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506A -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506A
KR20170053506A KR1020150156113A KR20150156113A KR20170053506A KR 20170053506 A KR20170053506 A KR 20170053506A KR 1020150156113 A KR1020150156113 A KR 1020150156113A KR 20150156113 A KR20150156113 A KR 20150156113A KR 20170053506 A KR20170053506 A KR 2017005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lt
chain
slot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균
김상균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5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3506A/ko
Publication of KR2017005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투입 슬롯과 제2 투입 슬롯 및 투입구가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 도어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유니트와 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감긴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 유니트와,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와 제1 및 제2 구동부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 및 구동 스위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Apparatus for experience of belt and chain accident}
본 발명은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산 공정에서 구동 전달부인 벨트와 체인에서는 작동 중 또는 보수 작업 중 끼임 사고 등이 발생한다.
그러나 끼임 사고를 간접 체험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훈련 설비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벨트 및 체인 끼임 사고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투입 슬롯과 제2 투입 슬롯 및 투입구가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 도어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유니트와 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감긴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 유니트와,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와 제1 및 제2 구동부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 및 구동 스위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는 벨트 및 체인 끼임 사고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벨트 회전 중 끼임 발생시 신체 상해를 유추해볼 수 있도록 하며, 벨트 교체 방법 및 끼임 발생시 구조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벨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제1 투입 슬롯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체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제2 투입 슬롯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벨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제1 투입 슬롯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의 체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7은 제2 투입 슬롯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100)(이하, ‘체험장치’라고 지칭함)는 제1 투입 슬롯(111)과 제2 투입 슬롯(112) 및 투입구(113)가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이 투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 관찰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투입구(113)는 하우징(110)의 상부면(110c)에 마련되고, 제1 투입 슬롯(111)은 하우징의 제1 측면(110a)에 마련되고, 제2 투입 슬롯(112)은 제1 측면(110a)과 반대방향의 하우징(110)의 제2 측면(110b)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험장치(100)는 상기 투입구(113)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에 장착된 도어(120)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120)는 상기 투입구(113)를 개방시키거나(열림 상태), 폐쇄시킬 수 있도록(닫힘 상태)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투입구(113) 측에 힌지(122)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어(120)에는 손잡이(12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잡이(121)를 쥐고, 도어(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투입구(1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도어(12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124)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 장치(124)로는 통상의 슬라이드 타입의 빗장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 및 도어(120)는 각각 투명한 수지 재질 또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험장치(100)는 도어(120)에 의한 투입구(113)의 열림/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센서(1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험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131, 132) 및 상기 한 쌍의 풀리(131, 132)에 감긴 벨트(133)를 포함하는 벨트 유니트(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험 장치(100)는 벨트 유니트(130)의 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141)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구동부(141)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체험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스프라켓(151) 및 스프라켓(151)에 감긴 체인(152)을 포함하는 체인 유니트(150)를 포함한다. 또한, 체험 장치(100)는 체인 유니트(150)의 스프라켓(151)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142)는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구동부(141, 142)는 각각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체험 장치(100)는 제1 및 제2 구동부(141, 142)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160) 및 구동 스위치(16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141, 142)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위치(160)는 벨트 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스위치 및 체인 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 스위치는 하우징의 제1 측면(110a)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구동 스위치는 하우징의 제2 측면(110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동 스위치(160)는 구동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161)와 구동부의 회전방향(정방향/역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스위치(162) 및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3 스위치(1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스위치(160)는 비상 시에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스위치(16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는 버튼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투입 슬롯(111)은, 제1 투입 슬롯(111)을 통해 끼임 사고 체험을 위한 물체를 벨트(133)에 접근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입 슬롯(111)은 하우징(110)의 제1 측면(110a)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벨트(133)는 제1 측면(110a)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1 투입 슬롯(111)은 벨트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입 슬롯(111)은 덤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투입 슬롯(111)을 통해 벨트의 임의의 영역에 물체를 접근시킴으로써, 끼임 사고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투입 슬롯(111)을 통해 벨트(133)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투입 슬롯(111)은 직선부와 곡선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직선부와 복수 개의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투입 슬롯(112)은, 제2 투입 슬롯(112)을 통해 끼임 사고 체험을 위한 물체를 체인(152)에 접근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제2 투입 슬롯(112)은 제1 측면(110a)과 반대방향의 하우징(110)의 제2 측면(110b)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체인(152)은 제2 측면(110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투입 슬롯(112)은 체인(152)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2 투입 슬롯(112)을 통해 체인의 일부 영역에 물체를 접근시킴으로써, 끼임 사고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제2 투입 슬롯(112)은 직선부와 곡선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도어(120)에 의해 투입구(113)가 닫힌 상태에서만 제1 및 제2 구동부(141, 142)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체험장치(100)는 하우징(110)을 지지하기 위한 본체(10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1)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1)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체인(152)은 본체(101) 내부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110: 하우징
111: 제1 투입 슬롯
112: 제2 투입 슬롯
113: 투입구
120: 도어
130: 벨트 유니트
141: 제1 구동부
142: 제2 구동부
150: 체인 유니트

Claims (9)

  1. 제1 투입 슬롯과 제2 투입 슬롯 및 투입구가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마련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 도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긴 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유니트;
    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감긴 체인을 포함하는 체인 유니트;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
    제1 및 제2 구동부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 및
    구동 스위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투입 슬롯은, 제1 투입 슬롯을 통해 물체를 벨트에 접근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2 투입 슬롯은, 제2 투입 슬롯을 통해 물체를 체인에 접근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투입 슬롯은 벨트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제2 투입 슬롯은 체인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투입구의 열림/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는 투입구가 닫힌 상태에서만 구동부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각각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스위치는,
    구동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와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스위치 및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투입구는 하우징의 상부면에 마련되고,
    제1 투입 슬롯은 하우징의 제1 측면에 마련되고,
    제2 투입 슬롯은 제1 측면과 반대방향의 하우징의 제2 측면에 마련된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벨트는 제1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체인은 제2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고,
    체인은 본체 내부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 장치.
KR1020150156113A 2015-11-06 2015-11-06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KR20170053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13A KR20170053506A (ko) 2015-11-06 2015-11-06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13A KR20170053506A (ko) 2015-11-06 2015-11-06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06A true KR20170053506A (ko) 2017-05-16

Family

ID=5903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113A KR20170053506A (ko) 2015-11-06 2015-11-06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3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443B1 (ko) * 2019-04-22 2020-08-05 (주)영우산업 벨트 안전사고 교육장치
KR102470014B1 (ko) * 2021-10-28 2022-11-23 주식회사 동아테크 협착 안전사고 시뮬레이션 체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443B1 (ko) * 2019-04-22 2020-08-05 (주)영우산업 벨트 안전사고 교육장치
KR102470014B1 (ko) * 2021-10-28 2022-11-23 주식회사 동아테크 협착 안전사고 시뮬레이션 체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4368B (zh) 片状物输送用导向器
KR20170053506A (ko) 벨트 및 체인 안전사고 체험장치
JP2015229868A (ja) パワードア開閉装置
CN102139818A (zh) 片状物输送用导向器
JP2009142532A5 (ko)
CN106660754B (zh) 电梯门装置
ES2907569T3 (es) Cortinas de puerta con conmutadores de sensor de posición
CN105888435A (zh) 汽车滑门速度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20170053505A (ko) 롤 협착사고 체험 장치
JP2007154561A (ja) 開閉扉の安全対策装置
JP5324506B2 (ja) 疑似体験装置
JP3739484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20170053502A (ko) 샤프트 및 커플링 안전사고 체험 장치
CN209817787U (zh) 一种自动门结构
KR20140033795A (ko) 자동문 안전장치
KR20060084731A (ko)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CN208279786U (zh) 一种新型针织圆纬机的智能安全防护门装置
CN203833438U (zh) 旁开门门机平衡装置
JP5914042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5345040A (ja) 冷蔵ショーケース
JP6810000B2 (ja) 挟み込み検出装置
JP2008018494A (ja) 複数のスライダを持つ産業用ロボット
CN205840593U (zh) 柜门智能开关控制器
JPS5823822Y2 (ja) 乗客コンベヤ装置
KR20170053503A (ko) 실린더 안전사고 체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