모니터링 장치(1000)는 임베디드부(300)가 모니터링 장치(1000) 상에 구비된 스트레인 게이지(600)와 직접 연결됨은 물론 공작 기계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됨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1000)는 공작기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공작기계에 범용으로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0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0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0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척(100)의 일측에는 하우징(200)이 구비되며,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210)과 제1 하우징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결합되는 제2 하우징(220)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210)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툴(500)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220)은 제1 하우징(210)의 일측 개방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며, 제2 하우징 역시 중앙에 툴(500)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임베디드부(300)가 배치되며, 임베디드부(300)는 무선통신부(310)와 메인보드(320)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임베디드부(300)는 회전하는 척(100)에 장착되는 모니터링 장치(1000)에 구비됨에 따라 동작 오류 및 통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임베디드부(300)는 무선통신부(310)와, 스트레인 게이지(600) 신호 값을 연산하는 메인보드(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부(310)는 메인보드(3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공작 기계의 컨트롤러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RS-232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부(310)는 모니터링 장치(1000)의 회전에 따른 통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척(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 상에는 임베디드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15)가 배치된다.
전원부(315)는 상당한 무게를 갖기 때문에 잘못 배치될 경우 임베디드 모듈(300)의 무게 중심이 척(100)의 회전축에서 벗어나게 되고, 모니터링 장치(1000) 회전 시 진동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315)는 복수 개가 척(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보드(320)는 스트레인 게이지(600)에서 출력되는 절삭력 신호를 산출하여 연산 및 무선통신부(3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출된 절삭력을 상기 공작 기계의 컨트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임베디드부(300)의 핵심 구성이다. 메인보드(320)는 무선통신부(310)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때 메인보드(320)는 모니터링 장치(1000)의 회전에 따른 동작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척(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툴(5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로드 상으로 이루어지며, 타측이 하우징(200), 임베디드부(300) 및 척(100)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600)가 툴(500)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공작 기계의 가공중의 절삭력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스트레인 게이지(600)는 통상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의 경우에는 저가이고 소형이며 공구에 직접 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600)를 직접 툴(500)에 부착하고, 절삭력 변화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의 신호를 메인보드(320)를 이용하여 아날로그신호로 처리하고, 이를 무선통신부(310)를 이용해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한다면 가공중의 절삭력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의 경우 슬립링 방식에 비해 노이즈에 강하며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회전체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000)를 이용한 절삭력 평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측정 방법은, 가공조건(스핀들속도, 절입깊이, 이송속도)에 따라 공구에 인가되는 절삭력을 획득하고, 이를 각 조건별로 평균치를 구한 다음 주어진 조건별로 절삭력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데이터 취득 방법은 가공 시에 발생하는 절삭력 변화신호를 필터가 내장된 증폭기로 인가하고 이를 WaveBook516 신호 획득 장치를 통해 수집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조건은 아래와 같다.
샘플링 주파수 : 2kHz
절입깊이(mm) : 0.1, 0.2, 0.3, 0.4, 0.5
스핀들 속도(rpm) : 1000, 1500, 2000, 2500, 3000
이송속도(mm/min) : 200, 400, 600, 800, 1000
가공방향 : X축
가공소재 : Al6061
- X축 방향 가공 시 이송속도 200 ~ 1000mm/min 조건별 특성테스트
절입깊이를 0.1mm, 스핀들 회전속도를 1000rpm으로 하여 가공하였을 시 발행하는 절삭력 신호를 아래 도 4에 나타내었다. 초반부에 절삭력이 상승하는 원인은 가공소재와 공구의 접촉순간과 밀링머신이 절삭깊이 0.1mm로 수직 하강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상기의 가공조건으로 획득한 신호를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주파수 분석 결과 16.61Hz는 스핀들 회전속도(1000rpm : 1000/60=16.666)로 유발되는 주파수이고 59.98은 전원노이즈로 기인한 것이다. 그 이외의 주파수는 스핀들 주파수와 전원주파수의 배수 배에 해당한다.
도 6은 절입깊이 0.5mm, 회전속도 1000rpm으로 가공을 수행 했을 시에 나타나는 절삭력 신호이다. 초반에 상승하는 부분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인이며 주파수 분석결과도 스핀들 회전주파수와 전원주파수가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절삭깊이가 5배 증가하고 스핀들 속도와 이송속도가 동일한 경우 0.1mm절삭 시 보다 절삭력의 변화 정도가 크게 나타난다.
도 7은 X축 방향가공과 이송속도 200mm/min 조건에서 스핀들 속도와 절입깊이를 다르게 하여 가공한 결과를 각각 평균한 결과이다. 0.3mm 절삭두께에서는 3000rpm에서 절삭력이 감소하는 경향과, 0.4mm 절삭두께에서는 2000rpm부터 절삭력이 감소하여 3000rpm에서 절삭력 감소가 0.3mm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0.5mm 절삭두께에서는 1500rpm에서부터 절삭력이 감소하여(감소기울기 기준)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절삭력의 감소 더 크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l6061가공에서는 회전속도가 높을수록 절삭력은 감소하며 절입깊이가 증가할수록 절삭력은 증가하지만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크기는 반대로 감소하므로 적절한 가공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8은 X축 방향가공과 이송속도 400mm/min 조건에서 스핀들 속도와 절입깊이를 다르게 하여 가공한 결과를 각각 평균한 결과이다. 전체적으로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즉 절삭선속도가 증가할수록 절삭력의 감소패턴, 절삭두께가 증가할수록 절삭력 증가 패턴은 200mm/min에서의 결과와 유사하지만 다른점은 0.3mm, 0.4mm, 0.5mm에서 가공 시에 이송속도가 400mm/min일 경우 그 감소량은 작게 나타났음.
도 9 내지 11은, 이송속도를 600mm/min, 800mm/min, 1000mm/min으로 하여 가공했을 시 나타나는 절삭력 변화를 보여준다. 이송속도가 증가할수록 회전속도의 증가로 인해 유발되는 절삭력의 감소량이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공 중에 발생하는 절삭력은 그 크기가 작을수록 가공표면이 좋다고 할 수 있다.
공구의 수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므로 위에서 실험한 결과를 테이블로 정리하여(절삭두께와 이송속도 및 회전속도별 절삭력 변화 테이블) 소재에 따른 한계절삭력을 결정한 후 이를 활용한다면 더 좋은 가공표면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모니터링 장치
100 : 척
200 : 하우징 210 : 제1 하우징
220 : 제2 하우징
300 : 임베디드부 310 : 무선통신부
320 : 메인보드
500 : 툴
600 : 스트레인 게이지

Claims (5)

  1. 공작 기계에서 사용되는 척에 구비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척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하우징;
    스트레인 게이지가 구비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 및 척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 검출된 절삭력 신호를 산출 및 연산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임베디드부;
    를 포함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출력되는 절삭력 신호를 증폭하고, DSP로 신호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도출된 절삭력을 을 상기 공작 기계의 컨트롤러로 전달하되,
    RS-232 또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부는,
    상기 하우징 타측에 내설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며, DSP 보드로 이루어진 메인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무선통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척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부는 복수 개가 상기 무선통신부의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척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툴의 타단부 둘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KR1020150158163A 2015-11-11 2015-11-11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KR20170055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163A KR20170055238A (ko) 2015-11-11 2015-11-11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PCT/KR2016/007252 WO2017082511A1 (ko) 2015-11-11 2016-07-05 회전 공구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163A KR20170055238A (ko) 2015-11-11 2015-11-11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83A Division KR101827394B1 (ko) 2017-08-21 2017-08-21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238A true KR20170055238A (ko) 2017-05-19

Family

ID=5869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163A KR20170055238A (ko) 2015-11-11 2015-11-11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55238A (ko)
WO (1) WO20170825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016A (ja) * 1993-03-25 1994-09-27 Kato Koki Kk 過負荷トルクを警報するタップホルダー及び警報システム
KR0174595B1 (ko) * 1995-07-01 1999-05-15 윤덕용 절삭공구의 절삭력 측정구조
JP5148259B2 (ja) * 2007-12-14 2013-02-20 株式会社 東北テクノアーチ 加工装置
EP2271462A2 (en) * 2008-03-17 2011-01-12 Christopher A. Suprock Smart machining system and smart tool holder therefor
KR101244630B1 (ko) * 2012-08-13 2013-03-18 에이테크솔루션(주) 측정장비를 이용한 패턴 가공 바이트 교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511A1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2162B2 (ja) 被削材の回転切り屑除去機械加工のプロセスを制御する装置及び回転切り屑除去機械加工のための切削工具
JP6900613B2 (ja) 振動測定装置
TWI457196B (zh) 可即時監測工作狀態之工具機主軸結構
JP6599598B2 (ja) プログラム制御式工作機械用の機械加工ユニット
EP2707176B1 (en) Drilling machine having hole measurement capability
JP6931150B2 (ja) 温度測定装置
JP2014144531A5 (ko)
JP2011518048A (ja) スマートマシニ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マートツールホルダー
KR20170109053A (ko) 프로그램 제어되는 공작 기계용 스핀들 디바이스
ES2795348T3 (es) Dispositivo de husillo para el empleo en una máquina herramienta de control numérico
JP6920092B2 (ja) 穿孔システム、ドリル異常検知方法及び被穿孔品の製造方法
JP2010234464A (ja) タレット式切削工具の異常検出方法
KR101827394B1 (ko)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WO2015136075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und überwachen von werkzeugen
JP5039666B2 (ja) 表面粗さの測定方法、表面粗さ測定装置及び加工装置
JP2020104237A (ja) リアルタイム振動測定ユニット
JP2019188540A (ja) 判定装置、及び工作機械システム
JP5356816B2 (ja) 工具状態監視システム
KR102528635B1 (ko) 모니터링 유닛이 내장된 회전 절단 장치
KR101407861B1 (ko) 절삭공구의 마멸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의 마멸 감지방법
KR20170055238A (ko) 회전 공구의 팁에서의 절삭력 무선 모니터링 장치
CN212683336U (zh) 具有传感器的刀具装置以及具有刀具装置的机床
TW201334911A (zh) 工具機斷刀自動偵測方法及其裝置
JP6501155B2 (ja) 工具異常検知方法
US20200386651A1 (en) Automatic machine health assessment system for assessing health of a machi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