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320A -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320A
KR20170054320A KR1020167009248A KR20167009248A KR20170054320A KR 20170054320 A KR20170054320 A KR 20170054320A KR 1020167009248 A KR1020167009248 A KR 1020167009248A KR 20167009248 A KR20167009248 A KR 20167009248A KR 20170054320 A KR20170054320 A KR 2017005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ired terminal
alarm
module
pressur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280B1 (ko
Inventor
신유 리우
통 차오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5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36Cycles; Motorcycles; Scooters
    • B60W2300/362Buggies; Qu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출원는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출원에 따른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안전율도 제고한다.

Description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VEHICLE ALARMING METHOD AND DEVICE}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660852.8, 출원일 2015년 10월 13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유아의 실외활동 보조 기구 중 하나로서, 보호자는 어린이를 유모차에 태워서 실외활동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어린이들의 안전 보장을 제고하기 위하여 많은 유모차에 방진 장치, 브레이크 장치 및 높이 조절 장치 등이 장착되도록 하였으나, 보호자가 유모차에서 멀리 떠러져 있을 경우, 유모차내의 영유아는 타인한테 안겨가거나 이와 같은 영유아의 신병안전이 보장될 수 없다. 이에 따라, 관련기술에서의 유모차의 안전율이 여전히 낮이며, 사용자의 더 많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차량 경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차량의 하중은 제1 차량 압력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상기 차량 내의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좌석의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의 하중은 제2 차량 압력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량 압력값이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상기 좌석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는,
경보음을 울리는 형식으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보 신호를 보낸 후,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보 신호를 보낸 후,
상기 차량과 상기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역치보다 작음이 검출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말과 페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페어링된 상기 미리 설정된 단말은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어링된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다바이스(Wearable Smart Device)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차량 경보 장치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 모듈;
상기 측정 모듈로 측정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경보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모듈은,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측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체 차량의 하중은 제1 차량 압력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차량 압력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검출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모듈은,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좌석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측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의 하중은 제2 차량 압력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2 차량 압력값이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출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상기 좌석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모듈, 상기 제1 검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제2 검출 서브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경보 모듈은, 제1 경보 모듈 및/또는 제2 경보 서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보 모듈은, 경보음을 울리는 형식으로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경보 서브 모듈은,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메시지가 접수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경보 해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과 상기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역치보다 작음이 검출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경보 해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말과 페어링하도록 구성되는 페어링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페어링 후의 미리 설정된 단말은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어링된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다바이스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은 차량 경보 장치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며;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수단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차량은 차량 자체에 장착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낸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안전율(safety factor)도 제고한다.
본 출원에서 차량은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경보를 완성하며, 또한 설치한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도 매칭된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 기능을 구비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바퀴 디자인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차량은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경보를 완성하며, 설치한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도 매칭된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 기능을 구비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좌석 디자인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차량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 검출 결과에 따라, 다양한 경보 방식을 확정할 수 있으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고 또한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고,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촉진 메시지만 송신할 뿐이므로서 사용자 체험(User Experience)을 제고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할 수 없다.
여기서 개시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에서 본 출원의 원리를 함께 해석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차량 경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차량 경보 방법의 시나리오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페어링된 단말의 구조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때,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출원와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출원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할 뿐, 본 출원을 한정하고자 하지 않는다. 본 출원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한가지”, ”상기” 및 “해당” 등 단수형 용어는 전후 문맥에서 명확하게 상기 용어에 담겨진 다른 의미를 나타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수형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 “및/또는”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서로 관련된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하나 또는 전부 가능한 조합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애서 제1, 제2, 제3 등 전문 용어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해당 정보는 상기 전문 용어에 한정되서는 않된다. 상기 전문 용어는 동일 유형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될 뿐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범위를 떠나지 않는 경우, 제1 정보는 제2 정보로도 불릴 수 있으며, 이와 비슷하게, 제2 정보도 제1 정보로 불릴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여기서 사용된 단어 “만약에”는 “…시” 또는 “…당시” 또는 “확정에 응답함”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차량 경보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각종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모차이다.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0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차량에 압력 센서를 장착할 수 있으며, 해당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한다. 이는 차량 압력값의 변화에 따라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분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압력 센서는 차바퀴에 장착할 수 있고, 차량의 좌석에 장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차량은 유모차이고, 영유아가 유모차에 탔을 경우, 압력 센서를 통해 영유아의 체중 변경값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이 차량을 떠났을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해당 차량 근처에 있는지를 검출해야 한다.
차량 근처에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차량위에 스마트 통신 모듈을 장착할 수 있으며, 해당 스마트 통신 모듈의 한측은 압력 센서와 연결하고, 다른 한측은 페어링된 단말과 연결한다. 여기서, 페어링된 단말은 해당 페어링된 단말을 휴대하고 있는 후견자와 대응한다. 즉 페어링된 단말로 대응되는 후견자를 대표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통신 모듈은 수면 상태이고, 압력 센서가 측정한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에만 해당 스마트 통신 모듈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스마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해당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미터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해당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여러 방법 중 예를 들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채택된 검출 수단과 대응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측정 거리가 10미터인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10미터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차량 부근에 있음을 나타내므로 경보음을 울리지 않거나, 또는 후견자에게 경보 촉진 메시지를 송신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차량 부근에 없음을 나타내므로 경보 신호를 보내야 한다.
예를 들어, 유모차의 무게는 10키로고, 유모차내의 영유아는 10키로이다. 이때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실제 상황에 따라 14키로 내지 10키로로 설정하며. 차량 압력값이 14키로 내지 10키로로 검출된 경우, 유모차내 영유아가 안겨가였거나 또는 유모차에서 떨어졌을 수 있음을 나타내므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해당 유모차와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 검출을 통해 해당 영유아의 후견자가 유모차 근처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130에서,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차량 근처에 없음이 확정된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야 한다. 여기서, 경보 방식은 아래 3가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첫째: 경보음을 울리다.
둘째: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메시지를 송신한다.
셋째: 경보음을 울리고,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차량 자체에 장착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해당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하며,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안전율도 제고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단계 110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기 전,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말과 페어링해야 한다. 페어링된 미리 설정된 단말은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이다.
본 출원에서 페어링된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다바이스 중의 임의의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팔지, 이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차량 근처에서 해당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측정하기에 편리하도록 차량 자체와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을 미리 설치하고 또한 경보 메시지 또는 경보 촉진 메시지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에 송신하여 차량 경보의 효율 및 실용성을 제고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단계 110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 시,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 전체 차량의 하중은 제1 차량 압력값이다.
이에 대응하여, 단계 120을 실행 중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때, 제1 차량 압력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는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기 때문에,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를 설정 시, 차량 자체의 무게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무게도 고려해야 한다. 이 외에,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경보를 완성하며 설치한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고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도 매칭된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바퀴 디자인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단계 110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 시,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좌석의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 좌석 하중은 제2 차량 압력값이다.
이와 대응하여, 단계 120을 실행 중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때, 제2 차량 압력값이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고, 또한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압력 센서는 좌석의 하중을 측정하기 때문에,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를 설정 시, 좌석 자체의 무게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해당 좌석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도 고려해야 한다. 이 외에,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경보를 완성하며, 설치한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고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도 매칭된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 기능을 구비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좌석 디자인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각 종 차량에 적용되고, 도 1에서 설명한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0에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한다.
단계 220에서,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단계 230을 실행하고,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단계 260을 실행한다.
단계 230에서, 경보 신호를 보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경보 실행은: 경보음이 울리는 방식으로 경보,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240에서,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메시지가 접수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고 해당 과정을 끝마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메시지가 접수된 경우,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이미 사람 또는 물건에 잠복된 위험을 해결한 가능성을 나타냈으므로 휴견자의 제시하에서 경보를 해제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차량과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역치보다 작음이 검출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고 해당 과정을 끝마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하며 예를 들어 1미터이다. 차량과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1미터 이하로 검출된 경우, 해당 차량의 후견자가 이미 차량 근처에 가까이 있음을 나타내므로 더이상 경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으니 경보를 해제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단말과 연결한다.
단계 270에서,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프롬프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당 과정을 끝마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 검출 결과에 따라, 다양한 경보 방식을 확정한다.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고 또한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고;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촉진 메시지를 송신하면 되므로써 사용자 체험을 제고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차량 경보 방법의 시나리오 도면이다. 해당 시나리오는 유모차와 페어링된 단말을 포함한다.
유모차에는, 압력 센서, 스마트 통신 모듈 및 경보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는 유모차 압력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 통신 모듈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유모차와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경보 모듈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차량 경보 신호를 보내는 구체적 과정은 상기 도 1-2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량 경보 방법의 실시예와 대응하여, 본 출원은 차량 경보 장치의 실시예도 제공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고, 측정 모듈(41), 검출 모듈(42) 및 경보 모듈(43)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는 각종 차량, 예를 들어 유모차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도시된 차량 경보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측정 모듈(41)은,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42)는, 상기 측정 모듈이 측정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경보 모듈(43)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페어링된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다바이스 중의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 자체에 장착된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해당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낸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경보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안전율도 제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측정 모듈(41)은 제1 측정 서브 모듈(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 서브 모듈(51)은,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체 차량의 하중은 제1 차량 압력값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검출 모듈(42)는 제1 측정 서브 모듈(6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정 서브 모듈(61)은, 상기 제1 차량 압력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근처에 해당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측정하기에 편리하도록 차량 자체와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을 미리 설치하고 또한 경보 메시지 또는 경보 촉진 메시지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에 송신하여 차량 경보의 효율 및 실용성을 제고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측정 모듈(41)은 제2 측정 서브 모듈(7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정 서브 모듈(71)은,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좌석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석의 하중은 제2 차량 압력값이다.
도 8에서 알수 있는 바,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7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검출 모듈(42)는 제2 검출 서브 모듈(8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정 서브 모듈(81)은, 상기 제2 차량 압력값이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상기 좌석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경보를 완성하며, 설정된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고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도 매칭된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 기능을 구비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바퀴 디자인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 모듈(42), 제1 검출 서브 모듈(61) 또는 제2 검출 서브 모듈(81)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경보를 완성하되, 설치한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고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도 매칭된다. 이로 하여 해당 차량은 차량 내 사람 또는 물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 기능을 구비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좌석 디자인 요구도 만족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경보 모듈(43)은: 제1 경보 서브 모듈(91) 및/또는 제2 경보 서브 모듈(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경보 서브 모듈은, 경보음을 울리는 형식으로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경보 서브 모듈은,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장치는 제1 경보 해제 모듈(10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경보 해제 모듈(101)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메시지가 접수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장치는 제2 경보 해제 모듈(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경보 해제 모듈(111)은 상기 차량과 상기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역치보다 작음이 검출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장치는 연결 모듈(121) 및 송신 모듈(12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모듈(121)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돤 경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122)는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로 경보 프롬프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의 블록도이며, 해당 실시예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되, 상기 장치는 페어링 모듈(131)을 포함한다.
여기서, 페어링 모듈(131)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말과 페어링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페어링된 미리 설정된 단말은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이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 차량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 검출 결과에 따라, 다양한 경보 방식을 확정한다.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고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고;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페어링된 단말에 경보 촉진 메시지를 송신하면 되므로써 사용자 체험을 제고한다.
도 4와 대응하여, 본 출원은 또 다른 일 차량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각종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 및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서, 각 유닛의 구체적인 기능 및 역할의 실현 과정은 상기 방법에 해당되는 단계의 실현 과정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장치의 실시예로서,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기 때문에, 연관된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일부 설명을 참고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 그중 분리 가능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부품은 물리단위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으며,즉 한 위치에 있거나 또는 여러 네트워크 단원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적 요구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모듈을 택하여 본 출원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들은 창조적 노동을 거치지 않아도 바로 이해 및 실시할 수 있다.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페어링된 단말(1400)의 구조도이다. 예를 들어, 페어링된 단말(1400)은 라우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컴퓨터, 디지털방송단말기, 메시지송수신장치, 게임컨트롤러, 패널장치, 의료장치, 헬스장치,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일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페어링된 단말(1400)은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 메모리(1404), 전원 어셈블리(14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 오디오 어셈블리(1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412), 센서 어셈블리(1414) 및 통신 어셈블리(1416) 중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되는 페어링된 단말(14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4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여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 사이의 인터랙티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14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페어링된 단말(1400)에서의 조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페어링된 단말(14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응용 또는 방법에 이용되는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픽처,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4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406)는 페어링된 단말(14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1406)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페어링된 단말(1400)의 전력 생성, 관리 및 할당과 관련된 그밖의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는, 페어링된 단말(1400)과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및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페어링된 단말(1400)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적 초점 변경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되는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14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며, 페어링된 단말(1400)이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14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1416)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1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14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패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시작버튼 및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4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페어링된 단말(1400)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1414)는 페어링된 단말(14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 예를 들어 어셈블리가 페어링된 단말(1400)의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임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414)는 또한 페어링된 단말(1400) 또는 페어링된 단말(14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페어링된 단말(1400)의 접촉 여부, 페어링된 단말(14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페어링된 단말(14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1414)는,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접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414)는 또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화상센서와 같이 화상 형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414)는 또한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어셈블리(1416)는 페어링된 단말(1400)과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되는다. 페어링된 단말(1400)은 통신표준 기반의 무선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1416)는 방송채널에 의해 외부 방송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14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전파식별(RFID) 기술, 국제적외선데이터통신협회 (IrDA) 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페어링된 단말(1400)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D), 프로그래머블논리소자(PLD),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앨범 표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한 비임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Non 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14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페어링된 단말(1400)의 프로세서(14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앨범 표시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비임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 및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고려한 후 본 출원에 따른 기타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출원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출원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본 출원에 공개되지 않은 본 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볼 뿐이며, 본 출원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는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5)

  1. 차량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차량의 하중은 제1 차량 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량 압력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의 좌석의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좌석의 하중은 제2 차량 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량 압력값이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상기 좌석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6.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는,
    경보음을 울리는 형식으로 경보 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를 보낸 후,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메시지가 접수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를 보낸 후,
    상기 차량과 상기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역치보다 작음이 검출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프롬프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기 전,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말과 페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된 미리 설정된 단말은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12.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방법.
  13. 차량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 모듈;
    상기 측정 모듈로 측정한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내에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경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은,
    차바퀴에 설치된 제1 압력 센서를 통해 전체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측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전체 차량의 하중은 제1 차량 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차량 압력값이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검출 서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상기 차량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모듈은,
    좌석에 설치된 제2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의 좌석의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측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좌석의 하중은 제2 차량 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2 차량 압력값이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출 서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와 대응되며, 또한 상기 좌석 내 사람의 체중 또는 물건의 무게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18. 청구항 13,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 상기 제1 검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제2 검출 서브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제1 경보 서브 모듈 및/또는 제2 경보 서브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보 서브 모듈은 경보음을 울리는 형식으로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경보 서브 모듈은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부터 경보 해제 신호가 접수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경보 해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과 상기 페어링된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역치보다 작음이 검출된 경우, 경보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경보 해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된 경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단말로 경보 프롬프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23.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단말과 페어링하도록 구성되는 페어링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페어링된 미리 설정된 단말은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24. 청구항 13, 청구항 15, 청구항 17,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된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25. 차량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압력 센서를 통해 차량 압력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량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범위내로 감소된 경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과 대응되는 페어링된 단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페어링된 단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경보 장치.
KR1020167009248A 2015-10-13 2015-12-25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 KR101923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60852.8A CN105279897B (zh) 2015-10-13 2015-10-13 车辆报警方法及装置
CN201510660852.8 2015-10-13
PCT/CN2015/099058 WO2017063288A1 (zh) 2015-10-13 2015-12-25 车辆报警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320A true KR20170054320A (ko) 2017-05-17
KR101923280B1 KR101923280B1 (ko) 2018-11-28

Family

ID=5514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248A KR101923280B1 (ko) 2015-10-13 2015-12-25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02720B2 (ko)
EP (1) EP3156984B1 (ko)
JP (1) JP6461120B2 (ko)
KR (1) KR101923280B1 (ko)
CN (1) CN105279897B (ko)
MX (1) MX364953B (ko)
RU (1) RU2643339C1 (ko)
WO (1) WO20170632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266A (ko) * 2018-11-26 2020-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0135A (ko) * 2019-12-22 2021-06-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영유아 보호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1428A (zh) * 2016-06-30 2016-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报警方法及装置
CN111526973B (zh) * 2018-01-05 2023-10-20 艾罗伯特公司 用移动清洁机器人映射、控制和显示网络设备
RU2691850C1 (ru) * 2018-09-20 2019-06-18 Илья Сергеевич Головч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коляски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3692A (en) * 1987-12-07 1989-08-01 Wolk Barry M Infant security system
GB2270786A (en) * 1992-09-21 1994-03-23 Martin Dye Heather Lynn Child or infant holder with alarm system.
US5936530A (en) * 1998-04-02 1999-08-10 Meinhold; Robert C. Child protection device
US7034690B2 (en) * 1999-02-09 2006-04-25 Hill-Rom Services, Inc.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4282218B2 (ja) * 2000-11-17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紛失・盗難防止システム、ならびに携帯端末紛失・盗難防止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および専用通信機器
JP2002279556A (ja) * 2001-03-19 2002-09-27 Takashi Shima 新生児室防犯システム
GB0124386D0 (en) * 2001-10-11 2001-11-28 Ford Global Tech Inc Vehicle wheel theft detection
JP2003233877A (ja) * 2002-02-06 2003-08-22 Toshiba Corp 被保護者探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3760161B2 (ja) * 2003-06-02 2006-03-29 カインズ株式会社 位置移動警報システム
JP4036194B2 (ja) * 2004-01-15 2008-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警報装置および車両用警報システム
US6992588B1 (en) * 2004-03-26 2006-01-31 Santostefano Anthony Attachable alarm system for strollers
JP4362719B2 (ja) * 2004-06-16 2009-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駐車中車両の状態報知システム
US7259671B2 (en) * 2004-06-21 2007-08-21 Christine Ganley Proximity aware personal alert system
JP4258463B2 (ja) * 2004-11-22 2009-04-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異常通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て成る位置情報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異常通知方法
JP2006333353A (ja) * 2005-05-30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ユニット
FR2898078B1 (fr) * 2006-03-01 2010-07-30 Michelin Soc Tech Methode pour determiner l'etat de charge d'un vehicule
JP2008052480A (ja) * 2006-08-24 2008-03-06 Toshiba Corp 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保守点検支援装置、保守点検支援プログラム
JP4905793B2 (ja) * 2007-03-30 2012-03-28 富士通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JP2008307969A (ja) * 2007-06-13 2008-12-25 Nec Corp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警報通知方法
KR20090122577A (ko) 2008-05-26 2009-12-01 김경환 차량 도난 방지 장치
JP2011197973A (ja) * 2010-03-19 2011-10-06 Takenaka Engineering Co Ltd ブルートゥース式警報通報器
US9092963B2 (en) * 2010-03-29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racking device
US9125790B2 (en) * 2010-04-12 2015-09-08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alleviating freezing gait and gait hypokinesia in users with extrapyramidal disorder
US8717179B2 (en) * 2011-10-06 2014-05-06 Paul Rose Weight sensing alarm for child or baby strollers
JP2014021676A (ja) * 2012-07-17 2014-02-03 Nikon Corp 電子機器
JP2014049065A (ja) * 2012-09-04 2014-03-17 Tekuteku Llc 登山計画書管理システム
CN203111266U (zh) * 2013-01-05 2013-08-07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婴儿推车的智能监控装置
CN103325197B (zh) * 2013-06-06 2016-04-27 常州大学 一种名贵盆栽的监控防盗定位装置及其监控防盗定位方法
CN203372281U (zh) * 2013-07-10 2014-01-01 鸿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具婴儿防丢提醒的婴儿车
CN103536284A (zh) * 2013-07-23 2014-01-29 王俊波 家用多功能婴幼儿安全监护系统
US20150109126A1 (en) * 2013-10-17 2015-04-23 Morgan Crawford Child Monitoring System
CN203706355U (zh) * 2014-01-07 2014-07-09 冯科 一种蓝牙防丢装置
CN103786608B (zh) * 2014-01-23 2016-09-28 上海贝翔婴儿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婴儿座椅
CN203766861U (zh) * 2014-02-24 2014-08-13 新昌县大市聚镇海房机械厂 具备安全监控功能的童车
CN204087428U (zh) * 2014-09-19 2015-01-07 昆山市铁鹰橡胶制品有限公司 婴儿户外防盗报警装置
CN204256893U (zh) * 2014-11-24 2015-04-08 东北大学秦皇岛分校 基于nrf测距的智能婴儿车
CN104326011B (zh) * 2014-11-28 2016-08-17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防盗婴儿车及系统
CN104637262A (zh) * 2014-12-31 2015-05-20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蓝牙器件与智能移动终端的防丢失系统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266A (ko) * 2018-11-26 2020-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0135A (ko) * 2019-12-22 2021-06-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용 스마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영유아 보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6984A1 (en) 2017-04-19
MX364953B (es) 2019-05-14
US20170103624A1 (en) 2017-04-13
US10102720B2 (en) 2018-10-16
MX2016004586A (es) 2017-05-04
CN105279897B (zh) 2018-07-31
RU2643339C1 (ru) 2018-01-31
EP3156984B1 (en) 2018-09-12
JP2018502339A (ja) 2018-01-25
CN105279897A (zh) 2016-01-27
JP6461120B2 (ja) 2019-01-30
WO2017063288A1 (zh) 2017-04-20
KR101923280B1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280B1 (ko) 차량 경보 방법 및 장치
RU261767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ерминальной аппаратуры и терминальная аппаратура
EP3173017B1 (en) Sleep state det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0433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warning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utomobile occupant
CN106134168B (zh) 针对无线个人域网络中的链路终止事件的选择性用户通知
US20170330439A1 (en) Alarm method and device, control device and sensing device
CN105680892A (zh) 关联物品的提醒方法和装置
CN104332037B (zh) 告警检测的方法及装置
KR101824825B1 (ko) 스크린 보호 방법 및 장치
US20230199464A1 (en) Mobile Phone Accessory
CN106343694A (zh) 行李箱安全监控方法及装置
CN217741801U (zh) 一种远程通话安抚婴儿监视器
CN109448313A (zh) 车辆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33470A (ko) 스마트폰 기반 응급 상황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6580A (ko) 유아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처리 방법
WO2017049481A1 (zh) 一种信息提醒方法及智能手环
KR101594429B1 (ko) 긴급 통화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305438B (zh) 防丢预警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婴儿床
KR101861966B1 (ko) 부착형 공간 인지 시스템
KR10057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체온 변화에 따른 위급 상황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170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전파 시스템 및 방법
CN106347547B (zh) 平衡车限速方法和装置
JP2023125368A (ja) 撮影装置
CN106131295A (zh) 定制事件的提示方法及装置
CN109101374A (zh) 电池供电的设备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