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513A -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513A
KR20170054513A KR1020177010255A KR20177010255A KR20170054513A KR 20170054513 A KR20170054513 A KR 20170054513A KR 1020177010255 A KR1020177010255 A KR 1020177010255A KR 20177010255 A KR20177010255 A KR 20177010255A KR 20170054513 A KR20170054513 A KR 2017005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est tube
collecting member
liquid collect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511B1 (ko
Inventor
시지에 샨
Original Assignee
우시 카이? 메디컬 디바이스 매뉴팩처링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 카이? 메디컬 디바이스 매뉴팩처링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우시 카이? 메디컬 디바이스 매뉴팩처링 씨오., 엘티디.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7780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155617A1/zh
Publication of KR2017005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3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gra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01L3/563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 B01L3/5635Joints or fittings ; Separable fluid transfer means to transfer fluids between at least two containers, e.g. connectors connecting two containers face to face, e.g. comprising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2011/30Funnels, e.g. for liquids comprising ven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 및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튜브 플러그가 테스트 튜브의 개구단에 배치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며 튜브 플러그의 본체에는 차단 부재가 구비되며 차단 부재에는 가동부 및 고정부가 구비되고 가동부가 고정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가동부의 상부 표면 위에는 축방향의 오목부가 구비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오목부와 체결되며 차단 부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테스트 튜브에 주입된 액체의 액면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액체 주입 과정에서 주입 장치와 테스트 튜브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켜 테스트 스트립으로 테스트하기에 용이하도록 하며 테스트 피펫이 데스트 튜브에 삽입되어 액체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테스트 튜브로부터 넘쳐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MATING STRUCTURE OF LIQUID EXTRACTION PIECE AND TEST TUBE ASSEMBLY}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액을 채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의 체결 구조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와 테스트 튜브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첫째, 테스트 튜브에 액체가 주입될 경우 주입 장치와 테스트 튜브가 강성 연결되며 양자의 연결의 밀봉성 및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아 액체가 쉽게 누설되며 주입 장치가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 과정엥서 두 사람의 협력이 필요하므로 조작상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초래한다.
둘째, 테스트 튜브의 개구단이 튜브 플러그에 의해 닫힌 후 테스트 튜브 내의 물체 또는 액체를 테스트하려면 튜브 플러그를 탈착해야 실시할 수 있어 조작 절차가 번잡하다.
셋째, 테스트 튜브에 액체 주입 완료 후 테스트 튜브의 개구부로부터 주입 장치를 치우는 경우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주입 장치의 하단에 의해 쉽게 외부로 묻어나올 수 있어 테스트 튜브의 외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넷째, 액체가 액체 채취 부재에 의해 테스트 튜브에 주입될 경우 액체의 주입 높이를 제어하기 어렵고 테스트 튜브에 액체를 가득 채워야 액체가 계속 주입되지 않으며 이때 테스트 스트립 또는 테스트 피펫이 테스트 튜브에 삽입될 경우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쉽게 넘쳐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 장치와 테스트 튜브가 안정하게 체결되고 액체가 쉽게 누설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액체가 주입되는 동시에 테스트 튜브의 개구부가 닫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을 줄일 수 있고 튜브 플러그를 탈착할 필요 없이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플러그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가 당업계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 튜브에 주입된 액체의 액면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액체 주입 과정에서 주입 장치와 테스트 튜브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켜 테스트 스트립으로 테스트하기에 용이하도록 하며 테스트 피펫이 테스트 튜브에 삽입되어 액체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테스트 튜브로부터 넘쳐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 및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에는 튜브 플러그 및 테스트 튜브가 포함되며, 상기 튜브 플러그는 상기 테스트 튜브의 개구단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에는 축방향의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며 튜브 플러그의 본체에는 차단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 부재에는 가동부 및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가동부에는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과 상기 하부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포함되며 상기 가동부의 상기 상부 표면 위에는 축방향의 오목부가 구비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오목부와 체결되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튜브 플러그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 위측에는 제1 통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오목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제1 통로에 삽입 결합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 통로는 또한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밀봉, 연결 및 고정에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통로는 원통 형상, 원뿔대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 연결되어 고정되어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체결 흔들림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의 액체를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 밖으로 흘리는 것을 감소하며, 테스트 스트립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테스트 스트립에 부착된 액체를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 밖으로 흘리는 것을 감소하며, 상기 통로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의 연결 고정 과정에서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 위에 위치하되: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가동부를 눌러 가동부가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할 수 있으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지만 가동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단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둘 수도 있다. 또한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와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가동부를 눌러 가동부가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튜브 플러그의 오목부를 관통하여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 출구가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높지 않다. 즉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낮거나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과 동일 평면상에 있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 내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와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 및 제1 통로의 내측벽과 동시에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 상에는 제1 고리형 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오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형 돌기가 상기 제2 고리형 오목부와 체결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 상에는 제1 고리형 오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리형 돌기가 상기 제1 고리형 오목부와 체결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에는 A부 및 B부가 포함되며 상기 A부 및 상기 B부의 연결 부분에는 내향 굴곡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굴곡은 상기 A부와 상기 B부가 직접 연결되어 형성되는 내향 굴곡일 수도 있으며 상기 A부의 하단이 내측으로 굴곡된 후 상기 B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A부 및 B부는 튜브 플러그와 체결될 경우: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상기 B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 상에는 제1 고리형 오목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고리형 돌기가 상기 제1 고리형 오목부와 체결되며,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상기 B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 상에는 제1 고리형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오목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고리형 오목부가 상기 제1 고리형 돌기와 체결되며,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상기 B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와 체결되며 상기 B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 및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과 동시에 체결되고, 상기 B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튜브 플러그는 실리카 겔, 고무, TPU, TPE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부의 상기 상부 표면 위에 있는 축방향의 오목부는 하기 방식으로 형성된다.
방식1: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동부의 상기 상부 표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즉 고정부의 근부와 가동부의 단부 사이의 높이차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의 단부가 상기 가동부의 근부보다 낮을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의 두께는 근부에서 단부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의 두께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에서 상기 가동부의 하부 표면까지의 거리이다. 상기 가동부의 두께는 상기 가동부의 근부에서 상기 가동부의 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단차적으로 감소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상부 표면은 평면, 경사면일 수 있으며 곡면일 수도 있다.
방식2: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 위에 있는 제1 통로의 내측벽 및 상기 가동부의 상기 상부 표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이때 가동부의 상부 표면은 평면, 경사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액체 채취 부재의 연결 및 고정에 사용된다. 제1 통로가 구비될 경우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은 상기 튜브 플러그의 본체의 내측벽이다.
또한 상기 튜브 플러그의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리형 돌기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와 체결 시 밀봉하고 포지셔닝하며 동시에 액체 채취 부재와의 채결 견고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 상에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와 체결되는 제1 고리형 오목부가 구비되어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 상의 제1 고리형 오목부는 상기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의 내측벽 상의 제2 고리형 돌기와 체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의 외측벽 상에는 돌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의 외측벽 상의 상기 돌기는 테스트 튜브와 체결될 경우 체결의 견고성 및 체결 포지셔닝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기는 고리상, 점상 또는 나선상 등일 수 있다.
상기 튜브 플러그는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가 있다. 튜브 플러그는 닫힌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는 외력을 받지 않고 자연 상태에 있다. 튜브 플러그는 열린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작용을 받아 주변으로 펼쳐져 하나의 축방향의 제2 통로를 형성하여 액체가 테스트 튜브에 유입되거나 테스트 장치로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한다. 튜브 플러그의 본체의 차단 부재의 개수는 1, 2, 3, 4개 등일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적어도 두개의 상기 차단 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는 서로 독립적이고 각 상기 가동부의 측면은 서로 접하거나 또는 각 상기 가동부의 측면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는 서로 독립적이고 상기 본체에는 축방향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는 접선이 형성되며, 상기 접선은 상기 가동부의 측면이 서로 접촉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 사이에는 접선이 형성되며, 상기 접선은 상기 가동부의 측면이 서로 접촉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축방향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의 측면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간격이 축방향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동부의 측면은 서로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인접된 상기 가동부의 측면 사이의 간격은 0.06mm보다 같거나 크고 1.8mm보다 같거나 작으며 바람직하게 인접된 상기 가동부의 측면 사이의 간격은 0.06mm보다 같거나 크고 0.3mm보다 같거나 작다. 측면 사이의 간격은 X형, 십자형, Y형, 일자형, T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간격의 형상은 상기 가동부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차단 부재가 하나만 있을 경우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와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간격은 0.06mm보다 같거나 크고 1.8mm보다 같거나 작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와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 사이에 설치된 간격은 0.06mm보다 같거나 크고 0.3mm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간격은 축방향의 관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측면은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접촉할 수도 있다. 이때 가동부의 상기 표면은 평면, 경사면일 수 있으며 곡면일 수도 있다.
테스트 튜브에 액체가 주입된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상기 관통공에서 외부 기체와 접촉하며 즉 상기 관통공의 표면에 액막이 형성되며 액막은 액체와 기체의 접촉 표면에 있는 하나의 막층(표면층라 함)이며 표면층 내의 분자는 액체 내의 분자보다 성기며 분자 간의 거리는 액체 내의 분자 간의 거리보다 크며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은 인력이다. 축방향의 관통공은 액체 표면의 장력 특성을 이용하여 액막을 통해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액체 누설을 방지한다. 관통공과 기체의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액막의 액체 누설 방지 효과가 더 좋으며 반대되는 경우 액막의 액체 누설 방지 효과가 더 나쁘며, 상기 관통공의 최소 단면적은 2㎜²보다 같거나 크고 35㎜²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의 최소 단면적은 3㎜²보다 같거나 크고 18㎜²보다 작다.
상기 방안에서 액체 채취 부재의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낮고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적어도 1mm가 낮지만 상기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20mm 이상 낮지 않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적어도 2mm가 낮지만 상기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12mm 이상 낮지 않다. 더 바랍직하게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적어도 3mm가 낮지만 상기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8mm 이상 낮지 않다.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1mm、 2mm、 3mm、 4mm、 5mm、 6mm、 7mm、 8mm、9mm、10mm、11mm、12mm、13mm、14mm、15mm、16mm、17mm、18mm、19mm、20mm등 정도로 더 낮은 경우 액체가 액체 채취 부재로부터 테스트 튜브에 주입되는 과정에서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가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에 의해 막힐 경우 테스트 튜브 내의 잔류 기체 압력으로 인해 액체 채취 부재 내의 액체가 테스트 튜브에 유입되는 것을 정지하게 되어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 높이(액체 가이드 통로의 액체 유출구가 액면에 의해 닫힐 수 있으며 배기 통로의 배기구가 액면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액체 유출구와 배기 통로의 배기구가 액면에 의해 동시에 닫힐 수도 있다)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액면과 튜브 플러그의 하단 사이에는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액체 채취 부재가 제거된 후 테스트 스트립 또는 테스트 피펫 등 물품이 테스트 튜브에 다시 삽입되어 테스트할 경우 삽입된 물품은 바로 액면을 튜브 플러그의 하단까지 상승시켜 액체 유출을 초래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피펫은 테스트 튜브에서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하여 액체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과정에서 먼저 테스트 피펫 내의 기체를 배출해야 하며 만약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이 너무 높거나 또는 튜브 플러그의 하단을 초과하면 테스트 피펫은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할 경우 배출된 기체는 액면을 상승시켜 액체 유출을 초래한다. 따라서 액면이 튜브 플러그보다 일정 높이가 낮으면 테스트 피펫이 액체를 흡입하고 배출하거나 또는 기체를 배출할 경우, 먼저 기체를 배출하여 배출된 기체가 액면을 튜브 플러그의 하단을 초과하도록 상승시켜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며 테스트 스트립 및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하기에 필요한 액면 높이도 보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는 90mm보다 작지 않고 115mm보다 크지 않다. 테스트 튜브의 개구단의 직경은 12.5mm보다 같거나 크고 16mm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통로의 하부 출구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5%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35%보다 크지 않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출구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10%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25%보다 크지 않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출구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15%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22%보다 크지 않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에 있는 튜브 플러그의 높이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5%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20%보다 크지 않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에 있는 튜브 플러그의 높이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8%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16%보다 크지 않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에는 액체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가이드 통로 및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통로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액체 가이드 통로에는 액체 유입구와 액체 유출구가 포함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의 하부 출구가 액체 유출구이며, 배기 통로에는 배기구와 기체 유출구가 포함되며 배기 통로의 하부 출구가 배기구이다.
상기 통로에는 액체 가이드 통로 및 배기 통로가 포함될 경우 상기 통로에는 격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는 상기 격리부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와 배기 통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1. 상기 격리부는 액체 가이드 통로와 배기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며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액체 유출구 및 배기구 중의 적어도 하나보다 높지 않다. 연결부의 하단은 동시에 상기 액체 유출구 및 배기구보다 낯거나 또는 연결부의 하단은 배기구보다 낯고 상기 액체 유출구보다 높지 않거나 또는 연결부의 하단은 동시에 상기 액체 유출구 및 배기구와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다.
2. 상기 격리부는 액체 가이드 통로와 배기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며 연결부 상에는 제1 내향 오목부가 구비된다.
상기 액체 유출구 및 상기 배기구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될 경우 액체가 상기 액체 가이드 통로를 통해 상기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3mm2보다 같거나 크고 18mm2보다 같거나 작으며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3mm2보다 같거나 크고 18mm2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액체 채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분리될 경우 상기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가 변형된다. 상기 액체 채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분리될 경우 상기 튜브 챔버 내의 액채가 튜브 챔버로부터 쉽게 유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액체 유출구의 단면적을 의미하여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배기구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4mm2보다 같거나 크고 12mm2보다 같거나 작으며 상기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4mm2보다 같거나 크고 12mm2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4mm2보다 같거나 크고 12mm2보다 같거나 작으며 상기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4mm2보다 같거나 크고 12mm2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배기구가 액체에 의해 닫혀 상기 액체 채취 부재 내의 액체가 원활하게 유동하지 못하게 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 동시에 간헐적인 채액으로 인해 상기 액체 채취 부재가 액체를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없게 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는 과정에서 상기 액체 유출구 및 상기 배기구에는 액막이 형성되므로 상기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액체 유출구 또는 배기구를 통해 유출되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10mm2보다 크지 않은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상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보다 작지 않다.
여기서 상기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배기구의 단면적을 의미하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액체 유출구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10mm2보다 큰 경우 바람직하게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의 25%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액체 채취 부재가 액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액체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가이드하도록 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차폐 부재는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 외부의 액체가 테스트 튜브의 외벽에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차폐 부재의 높이는 테스트 튜브의 높이의 70%보다 낮지 않다.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되 부재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 부재는 테스트 튜브의 바깥 테두리에 위치한다.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상부, 중부, 하부, 바깥 테두리, 상부 및 바깥 테두리, 중부 및 바깥 테두리, 또는 하부 및 바깥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채취 부재에는 핸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핸들의 외측에는 보호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 측벽은 액체가 핸들에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폐 부재에는 차폐 측벽이 포함되며 상기 차폐 측벽은 테스트 튜브를 360°보다 같거나 작은 각도로 둘러싼다. 상기 차폐 측벽이 테스트 튜브를 둘러싼 각도가 360°인 경우, 상기 차폐 측벽에는 관측 및 스캐닝을 위한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거나 상기 차폐 측벽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며 투명한 재료를 이용할 경우 관측 및 스캐닝을 위한 윈도우가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에는 제1 가동부 및 제1 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와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축방향의 위치가 일정한 각도로 변경될 경우 상기 제1 가동부는 자체 중력 작용하에서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가동부의 측벽에는 축방향의 수축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에는 제2 가동부 및 제2 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 가동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단면은 모두 원호형상이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와 고정되게 연결된다. 제2 가동부는 제2 고정부에 대해 회전되며 여기서 제2 가동부 및 제2 고정부는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제2 가동부 및 제2 고정부는 테스트 튜브(3)를 360°의 각도로 둘러싼다.
상기 방안에서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상기 B부의 외경은 5.5mm보다 같거나 크고 11mm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B부의 외경은 5.5mm보다 같거나 크고 11mm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 액체 채취 부재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된 후 차폐 부재의 가동부는 액체 채취 부재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지 않는 초기 상태로 신속하게 회복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채액 완료 후, 상기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킨 후 상기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단면까지의 거리는 3.5mm보다 같거나 크고 15mm보다 같거나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단면까지의 거리는 4.5mm보다 같거나 크고 12.5mm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방안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의 경우,
1. 액체 채취 부재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될 경우 차폐 부재의 가동부가 아래 방향으로 펼치진 후 가동부의 가장 낮은 점이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이며,
2. 액체 채취 부재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될 경우 차폐 부재의 가동부가 초기 상태에 있어 가동부의 하부 표면의 가장 낮은 점이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이다.
상기 방안에서 하기 몇 가지의 사용 방식이 있다.
사용 방법1: 초기 상태에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액체 유출구는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 위에 위치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단부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단부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액체가 채취될 경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를 눌러 상기 가동부가 아래 방향(액체 유동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켜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테스트 장치 또는 테스터에 의해 다시 사용되도록 보관된다.
사용 방법2: 초기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상기 액체 채취 부재가 서로 분리되며, 액체가 채취될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을 눌러 가동부가 아래 방향(액체 유동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 및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액체 유출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와 연통된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켜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테스트 장치 또는 테스터에 의해 다시 사용되도록 보관된다.
사용 방법3: 초기 상태에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가동부가 아래 방향(액체 유동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액체 유출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높지 않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켜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테스트 장치 또는 테스터에 의해 다시 사용되도록 보관된다.
첫째,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은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 내의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제한될 수 있으며 이 위치는 테스트 스트립과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하기에 필요한 액면 높이를 보장할 수 있다.
둘째, 액체 주입 과정, 테스트 스트립이 삽입되어 테스트하는 과정 또는 테스트 피펫이 데스트 튜브에 삽입되어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튜브 챔버로부터 넘쳐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튜브 플러그의 오목부은 테스트 스트립 삽입에 가이드 역할을 하여 또한 테스트 스트립 삽입 시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사용자가 테스트 스트립의 단부를 오목부에 조준하기만 하면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넷째,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에서 테스트 스트립이 인출될 경우 튜브 플러그의 오목부와 통로 구조는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테스트 스트립 및 테스트 피펫에 부착하여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 밖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테스트 스트립 상의 과량의 액체를 긁어낼 수도 있으며 테스트 스트립에 부착된 액체가 떨어질 경우에도 떨어진 액체가 다시 테스트 튜브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섯째, 본 발명의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튜브 플러그의 오목부 및 통로와 체결되면 밀봉이 더 잘 되므로 액체의 누설이 방지한다.
여섯째, 출하부터 소비자 사용까지 액체 채취 부재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장시간에 체결되며 종래 기술의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는 장기적으로 변형된 상태에 있으며 차단 부재가 장시간에 변형된 후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누설 방지 능력이 감소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튜브 플러그의 오목부 구조는 차단 부재의 회복력을 향상시켜 튜브 플러그의 가동부가 적시에 회복되어 액체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본 발명에서 액체 주입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릴 때 및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액체 채취 부재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 내의 액체가 쉽게 유출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튜브의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채취 부재의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의 예시도-1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채취 부재의 예시도-1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의 예시도-2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채취 부재의 예시도-2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의 예시도-3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채취 부재의 예시도-3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플러그의 예시도-1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플러그의 예시도-2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플러그의 예시도-3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예시도-1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예시도-2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예시도-3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튜브의 예시도-1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플러그의 예시도-4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예시도-4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채취 부재의 예시도-4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구조의 예시도-4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들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그 목적은 다양한 변경, 균등성을 갖는 구성을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실시예1:
이하, 도1, 도2, 도3, 도10 및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1) 및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에는 튜브 플러그(2) 및 테스트 튜브(3)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3)에는 튜브 챔버(31) 및 개구단(32)이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D2)는 103mm이며,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의 직경은 14mm이다.
튜브 플러그(2)의 상부에는 축방향의 제1 통로(21)가 구비되며 제1 통로의 통로벽(211)의 상부에는 제2 고리형 돌기(23)가 구비되며 튜브 플러그(2)의 하부에는 4개의 차단 부재(25)가 구비되며 차단 부재(25)가 시트 형상이고 차단 부재(25)에는 고정부(252) 및 가동부(253)가 구비되고 가동부(253)가 고정부(252)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동부(235)가 고정부(252)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부(252)와 가동부(2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부재(25)와 튜브 플러그(2)가 일체로 형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튜브 플러그(2)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4 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의 측면(254)이 서로 접촉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고리형 측벽이 축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는 격리부(16)가 구비되며 통로는 격리부(16)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12)와 배기 통로(11)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액체 가이드 통로(12)에는 액체 유입구(121)와 액체 유출구(122)가 포함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12)의 하부 출구가 액체 유출구(122)이며, 배기 통로(11)에는 배기구(112)와 기체 유출구(111)가 포함되며 배기 통로의 하부 출구가 배기구(112)이다. 격리부(16)의 하단은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보다 낮게 형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에는 A부(101) 및 B부(102)가 포함되며 A부(101)의 하단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고 연장된 후 B부(102)에 연결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 상에는 제1 고리형 오목부(15)가 구비된다.
통로의 하부 출구(배기구(112) 및 액체 유출구(122))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17)가 구비된다. 차폐 측벽(172)은 테스트 튜브(3)를 360°의 각도로 둘러싼다. 차폐 부재(17)와 액체 채취 부재(1)가 일체로 형성된다. 차폐 부재의 높이(D3)는 99mm이다.
튜브 플러그(2)는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32)에 배치된다. 차단 부재(25)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튜브 플러그(2)의 통로(21)에 삽입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과 체결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의 제1 고리형 오목부(15)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의 제2 고리형 돌기(23)와 체결되며 4개의 차단 부재(25)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의 B부(102)에 의해 아래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펼쳐지며 B부의 외부 가장자리(102a)는 4개의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축방향으로 튜브 플러그(2)를 관통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31) 내에 배치된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26mm이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1)에 비해 8mm가 낮다.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B부(102)의 부분의 외경은 8mm이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1)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1)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3) 내의 액면(5)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2)까지의 거리(D4)는4mm이다.
실시예2:
이하, 도1, 도4, 도9, 도11 및 도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1), 튜브 플러그(2) 및 테스트 튜브(3)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3)에는 튜브 챔버(31) 및 개구단(32)이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D2)는 110mm이며,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의 직경은 13.5mm이다.
튜브 플러그(2)의 상부에는 제1 통로(21)가 구비되며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23)가 구비되며 튜브 플러그(2)의 하부에는 4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가 구비되며 차단 부재(25)에는 고정부(252) 및 가동부(253)가 구비되고 가동부(253)가 고정부(252)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동부(235)가 고정부(252)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부(252)와 가동부(2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부재(25)와 튜브 플러그(2)가 일체로 형성된다.
차단 부재(25)는 제2 고리형 돌기(23)의 아래에 위치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튜브 플러그(2)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4 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의 측면(254)이 서로 접촉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고리형 측벽이 축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는 격리부(16)가 구비되며 통로는 격리부(16)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12)와 배기 통로(11)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액체 가이드 통로(12)에는 액체 유입구(121)와 액체 유출구(122)가 포함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12)의 하부 출구가 액체 유출구(122)이며, 배기 통로(11)에는 배기구(112)와 기체 유출구(111)가 포함되며 배기 통로의 하부 출구가 배기구(112)이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에는 A부(101) 및 B부(102)가 포함되며 A부(101)의 하단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고 연장된 후 B부(102)에 연결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 상에는 제1 고리형 오목부(15)가 구비된다.
통로의 하부 출구(배기구(112) 및 액체 유출구(122))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17)가 구비된다. 차폐 측벽(172)은 테스트 튜브(3)를 360°의 각도로 둘러싼다. 차폐 부재(17)와 액체 채취 부재(1)가 일체로 형성된다. 차폐 부재의 높이(D3)는 110mm이다.
튜브 플러그(2)는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32)에 배치된다. 차단 부재(25)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튜브 플러그(2)의 통로(21)에 삽입되며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의 제2 고리형 돌기(23)는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와 체결되며 동시에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와 제1 통로의 통로벽(211)도 체결되며 4개의 차단 부재(25)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의 B부(102)에 의해 아래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펼쳐지며 B부의 외부 가장자리(102a)는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축방향으로 튜브 플러그(2)를 관통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31) 내에 배치된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23mm이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1)에 비해 5mm가 낮다.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B부(102)의 부분의 외경은 9mm이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1)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1)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3) 내의 액면(5)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2)까지의 거리(D4)는4.5mm이다.
실시예3:
이하, 도1, 도5, 도6, 도12 및 도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1), 튜브 플러그(2) 및 테스트 튜브(3)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3)에는 튜브 챔버(31) 및 개구단(32)이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의 높이는 101mm이며,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의 직경은 14.5mm이다.
튜브 플러그(2)의 상부에는 제1 통로(21)가 구비되며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에는 제2 고리형 오목부(22)가 구비되며 튜브 플러그(2)의 하부에는 4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가 구비되며 차단 부재(25)에는 고정부(252) 및 가동부(253)가 구비되고 가동부(253)가 고정부(252)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동부(235)가 고정부(252)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부(252)와 가동부(2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부재(25)와 튜브 플러그(2)가 일체로 형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튜브 플러그(2)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4 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의 측면(254)이 서로 접촉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고리형 측벽이 축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는 격리부(16)가 구비되며 통로는 격리부(16)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12)와 배기 통로(11)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액체 가이드 통로(12)에는 액체 유입구(121)와 액체 유출구(122)가 포함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12)의 하부 출구가 액체 유출구(122)이며, 배기 통로(11)에는 배기구(112)와 기체 유출구(111)가 포함되며 배기 통로의 하부 출구가 배기구(112)이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에는 A부(101) 및 B부(102)가 포함되며 A부(101)의 하단은 내측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굴곡되고 연장된 후 B부(102)에 연결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 상에는 제1 고리형 돌기(14)가 구비된다.
통로의 하부 출구(배기구(112) 및 액체 유출구(122))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17)가 구비된다. 차폐 부재(17)에는 스캐닝 및 관측을 위한 윈도우(171)가 설치된다. 차폐 측벽(172)은 테스트 튜브(3)를 360°의 각도로 둘러싼다. 차폐 부재(17)와 액체 채취 부재(1)가 일체로 형성된다. 차폐 부재의 높이(D3)는 100mm이다.
튜브 플러그(2)는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32)에 배치된다. 차단 부재(25)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튜브 플러그(2)의 통로(21)에 삽입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과 체결된다.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의 제1 고리형 돌기(14)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의 제2 고리형 오목부(22)와 체결된다. 4개의 차단 부재(25)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의 B부(102)에 의해 아래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펼쳐지며 B부의 외부 가장자리(102a)는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축방향으로 튜브 플러그(2)를 관통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31) 내에 배치된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15mm이며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1)에 비해 5mm가 낮다.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B부(102)의 부분의 외경은 8.5mm이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1)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1)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3) 내의 액면(5)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2)까지의 거리(D4)는5mm이다.
실시예4:
이하, 도1, 도7, 도8, 도10 및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1), 튜브 플러그(2) 및 테스트 튜브(3)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3)에는 튜브 챔버(31) 및 개구단(32)이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의 높이는 102mm이며,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의 직경은 14.5mm이다.
튜브 플러그(2)의 상부에는 제1 통로(21)가 구비되며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에는 제2 고리형 돌기(23)가 구비되며 튜브 플러그(2)의 하부에는 4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가 구비되며 차단 부재(25)에는 고정부(252) 및 가동부(253)가 구비되고 가동부(253)가 고정부(252)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동부(235)가 고정부(252)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부(252)와 가동부(2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부재(25)와 튜브 플러그(2)가 일체로 형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튜브 플러그(2)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4 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의 측면(254)이 서로 접촉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고리형 측벽이 축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는 격리부(16)가 구비되며 통로는 격리부(16)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12)와 배기 통로(11)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액체 가이드 통로(12)에는 액체 유입구(121)와 액체 유출구(122)가 포함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12)의 하부 출구가 액체 유출구(122)이며, 배기 통로(11)에는 배기구(112)와 기체 유출구(111)가 포함되며 배기 통로의 하부 출구가 배기구(112)이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에는 A부(101) 및 B부(102)가 포함되며 A부(101)의 하단은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된 후 B부(102)에 연결된다
통로의 하부 출구(배기구(112) 및 액체 유출구(122))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17)가 구비된다. 차폐 부재(17)에는 스캐닝 및 관측을 위한 윈도우(171)가 설치된다. 차폐 측벽(172)은 테스트 튜브(3)를 360°의 각도로 둘러싼다. 차폐 부재(17)와 액체 채취 부재(1)가 일체로 형성된다. 차폐 부재의 높이(D3)는 100mm이다.
튜브 플러그(2)는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32)에 배치된다. 차단 부재(25)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튜브 플러그(2)의 통로(21)에 삽입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의 제2 고리형 돌기(23)와 체결된다. 4개의 차단 부재(25)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의 B부(102)에 의해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며 B부의 외부 가장자리(102a)는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31) 내에 배치된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15mm이며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1)에 비해 5mm가 낮다.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B부(102)의 부분의 외경은 9.5mm이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1)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1)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3) 내의 액면(5)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2)까지의 거리(D4)는6mm이다.
실시예5:
이하, 도16, 도17, 도18,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1) 및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에는 튜브 플러그(2) 및 테스트 튜브(3)가 포함된다.
테스트 튜브(3)에는 튜브 챔버(31) 및 개구단(32)이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3)의 내측벽에는 고리형 홈(33)이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D2)는 103mm이며,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의 직경은 14 mm이다.
튜브 플러그(2)의 상부에는 축방향의 제1 통로(21)가 구비되며 제1 통로의 통로벽(211)의 상부에는 제2 고리형 돌기(23)가 구비되며 튜브 플러그(2)의 하부에는 4개의 차단 부재(25)가 구비되며 차단 부재(25)가 시트 형상이고 차단 부재(25)에는 고정부(252) 및 가동부(253)가 구비되고 가동부(253)가 고정부(252)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동부(235)가 고정부(252)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고정부(252)와 가동부(2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부재(25)와 튜브 플러그(2)가 일체로 형성된다. 튜브 플러그(2)의 본체의 외측벽에는 고리형 돌기(241) 및 고리형 돌기(242)가 구비된다.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 튜브 플러그(2)는 테스트 튜브(3)의 개구단(32)에 배치되며 튜브 플러그(2)의 본체의 외측벽은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의 챔버 벽과 체결되며 튜브 플러그(2)의 본체의 외측벽 상의 고리형 돌기(241)는 테스트 튜브(3)의 챔버 벽 상의 고리형 홈(33)과 체결되며 고리형 돌기(242)는 테스트 튜브(3)의 상부 단면과 체결된다. 차단 부재(25)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튜브 플러그(2)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4 개의 시트 형상의 차단 부재(25)의 측면(254)이 서로 접촉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고리형 측벽이 축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며 통로에는 격리부(16)가 구비되며 통로는 격리부(16)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12)와 배기 통로(11)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액체 가이드 통로(12)에는 액체 유입구(121)와 액체 유출구(122)가 포함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12)의 하부 출구가 액체 유출구(122)이며, 배기 통로(11)에는 배기구(112)와 기체 유출구(111)가 포함되며 배기 통로의 하부 출구가 배기구(112)이다. 격리부(16)의 하단은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보다 낮게 형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에는 A부(101) 및 B부(102)가 포함되며 A부(101)의 하단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고 연장된 후 B부(102)에 연결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 상에는 제1 고리형 오목부(15)가 구비된다.
통로의 하부 출구(배기구(112) 및 액체 유출구(122))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17)가 구비된다. 차폐 측벽(172)은 테스트 튜브(3)를 360°의 각도로 둘러싼다. 차폐 부재(17)와 액체 채취 부재(1)가 일체로 형성된다. 차폐 부재의 높이(D3)는 99mm이다. 액체 채취 부재(1)에는 핸들(18)이 구비되며 핸들(18)에는 보호 측벽(173)이 구비되며 보호 측벽(173)은 액체가 핸들(18)에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가 삽입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튜브 플러그(2)의 통로(21)에 삽입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과 체결되며 A부의 외부 가장자리(101a)의 제1 고리형 오목부(15)는 제1 통로의 통로벽(211) 상의 제2 고리형 돌기(23)와 체결되며 4개의 차단 부재(25)는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의 B부(102)에 의해 아래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펼쳐지며 B부의 외부 가장자리(102a)은 4개의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체결된다.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10)는 축방향으로 튜브 플러그(2)를 관통한다.
액체 채취 부재(1)의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테스트 튜브(3)의 튜브 챔버(31) 내에 배치된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26mm이다. 액체 유출구(122) 및 배기구(112)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1)에 비해 8mm가 낮다. 차단 부재(25)의 상부 표면(251)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B부(102)의 부분의 외경은 8mm이다.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1)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1)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4)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3) 내의 액면(5)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202)까지의 거리(D4)는5mm이다.
1: 액체 채취 부재 10: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
101: A부 101a: A부의 외부 가장자리
102: B부 102a: B부의 외부 가장자리
11: 배기 통로 111: 기체 유출구 112: 배기구
12: 액체 가이드 통로 121: 액체 유입구 122: 액체 유출구
13: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 14: 제1 고리형 돌기 15: 제1 고리형 오목부
16: 격리부 17: 차폐 부재 171: 윈도우 172: 차폐 측벽 173: 보호 측벽
18: 핸들
2: 튜브 플러그 201: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
202: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
21: 제1 통로 211: 제1 통로의 통로벽
22: 제2 고리형 오목부 23: 제2 고리형 돌기 241: 고리형 돌기
242: 고리형 돌기
25: 차단 부재 251: 상부 표면 252: 고정부 253: 가동부 254: 측면
26: 튜브 플러그의 하부 단면
3: 테스트 튜브 31: 튜브 챔버 32: 개구단 33: 고리형 홈
4: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 5: 액면
D1: 테스트 튜브의 높이 D2: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
D3: 차폐 부재의 높이 D4: 액면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까지의 거리

Claims (19)

  1. 액체 채취 부재 및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가 포함되며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에는 튜브 플러그 및 테스트 튜브가 포함되며, 상기 튜브 플러그가 상기 테스트 튜브의 개구단에 배치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에는 축방향의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튜브 플러그의 본체에는 차단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 부재에는 가동부 및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가동부에는 상부 표면, 하부 표면 및 상기 상부 표면과 상기 하부 표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포함되며 상기 가동부의 상기 상부 표면 위에는 축방향의 오목부가 구비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오목부와 체결되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 플러그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의 윗측에는 제1 통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기 오목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상기 제1 통로에 삽입 결합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3. 청구항2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와 체결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가동부를 눌러 상기 가동부가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4. 청구항3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튜브 플러그의 오목부를 관통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 출구가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높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에는 A부 및 B부가 포함되며 상기 A부 및 상기 B부의 연결 부분에는 내향 굴곡이 설치되며 상기 A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상기 B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상기 B부의 외경은 5.5mm보다 같거나 크고 11mm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7.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적어도 1mm가 낮지만 상기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20mm 이상 낮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8.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적어도 1mm가 낮지만 상기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20mm 이상 낮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상기 B부의 외경은 5.5mm보다 같거나 크고 11mm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는 90mm보다 작지 않고 115mm보다 크지 않고 상기 하부 출구에서 테스트 튜브의 개구까지의 거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5%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35%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튜브 플러그의 본체의 외측벽에는 고리형 돌기가 구비되며 테스트 튜브의 내측벽에는 고리형 홈이 구비되며 상기 튜브 플러그의 본체의 외측벽 상의 고리형 돌기는 테스트 튜브의 내측벽 상의 고리형 홈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의 하부 출구의 외주에는 차폐 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차폐 부재는 액체 채취 부재의 통로 외부의 액체가 테스트 튜브의 외벽에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폐 부재의 차폐 측벽은 테스트 튜브를 360°보다 같거나 작은 각도로 둘러싸며 상기 차폐 부재의 높이는 테스트 튜브의 높이의 70%보다 낮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외측에는 보호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보호 측벽은 액체가 핸들에 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에 있는 튜브 플러그의 높이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5%보다 작지 않고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의 높이의 20%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액 완료 후, 상기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상기 액체 채취 부재와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킨 후 상기 테스트 튜브 내의 액면에서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까지의 거리는 3.5mm보다 같거나 크고 15mm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액체 유출구는 상기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 위에 위치하며 차단 부재의 가동부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며, 사용 상태에서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를 눌러 가동부가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상기 통로에는 격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는 상기 격리부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는 액체 가이드 통로와 배기 통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액체 가이드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3mm2보다 같거나 크고 18mm2보다 같거나 작으며 배기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3mm2보다 같거나 크고 18mm2보다 같거나 작으며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릴 때 및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킨 후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내의 액체가 쉽게 유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상기 액체 채취 부재가 서로 분리되며, 액체가 채취될 경우 상기 액체 채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가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을 눌러 가동부가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제1 통로의 내측벽 및 상기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액체 유출구는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상기 액체 채취 부재는 상기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와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튜브 플러그의 제1 통로의 내측벽과 체결되며 액체 채취 부재의 하부의 외부 가장자리는 튜브 플러그의 차단 부재의 가동부의 상부 표면과 밀착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가동부가 아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액체 채취 부재의 액체 유출구가 테스트 튜브의 튜브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하부 출구는 튜브 플러그의 하부의 가장 낮은 곳보다 높지 않으며 채액 완료 후, 액체 채취 부재 내의 과량의 액체를 부어 버리고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를 분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KR1020177010255A 2015-04-02 2016-03-30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KR101939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197428.X 2015-04-02
CN201520197428 2015-04-02
CN201610171955.2A CN106053142B (zh) 2015-04-02 2016-03-24 一种取液件与试管组件的配合结构
CN201610171955.2 2016-03-24
PCT/CN2016/077800 WO2016155617A1 (zh) 2015-04-02 2016-03-30 一种取液件与试管组件的配合结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513A true KR20170054513A (ko) 2017-05-17
KR101939511B1 KR101939511B1 (ko) 2019-01-16

Family

ID=5681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255A KR101939511B1 (ko) 2015-04-02 2016-03-30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55224B2 (ko)
EP (1) EP3192585B1 (ko)
JP (1) JP6474487B2 (ko)
KR (1) KR101939511B1 (ko)
CN (2) CN106053142B (ko)
AU (2) AU2016102355A4 (ko)
PH (1) PH22017500007U1 (ko)
RU (1) RU181418U1 (ko)
UA (1) UA12528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09896T3 (es) * 2016-10-03 2022-05-10 Hirokazu Okada Recipiente de conservación de semen
CN108568322A (zh) * 2017-03-09 2018-09-25 无锡市凯顺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防漏件与试管及取液件的配合结构及防漏件
CN109201129A (zh) * 2017-07-04 2019-01-15 无锡市凯顺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防漏件与试管及取液件的配合结构
CN107456250B (zh) * 2017-07-19 2024-03-22 苏州鑫佳圣医用科技有限公司 密闭体液留置器
CN109060888A (zh) * 2018-07-19 2018-12-21 浙江维思无线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取样方法及装置
CN109078583A (zh) * 2018-08-29 2018-12-25 广东海翔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化学实验教学用固体提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183A (en) * 1993-11-09 1997-04-22 Hazard; James T. Urine specimen and other body fluids collection device
CN201335785Y (zh) * 2009-01-05 2009-10-28 田玉峰 一种用于尿检的采尿器具
CN204173902U (zh) * 2014-03-14 2015-02-25 无锡市凯顺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体导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599Y (es) * 1982-06-18 1983-11-16 "dispositivo aplicable a la realizacion de analisis".
AT401341B (de) * 1990-03-09 1996-08-26 Greiner & Soehne C A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 insbesondere evakuierbares gehäuse
CA2015571A1 (en) * 1990-04-26 1991-10-26 Samco Scientific, Inc. Reinsertable closure for sample tubes
US5202093A (en) * 1991-05-20 1993-04-13 Medical Robotics, Inc.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having semi-cylindrical valve closure springs
JP2688566B2 (ja) * 1994-08-24 1997-12-10 臨床器材株式会社 医療検査等に用いる検査対象物の収納具
US6054099A (en) * 1996-05-15 2000-04-25 Levy; Abner Urine specimen container
GB9717506D0 (en) 1997-08-20 1997-10-22 Sterimatic Holdings Ltd Accessories for sealed containers
US5921419A (en) * 1998-05-04 1999-07-13 Bracco Research Usa Universal stopper
JP3484117B2 (ja) * 1999-09-20 2004-01-06 フカイ工業株式会社 瓶 栓
CA2718060C (en) * 2008-03-05 2015-08-04 Becton, Dickinson & Company Co-molded pierceable stopp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RU81100U1 (ru) * 2008-12-11 2009-03-10 Илья Маркович Антонов Пробирка (варианты)
CN102334997B (zh) * 2010-07-28 2013-11-13 江苏康健医疗用品有限公司 自封闭式末稍血采集管
FR2969128B1 (fr) * 2010-12-21 2012-12-28 Bio Rad Pasteur Bouchon pour fermer un recipient
CN203916687U (zh) * 2014-03-14 2014-11-05 无锡市凯顺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便捷式采液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183A (en) * 1993-11-09 1997-04-22 Hazard; James T. Urine specimen and other body fluids collection device
US5797855A (en) * 1993-11-09 1998-08-25 Hazard; James Taylor Urine specimen and other body fluids collection device
CN201335785Y (zh) * 2009-01-05 2009-10-28 田玉峰 一种用于尿检的采尿器具
CN204173902U (zh) * 2014-03-14 2015-02-25 无锡市凯顺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体导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562221U (zh) 2016-09-07
EP3192585A4 (en) 2017-12-06
JP6474487B2 (ja) 2019-02-27
CN106053142A (zh) 2016-10-26
EP3192585B1 (en) 2019-03-06
PH22017500007Y1 (en) 2018-05-28
KR101939511B1 (ko) 2019-01-16
EP3192585A1 (en) 2017-07-19
AU2016239253A1 (en) 2017-10-19
JP2017533820A (ja) 2017-11-16
PH22017500007U1 (en) 2018-05-28
US10155224B2 (en) 2018-12-18
AU2016102355A4 (en) 2019-05-09
RU181418U1 (ru) 2018-07-13
UA125284U (uk) 2018-05-10
US20170239652A1 (en) 2017-08-24
CN106053142B (zh)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11B1 (ko) 액체 채취 부재와 테스트 튜브 어셈블리의 체결 구조
KR102593083B1 (ko)
US4144901A (en) Probe system for containers
WO2017063488A1 (zh) 一种便捷式一次性密闭体液留置器
KR101589677B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EP2890267B1 (en) Bowl for receiving and/or mixing fluids, use of a bow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or mixing fluids
US10328430B2 (en) Disposable sealed body fluid retention device and convenient and sanitary fluid-taking method
CN106179551A (zh) 一种试管塞及使用其的便捷式一次性密闭体液留置器
EP3629017B1 (en) Pickup-safe stool collection tube
JP2010202237A (ja) 二剤混合容器
KR20050017917A (ko) 냉 온수기
EP3423189B1 (en) Sample probe for dissolution testing and the like
JP4119367B2 (ja) 圧力下での液体サンプルの微生物学的な試験のための装置
US10458558B2 (en) Valve, container for receiving and/or mixing fluids, use of a container and method for receiving and/or mixing fluids
EP2711596A1 (en) Valve, bowl for receiving and/or mixing fluids and use of a bowl
RU27272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ора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организме жидкостей, в частности крови
KR101862991B1 (ko) 2차 감염 방지가 가능한 밀폐형 래피드 진단키트
WO2016155617A1 (zh) 一种取液件与试管组件的配合结构
WO2016155618A1 (zh) 一种试管塞及使用其的便捷式一次性密闭体液留置器
US20230272609A1 (en) Check Valve with Ventilation Device
CN107456250B (zh) 密闭体液留置器
JPH0960076A (ja) 水張り試験が可能な排水トラップ
EP3160360B1 (en) Liquid sample collection device
WO2024033193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forestream collection of urine
US20200150000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