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194A -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194A
KR20170054194A KR1020150157576A KR20150157576A KR20170054194A KR 20170054194 A KR20170054194 A KR 20170054194A KR 1020150157576 A KR1020150157576 A KR 1020150157576A KR 20150157576 A KR20150157576 A KR 20150157576A KR 20170054194 A KR20170054194 A KR 2017005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lvic acid
vinegar
weight
fertiliz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권
Original Assignee
김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권 filed Critical 김명권
Priority to KR102015015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194A/ko
Publication of KR2017005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빅산과 식초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풀빅산 10 ~ 30 중량% 및 식초 70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Insecticide Composition Comprising Fulvic acid}
본 발명은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풀빅산 및 식초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응애(Mite)는 과수, 화훼, 원예작물 등 거의 모든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점박이응애, 사과응애, 감귤 응애 등이 있다.
이러한 응애의 방제를 위해서 종래에는 화학농약의 사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화학농약은 해충의 알, 유충, 성충 등 생육 전단계에 걸쳐 부화억제, 치사, 산란억제, 불임 등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초기에는 효과가 80~90%정도로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약제에 대한 내성유발로 인해 방제가가 점차 감소하여 50~60% 수준으로 매우 미흡하게 나타나며 농가에서는 여러 약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높은 농도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길항균 및 각종 식물추출물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환경오염, 약해, 잔류독성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장점 이외에 내성을 유발하지 않아 그 방제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방제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식물의 성분을 이용하여 생물농약이 많이 개발되어 지고 있으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식물추출물과 그 외의 다른 혼합되는 성분들과의 제제화에 있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제제화 기술이 부족하여, 화학농약이나 합성 살충제에 비해 그 효과가 미약한 편이다.
또한, 문제가 되는 해충 중에서 나방류는 B. T.제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방제가 가능하나, 응애와 같은 해충의 경우에는 효과적인 친환경 방제제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응애의 경우, 세대기간이 짧고 번식속도가 매우 높아 화학농약에 대한 내성유발이 심하여 연속살포하면 방제효과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해충 중 특히 응애를 방제할 수 있는 생물농약을 개발하여 친환경 농작물을 재배하고자 하였다.
천연성분을 이용한 생물농약과 관련하여 특허출원 제10-2001-0062300호 "천연 살충 조성물"과 특허출원 제10-2001-0068134호 "Chamaecyparis 속에서 추출한 식물정유를 포함하는 살충제" 및 특허출원 제10-2002-0063985호 "은행잎 추출물 및 그의 용도"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빅산과 식초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내성유발이 없고, 인체에 무해한 풀빅산을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풀빅산 10 ~ 30 중량% 및 식초 70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 영양제, 농약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풀빅산과 식초를 혼합하여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내성유발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풀빅산(Fulvic Acid)은 주로 갈대, 이끼, 수초 등의 화본과 식물 및 목본과 식물이 수천 년~수만 년 동안 퇴적되고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생성된 연갈탄(Leonardite), 갈탄(Lignite)으로부터 일정한 공정을 거쳐 추출된 토양 부식산이다.
추출된 부식산 중에서 물에 용해되는 성분은 흑색 부식산인 휴믹산(Humic Acid)과 황색의 풀빅산의 두 종류가 있는데, 풀빅산은 양분 및 양이온 치환 능력이 휴믹산에 비해 2~3배가 높고, 물에 대한 용해도도 훨씬 높다.
풀빅산 분자는 친수, 친유기가 동시에 존재하는 일종의 계면활성제이지만, 대부분의 계면활성제와는 달리 식물 세포막의 인지질 구조를 쉽게 투과할 수 있으며, 수많은 금속, 또는 비료 물질의 담체(Carrier)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풀빅산 10 ~ 30 중량% 및 식초 70 ~ 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풀빅산은 10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빅산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해충퇴치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 를 초과하게 되면,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상기 풀빅산은 통상적으로 제품화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초는 70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초는 해충이 배재되는 식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식초의 함량이 7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해충퇴치 효과가 미미하며, 식초의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상기 식초는 감식초, 현미식초, 사과식초, 솔순식초 등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현미식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초는 휘발성이 있어 식물에 살포하였을 때 토양에 스며들지 않고 대기 중으로 휘발되어 식초속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균만 토양 속으로 침투하여 미생물 증식에 일조하게 되며, 토양이 산성화될 염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식물 영양제, 농약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영양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물 영양공급용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료로서, 유기질비료, 복합비료, 질소비료, 인산비료, 칼슘비료, 석회비료, 유산질비료, 황산비료, 마그네슘 비료, 미량원소비료, 유기질비료, 분뇨비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식물영양제가 혼합된 조성물은, 상기 각종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식물체의 성장에 유용한 식물영양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농약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가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충제로는 카르바메이트, 유기 포스페이트, 유기 염소 살충제, 페닐피라졸, 피레트로이드, 네오니코티노이드, 스피노신(spinosin), 아버멕틴(avermectin), 밀베마이신, 유충 호르몬 유사체, 알킬 할라이드, 유기 주석 화합물, 네레이스톡신(nereistoxin) 유사체, 벤조일우레아, 디아실히드라진, METI 살비제(acaricide)류의 살곤충제, 및 클로로피크린,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에톡사졸, 디아펜티우론, 프로파르지트, 테트라디폰, 클로르페나피르, DNOC, 부프로페진, 시로마진, 아미트라즈, 히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로테논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살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유효성분이나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물에 녹이거나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법, 분무하는 방법 등과 같이 그 형태와 적용목적,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량은 적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풀빅산 10 ~ 30 중량% 및 식초 70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애 방제효과를 갖는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 영양제, 농약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20150157576A 2015-11-09 2015-11-09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20170054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76A KR20170054194A (ko) 2015-11-09 2015-11-09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76A KR20170054194A (ko) 2015-11-09 2015-11-09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94A true KR20170054194A (ko) 2017-05-17

Family

ID=5904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76A KR20170054194A (ko) 2015-11-09 2015-11-09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41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38B1 (ko) * 2021-04-29 2021-11-02 손지영 병해충을 비롯한 광범위 곤충 기피 천연물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정수장 유충 발생 방지 방법 및 소나무 재선충 감염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38B1 (ko) * 2021-04-29 2021-11-02 손지영 병해충을 비롯한 광범위 곤충 기피 천연물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정수장 유충 발생 방지 방법 및 소나무 재선충 감염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070032096A (ko) 셀레늄 및 님오일을 이용한 유기농작물의 친환경 재배방법
CN107920513A (zh) 含有百里香酚或香芹酚、表面活性剂和溶剂的用于控制害虫或调节植物生长的水性组合物
KR20180062787A (ko) 해충 및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CN104604938A (zh) 一种杀菌剂组合物及其用途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DE1567034A1 (de) Verwendung von Natriumazid in der Landwirtschaft
CN104496678A (zh) 一种含甲磺酰菌唑和叶面肥的复配组合物及制剂
CN103819274B (zh) 亚磷酸盐-壳寡糖复合生物药肥的制备方法
CN105367199A (zh) 一种杀虫杀菌促生根绿色肥料生产工艺及使用方法
ZA200704169B (e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additive
WO2013141715A1 (e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composition and methods
CN103734194A (zh) 一种防治枯萎病的沼液复合杀菌剂
CN1985598A (zh) 天然除虫菊素水乳剂及其制备方法
KR20180065128A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20170054194A (ko) 풀빅산을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CN115226722A (zh) 一种异硫氰酸酯和阿维菌素b2组合物、制剂及应用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CN103271081B (zh) 乙螨唑和三唑磷的农药组合物
CN103271078B (zh) 乙螨唑和丙溴磷的农药组合物
CN105941423B (zh) 一种含有虫螨腈和灭蝇胺的杀虫组合物
CN103058791B (zh) 一种杀虫复配剂
CN108294024A (zh) 一种生物农药组合物、制剂及其防治蔬菜黄条跳甲的应用
CN103755471A (zh) 一种防治叶霉病的沼液复合杀菌剂
US4020182A (en) Pesticidal formaldehyde concen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