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128A -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128A
KR20180065128A KR1020160165546A KR20160165546A KR20180065128A KR 20180065128 A KR20180065128 A KR 20180065128A KR 1020160165546 A KR1020160165546 A KR 1020160165546A KR 20160165546 A KR20160165546 A KR 20160165546A KR 20180065128 A KR20180065128 A KR 2018006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ushroom
dalmatian
bug
f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678B1 (ko
Inventor
김형환
윤정범
김동환
양창열
강택준
서미혜
채의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채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채의수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6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6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달마시안제충국 추추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를 혼합하여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하는 경우 버섯파리의 성충에 대하여 높은 살충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친환경적 소재를 활용한 것으로서 농업 분야에서 유용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Pest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mushroom fly comprising Tanacetum cinerariifolium extracts and effective enhancer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 버섯 재배지에서 가장 심하게 피해를 주는 해충은 버섯파리이며 버섯 재배사에서 연중 발생하여 버섯 생산량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버섯파리의 유충은 버섯 배지를 직접 가해하면서 균사를 먹어 절단시키거나 버섯 자실체 속으로 파고 들어가 가해 흔적을 남겨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이동 중에 각종 세균과 푸른곰팡이 등의 병원균을 몸에 묻혀 매개함으로써 복합 피해를 유발시킨다. 또한, 버섯파리 성충은 버섯이 자라는 균상을 걸어 옮겨다니며 병원성 세균이나 곰팡이로 균상을 오염시키고 버섯응애 및 선충을 매개하기 때문에 2차 피해로 인한 수확량 감소 및 품질 저하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버섯파리 방제용 등록 약제는 충체 표피조직의 키틴질 형성을 저해하여 탈피억제로 살충효과를 내는 diflubenzuron(양송이, 느타리), teflubenzuron(버섯) 2종뿐이며, 양송이버섯의 경우 등록된 약제마저도 복토 전 2회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복토 후에는 농약잔류문제로 약제사용에 제약이 많아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등록 약제가 버섯파리 유충 살충용 2종뿐이어서 재배농가에서 번갈아 살포하더라도 오랜 기간 사용해왔기 때문에 약제 저항성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더욱이, 작물 생산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농업 해충방제 수단을 위한 유기합성농약의 연용과 남용은 저항성 해충 출현, 토양 및 식품의 잔류, 인축에 대한 독성, 천적 및 유용곤충의 밀도저하 등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효과가 뛰어난 친환경적인 천연살충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537946호
1.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저독성 선택독성의 식물체 기원 버섯파리 방제제 개발, 농림부 과제 최종보고서(2006.07.10).
본 발명의 목적은 달마시안제충국(Tanacetum cinerariifolium)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로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참자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살충방법으로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참자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살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달마시안제충국(Tanacetum cinerariifolium)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로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참자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참자소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폼,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버섯파리에 대한 살충력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과 상기 효과증진제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버섯혹파리(Camptomyia spp.) 또는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성충 또는 유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살충방법으로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참자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살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과 상기 효과증진제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막제는 글리세린 및 물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막제는 글리세린과 물이 1:0.1 내지 1:10의 중량비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글리세린과 물의 희석 비율은 버섯재배사의 규모나 환경조건에 따라 변경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포는 가열 연무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버섯혹파리(Camptomyia spp.) 또는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성충 또는 유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은 친환경적 소재이면서 버섯파리에 대한 높은 살충력을 가지고 있고,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에 효과증진제를 혼합하는 경우 달마시안제충국의 살충력이 증가하였으며,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를 혼합하여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하는 경우 버섯파리의 살충효과가 현저한 바, 농업 분야에서 유용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버섯파리 유충의 피해를 받은 양송이 버섯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양송이 버섯에 피해를 주고 있는 버섯파리 유충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버섯파리 성충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희석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희석된 식물추출물 및 연막제를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경우 버섯파리 성충에 대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결과이다. 무처리: 물만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대조: 연막제 및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을 50배 희석하여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올리브 6배: 연막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올리브의 6배 희석액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GSE 6배: 연막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자몽종자 추출물의 6배 희석액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은행 6배: 연막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은행잎 추출물의 6배 희석액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딜씨드 3배: 연막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딜씨드 추출물의 3배 희석액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파슬리 3배: 연막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파슬리 추출물의 3배 희석액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및 침자소 3배: 연막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침자소 추출물의 3배 희석액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군.
본 발명은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효과증진제"는 살충효과 또는 살충력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에 대한 버섯파리의 살충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은 농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무기 또는 유기 및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의 것일 수 있고, 활성 조성물을 이 담체와 함께 혼합하거나 또는 제제화하여 식물, 종자, 토양 또는 기타 처리 대상, 또는 그 저장, 이동 및(또는)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살충제, 제초제 또는 항균제 조성물에서 담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될수 있는 어떤 물질도 본 발명에의 사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천연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고체 및(또는) 액체 분산성 담체 비히클 및(또는) 기타 공지의 양립가능한 활성제, 특히, 기타 살곤충제, 살거미제, 살진드기제, 선충제거제, 살진균제, 박테리아 제거제, 설치류 제거제, 제초제, 비료, 성장조절제 등과 같은 식물 보호제와 함께 혼합물의 형태로, 또는 원한다면, 이로부터 제조된 특정 응용을 위한 특정 용량의 제조 형태, 예를 들어, 용액, 에멀젼, 현탁제, 분말, 페이스트 및 과립과 같이 즉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천연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통상적인 살충성 제제 또는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유형의 통상적인 불활성(식물 양립가능성 또는 제초적으로 불활성)인 살충제 희석제 또는 팽창제, 예를 들어, 통상적인 가스, 용액, 에멀젼, 현탁제, 에멀젼화 가능한 농축액, 분무 분말, 페이스트, 가용성 분말, 집진제, 과립, 거품제, 페이스트, 정제, 에어로졸, 활성 화합물과 혼입된 천연 및 합성 물질, 마이크로캡슐, 종자에 사용되기 위한 코팅 조성물 및 발염성 카트리지, 발포성 캔 및 발포성 코일뿐만 아니라 ULV 냉풍 안개 및 온풍 안개 제제와 같은 버닝 장비와 함께 사용되는 제제 등과 함께 혼합되어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천연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형, 살포장소 및 살포방법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은 사용 시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석 용매로는 물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 제품(예컨대, 살충제)을 제공한다.
상기 버섯파리 방제 제품은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형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과립제, 산제, 액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엑스제, 페이스트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캡슐제, 액상수화제, 과립수화제, 수화제, 분제, 미립제, 오일제, 젤형제제, 훈연제, 연막제, 훈증제 등일 수 있으며, 살충제 조성물의 휘발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제형으로 유제, 훈연제, 연막제, 훈증제 또는 에어로졸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제조 공정
달마시안제충국 말린꽃은 수확한 달마시안제충국을 햇빛에 5시간 정도 노출시킨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피레스린 성분의 파괴를 막기 위하여 50℃에서 5 내지 6시간 정도 건조하였다. 이후, 100g의 달마시안제충국 말린꽃은 500ml의 발효주정(95% 에탄올)에 넣고 3주 이상 분쇄 및 침지하여 2,400ppm의 추출원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원액은 50배(48 ppm)로 희석하여 사용되었다.
실시예 2. 효과증진제의 제조 공정
살충효과의 증진을 위하여, 여러 식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참자소 추출물을 말한다.
우선, 올리브는 시판되고 있는 식용 이탈리아산 엑스트라버진 등급의 올리브를 사용하였고, 물로 6배 희석하여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GSE: Grapefruit Seed Extract)는 시판되고 있는 식용 자몽종자추출물(DF-100, 글리세린 50% 및 나린진 0.48%)을 물로 6배 희석하고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은행은 은행잎 추출물(가든키퍼, 유기농업자재 공시-1-6-019호, 은행잎 추출물 54.4%, 계면활성제 44.3%, 구연산 1.3%)을 물로 6배 희석하고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딜씨드는 건조 딜씨드((주)신영FS, 수입) 400g을 발효주정(95%) 1.2L에 3주 이상 분쇄 및 침지한 딜씨드 추출물을 물로 3배 희석하고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파슬리는 파슬리 종자(아람종묘)를 구입하여 천안 광덕면 신덕리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파슬리 잎, 줄기 생초 500g을 발효주정(95%) 1.0L에 3주 이상 분쇄, 침지한 파슬리 추출물을 물로 3배 희석하고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참자소는 참자소 종자(세계종묘)를 구입하여 천안 광덕면 신덕리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참자소 잎, 선단 줄기 생초 600g을 발효주정(95%) 1.2L에 3주 이상 분쇄, 침지한 참자소 추출물을 물로 3배 희석하고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의 살포 방법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 및 상기 실시예 2의 효과증진제는 연막제와 혼합하여 사용되었다. 연막제는 글리세린과 물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였고, 실험에서는 소형 연막기를 사용하였으므로, 글리세린과 물은 1:3의 중량비로 섞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추출물과 연막제 혼합물은 소형 연막기를 사용하여 가열 연무 방식으로 버섯파리에 살포되었다. 버섯파리는 양송이 톱밥 균상 재배사(부여 석성면)에서 채집한 버섯파리 100개체를 50*50*50 cm의 투명한 아크릴 사육 상자 안에 방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추출물와 연막제 혼합물을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후 30분이 지난 후 버섯파리의 치사율을 통해 달마시안제충국 및 효과증진제에 대한 살충력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4.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의 가열 연무 방식에 의한 살충력 분석
연막제와 함께 희석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가열 연무 방식으로 살포한 후, 30분이 지난 후 버섯파리의 생존 여부 및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무처리군(대조군)은 물만을 살포한 경우이고, 대조군은 달마시안제충국 추출액의 50배 희석애과 연막제를 살포한 경우이다.
그 결과, 물을 살포한 경우인 무처리군은 버섯파리의 치사율이 0% 이었고, 아크릴 상자 벽으로 올라가는 개체들과 바닥에서 움직이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효과증진제의 첨가 없이 연막제와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50배 희석액(48 ppm)을 살포한 경우에는 무처리군에 비해 버섯파리의 치사율이 약 31%로 살충력을 보였으며, 벽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바닥에서 죽거나 움직임이 둔한 개체들이 관찰되었다(도 4).
또한, 연막제와 함께 달마시안제충국의 50배 희석액(48 ppm) 및 딜씨드의 3배 희석액을 살포한 경우에는 무처리군에 비해 버섯파리의 치사율이 85%로서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GSE(자몽종자추출물)의 6배 희석액과 참자소의 3배 희석액을 각각 살포한 경우에는 무처리군에 비해 버섯파리의 치사율이 73~74%로 살충력을 보였으며, 올리브의 6배 희석액과 파슬리의 3배 희석액을 각각 살포한 경우에는 무처리군에 비해 버섯파리의 치사율이 약 50%로 살충력을 보였고, 은행의 6배 희석액을 살포한 경우에는 대조군보다 낮은 약 23%의 살충력을 보였다(도 4).
따라서,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살포하는 경우 버섯파리에 대한 살충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은 친환경적 방제 수단으로서 농업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Claims (13)

  1. 달마시안제충국(Tanacetum cinerariifolium)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로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참자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참자소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폼,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의 버섯파리에 대한 살충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과 상기 효과증진제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버섯혹파리(Camptomyia spp .) 또는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성충 또는 유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의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효과증진제 및 연막제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살충방법으로서,
    상기 효과증진제는 올리브, 자몽종자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딜씨드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참자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파리 살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과 상기 효과증진제는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제는 글리세린 및 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제는 글리세린과 물이 1:0.1 내지 1:10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는 가열 연무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버섯혹파리(Camptomyia spp .) 또는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파리는 성충 또는 유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0165546A 2016-12-07 2016-12-07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188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546A KR101882678B1 (ko) 2016-12-07 2016-12-07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546A KR101882678B1 (ko) 2016-12-07 2016-12-07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128A true KR20180065128A (ko) 2018-06-18
KR101882678B1 KR101882678B1 (ko) 2018-07-27

Family

ID=6276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546A KR101882678B1 (ko) 2016-12-07 2016-12-07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77A (ko) * 2019-07-12 2021-01-20 이정수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KR20210142322A (ko) * 2020-05-18 2021-11-25 김성우 표고버섯 재배방법과 이에 의해 재배된 표고버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736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덕양에코 제충국추출물과 환원그래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 및 항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46B1 (ko) 2003-07-02 2005-12-21 한국화학연구원 살균제의 약효증진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살균제조성물
KR101085661B1 (ko) * 2011-06-13 2011-11-22 임덕교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46B1 (ko) 2003-07-02 2005-12-21 한국화학연구원 살균제의 약효증진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살균제조성물
KR101085661B1 (ko) * 2011-06-13 2011-11-22 임덕교 바이오디젤을 이용한 친환경 연무·연막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저독성 선택독성의 식물체 기원 버섯파리 방제제 개발, 농림부 과제 최종보고서(2006.07.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677A (ko) * 2019-07-12 2021-01-20 이정수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KR20210142322A (ko) * 2020-05-18 2021-11-25 김성우 표고버섯 재배방법과 이에 의해 재배된 표고버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678B1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3337B1 (en) Improvements in herbicides
KR101813078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Libs et al. Formulation of essential oil pesticides technology and their application
Fleming Integrating control of the Japanese beetle: a historical review
CN104604938A (zh) 一种杀菌剂组合物及其用途
KR101882678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Gahukar Plant-derived products in crop protection: effects of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n pests and diseases
Sarwar et al. Success stories of eco-friendly organically acceptable insecticides as natural products discovery
Santoiemma et al. Chemical control of Popillia japonica adults on high-value crops and landscape plants of northern Italy
KR101885083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shmukh A Case Study: Traditional Methods of Pest Control in Some Villages of KolhapurDistrict
KR20220099794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RU2282994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борьбы с белокрылкой комнатных растений
Nandagopal et al. Use of neem products in groundnut pest management in India
KR20190050497A (ko)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 해충 방제 방법
Sathua et al. In vitro toxicity assessment of synthetic acaricides against yellow mite,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and Predatory Mite, Amblyseius ovalis (Evans), on chilli plants
Chadha Use of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Seed as a Feeding Inhibitor Against Antigastra catalaunalis Dupon.(Lepidoptera: Pyralidae) a Sesame (Sesamum indicum L.) Pest in Nigeria
JPH092913A (ja) コナジラミ類駆除剤
Sharanappa et al. Evaluation of biorationals against thrips, Scirtothrips dorsalis (thripidae: thysanoptera) infesting capsicum
Vijay et al. Bioefficacy of certain insecticides and Beauveria bassiana against coccids in flower crops
KR101950575B1 (ko)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Nikolova Imaginal and ovicidal effect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Bruchus pisorum L.(Coleoptera: Chrisomelidae)
KR20220099797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닭진드기용 살비제 조성물
Dalvaniya et al. Efficacy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citrus psylla, Diaphorina citri Kuwayama on kagzi l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