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494A -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494A
KR20110082494A KR1020110045013A KR20110045013A KR20110082494A KR 20110082494 A KR20110082494 A KR 20110082494A KR 1020110045013 A KR1020110045013 A KR 1020110045013A KR 20110045013 A KR20110045013 A KR 20110045013A KR 20110082494 A KR20110082494 A KR 20110082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pplication
data
touch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761B1 (ko
Inventor
채행석
최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11004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7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494A/ko
Priority to US13/470,485 priority patent/US2012028929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으로 입력되는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을 수신하여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및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영역 상의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영역으로 전달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Method for Data Transferring Between Applications and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안드로이드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들(예컨대, 온라인 게임, 채팅, 사진 촬영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키 패드를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만으로는 다양화되어 가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들을 지원하기가 어렵다.
최근 사용자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채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용절감 및 종래의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들의 낮은 신뢰성과 수명의 문제가 해결된 결과이다.
터치 패드(touch pad)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지시자가 움직이고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한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패드의 역할을 겸하는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출력되는 내용과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의 대화적이고 즉시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와 같은 정형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특히, 종래의 저해상도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고해상도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변화되어 가면서, 그래픽 기반의 객체를 통한 입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키-패드를 대체할 경우에는 키-패드 설치면적을 생략 가능하므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단말기에서 상대적으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일명 스마트폰은 거의 대부분 터치스크린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운영 체제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구글 안드로이드, 애플사의 i-OS를 들 수 있으며, 그 운영 체제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삼성, LG, 모토로라, HTC 등의 유수 제조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멀티-태스킹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전체 화면으로만 실행되므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공유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화면에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안드로이드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이케이션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으로 입력되는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영역 상의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은, 롱 탭(long tap) 또는 두 손가락 탭(tap)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은 드래그-앤-드랍 동작 또는 탭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바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바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화면 분할 전에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멀티 태스킹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단말 장치가 가로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의 세로 축을 기준으로 양분되고 단말 장치가 세로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의 가로 축을 기준으로 양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터치입력 처리부, 및 상기 터치입력 처리부로부터 터치 입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 영역 상의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 장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운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이미지 데이터 전달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이미지 데이터 전달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텍스트 데이터 전달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텍스트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이미지 데이터 전달의 개념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단말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인데, 스마트폰 등의 운영 체제로 많이 사용되는 안드로이드계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단말 장치의 경우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이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화면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화면 전환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서 핀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현재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윈도우(110)를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120)와 동시에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핀치"는 멀티 터치의 일 형태로 멀티 터치 핀치, 두 손가락 줌, 핀치 투 줌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며, 두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 화면상에서 오므리는 동작을 하면 터치된 윈도우의 크기가 축소되고, 두 손가락을 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는 터치된 윈도우의 크기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기능을 일컫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좌측에 멀티 태스킹 영역(110)을, 그리고 우측에 메인 영역(120)을 표시하고 있다. 물론 우측에 멀티 태스킹 영역이 표시되고 좌측에 메인 영역이 표시되는 형태의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좌측의 멀티 태스킹 영역(110)은 메시지(message) 어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태스킹 영역(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우측의 메인 영역(120)에서 동영상(DMB 포함), 웹 브라우저, 갤러리와 같은 뷰어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데이터에 대한 롱 탭(long tap)에 의한 선택 동작 및 드래그-앤-드랍(drag-and-drop)에 의한 이동 또는 전달 동작에 의해, 메인 영역(120)의 데이터를 좌측의 멀티 태스킹 영역(110)으로 전달 또는 복사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롱 탭(long tap) 동작을 통해 선택하고, 드래그-앤-드랍 동작을 통해 멀티태스킹 영역 중 현재 활성화 상태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윈도우로 복사 또는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드래그(drag)”는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채 이동하는 동작을, “드랍(drop)”은 드래그 동작을 통해 터치하고 있던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에서 떼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의미가 과도하게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영역으로부터 멀티 태스킹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이란, 화면에 표시되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다른 형태의 터치 관련 동작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이미지 데이터 전달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1에서는 메인 영역(12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이미지를 멀티 태스킹 영역(110)으로 전달 또는 복사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도 2에서는 메인 영역(12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 편집하여 멀티 태스킹 영역(110)으로 전달 또는 복사하는 경우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손가락 탭(tab)을 사용해 크롭 기능을 트리거링한다. 여기서, 크롭(crop, 자르기)은 전체 이미지 중 일부를 잘라내는 기능을 의미하는 포괄적 의미의 용어로 사용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손가락 탭이 이미지 상에서 감지되면 도 2의 (b)에서와 같이 잘라내고자 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 화면이 제공된다. 도 2의 (b)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4 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한 조정키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해 캡쳐할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확정하면, 도 2의 (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래그-앤-드랍(drag-and-drop) 동작을 통해 메인 영역(120)으로부터 멀티태스킹 영역(110)으로 이미지의 전달 또는 복사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텍스트 데이터 전달의 개념을 나타낸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서 메인 영역(11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이제 도 3에서는 메인 영역(110)에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를 멀티 태스킹 영역으로 복사 또는 전달하는 실시예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 3의 (a)에서 메인 영역(120)에 웹 브라우저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이미지 및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텍스트 부분을 예를 들어, 롱 탭(long tap) 동작으로 터치하면, 도 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하는 텍스트 선택을 위한 꺽쇠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도 3의 (c)에서와 같이 꺽쇠를 움직여 복사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선택한 후 다시 탭 동작, 드래그 앤 드랍 동작 등을 통해 좌측에 표시되는 멀티 태스킹 영역(110)으로 선택된 텍스트를 복사할 수 있다. 결과 화면은 도 3의 (d)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영역(120)과 멀티 태스킹 영역(110)의 비율이 1:1로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영역의 비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역(120)이 가로 모드에서 수직으로 분할된 두 패널 중 우측 패널을 차지하고, 좌측 패널에 멀티 태스킹 영역(110)이 배치되는 형태의 실시예들이 되시되었지만, 반대로 좌측 패널에 메인 영역이 배치되고 우측 패널에 멀티 태스킹 영역이 배치되는 형태 또한 얼마든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가 가로 모드가 아니라 세로 모드에 있을 경우에는 핀치 동작에 의해 화면 분할에 진입하는 경우, 화면을 세로로 이등분하여 상위 패널 및 하위 패널로 구분하고 그 중 하나의 패널에 메인 영역을, 나머지 패널에 멀티 태스킹 영역을 배치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텍스트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터치 스크린(410), 터치입력 처리부(420), 제어부(430), 스피커(440), 저장부(450), 마이크(460), 및 무선 송수신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휴대용 통신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그 운영 체제로 안드로이드(또는 구글 안드로이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상세 블록을 차례로 살펴보면, 우선 터치 스크린(410)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입력 처리부(420)로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410)은 터치 입력이 사각형, 원, 선 등과 같이 2차원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20ms)마다 터치된 궤적의 소정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터치입력 처리부(42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410)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으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수용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는 단일 손가락에 의한 단일 터치일 수도 있지만,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 입력은 핀치(pinch),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한 탭(tab), 롱 탭, 드래그-앤-드랍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압전 방식,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언급된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이 검출하는 값은, 그 터치 검출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가 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410)에 저항막 방식이 사용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410)의 소정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터치 스크린(410)은 터치된 위치의 전위차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410)의 표시 영역에서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X,Y)을 터치입력 처리부(420)로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410)은 또한, 제어부(43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의 메뉴혹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과 같은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터치입력 처리부(4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상응하여 터치 스크린(410)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마다 좌표값(X,Y)이 제공되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두 개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좌표값의 증감 특징을 판단하고, 판단된 증감 특징에 기초하여 입력된 터치가 어떤 종류의 터치 입력인지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처리부(42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입력된 터치가 핀치,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한 탭(tab), 롱 탭, 드래그-앤-드랍 동작을 포함하는 다양한 터치 입력들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제어부(430)로 제공한다.
제어부(430)는 터치입력 처리부(420)가 제공하는 터치 입력에 대한 판단 결과를 이용해,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 상의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 및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제1 영역 상의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영역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 영역 상의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은, 롱 탭(long tap) 또는 두 손가락 탭(tap)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은 드래그-앤-드랍 동작 또는 탭 동작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터치입력 처리부(420) 및 제어부(430)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터치입력 처리부(420)가 제어부(430)와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주요 블록들 외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 장치는, 그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블록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440)는 제어부(4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저장부(450)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이 제어부(430)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46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소리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430)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470)는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듀플렉서, 고주파 처리부 및 중간 주파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에 유기된 무선 고주파 신호(RF: Radio Frequency)를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다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30)로 제공하고, 제어부(43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다시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부 전체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형태의 단말 장치를 일 예로 한 경우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따르면, 키-패드(key-pad) 상의 키 입력을 받아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한 키 코드를 제어부(430)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또한, 촬영된 화상 이미지를 영상 처리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430)로 출력하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이동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이동 방법에 따르면 우선,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을 수신하고(501), 화면을 제1 및 제2 영역의 두 영역으로 양분(S502)한다.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S503).
여기서, 제1 영역은 메인 영역으로 제2 영역은 멀티 태스킹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선택 바를 표시하며, 선택 바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제2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은 화면 분할 전에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멀티 태스킹 영역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S504),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S505), 제1 영역 상의 선택된 데이터를 제2 영역으로 전달한다(S5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휴대용 통신 단말을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장치 및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텔레비전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20 : 메인 영역 110: 멀티태스킹 영역
410 : 터치 스크린 420 : 터치입력 처리부
430 : 제어부 440: 스피커
450 : 저장부 460 : 마이크
470 : 무선 송수신부

Claims (15)

  1.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이케이션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으로 입력되는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영역 상의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은, 롱 탭(long tap) 또는 두 손가락 탭(tap)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은 드래그-앤-드랍 동작 또는 탭 동작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바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바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화면 분할 전에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멀티 태스킹 영역인,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단말 장치가 가로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의 세로 축을 기준으로 양분되고 단말 장치가 세로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의 가로 축을 기준으로 양분되는,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터치입력 처리부; 및
    상기 터치입력 처리부로부터 터치 입력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화면 분할을 위한 핀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제1 영역에 원래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제2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 영역 상의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은, 롱 탭(long tap) 또는 두 손가락 탭(tap)인, 단말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터치 입력은 드래그-앤-드랍 동작 또는 탭 동작인, 단말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인, 단말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및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바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바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단말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화면 분할 전에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멀티 태스킹 영역인, 단말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단말 장치가 가로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의 세로 축을 기준으로 양분되고 단말 장치가 세로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의 가로 축을 기준으로 양분되는, 단말 장치.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운영되는, 단말 장치.
KR1020110045013A 2011-05-12 2011-05-13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10125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13A KR101251761B1 (ko) 2011-05-13 2011-05-13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13/470,485 US20120289290A1 (en) 2011-05-12 2012-05-14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application windows displayed o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13A KR101251761B1 (ko) 2011-05-13 2011-05-13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94A true KR20110082494A (ko) 2011-07-19
KR101251761B1 KR101251761B1 (ko) 2013-04-05

Family

ID=449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013A KR101251761B1 (ko) 2011-05-12 2011-05-13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76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90A1 (en) * 2011-11-16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218109A (zh) * 2011-11-28 2013-07-24 马维尔国际有限公司 用于安卓操作系统的双窗口解决方案
WO2014046525A1 (en) * 2012-09-24 201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window in touch device
KR20140125212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5012607A1 (en) * 2013-07-25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4423794A (zh) * 2013-09-11 2015-03-18 上海帛茂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双窗口显示功能的智能型移动设备
CN105912192A (zh) * 2016-03-31 2016-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60150361A (ko) * 2015-06-22 2016-12-30 이태완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2007668B2 (en) 2020-02-22 2024-06-11 Corephotonics Ltd. Split screen feature for macro photograph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02B1 (ko) * 2014-07-03 2015-11-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0646A (ko) * 2005-10-12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KR101548958B1 (ko) *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90A1 (en) * 2011-11-16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054986B2 (en) 2011-11-16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218109A (zh) * 2011-11-28 2013-07-24 马维尔国际有限公司 用于安卓操作系统的双窗口解决方案
WO2014046525A1 (en) * 2012-09-24 201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window in touch device
KR20140039575A (ko) * 2012-09-24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714520B2 (en) 2012-09-24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window in touch device
KR20140125212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452256B2 (en) 2013-07-25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interfering multi-application display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5012607A1 (en) * 2013-07-25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4423794A (zh) * 2013-09-11 2015-03-18 上海帛茂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双窗口显示功能的智能型移动设备
KR20160150361A (ko) * 2015-06-22 2016-12-30 이태완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912192A (zh) * 2016-03-31 2016-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2007668B2 (en) 2020-02-22 2024-06-11 Corephotonics Ltd. Split screen feature for macro photogra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761B1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618B1 (ko) 화면 분할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8701001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EP3239804B1 (en)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keyboard moveable relative to the display
KR101229699B1 (ko)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39576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70338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ith control for terminating a program
US20110193805A1 (en) Scre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touch screens
US20110169743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input device
US2011007856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9500688A (ja) 迅速な画面分割方法、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表示ui、および記憶媒体
US95690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keypad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N108509105B (zh) 一种应用程序管理方法和终端
KR102085309B1 (ko) 전자 장치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CA2846482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US20130135235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6020698A (zh) 移动终端及其单手模式的实现方法
CN107153546B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移动设备
JP5854928B2 (ja) 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2015006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170053410A (ko)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221460A (zh) 一种内容滚动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150234546A1 (en) Method for Quickly Displaying a Skype Contacts List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