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497A -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 해충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 해충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497A
KR20190050497A KR1020170145962A KR20170145962A KR20190050497A KR 20190050497 A KR20190050497 A KR 20190050497A KR 1020170145962 A KR1020170145962 A KR 1020170145962A KR 20170145962 A KR20170145962 A KR 20170145962A KR 20190050497 A KR20190050497 A KR 2019005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tea tree
tree oil
controlling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394B1 (ko
Inventor
김형환
윤정범
김동환
양창열
서미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4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01M17/002Injection of toxic gases or fluids into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원은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버섯 해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 해충 방제 방법{COMPOSITION FOR CONTROLLING MUSHROOM PES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HROOM PESTS}
본원은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버섯 해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섯의 대표적인 해충으로는 버섯파리, 응애, 선충류 등이 있는데, 이들 중 특히 버섯파리는 균사나 자실체의 조직, 그리고 버섯이 자라는 배지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구체적으로, 버섯파리는 평상시에 숲 속의 부엽토, 유기질이 많은 초지, 퇴비더미, 부후목재 등에서 균식을 하며 생활하다가, 버섯의 재배가 시작되면, 성충이 균사의 독특한 냄새에 유인되어 재배사 내로 침입하여 균상에 산란한다. 부화된 유충은 버섯균사 및 자실체를 섭취하면서 성장하여, 번데기와 성충이 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증식되고, 버섯에 피해를 준다 (도 1 및 도 2).
버섯파리는 주로 봄 재배기간 중 후기에 발생되는데, 재배 초기에는 큰 피해가 없었으나 현재는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재배사의 집단화가 되면서 버섯파리의 발생은 지역적, 시기적인 면을 초월하여 전국 각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3). 버섯파리의 성충은 버섯이 자라는 균상을 걸어 옮겨 다니며 병원성 세균이나 곰팡이로 균상을 오염시키고 버섯응애 및 선충을 매개하기 때문에 2차 피해로 인한 수확량 감소 및 품질 저하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버섯에 대한 피해 중 유충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는 균사를 섭식하고 절단함으로써 수량의 감소를 가져오고, 자실체에 구멍을 뚫고 식해하며, 오염되어 버섯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성충은 버섯을 직접 가해하지는 않으나, 버섯에 피해를 주는 각종 병원균, 선충, 응애, 곰팡이 등을 매개하여 전파시킴으로써 간접적인 피해를 발생시킨다 (도 4 내지 도 7).
또한, 버섯응애는 균사를 먹으며 절단시키기 때문에 발생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양송이 핀발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수확이 불가능해져 결국엔 폐상에 이르게 된다. 버섯응애가 한번이라도 발생한 재배사는 소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재발생하므로 반드시 비용을 들여서라도 폐상 전 소독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버섯파리 성충의 침입을 막기 위한 기계적 방법의 예시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7-0002324 호에 버섯 재배용 해충 방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출입구 및 환기창에 눈금 크기가 작은 방충망을 설치하여 재배사 내의 성충 침입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버섯파리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인, 충체 표피조직의 키틴 생합성을 저해하여 변태나 탈피억제로 살충효과 (IGR : Insect growth regulator)를 내는 diflubenzuron(양송이, 느타리), teflubenzuron(버섯), cyromazine(느타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양송이버섯의 경우 등록된 약제마저도 접종 후, 복토 전후, 양송이 핀 발생 전에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후에는 농약잔류문제로 약제사용에 제약이 많아 방제가 어렵다. 게다가, 등록 약제가 버섯파리 유충 살충용 3종뿐이어서 번갈아 살포하더라도 재배농가에서 이미 오랜 기간 사용해왔기 때문에 약제 저항성이 의심되고 있는 실정이다.
작물 생산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농업 해충방제 수단을 위한 유기합성농약의 연용과 남용은 저항성 해충 출현, 토양 및 식품의 잔류, 인축에 대한 독성, 천적 및 유용곤충의 밀도저하 등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티트리 오일을 이용하여, 버섯파리 살충효과와 버섯응애 살비효과가 우수하며 천적응애와 버섯생육에는 영향이 적고 독성이 낮은 환경친화적 천연약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오일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티트리 오일 희석액을 버섯 해충, 버섯 해충의 서식지 또는 버섯 해충의 서식 예상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티트리 오일을 용매에 100 배 내지 5000 배 농도로 희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구현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구현예 및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버섯 해충 방제 방법은 버섯 배지내 주요 해충 버섯응애와 버섯파리 유충의 동시 방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친환경 방제방법으로서, 이로 인해 버섯응애 및 버섯파리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버섯 생산성을 향상시켜 농가소득 증대와 버섯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버섯파리의 유충에 의해 피해를 입은 양송이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2는 양송이를 가해하는 버섯파리 유충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버섯파리 성충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는 버섯파리에 편승한 버섯응애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5는 다양한 형태의 버섯응애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버섯응애에 의해 피해를 입은 양송이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은 버섯응애에 의해 피해를 입은 버섯 균상 배지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오일 500 배, 1000 배 및 2000 배 희석액을 각각 이용한 버섯파리 유충, 버섯응애 및 스키미투스응애 치사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을 균상 재배사에 처리하는 공정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을 처리한 후 1 주일 후의 균상 재배사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을 처리한 균상 재배사를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을 이용한 버섯응애 구제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버섯 해충 방제 방법 및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오일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트리 오일은 식물성 정유(essential oil)이거나, 직접 제조된 것이거나, 또는 시판되는 제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트리 오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식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임의의 추출방법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물 및/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수증기증류법, 냉침법, 온침법, 증류법, 열수 추출법, 침출법, 압착법 및 초임계가스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티트리 오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티트리 오일이 희석되는 용매와 같이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그 외의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트리 오일의 함량은 사용방법 및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담체는 통상적인 방제제에 포함되는 물질, 예컨대 부형제 또는 희석제일 수 있으며, 그 예로 식염수,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액제, 현탁제, 과립제, 경고제, 방향수제, 산제, 시럽제, 에어로솔제, 엑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전제, 침제, 정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또는 환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버섯파리를 방제하기 위한 용도로, 세정제, 약제, 식품 첨가제 및 방향제로 사용 가능하며, 이때 방제용 조성물은 약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버섯파리, 버섯파리 유충, 버섯응애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버섯 해충의 방제를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섯파리는 성충과 유충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유충의 두부에 흑색의 각피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인 시아리드(Sciarid), 두부에 흑색 각피가 없고, 몸은 황백색으로 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인 포리드 (Phorid), 다른 버섯파리에 비하여 작고 몸에 작은 반점이 나타나는 특징을 갖고 있는 세시드(Cecid) 및 성충이 모기와 비슷한 모양을 갖는 마이세토필(Mycetophil)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검정날개버섯파리과(Sciaridae), 혹파리과(Cecidomyiidae) 또는 벼룩파리과 (Phoridae) 등에 속하는 것들일 수 있고, 또는 버섯혹파리 또는 긴수염버섯파리 또는 이들의 유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스키미투스응애는 버섯파리 유충과 버섯응애의 포식성 천적으로서, 본원발명의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버섯파리, 버섯파리 유충 및 버섯응애에 대해서는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나 스키미투스응애는 방제 효과를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으므로 버섯 해충 방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티트리 오일이 용매에 약 100 배 내지 약 5000 배 희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티트리 오일이 용매에 약 100 배 내지 약 3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1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8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5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300 배, 약 3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8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10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20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1000 배, 약 10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300 배 내지 약 1500 배, 약 800 배 내지 약 1200 배, 또는 약 1000 배 희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직접 분무, 배지 혼합, 버섯원균 접종원 혼합, 원균 접종 부위 삽입, 토양 혼입, 토양 관주 또는 간접 분무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은 직접 분무하는 형태, 배지와 혼합하여 적용하는 방법, 버섯원균 접종원과 혼합하여 처리하는 방법, 원균을 접종하는 부위 (대개 참나무에 구멍을 뚫고 버섯 원균을 접종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버섯이 자라나게 되는데 바로 이 부위)에 적절한 제형 (입제, 정제 등)을 삽입하는 방법, 버섯 재배사 토양에 혼입 또는 관주처리하는 방법, 부직포/종이 등 적당한 캐리어에 흡습 또는 분무 처리하여 재배사 출입구나 통풍구 주변에 놓아 두는 방법 등에 의하여 버섯 해충 방제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트리 오일이 티트리 정유(essential oi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티트리 오일 희석액을 버섯 해충, 버섯 해충의 서식지 또는 버섯 해충의 서식 예상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원의 제 2 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트리 오일 희석액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발명의 버섯 해충 방제 방법은 티트리 오일 희석액이 버섯파리 또는 그 유충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여 방제하는 것으로서, 작물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분무 또는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무량 또는 도포량은 버섯파리 또는 그 유충의 수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분무량은 단위공간 기준으로 0.05 ㎕/cm3 이상, 상기 도포량은 단위면적 기준으로 0.04 ㎕/cm2 이상, 또는 0.064 ㎕/cm2 이상, 또는 0.096 ㎕/cm2 이상, 또는 0.2 ㎕/cm2 이상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해충이 버섯파리, 버섯파리 유충, 버섯응애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트리 오일 희석액은 티트리 오일이 용매에 약 100 배 내지 약 5000 배 희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트리 오일은 용매에 약 100 배 내지 약 3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1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8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5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300 배, 약 3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8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10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20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1000 배, 약 10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300 배 내지 약 1500 배, 약 800 배 내지 약 1200 배, 또는 약 1000 배 희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가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트리 오일 희석액이 직접 또는 간접적인 분무 또는 도포 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티트리 오일을 용매에 100 배 내지 5000 배 농도로 희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원의 제 3 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티트리 오일은 용매에 약 100 배 내지 약 3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10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8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500 배, 약 100 배 내지 약 300 배, 약 3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8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10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2000 배 내지 약 5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500 배 내지 약 1000 배, 약 1000 배 내지 약 2000 배, 약 300 배 내지 약 1500 배, 약 800 배 내지 약 1200 배, 또는 약 1000 배 희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가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버섯파리 유충 살충 효과 시험
필터페이퍼 1 장을 바닥에 깐 60×15 mm 페트리디쉬에 버섯파리 유충 10 개체를 옮긴 후 티트리 오일 500, 1000 또는 2000 배 희석액(약 1 ㎖)을 살포하였다(10 반복).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티트리 오일 용액은 티트리 오일의 기름성분이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티트리 오일에 에탄올 등이 혼합된 용액(중량비율로, 티트리 오일 30~90% + 에탄올 1~10% + 트윈20 1~10% + DMSO 1~10%)을 이용해서 500~2000배로 희석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500 및 1000 배 희석액에서 100%, 그리고 2000 배 희석액에서 약 66.7%의 버섯파리 유충 살충력이 관찰되었다. 특히 500 및 1000 배 희석액을 사용한 경우 살포 즉시 버섯파리 유충이 치사하였다 (도 8).
2. 버섯응애 살비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버섯파리 유충 살충력이 우수한 티트리 오일 500 및 1000 배 희석액을 버섯응애에 살포한 결과, 500 및 1000 배 희석액 사용시 살포 즉시 버섯응애가 치사하였다 (도 8).
3. 스키미투스응애 살비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버섯파리 유충 살충력과 버섯응애 살비력이 우수한 티트리 오일 500 및 1000 배 희석액을 스키미투스응애에 살포한 결과 500 배 희석액의 경우 스키미투스응애가 100% 치사하였으나, 1000 배 희석액 사용시 3.3%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도 8).
4. 버섯 살포 시험
버섯응애가 고밀도로 발생한 양송이 톱밥 균상 재배사(부여 석성면)에서 30×30 cm 구역을 설정하여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2,000㎖)을 3 일 간격으로 3 회 살포한 후 버섯응애 치사개체수와과 버섯생육을 관찰하였다. 도 9는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을 처리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0은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 처리 1 주일 후의 균상 재배사의 사진이며, 도 11은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 처리군과 무처리군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버섯응애 개체 (약충과 성충) 수를 측정하여 도 12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티트리 오일 희석액 살포는 버섯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버섯응애 밀도는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사용한 티트리 오일 희석비율은 버섯재배사의 규모나 환경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 결과, 티트리 오일 1000 배 희석액은 버섯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버섯파리 및 버섯응애에 우수한 살충, 살비력을 보인 반면 천적응애인 스키미투스응애에는 낮은 치사량을 나타낸 바,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천연약제로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오일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버섯파리, 버섯파리 유충, 버섯응애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버섯 해충의 방제를 위한,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키미투스응애(Stratiolaelaps scimitus)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티트리 오일이 용매에 100 배 내지 5000 배 희석된 것인,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직접 분무, 배지 혼합, 버섯원균 접종원 혼합, 원균 접종 부위 삽입, 토양 혼입, 토양 관주 또는 간접 분무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트리 오일이 티트리 정유(essential oil)인,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8. 티트리 오일 희석액을 버섯 해충, 버섯 해충의 서식지 또는 버섯 해충의 서식 예상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해충이 버섯파리, 버섯파리 유충, 버섯응애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버섯 해충 방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티트리 오일 희석액은 티트리 오일이 용매에 100 배 내지 5000 배 희석된 것인, 버섯 해충 방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버섯 해충 방제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티트리 오일 희석액이 분무 또는 도포 방법에 의해 적용되는 것인, 버섯 해충 방제 방법.
  13. 티트리 오일을 용매에 100 배 내지 5000 배 농도로 희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알코올, 식염수, 덱스트로스, 이소파라핀, 물, 글리세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70145962A 2017-11-03 2017-11-03 버섯응애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응애 방제 방법 KR10209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62A KR102093394B1 (ko) 2017-11-03 2017-11-03 버섯응애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응애 방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62A KR102093394B1 (ko) 2017-11-03 2017-11-03 버섯응애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응애 방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97A true KR20190050497A (ko) 2019-05-13
KR102093394B1 KR102093394B1 (ko) 2020-03-25

Family

ID=6658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962A KR102093394B1 (ko) 2017-11-03 2017-11-03 버섯응애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응애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2979A (zh) * 2019-11-29 2020-04-24 福建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茶树修剪枝叶原位利用的茶园灵芝二次栽培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484A (ko) * 2008-04-28 2009-11-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방제제 조성물 및 해충 방제 방법
KR20110122502A (ko) * 2010-05-04 2011-11-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조성물
KR20130098765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정유를 함유하는 버섯파리 살충제 조성물
KR20180058384A (ko) * 2016-11-24 2018-06-01 채의수 제충국 및 자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484A (ko) * 2008-04-28 2009-11-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 방제제 조성물 및 해충 방제 방법
KR20110122502A (ko) * 2010-05-04 2011-11-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조성물
KR101239417B1 (ko) * 2010-05-04 2013-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조성물
KR20130098765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정유를 함유하는 버섯파리 살충제 조성물
KR20180058384A (ko) * 2016-11-24 2018-06-01 채의수 제충국 및 자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2979A (zh) * 2019-11-29 2020-04-24 福建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茶树修剪枝叶原位利用的茶园灵芝二次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394B1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 et al. Evaluation of thymol as biofumigant for control of bacterial wilt of tomato under field conditions
Rai et al. Emerging insect pest problems in vegetable crops and their management in India: An appraisal
Balikai et al. Status of pomegranate pests an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in India
Setiawati et al.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 of essential oils from Cymbopogon nardus as oviposition deterrent and ovicidal activities against Helicoverpa armigera Hubner on chili pepper
Sharma et al. Efficacy test of bio-pesticides against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1889) on tomato plants in Nepal
KR20130114537A (ko) 복합 식물성분에 의한 천연병해충 방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Gahukar Plant-derived products in crop protection: effects of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n pests and diseases
Reddy et al. Arthropod communities associated with mango (Mangifera indica L.): diversity and interactions
KR101882678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Thacker et al. Field and laboratory studies on the effects of neem (Azadirachta indica) oil on the feeding activity of the large pine weevil (Hylobius abietis L.) and implications for pest control in commercial conifer plantations
Santoiemma et al. Chemical control of Popillia japonica adults on high-value crops and landscape plants of northern Italy
KR20190050497A (ko) 버섯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버섯 해충 방제 방법
Meats et al. To push, pull or push–pull? A behavioural strategy for protecting small tomato plots from tephritid fruit flies
Rehman et al. Occurrence, monitoring techniques and management of Dasineura amaramanjarae Grover (Diptera: Cecidomyiidae) in Punjab, Pakistan
Venkatesha Sustainable coffee cultivation in India: challenges and management
CN107494079A (zh) 一种在美人蕉培育中灭杀蕉苞虫的方法
Ahmad et al. In vitro management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arthenium and Neem extracts.
Calumpang et al. Impact of intercropping lemon grass (Cymbopogon citratus Stapf.) on infestation of eggplant fruit and shoot borer (Leucinodes orbonalis Guenee) in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KR101885083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Rohim et al. Repellency of Lemongrass Extract (Cymbopogon nardus) in Solid and Liquid Formulation on Diaphorina citri and Menochilus sexmaculatus
Sari et al. Effect of Camphor and Patchouli Oil to Control Fruit Fly Pest (Bactrocera sp.) on Chillies (Capsicum annum L.)
Mishra et al. Control of insect pest through biomolecules and traps
CN114144063B (zh) 害虫防治套盒和方法
Kerketta et al. Control of Green House p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