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410A -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410A
KR20170053410A KR1020150155879A KR20150155879A KR20170053410A KR 20170053410 A KR20170053410 A KR 20170053410A KR 1020150155879 A KR1020150155879 A KR 1020150155879A KR 20150155879 A KR20150155879 A KR 20150155879A KR 20170053410 A KR20170053410 A KR 2017005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object
screen
display
control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990B1 (ko
Inventor
이지훈
문선희
윤혜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990B1/ko
Priority to US15/297,711 priority patent/US10387017B2/en
Priority to CN201680064799.8A priority patent/CN108351758A/zh
Priority to EP16862330.4A priority patent/EP3356920B1/en
Priority to PCT/KR2016/011995 priority patent/WO2017078314A1/en
Publication of KR2017005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전자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방향의 표시영역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며,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이동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ULIPLE SCREEN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노트북(notebook)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다른 장치들의 기능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전자메일(e-mail)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촬영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메신저 기능, 게임 기능,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화면 영역을 설정하고 각 표시영역에 각각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복수의 화면들을 표시할 때, 전자장치는 화면 내의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에 상관없이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가 고정시켜 표시하였다. 예를들면, 우측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좌측 화면으로 이동할 때, 전자장치는 좌측 표시 영역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우측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하게 표시하였다. 이런 경우, 우측 화면의 사용성을 좌측 화면에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화면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 접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장치가 북수의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 이동시 표시되는 화면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표시 화면을 재배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장치가 복수의 화면을 표시할 때 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자장치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들 간에 화면 이동시 콘트롤 오브젝트를 이동되는 화면에 맞게 재배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 방향의 표시영역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며,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이동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방향의 표시영역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이동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들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시킬 때 화면 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이동되는 화면에 맞게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접근성(예를들면 오른손 또는 왼손)을 고려하여 콘트롤 오브젝트를 이동되는 화면에 재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또는 듀얼 표시영역들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간 또는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할 때 주요 컨트롤러 오브젝트를 좌/우 화면 상황에 맞게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앱이 왼쪽 화면으로 이동 시 왼쪽 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자동으로 컨트롤러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왼쪽 화면에서도 왼손으로 오른쪽에서와 동일한 접근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접근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디스플레이에 듀얼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화면을 이동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a -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1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2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3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4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이동되는 화면 내에 포함되는 콘트롤 오브젝트의 타입에 따라 화면을 재배치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a - 도 13c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플로팅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푸싱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스와핑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센딩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이동되는 화면에서 인버팅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화면 이동시 화면을 재배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콘트롤 오브젝트(control object)라는 용어는 GUI 환경으로 표시되는 화면에서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 정보의 이동, 정보의 선택, 화면의 전환, 실행모드의 변경, 검색 등의 다양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아이콘, 버튼 등의 UI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면, Check box는 GUI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여러 항목 중 원하는 항목을 한 개 이상 선택하게 할 때 사용되는 작은 사각형 아이콘으로 콘트롤 오브젝트의 일종이 될 수 있다.
콘트롤 오브젝트는 형태에 따라,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대응되는 항목(item)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오브젝트 또는 화면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단일 오브젝트 또는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하나의 영역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화면 이동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 크기로 이동되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 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순서가 인버팅되어 역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하나의 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화면 이동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 크기로 이동되며,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 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은 순서가 그대로 유지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이동시 위치가 고정되는 콘트롤 오브젝트와 위치가 변경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화면 이동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되었는가 확인하고,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하는 고정 위치에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를 배치하고, 이동 가능한 오브젝트들을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예를들면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및/또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에 따라 대응되는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장치는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그 특성에 따라 5가지(Floating element, pushing element to one side, swapping element, sending element to the far side, inverting order of element)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로팅 엘리먼트(Floating element) 및 센딩 엘리먼트(sending element to the far side)는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푸싱 엘리먼트(pushing element to one side)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스와핑 엘리먼트(swapping element)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과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인버팅 엘리먼트(inverting order of element)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과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화면(screen)이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 UI 및/또는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위치 반전(reversal of position, reversed position)이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 및/또는 수직 위치를 타측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면 콘트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의 좌측 변(예를들면 전자장치의 좌측 베젤과 디스플레이의 경계)에서 수평으로 100픽셀 간격 떨어진 위치(디스플레이의 내측)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 수평 위치의 반전은 디스플레이의 우 변(예를들면 전자장치의 우측 베젤과 디스플레이의 경계)에서 100 픽셀 간격으로 떨어진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반전된 수평 위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들 간(또는 표시영역들 간)에서 화면을 이동시킬 때, 화면 내 네비게이션을 포함한 메인 태스크를 콘트롤하는 콘트롤 오브젝트(control object or controller object)를 해당 화면이 보여지는 스크린 위치에 따라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앱 화면이 오른쪽 디스플레이(또는 표시영역)에서 왼쪽 디스플레이(또는 표시영역)으로 이동시킬 때, 왼쪽 손으로 앱의 태스크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이동되는 왼쪽 화면에 재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는 이동되는 왼쪽 화면에서도 왼손으로 오른쪽에서와 동일하게 콘트롤 오브젝트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전자장치는 듀얼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들 간에 화면이 이동될 때 화면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프로세서 100, 제1 디스플레이 110 및 제2 디스플레이 115, 제1 입력부 120 및 제2 입력부 125, 메모리 130, 센서 모듈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101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디스플레이 110 및 제2디스플레이 115로 이루어지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110 및 제2디스플레이 11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10 및 115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면(예: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비디오(video), 아이콘(icon), 또는 심볼(symbol)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콘트롤 오브젝트는 그 형태에 따라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제1입력부 120 및 제2입력부 125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부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keypad)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부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 110과 제1입력부 120,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115와 제2입력부 125는 각각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프로세서 100의 제어 하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touch), 제스처(gesture), 근접(proximity),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메모리 13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30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command) 또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30은 소프트웨어(software) 및/또는 프로그램(program)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커널(kernel), 미들웨어(middleware),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센서 모듈 1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40은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그립 센서(grip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컬러 센서(color sensor) 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UV(ultra violet) 센서 또는 전자장치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플렉서블 감지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 1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10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 1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 100이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 14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 140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11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상기 전자장치의 휘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신모듈, 카메라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셀룰라 통신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라 통신모듈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에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접근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측면에서 제1 디스플레이 110은 좌측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 115는 우측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110은 좌측 손으로 조작하고 제2 디스플레이 115는 우측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110의 화면에서 참조번호 210 영역은 왼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220 영역은 왼손으로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115의 화면에서 참조번호 215 영역은 오른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225 영역은 오른 손으로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을 표시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210 영역 또는 215 영역에 배치하면 사용자의 콘트롤 오브젝트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할 때, 표시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오른손 사용을 기반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듀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110(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 115(또는 제1디스플레이 110)에 이동시켜 표시할 때, 이동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영역(도 2의 225 또는 22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화면을 이동할 때, 제1 디스플레이 110의 화면 영역 210(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의 화면 영역 215)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를 제2 디스플레이 115의 화면 영역 215(또는 제1 디스플레이 110의 화면 영역210)에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디스플레이 110에 이동시켜 표시할 때, 도 3b와 같이 콘트롤 오브젝트 310을 제1 디스플레이 110의 화면 영역 210에 재배치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을 복수의 표시영역들로 설정하고, 표시영역 들 간에 화면이 이동될 때 화면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프로세서 100, 디스플레이 150 및 입력부 160, 메모리 130, 센서 모듈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101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 4의 각 구성 요소들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전자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150의 표시영역을 복수의 표시영역들로 설정하고,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프로세서 100은 디스플레이 150의 표시영역을 좌측 표시영역 및 우측 표시영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우측 표시영역(또는 좌측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좌측 표시영역(또는 우측 표시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디스플레이 150의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시킬 때, 화면에 포함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를 이동되는 화면에서 조작이 가능한 영역으로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디스플레이에 듀얼 표시영역을 설정하고,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150에 듀얼 표시영역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1 표시영역 510(또는 제2 표시영역 51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2 표시영역515(또는 제1표시영역 510)에 이동시켜 표시할 때, 이동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표시영역에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영역 51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표시영역 510에 이동시켜 표시할 때, 도 5b와 같이 콘트롤 오브젝트 540을 제1 표시영역 510에 재배치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표시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 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모듈 1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50의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50을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메인 보드와, 메인 보드에 실장된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메인 보드는 관절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이 장치(예를들면 힌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접혀지는 부분에 접이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모듈 140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50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센서600(이하 플렉서블 센서라 칭하기로 함)는 접이 장치 또는 접이 장치에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플렉서블 센서 6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150의 휘어짐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150의 휘어짐을 인식하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휘어진 디스플레이150의 부분을 경계 605를 다른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예를들면 디스플레이 150의 경계 605를 중심으로 좌측 표시영역 및 우측 표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50에 듀얼 표시영역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서 100은 플렉서블 센서 600에 의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150의 경계선 605를 중심으로 제1 표시영역 620 및 제2 표시영역 625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 150은 제1표시영역 620(또는 제2표시영역 62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2 표시영역625(또는 제1표시영역 620)에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이동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표시영역에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영역 62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표시영역 620에 이동시켜 표시할 때, 도 6b와 같이 콘트롤 오브젝트 640을 제1 표시영역 210에 재배치하여 사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복수의 표시영역들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들 간에 화면을 이동할 때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이동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표시영역들을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표시영역들을 설정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전자장치의 휘어짐에 의해 설정되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표시영역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장치는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듀얼 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듀얼 화면은 사용자의 좌측 화면 및 우측 화면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듀얼 디스플레이에서 제1디스플레이는 좌측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되고 제2 디스플레이는 우측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가정되어 설명될 것이다.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이동되는 화면에 맞게 재배치화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왼손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동되는 화면의 좌측 영역에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동되는 화면의 좌측 영역에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와,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고, 이동 방향의 표시영역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며,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이동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제1표시영역은 왼손 측에 위치되는 영역이고, 제2표시영역은 오른손 측에 위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제1표시영역의 제1디스플레이와, 제2표시영역의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표시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표시되는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과 동일한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켜 좌측 화면의 좌변 또는 우측 화면의 우변에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평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순서를 인버팅시키고 수직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할 때,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와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스와핑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및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이동 표시영역의 방향에 따라 먼 쪽으로 재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화면을 이동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00은 제1 디스플레이 11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화면 이동 요구가 발생되면, 프로세서 100은 표시되는 화면을 다른 디스플레이에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화면 이동 요구는 설정된 인터렉션(예를들면 touch and drag, muti-touch and swipe, hovering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동 요구가 발생되면, 프로세서 100은 제1 입력부 120을 이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동 요구가 발생되면, 프로세서 100은 2입력부 125를 통해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화면 이동 요구가 발생되면, 프로세서 100은 711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713 동작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가 확인할 수 있다.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이면, 프로세서 100은 713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715 동작에서 이동되는 화면의 방향 및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타입을 분석한 후, 이동되는 화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이동 방향은 좌측 화면에에서 우측 화면으로 이동 또는 우측 화면에서 좌측 화면으로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의 타입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715 동작에서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콘트롤 오브젝트의 타입에 따라 이동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하고, 717 동작에서 다른 측 디스플레이에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a -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1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 도 8c를 참조하면, 제1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단일 콘트롤 오브젝트 또는 유사한 기능들이 하나의 세트로 결합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하나의 항목을 제어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될 수 있으며, 화면 전체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도 8a에서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8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850은 수평방향의 제1디스플레이 110의 제1 경계면 810에서 d1 만큼 떨어져 d2 크기로 위치되며, 수직 방향의 하단 경계면에서 h1 만큼 떨어져 h2 크기로 위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 115에 이동시켜 표시할 때, 프로세서 100은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직 위치는 유지하면서 수평 위치를 반전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즉, 화면 이동시,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 850의 표시 위치를 수평 방향의 제2디스플레이 115의 제2 경계면 825에서 d1 만큼 떨어져 d2 크기로 설정하고, 수직 방향의 하단 경계면에서 h1 만큼 떨어져 h2 크기로 설정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00은 화면 이동시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반전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반전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결정할 때, 제1 디스플레이 110의 제1 경계면(또는 제2 경계면)에서의 거리 간격과 제2 디스플레이 115의 제2 경계면(또는 제1경계면)과의 거리 간격이 동일 또는 유사한 거리로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반전 수평 위치는 수평 방향으로 좌측 화면의 좌측(또는 우측) 위치와 우측 화면의 우측(또는 좌측)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경계면은 디스플레이110 및 115와 베젤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반전되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b 및 도 8b는 e-mail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8b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우측 화면의 예이고, 도 8c는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좌측 화면의 예가 될 수 있다. e-mail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860은 생성 버튼(create button)이 될 수 있다. 상기 생성 버튼은 e-mail 어플리케이션에서 편지쓰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8b는 콘트롤 오브젝트860이 제2 디스플레이 115의 우측 하단에 위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b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110으로의 화면 이동이 요구되면, 프로세서 100은 도 8c와 같이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콘트롤 오브젝트 860의 위치는 제1디스플레이 110의 좌측 하단이 될 수 있다. 즉,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위치는 수직 방향 위치는 그대로 유지되면 수평 방향으로 반전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9a -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2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 도 9c를 참조하면, 제2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 될 수 있다.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즉,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 오브젝트들이 수평 방향으로 그룹화되어 연결된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도 9a에서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9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950은 수평방향의 제1디스플레이 110의 제1 경계면 910에서 3개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 방향으로 그룹화되어 위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9a에서 수평 그룹 오브젝트 950의 영역 내에서 3개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은 각각 제1 경계면 910에서 수평 방향으로 d1, d2 및 d3 크기를 가지며, 제1 디스플레이 110의 제2경계면 915에서 d4 크기의 여백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위치를 재배치할 때, 프로세서 100은 이동되는 화면에서 수평 그룹 오브젝트의 영역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수평 그룹 오브젝트의 영역 위치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의 수평 위치는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는 그대로 유지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수평 그룹 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인버팅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도 9a에 제1 디스플레이 110의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 115에 이동시킬 때, 프로세서 100은 제2 디스플레이 115의 제1경계면 920에서 d4 만큼 떨어진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950의 영역을 제2디스플레이 115의 제2 경계면 925에서 d4 만큼 떨어진 위치로 수평 반전하여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으로 결정하고, 수직 위치는 동일한 h1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재배치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 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인버팅시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도 9a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은 d4 크기의 여백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은 d4의 여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수평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전체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반전시키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치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전체 영역 내에 위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인버팅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music play application)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b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우측 화면의 예이고, 도 9c는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좌측 화면의 예가 될 수 있다.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재생/이동 버튼 960 및 재생 음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버튼 96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이동 버튼 960은 REW(rewind) 버튼, 재생(play) 버튼, FF(fast forward) 버튼이 한 세트로 구성된 단일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이동시 재생/이동 버튼은 단일 오브젝트의 이동과 동일한 방법(복수의 버튼들의 순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나의 버튼으로 재배치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 9b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950의 영역이 여백 없이 수평 방향으로 제1경계면920에서 제2경계면925까지 위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의 위치는 이동되는 화면에서도 동일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9b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110으로의 화면 이동이 요구되면, 프로세서 100은 도 9c와 같이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950의 영역은 동일하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에 위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 960 및 970의 위치는 인버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a -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3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 도 10c를 참조하면, 제3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 될 수 있다.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즉,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적어도 두 개의 단일 오브젝트들이 수직 방향으로 그룹화되어 연결된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도 10a에서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050은 수평방향의 제1디스플레이 110의 제1 경계면 1010에서 3개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 방향으로 그룹화되어 위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a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050의 영역 내에서 8개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은 각각 제1 경계면 10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10a에 도시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수평 방향으로 여백을 가지지 않는 예로 도시되고 있지만, 제1경계면 1010에서 일정크기의 여백을 가질 수도 있다.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위치를 재배치할 때, 프로세서 100은 이동되는 화면에서 수직 그룹 오브젝트의 영역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수직 그룹 오브젝트의 영역 위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의 수평 위치는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는 그대로 유지하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0a에 제1 디스플레이 110의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 115에 이동시킬 때, 프로세서 100은 제1 디스플레이 115의 제1경계면 1010에 위치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영역의 위치를 제2디스플레이의 제2 경계면 1025의 위치로 수평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는 동일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치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 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도 10a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은 수평 여백을 가지지 않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되고 있지만,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수평 여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전체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반전시키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치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전체 영역 내에 위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는 컨택 어플리케이션(contacts application)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b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우측 화면의 예이고, 도 10c는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좌측 화면의 예가 될 수 있다. 컨택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컨택 리스트에서 선택 버튼에 해당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10b는 제2 디스플레이 115의 제2경계면 1025에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1050의 영역이 수평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여백 없이 위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b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110으로의 화면 이동이 요구되면, 프로세서 100은 도 10c와 같이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a -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제4 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 도 11c를 참조하면, 제4타입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와 화면 이동시 재배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혼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재배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는 단일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및/또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1a에서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 및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은 화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으며, 화면 이동시에도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a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는 제1디스플레이 110의 제1경계면 1110 또는 제2디스플레이 115의 제1경계면 1120에 인접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1a에서,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160은 제1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표시될 때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 115의 화면에 표시될 때 수평 반전되어 제2경계면 1125에 인접한 위치에 재배치될 수 있다. 즉,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이동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이동시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되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수평 위치는 반전되고 수직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되는 형태로 재배치될 수 있다. 도 11a에서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160은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형태로 도시되고 있지만,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또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좌측 화면 및 우측 화면에 상관없이 고정된 위치에 표시하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형태에 따라 재배치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e-mail application)의 타이틀(title)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b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우측 화면의 예이고, 도 11c는 제1 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좌측 화면의 예가 될 수 있다. 화면의 타이틀 영역에 표시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인 백 버튼(back button)과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160인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백버튼은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표시되는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타이틀 영역의 다른 버튼들은 화면 이동시 재배치되어야 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1b와 같이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110으로의 화면 이동이 요구되면, 프로세서 100은 도 11c와 같이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는 들은 타입에 따라 재배치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재배치할 위치에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위치되어 있으면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위치 다음에 위치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화면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의 수평 위치가 표시되는 화면의 제1경계면에 인접된 경우,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1160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에 인접되는 위치 까지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pushing to fixed control object). 그리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화면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150의 수평 위치가 표시되는 화면의 제1경계면에 인접된 경우,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1160은 다른 측의 제2경계면 까지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pushing to other side).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이동되는 화면 내에 포함되는 콘트롤 오브젝트의 타입에 따라 화면을 재배치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화면 이동이 요구되면 프로세서 100은 이동할 화면 내에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가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프로세서 100은 1211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1213 동작에서 화면 내에 포함된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방법은 도 8a -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는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플로팅 엘리먼트(floating elements) 및 센딩 엘리먼트(sending elements to the far side) 등이 될 수 있다.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치한 후, 프로세서 100은 1215 동작에서 이동되는 화면을 재배치 여부를 분석한다. 예를들면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만을 재배치하는 화면인 경우(예를들면 단일 콘트롤 오브젝트의 플로팅 이벤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타이틀 영역의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 등),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에 따라 화면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예를들면 단일 콘트롤 오브젝트에서 다른 측(other side)으로 수평 이동(sending)하는 콘트롤 오브젝트,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등),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치하고 이에 따른 화면의 표시 위치도 재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 100은 1215 동작에서 화면의 재배치가 필요하면 1217 동작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및 화면을 재배치하며, 화면의 재배치가 필요 없으면 1221 동작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 1219 동작에서 화면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프로세서 100은 1231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1233 동작 및 1235 동작에서 도 9a - 도 9c와 같은 방법으로 화면 내에 포함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할 때, 프로세서 100은 1233 동작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영역을 반전시키고, 수직 영역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 영역의 여백이 없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 100은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영역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 100은 수평 영역 내에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인버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인버팅 엘리먼트(inverting order of elements)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 100은 1215 동작 -1219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동되는 화면에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프로세서 100은 1241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1243 동작에서 도 10a - 도 10c와 같은 방법으로 화면 내에 포함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할 때, 프로세서 100은 1243 동작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영역을 반전시키고, 수직 영역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 내에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순서의 인버팅 없이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스와핑 엘리먼트(swapping elements)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 100은 1215 동작 -1219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동되는 화면에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프로세서 100은 1251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1253 동작에서 도 11a - 도 11c와 같은 방법으로 화면 내에 포함된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때,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에서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는 수직방향은 그대로 유지하면 수평 방향은 다른 측으로 이동(pushing)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푸싱 엘리먼트(pushing elements to one side)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세서 100은 1215 동작 -1219 동작을 수행하면서 이동되는 화면에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 오브젝트는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에 따라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복합 콘트롤 콘트롤 오브젝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플로팅 엘리먼트와 센딩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인버팅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스와핑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합 콘트롤 콘트롤 오브젝트는 푸싱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 도 13c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플로팅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를 - 도 13c를 참조하면, 플로팅 엘리먼트는 화면이 표시되는 레이어(layer)와 콘트롤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레이어가 다를 수 있다. 예를들면 플로팅 엘리먼트는 화면 표시 레이어 위에 위치되는 레이어에 위치될 수 있다. 플로팅 엘리먼트는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동작 이외에 화면의 재배치 동작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a는 맵 어플리케이션(map application)의 화면이 될 수 있다.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 1310 및 1320은 화면 표시 레이어 위의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콘트롤 오브젝트 1310은 내 위치로의 이동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콘트롤 오브젝트 1320은 이동할 때(예를들면 자동차로 이동) 네비게이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될 수 있다. 도 13b 및 도 13c는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video play application)의 화면이 될 수 있다. 도 13b의 콘트롤 오브젝트 1330을 터치하면, 도 13c와 같이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오브젝트 134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a -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엘리먼트인 콘트롤 오브젝트 1310 -1340은 화면이 표시되는 레이어 위의 다른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이동시 콘트롤 오브젝트는 수평 위치는 반전되며 수직 위치는 그대로 유지되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프로세서 100은 우측 화면에서 좌측 화면으로 이동될 때, 왼손으로 조작하기 쉬운 위치로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좌측 화면에서 우측 화면으로 이동될 때, 오른손으로 조작하기 쉬운 위치로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푸싱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푸싱 엘리먼트(pushing elements to one side)는 콘트롤 오브젝트들 중의 일부를 다른 측 사이드로 이동(pushing)하기 위한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푸싱 엘리먼트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으며,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이동과 무관하게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와 화면의 이동에 따라 재배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배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는 이동 전의 화면 위치에서 이동되는 화면의 다른 측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you-tube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예가 될 수 있다. you-tube 화면의 타이틀 영역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410은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420도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홈 버튼, 백 버튼, 로고 등과 같은 주요 버튼 들이 될 수 있다.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의 경우, 화면 이동시 프로세서 100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는 고정시키고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들은 이동되는 화면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위치를 반전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이때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반전 위치는 화면의 경계면 까지 이동(pushing)시킬 수 있으며, 화면의 경계면 위치에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위치된 경우에는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스와핑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와핑 엘리먼트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 될 수 있다. 스와핑 엘리먼트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반전시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좌측 변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들은 화면 이동시 우측 화면의 우측 변으로 스와핑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도 15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예가 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자(operator) 버튼 들은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 될 수 있다.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연산자 버튼들은 우측 화면의 경우 우측 영역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화면에서 좌측 화면으로 이동할 때, 연산자 버튼들은 좌측 화면의 좌측 영역에 수직으로 배열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화면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좌측 영역(또는 우측 영역)으로 스와핑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이동되는 화면에서 센딩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센딩 엘리먼트(sending elements to the far side)는 화면 이동시 화면 내에 위치된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즉, 화면 이동시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이동되는 화면의 다른 측(far side)에 재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딩 얼리먼트는 대응되는 항목 또는 화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6a는 플래너 어플리케이션(planner application)의 화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a에서 콘트롤 오브젝트1610은 플래너의 시작(start) 및 종료(end)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 될 수 있다. 콘트롤 오브젝트 1610이 온되면 하루(all day)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오프되면 그날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오브젝트 1620은 알림 창을 생성하기 위한 버튼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6a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1610 및 1620은 각각 대응되는 항목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들이 될 수 있으며, 해당 항목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 1610 및 1620들은 우측 화면에서는 화면의 최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화면에서는 화면의 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b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b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1650-1655는 대응되는 항목을 중요(관심, favorite) 항목으로 등록하기 위한 체크 박스 버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 오브젝트1660은 새로운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버튼(create button)이 될 수 있다. 도 16b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1650-1655는 각각 대응되는 항목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 1650-1655 는 해당 항목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 오브젝트 1660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새로운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생성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 1650-1655 및 1660은 우측 화면에서는 화면의 최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좌측 화면에서는 화면의 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이동되는 화면에서 인버팅 엘리먼트의 재배치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인버팅 엘리먼트(inverting order of elements)는 화면 이동시 화면 내에 위치된 수평 그룹 영역의 위치를 설정하고, 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인버팅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즉,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은 화면 이동시 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인버팅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이 좌측 및/또는 우측에서 여백 영역을 가지는 경우,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을 평 방향으로 반전시켜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은 문자 메세지 어플리케이션(message application)의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710의 영역 내에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3개의 콘트롤 오브젝트 1721 - 172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7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710의 수평 영역은 좌우 여백이 없는 예가 될 수 있다. 화면 이동시, 프로세서 100은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710의 영역 내에 위치된 콘트롤 오브젝트 1721 - 1725의 수평 위치를 인버팅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우측 화면에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1710의 버튼들은 1725, 1723, 1721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으며, 우측에서 좌측으로 화면을 이동하면 1721, 1723, 1725의 순서로 재배치(inverting)될 수 있다. 이때 우측화면과 좌측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1721-1725의 크기들은 각각 동일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화면 이동시 화면을 재배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 100은 1811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1디스플레이 11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 11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기능 등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는 형태에 따라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 및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는 재배치되는 동작의 특성에 따라 플로팅 엘리먼트, 푸싱 엘리먼트, 스와핑 엘리먼트, 센딩 엘리먼트, 인버팅 엘리먼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 110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115에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면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화면 요청은 표시화면에서 설정된 인터렉션(예를들면 화면 sweep, touch(or muti-touch) and drag, flick, hovering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1813 동작에서 인터렉션이 발생된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입력부(예를들면 제1디스플레이 110에서 인터렉션이 발생되면 제1입력부 120)가 발생된 인터렉션을 검출할 수 있다. 화면 이동의 요청을 인식하면, 프로세서 100은 1815 동작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되는 화면이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 100은 1817 동작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다른 측의 디스플레이(또는 표시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115의 표시 화면을 제1디스플레이 110에 이동시켜 표시하는 경우, 프로세서 100은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에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없으면 화면이 재배치 없이 제1 디스플레이 110에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되는 화면에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프로세서 100은 1815단계에서 화면의 이동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 110은 제2디스플레이 115의 좌측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 100은 제1 디스플레이 110에 대응되는 제1입력부 120에서 화면 이동 요청이 검출되면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2디스플레이 115에 이동시켜 표시하는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좌측 화면을 우측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요청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00은 제2 디스플레이 115에 대응되는 제2입력부 125에서 화면 이동 요청이 검출되면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디스플레이 110에 이동시켜 표시하는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우측 화면을 좌측 화면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요청임을 인식할 수 있다.
화면의 이동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요청이면, 프로세서 100은 1823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1825 동작에서 제1디스플에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를 우측 화면의 특성에 따라 재배치한 후, 1817 동작에서 화면을 이동시켜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이동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요청이면, 프로세서 100은 1823 동작에서 이를 인식하고, 1827 동작에서 제2디스플에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를 좌측 화면의 특성에 따라 재배치한 후, 1817 동작에서 화면을 이동시켜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가 화면을 이동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 100은 1911동작에서 이동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특성에 따라 재배치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콘트롤 오브젝트는 특성에 따라 플로팅 엘리먼트, 푸싱 엘리먼트, 스와핑 엘리먼트, 센딩 엘리먼트, 인버팅 엘리먼트 등의 콘트롤 오브젝트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이동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는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표시되는 화면과 다른 레이어에 위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이동시 표시되는 화면의 재배치는 필요하지 않으며, 화면과 다른 레이어에서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만을 재배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동작 1913에서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로 인식하면, 1915 동작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좌우 반전시키며, 상하 위치는 동일한 위치를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예를 살펴본다. 이는 도 13a - 도 13c에서 제2 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 100에 이동시키는 예가 될 수 있다. 먼저 수평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우측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와 우측 화면의 우변까지의 거리를 확인한 후, 좌측 화면의 좌변에서 확인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결정한다. 즉, 도 13a에서 재배치되는 콘트롤 오브젝트 1310 및 1320의 수평 위치는 좌우 반전시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 오브젝트의 상하 위치는 우측화면의 상하 위치와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프로세서는 해당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를 정의(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 우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도 있다.
두번째로 이동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는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위치가 고정되는 콘트롤 오브젝트 및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타이틀 바(title bar)영역, 주요 기능의 버튼(예를들면 back key, 로고 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동작 1921에서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로 인식하면, 1923 동작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들 중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는 변경하지 않으며,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이동되는 화면의 측면으로 밀어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되는 화면의 측면에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위치된 경우, 프로세서 100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에 접근되는 위치까지 밀어서 배치할 수 있다.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4에서 좌측 화면은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좌측 화면의 좌변에 인접되어 위치되었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1420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410에 접하여 위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1923 동작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401의 표시 위치는 좌측화면에서 표시되는 위치와 동일한 우측 화면 위치에 고정시키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420의 위치는 이동되는 우측 화면의 우변까지 밀어서 배치할 수 있다.
도 14에서 우측 화면은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우측 화면의 좌변에 인접되어 위치되었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1420은 우측화면의 우변에 위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1923 동작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401의 표시 위치는 우측 화면에서 표시되는 위치와 동일한 좌측화면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 1420의 위치는 좌측 화면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1410에 인접하도록 밀어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 오브젝트의 상하 위치는 이전 화면의 상하 위치와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싱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프로세서는 해당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를 정의(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 우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도 있다.
세번째로 이동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는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상하로 연결되는 수직 그룹 형태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직 그룹 영역 내에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상하로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표시되는 화면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동작 1931에서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로 인식하면, 1933 동작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이동은 좌우가 반전되고, 상하 방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면과 콘트롤 오브젝트는 서로 위치가 바뀔 수(swapping) 될 수 있다. 예를들면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와 나머지 화면들이 스와핑되어 이동되는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5에서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은 콘트롤 오브젝트 1510과 화면 정보 1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서 좌측 화면은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콘트롤 오브젝트가 화면의 좌측 변에 위치됨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 우측 화면은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콘트롤 오브젝트가 화면의 우측 변에 위치됨을 예시하고 있다.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우측 화면의 우변 측으로 이동시키고 화면을 좌측 변 위치로 재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5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00은 콘트롤 오브젝트 1510과 콘트롤 오브젝트 1520을 스와핑시켜 화면을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좌측 화면의 좌변 측으로 이동시키고 화면을 우측 변 위치로 재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이동되는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 1510과 화면정보 1520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swapping)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와핑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프로세서는 해당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를 정의(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 우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도 있다.
네번째로 이동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는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각각 대응되는 항목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센딩 얼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이동시 이동되는 화면의 반대 측면(far side)로 이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동작 1941에서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로 인식하면, 1943 동작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은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때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이동은 좌우가 반전되고, 상하 방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 위치의 좌우 반전은 현재 표시되는 화면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가지는 위치(far side position)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좌측 화면인 경우에는 좌변 측에 위치되며, 우측 화면인 경우에는 우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이동시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현재의 위치에서 가장 먼 쪽(far side, 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좌변에서 우측 화면의 우변 또는 우측 화면의 우변에서 좌측 화면의 좌변)에 재배치할 수 있다.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6에서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콘트롤 오브젝트 1650-1655 및 166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서 좌측 화면은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콘트롤 오브젝트가 화면의 좌측 변에 위치됨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6에서 우측 화면은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콘트롤 오브젝트가 화면의 우측 변에 위치됨을 예시하고 있다.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좌측 화면의 좌변에서 가장 먼 위치(far side)인 우측 화면의 우변 측으로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위치를 우측화면의 우변에서 가장 먼 쪽(far side)인 좌측 화면의 좌변 측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딩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프로세서는 해당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를 정의(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 우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도 있다.
다섯 번째로 이동되는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는 인버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인버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수평 그룹 영역에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화면 이동시 수평 그룹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순서를 인버팅시켜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영역에 여백 있으면(수평 방향에 일부의 여백이 존재하는 경우), 여백 영역에 화면 정보가 포함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인버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에서 콘트롤 오브젝트를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7에서 인버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콘트롤 오브젝트 1721, 1723, 172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포함되는 수평 영역 1710은 화면의 수평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이런 경우 화면의 재배치 동작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서 좌측 화면은 제1디스플레이 110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으며, 우측 화면은 제2디스플레이 115에 표시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의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좌측 화면에 위치된 콘트롤 오브젝트 1721,1723,1725의 순서를 인버팅(inverting order)하여 우측 화면에 콘트롤 오브젝트 1725,1723,1721의 순서로 재배치할 수 있다. 우측 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프로세서 100은 우측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콘트롤 오브젝트 1725,1723,1721의 순서를 콘트롤 오브젝트 1721,1723,1725의 순서로 인버팅(inverting order)하여 좌측 화면에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이동할 때, 프로세서는 해당 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재배치를 정의(예를들면, 좌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 우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 배치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 화면을 이동할 때 이동되는 화면의 상황에 최적의 접근성을 가지도록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장치는 화면 간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이동시킬 때 주요 컨트롤 오브젝트를 좌/우 화면 상황에 맞게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화면 이동시, 좌측 화면의 콘트롤 오브젝트는 왼쪽 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자동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표시영역들을 설정하여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장치(예를들면 태블릿, 랩탑 컴퓨터 등) 및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서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과, 이동 방향의 표시영역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과,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이동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표시영역은 왼손 측에 위치되는 영역이고, 제2표시영역은 오른손 측에 위치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는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표시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표시되는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가 될 수 있다.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과 동일한 레이어에 표시되며,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반전시켜 좌측 화면의 좌변 또는 우측 화면의 우변에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평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순서를 인버팅시키고 수직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위치가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하는 동작은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와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스와핑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및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이동 표시영역의 방향에 따라 먼 쪽으로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은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위치에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위치되면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에 인접하여 콘트롤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이동 표시영역에 재배치하여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표시영역의 제1디스플레이와, 제2표시영역의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상기 이동 표시영역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재배치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표시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표시되는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과 동일한 레이어에 표시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켜 좌측 화면의 좌변 또는 우측 화면의 우변에 재배치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상기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평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순서를 인버팅시키고 수직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상기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할 때,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와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스와핑하여 재배치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및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이동 표시영역의 방향에 따라 먼 쪽으로 재배치하는 장치.
  10.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영역들 간에서 콘트롤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이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의 형태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방향의 표시영역에 따라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가 재배치된 화면을 이동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영역은 왼손 측에 위치되는 영역이고, 상기 제2표시영역은 오른손 측에 위치되는 영역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에 포함된 콘트롤 오브젝트가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상기 이동 표시영역에서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는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재배치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 표시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에 표시되는 플로팅 엘리먼트의 콘트롤 오브젝트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콘트롤 오브젝트는 화면과 동일한 레이어에 표시되며,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콘트롤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를반전시켜 좌측 화면의 좌변 또는 우측 화면의 우변에 재배치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상기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평그룹 영역 내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의 순서를 인버팅시키고 수직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복수의 콘트롤 오브젝트들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이면, 상기 이동 표시영역에서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의 수평 위치가 반전시키고 수직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재배치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콘트롤 오브젝트 그룹을 재배치하는 동작은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정보와 콘트롤 오브젝트들을 스와핑하여 재배치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콘트롤 오브젝트가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 및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이면, 이동 표시영역에서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는 고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재배치 콘트롤 오브젝트는 이동 표시영역의 방향에 따라 먼 쪽으로 재배치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복합 콘트롤 오브젝트를 재배치하는 동작은 상기 재배치할 콘트롤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가 위치되면 상기 고정 콘트롤 오브젝트에 인접하여 상기 콘트롤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55879A 2015-11-06 2015-11-06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879A KR102466990B1 (ko) 2015-11-06 2015-11-06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297,711 US10387017B2 (en) 2015-11-06 2016-10-19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680064799.8A CN108351758A (zh) 2015-11-06 2016-10-25 用于显示多画面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16862330.4A EP3356920B1 (en) 2015-11-06 2016-10-25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11995 WO2017078314A1 (en) 2015-11-06 2016-10-25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879A KR102466990B1 (ko) 2015-11-06 2015-11-06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10A true KR20170053410A (ko) 2017-05-16
KR102466990B1 KR102466990B1 (ko) 2022-11-14

Family

ID=5866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879A KR102466990B1 (ko) 2015-11-06 2015-11-06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87017B2 (ko)
EP (1) EP3356920B1 (ko)
KR (1) KR102466990B1 (ko)
CN (1) CN108351758A (ko)
WO (1) WO2017078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752B1 (ko) * 2016-11-25 2022-04-28 소니그룹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587738B2 (en) * 2017-01-26 2020-03-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7086027A (zh) * 2017-06-23 2017-08-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文字显示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2463007A (zh) * 2019-09-06 2021-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柔性屏终端及其显示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2139202A (ja) * 2021-03-11 2022-09-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5694A1 (en) * 2010-10-01 2012-09-06 Sanjiv Sirpal Windows position control for phone applications
US20120299845A1 (en) * 2011-02-10 201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touch screen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KR20130006905A (ko) * 2011-06-27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12535A1 (en) * 2012-02-13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KR2014004632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40223343A1 (en) * 2013-02-05 2014-08-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olda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icon controlling method
US20140359473A1 (en) * 2013-05-29 2014-1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witching and presenting terminal operation mode and terminal
US20150121306A1 (en) * 2013-10-30 2015-04-3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functions of media guidance applications
WO2015167128A1 (ko) * 2014-04-30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7850A (en) * 1996-06-24 1998-06-16 Intel Corporatoin Relocatable menu icon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8504936B2 (en) 2010-10-01 2013-08-06 Z124 Changing stack when swapping
EP3654141A1 (en) * 2008-10-06 202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CN102369504B (zh) * 2009-03-31 2016-10-26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终端装置、其控制程序以及多个显示画面的控制方法
KR101055924B1 (ko) * 2009-05-26 2011-08-09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EP2270640A1 (fr) 2009-06-26 2011-01-05 France Telecom Procédé de gestion de l'affichage d'une fenêtre d'une application sur un écran, un programme et un terminal l'utilisant
KR101598915B1 (ko) 2009-10-13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US9558476B2 (en) * 2010-07-01 2017-01-31 Good Technology Holdings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workspace data objects
CN101968710B (zh) * 2010-09-29 2012-11-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人机界面的控制方法及电子终端
US20130019192A1 (en) 2011-07-13 2013-01-17 Lenovo (Singapore) Pte. Ltd. Pickup hand detection and its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TWI571790B (zh) 2011-11-10 2017-02-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依感測信號更改圖示座標值的方法與電子裝置
CN103415835B (zh) * 2012-10-08 2016-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屏装置用户界面的处理方法及触屏装置
CN104020939B (zh) * 2013-03-01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KR102161450B1 (ko) 2013-04-09 2020-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US20150040027A1 (en) 2013-07-31 2015-02-05 Yi-Chuan Cheng Portable Device with Handedness Switching Module
JP2015102943A (ja) 2013-11-22 2015-06-04 富士通株式会社 携帯装置、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面表示方法
CN104765541A (zh) * 2015-04-10 2015-07-08 南京理工大学 一种识别左手或右手操作手机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5694A1 (en) * 2010-10-01 2012-09-06 Sanjiv Sirpal Windows position control for phone applications
US20120299845A1 (en) * 2011-02-10 201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touch screen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KR20130006905A (ko) * 2011-06-27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12535A1 (en) * 2012-02-13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KR20140046329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40223343A1 (en) * 2013-02-05 2014-08-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olda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icon controlling method
US20140359473A1 (en) * 2013-05-29 2014-1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witching and presenting terminal operation mode and terminal
US20150121306A1 (en) * 2013-10-30 2015-04-3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functions of media guidance applications
WO2015167128A1 (ko) * 2014-04-30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1879A1 (en) 2017-05-11
EP3356920B1 (en) 2022-04-06
CN108351758A (zh) 2018-07-31
KR102466990B1 (ko) 2022-11-14
US10387017B2 (en) 2019-08-20
EP3356920A4 (en) 2018-11-07
WO2017078314A1 (en) 2017-05-11
EP3356920A1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60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8027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9526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970338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ith control for terminating a program
US9817544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901215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942395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5683895B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US9268481B2 (en) User arrangement of objects on home screen of mobile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49502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screen orientation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874994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con and/or folder management
US911659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30167090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54201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displaying overlapped screens while performing multitasking function
US20130086523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P3356920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007088A1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US20130235088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30162574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1057214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40168098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10082494A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2015027770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