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915B1 -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915B1
KR101598915B1 KR1020090097209A KR20090097209A KR101598915B1 KR 101598915 B1 KR101598915 B1 KR 101598915B1 KR 1020090097209 A KR1020090097209 A KR 1020090097209A KR 20090097209 A KR20090097209 A KR 20090097209A KR 101598915 B1 KR101598915 B1 KR 10159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control unit
uni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078A (ko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9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 터치패드, 무선 키보드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OPRATING METHOD OF DISPLAY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영상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하여 제2 디스플레이부에 영상 및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제어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되는 영상 및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및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해서 송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각 전달 매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통해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전파 전달 매체를 통한 방송 전송 방법 이 외에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테츠를 전송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나 유선 케이블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반면,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컨테츠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수가 제한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컨테츠를 동시에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하나로 제한되어, 다양한 경로로부터 입력되는 다 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왜곡, 가려짐, 크기의 변화 없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에 모두 출력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의 입력은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외부 입력 수단이 제한됨으로써, 사용자가 많은 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이외의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이 다른 영상이나 OSD등에 가려지거나 화면 크기등이 왜곡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입력 가능한 키를 표시한 후, 터치 입력으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제어하여, 기능을 수행하거나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1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부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입력 수단 및 데이터 표시 수단으로 병용하여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표 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명령을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상기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의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 받는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된 명령을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 신호가 화면에 가려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출력한 후, 터치 입력으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하여금, 제1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부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입력 수단 및 데이터 출력 수단으로 병용하여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101)와 제2 디스플레이부(10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102)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102)는 제1 디스플레이부(101)의 일측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01)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102)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소정의 연결부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인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로 구현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방송사에서 제작하는 컨텐츠(content)를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을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수신기 뿐 아니라,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201) 및 제1 디스플레이부(201)를 제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202), 제2 디스플레이부(203) 및 제2 디스플레이부(203)를 제어하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203)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203)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는 제1 디스플레이부(201) 및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202)의 일측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202)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는 소정의 연결부(205)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05)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202)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의 통로 역할을 한다. 연결부(205)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202)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로 각종 데이터, 제어신호, 각종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부(203)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204)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205)는 유/무선 데이터 포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USB(Un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301), 제1 디스플레이부(302), 연결부(303),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304), 제2 디스플레이부(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301)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내부 저장 수단에 저장된 영상 신호가 제1 디스플레이부(3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때, 영상 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뿐 아니라,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또한 포함된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301)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304)로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제이부(304)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305)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301)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데이터란, 영상 신호와 별도로 출력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영상 신호와 함께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 포함된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소정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이 때, 제2 디스플레이부가 출력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입력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304)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05)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301)로 출력하고, 제1 디스플레이부(301)는 출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때,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란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키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이거나,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에 터치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즉, 제2 디스플레이부(305)에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가 포함된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제2 디스플레이부(305)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제2 디스플레이부(305)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305)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 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제2 디스플레이부(505)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는 제1 디스플레이부(302)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키(소프트키)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는 키보드에 채용될 수 있는 키 버튼을 터치 타입으로 포함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문자 버튼, 숫자 버튼, 각종 기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입력 모드로 작동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패드를 통하여 소프트키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의 키 입력 또는 키 명령을 통해 '안녕?'을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기 입력된 데이터 '안녕?'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부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스크롤 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제2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는 근접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 신호가 화면에 가려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출력한 후, 터치 입력으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하여금, 제1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부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데이터 입력 수단 및 데이터 출력 수단으로 병용하여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01)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입력모드인지 출력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기기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기기의 모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모드로 제2 디스플레이 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의 모드를 설정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2 디스플레이모드를 입력 모드, 출력 모드, 대기 모드로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1)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 레이부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선택받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단계(S601)의 판단 결과, 제2 디스플레이 기기가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계(S602)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복수의 키를 출력한다. 이 때, 키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문자 버튼, 숫자 버튼, 각종 기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 등이 표시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603)에서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단계(S604)에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출력한다.
이 때,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키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이거나,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명령일 수 있다.
이 때,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단계(S605)에서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제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802)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제1 디스플레이부(800)의 소정 영역(801)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로 제1 디스플레이부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문자, 숫자 등의 입력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의 명령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커서, 아이콘 등의 위치, 방향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601)의 판단 결과, 제2 디스플레이부가 출력 모드로 선택된 경우, 단계(607)에서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데이터를 출력하고, 단계(S608)에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출력 모드로 선택될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001)에는 영상 신호, 방송 신호 등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002)에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입력 모드로 작동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는 근접 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의 모드를 설정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제1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
502: 제1 디스플레이부
503: 연결부
504: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
505: 제2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포인터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내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포인터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거리, 이하 근접 깊이, 에 따라 상이한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소정의 연결부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입력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9.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명령을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상기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포인터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내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포인터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거리, 이하 근접 깊이, 에 따라 상이한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기능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2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고, 포인터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내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포인터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거리, 이하 근접 깊이, 에 따라 상이한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소정의 연결부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입력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9.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각각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표시하고, 상기 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 받는 제 2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된 명령을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고, 포인터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내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를 통하여 상기 포인터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의 거리, 이하 근접 깊이, 에 따라 상이한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여 제 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97209A 2009-10-13 2009-10-13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9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9A KR101598915B1 (ko) 2009-10-13 2009-10-13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9A KR101598915B1 (ko) 2009-10-13 2009-10-13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8A KR20110040078A (ko) 2011-04-20
KR101598915B1 true KR101598915B1 (ko) 2016-03-14

Family

ID=4404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09A KR101598915B1 (ko) 2009-10-13 2009-10-13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90B1 (ko) 2015-11-06 2022-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89Y1 (ko) 2005-01-14 2005-04-18 주식회사 모비더스 휴대폰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148A (ko) * 2003-08-04 2005-02-21 이준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89Y1 (ko) 2005-01-14 2005-04-18 주식회사 모비더스 휴대폰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8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0734B2 (en)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109426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689849B1 (ko) 원격조정제어장치,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045789A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13131087A (ja) 表示装置
US20130176223A1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4423697A (zh)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方法和程序
KR101515454B1 (ko)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30078514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096905A (ko) 전자장치의 키패드 장치 및 표시 방법
US9060153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EP3016400A2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51941B1 (ko) 아이콘 관련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1598915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JP2013114645A (ja) 小型情報機器
KR20130115711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097364B1 (ko) 터치 리모컨 및 터치 리모컨을 이용하여 영상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KR101674939B1 (ko)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0754688B1 (ko)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는 방법
KR101433727B1 (ko)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KR20170069454A (ko) 마우스 동작 가능한 통신단말 장치
KR101646010B1 (ko) 문자 입력 단말기
WO201924629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tegrating slide and touch on an input device
US20140300534A1 (en) Input de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setting method thereof
KR20170108908A (ko) 디스플레이 화면방향 전환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화면방향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