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038A -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038A
KR20170052038A KR1020150153937A KR20150153937A KR20170052038A KR 20170052038 A KR20170052038 A KR 20170052038A KR 1020150153937 A KR1020150153937 A KR 1020150153937A KR 20150153937 A KR20150153937 A KR 20150153937A KR 20170052038 A KR20170052038 A KR 2017005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stabilizer
stabilizer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038A/ko
Publication of KR2017005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with the regulating means inside the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20Mounting of accessories, e.g. pump, compressor
    • B60G2204/202Mounting of accessories, e.g. pump, compressor of cables
    • B60G2204/2022Mounting of accessories, e.g. pump, compressor of cables using a suspension element (e.g. link, damper or spring) as part of the electrical circui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직선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일단이 돌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과 함께 직선 이동되는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는 스태빌라이저가 설치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차륜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현가장치(suspension)를 통하여 흡수함으로써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자동차에는 노면상태가 상하로 굴곡되어 있거나, 상기 자동차가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선회시, 발생되는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체의 하부에서 좌우 바퀴를 향하여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일단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우 쇽업소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매개로 상기 좌우 쇽업소버와 연결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직선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일단이 돌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과 함께 직선 이동되는 로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주행 중 서스펜션 장치의 지오메트리(Geometry)가 가변되어,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유성기어세트 중 하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차체(110)와, 차체(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동차의 주행시에 차체(110)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는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ARS; Active Rotary type Stabilizer)를 포함한다. 상기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는 좌측 바퀴(121) 및 우측 바퀴(122)를 향하여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스태빌라이저 바(180)(190)와, 스태빌라이저 바(180)(190)의 좌우방향 가운데에 결합되어 스태빌라이저 바(180)(190)에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액추에이터(100)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 바(180)(190)의 양단에는 각각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가 결합된다. 즉, 스태빌라이저 바(180)(190)는 액추에이터(100)와 결합되는 일단이 좌우방향으로 직선 연장되고 액추에이터(100)와 결합되지 않은 타단은 밴딩된다. 스태빌라이저 바(180)(190)는 상기 밴딩된 부분의 끝단에 각각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의 일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의 타단은 쇽업소버(126)(127)에 결합된다.
스태빌라이저 바(180)(190)는 액추에이터(100)의 좌측에 결합되어 좌측 바퀴(121)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와, 액추에이터(100)의 우측에 결합되어 우측 바퀴(122)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에 결합되는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에 결합되는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를 포함한다.
쇽업소버(126)(127)는 좌측 바퀴(121) 및 차체(110)를 연결하는 좌측 쇽업소버(126)와, 우측 바퀴(122) 및 차체(110)를 연결하는 우측 쇽업소버(127)를 포함한다. 좌측 쇽업소버(126) 및 우측 쇽업소버(127)는 차체(110)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자동차가 주행시에 노면으로부터 좌우 바퀴(121)(122)를 통해 차체(11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쇽업소버(126)(127)는 스트럿 튜브(126a)와, 좌우 바퀴(121)(122)의 범프 및 리바운드시에, 스트럿 튜브(126a) 내에서 인출되고 스트럿 튜브(126a) 내로 삽입되는 스트럿 로드(126b)를 포함한다. 스트럿 로드(126b)의 상단은 차체(110)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좌우 바퀴(121)(122)는 자동차의 전륜을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륜의 경우 스트럿 튜브(126a)는 좌우 바퀴(121)(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2)에 결합된다. 하지만, 후륜의 경우 스트럿 튜브(126a)는 후술하는 로워 암(131)(132)의 상측에 결합된다.
너클(1)(2)은 좌측 바퀴(121)의 휠이 장착된 캐리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측 너클(1)과, 우측 바퀴(122)의 휠이 장착된 캐리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 너클(2)을 포함한다.
너클(1)(2)의 상부에는 어퍼 암(141)(142)이 결합되고, 너클(1)(2)의 하부에는 로워 암(131)(132)이 결합된다. 어퍼 암(141)(142)은 로워 암(131)(132)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로워 암(131)(132)은 어퍼 암(141)(142)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어퍼 암(141)(142)은 좌측 바퀴(121) 및 차체(110)를 연결하는 좌측 어퍼암(141)과, 우측 바퀴(122) 및 차체(110)를 연결하는 우측 어퍼 암(142)을 포함한다.
그리고, 로워 암(131)(132)은 좌측 바퀴(121) 및 차체(110)를 연결하는 좌측 로워 암(131)과, 우측 바퀴(122) 및 차체(100)를 연결하는 우측 로워 암(132)을 포함한다.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는 우측단이 액추에이터(100)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좌측단은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의 우측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는 좌측단이 좌측 쇽업소버(126)에 결합된다.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는 우측단이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의 좌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단은 좌측 쇽업소버(1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는 좌측단이 액추에이터(100)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우측단은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의 좌측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는 우측단이 우측 쇽업소버(127)에 결합된다.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는 좌측단이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의 우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은 우측 쇽업소버(1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좌측 어퍼 암(141)은 좌측단이 좌측 너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이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우측 어퍼 암(141)은 좌측단이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이 우측 너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좌측 로워 암(131)은 좌측단이 좌측 너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이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우측 로워 암(132)은 좌측단이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단이 우측 너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의 작동 모습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가 상기 자동차가 직진 주행하게 되면 액추에이터(100)는 전혀 작동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차가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 주행하게 되면, 차체(110)가 관성에 의하여 왼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차체(1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액추에이터(100)를 일방향의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차체(110)가 낮아진 좌측의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를 매개로 좌측 쇽업소버(126)를 밀면서 차체(110)를 위로 밀어올리고, 상대적으로 차체(110)가 높아진 우측의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를 매개로 우측 쇽업소버(127)를 잡아당기면서 차체(110)를 아래로 잡아당겨 차체(1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반대로, 상기 자동차가 왼쪽 방향으로 선회 주행하게 되면, 차체(110)가 관성에 의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차체(1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액추에이터(100)를 타방향의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차체(110)가 높아진 좌측의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를 매개로 좌측 쇽업소버(126)를 잡아당기면서 차체(110)를 아래로 잡아당기고, 상대적으로 차체(110)가 낮아진 우측의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를 매개로 우측 쇽업소버(127)를 밀면서 차체(110)를 위로 밀어올려 차체(1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는, 자동차의 선회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차체(110)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여, 선회 주행이 아닌 직진 주행과 같은 모습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 환경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유성기어세트 중 하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의 액추에이터(1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105)과, 하우징(105)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하우징(105)의 내부에 구비되고 모터(200)에 의하여 발생된 회전력을 소정의 감속비를 갖도록 감속시키는 감속기(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200)는, 하우징(105)의 내부 중 일측 내주면에 인접되게 고정된 스테이터(210)와, 스테이터(210)의 내부에서 전력 공급에 따라 회전되는 로터(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터(200)는 전기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일종이다. 스테이터(210)와 로터(220)는 그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테이터(210)가 하우징(105)의 축 중심에 위치되고, 로터(220)가 스테이터(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전력 공급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감속기(300)는, 모터(20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모터(20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1차, 2차, 3차로 감속시키는 3개의 유성기어세트(310)(320)(330)를 포함한다. 감속기(300)는 모터(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모터(200)의 회전력을 증폭시켜서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로 전달한다.
3개의 유성기어세트(310)(320)(330)는 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감속기(300)는 모터(200)와 근접하여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유성기어세트(310)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와 근접하여 가장 우측에 배치되는 제3 유성기어세트(330)와, 제1 유성기어세트(310) 및 제3 유성기어세트(33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세트(320)를 포함한다.
제1 유성기어세트(310), 제2 유성기어세트(320) 및 제3 유성기어세트(330)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제1 유성기어세트(310), 제2 유성기어세트(320) 및 제3 유성기어세트(330)는 각각, 선기어(311)와, 선기어(3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유성기어(312)와, 복수의 유성기어(312)를 감싸고 하우징(105)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링기어(313)를 포함한다.
선기어(311)는 링기어(313) 내부의 축 중심에 배치되고, 복수의 유성기어(312)는 링기어(313)의 내부에서 선기어(311) 및 링기어(313) 사이에 맞물린다. 선기어(311)가 회전되는 경우 복수의 유성기어(312)는 선기어(31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선기어(311)의 둘레를 따라 공전된다.
제1 유성기어세트(310)의 선기어(311) 축 중심에는 모터(200)의 회전축(230)과 결합되는 입력축(340)이 결합된다. 입력축(340)은 모터(200)의 회전력이 입력되는 부분으로서, 감속기(300)의 입력축(340)을 의미한다. 또한, 제3 유성기어세트(330)의 복수의 유성기어(312)의 회전축에는 캐리어(350)가 결합된다. 캐리어(350)는 모터(200)의 회전력이 감속기(30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감속기(300)의 출력축을 의미한다.
캐리어(350)는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감속기(300)에서 증폭된 모터(200)의 회전력을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로 전달하여서,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가 원주방향으로 비틀리도록 한다.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는 일단이 캐리어(350)의 중심으로 삽입된다. 캐리어(350)의 중심은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를 향하는 외측면이 개구되고, 그 개구된 내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또한, 캐리어(350)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캐리어(350)의 개구된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의 일단이 캐리어(350)의 개구된 중심으로 삽입되면, 캐리어(350)의 개구된 중심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의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가 서로 맞물림으로서,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 및 캐리어(350)는 스플라인 결합된다.
하우징(105)의 일단은 모터 커버(260)에 의해 차폐된다. 모터 커버(260)는 하우징(105)의 일단에 고정된다. 제1 스태빌라이저 바(180)는 모터 커버(260)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하우징(105)의 타단은 감속기 커버(360)에 의해 차폐된다. 감속기 커버(360)는 하우징(105)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2 스태빌라이저 바(190)는 감속기 커버(360)를 관통하고, 감속기 커버(36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상기 자동차가 주행시에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 즉,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실린더(611)와, 실린더(611) 내에 직선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스톤(612)과, 피스톤(612)과 결합되어 실린더(611) 외부로 일단이 돌출 배치되고, 피스톤(612)과 함께 직선 이동되는 로드(613)를 포함한다. 로드(613)는 상단이 피스톤(612)의 하측에 결합되고, 하단이 실린더(611)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상기 자동차가 직진 주행과 선회 주행시에 서스펜션 장치의 지오메트리가 가변되어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드(613)의 하단은 스태빌라이저 바(180)(19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실린더(611)의 상단은 쇽업소버(126)(127)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자동차가 직진 주행시 승차감 향상을 위해,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길이가 변화될 수 있는 강성이 낮아져서 길이가 쉽게 변화됨으로써, 좌/우측 쇽업소버(126)(127)의 링크결속을 낮추어, 노면으로부터 좌측 바퀴(121)를 통해 우측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노면으로부터 우측 바퀴(122)를 통해 좌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선회 주행시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길이가 변화될 수 있는 강성이 높아져서 길이가 쉽게 변화되지 않음으로써, 차체(100)의 롤을 억제하여 조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611) 내에는 MR(Magneto-rheological Fluid)유체가 충진된다. MR유체는 자기장에 의해 액체의 성질이 변하는 물질로 평상시에는 점도가 낮아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지만, 자기장이 가해지면 점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MR유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가 직진 주행시는 MR유체를 점도가 낮은 상태로 만들어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의 길이가 쉽게 변하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상기 자동차가 선회 주행시는 MR유체에 자기장을 가하여 MR유체의 점도를 높여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의 길이가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여 롤억제 및 조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린더(611) 내에는 컨트롤러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피스톤(612)은 실린더(611)의 내부공간인 챔버를 상하로 양분한다. 즉, 피스톤(612)은 실린더(611)의 챔버를 제1 챔버(611a) 및 제2 챔버(611b)로 나눈다. 제1 챔버(611a)는 피스톤(61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챔버(611b)는 피스톤(612)의 상측에 배치된다. 피스톤(612)에는 실린더(611) 내에 채워진 MR유체가 통과하는 유체유로(612a)가 형성된다.
상기 자동차가 직진 주행시에 실린더(611) 내에 채워진 MR유체의 점도를 낮게 하여, 제1 챔버(611a) 내의 MR유체가 유체유로(612a)를 통해 쉽게 제2 챔버(611b)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2 챔버(611b) 내의 MR유체가 유체유로(612a)를 통해 쉽게 제1 챔버(611a)로 이동되도록 하여서, 피스톤(612)이 쉽게 상하로 직선 이동되록 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댐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가 선회 주행시에 실린더(611) 내에 채워진 MR유체의 점도를 높게 하여, 제1 챔버(611a) 내의 MR유체가 유체유로(612a)를 통해 제2 챔버(611b)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제2 챔버(611b) 내의 MR유체가 유체유로(612a)를 통해 제1 챔버(611a)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여서, 피스톤(612)이 상하로 직선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롤 강성이 상승된다.
실린더(611)의 제1 챔버(611a)에는 제1 스프링(614)이 배치되고, 실린더(611)의 제2 챔버(611b)에는 제2 스프링(615)이 배치된다. 제1 스프링(614) 및 제2 스프링(615)은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로드(613)는 제1 스프링(614)을 상하로 관통한다.
제1 스프링(614)은 상단이 피스톤(612)의 하측에 결합되어 피스톤(612)의 하측과 항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하단은 실린더(611) 내의 하측에 결합되어 실린더(611) 내의 하측과 항시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2 스프링(615)은 상단이 실린더(611) 내의 상측에 결합되어 실린더(611) 내의 상측과 항시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하단은 피스톤(612)의 상측에 결합되어 피스톤(612)의 상측과 항시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 스프링(614) 및 제2 스프링(615)은 피스톤(612)을 탄성 지지하여서, 피스톤(61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일 때, 피스톤(612)이 제1 챔버(611a) 및 제2 챔버(611b)의 체적이 같아지는 위치에 오도록 한다.
따라서, 제1 스프링(614) 및 제2 스프링(615)은 실린더(611) 내에 충진된 MR유체의 점도가 낮은 상태일 때, 피스톤(612)을 상하로 쉽게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MR유체의 점도가 낮은 상태에서 높은 상태로 변화할 때 피스톤(612)이 실린더(611) 내의 상하방향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동차가 직선주행시 승차감 향상과 오프로드 험로주행시 접지력 확보를 위해, MR유체가 점도가 낮아져서 제1 챔버(611a) 및 제2 챔버(611b)로의 이동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는 쉽게 길이가 변화되어 스태빌라이저 바(180)(190)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좌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10) 및 우측 스태빌라이저 링크(620)의 독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스태빌라이저 링크(610)(620)의 길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주행 중 서스펜션 장치의 지오메트리(Geometry)가 가변되어, 승차감 및 조정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추에이터 105: 하우징
110: 차체 126,127: 쇽업소버
180,190: 스태빌라이저 바 200: 모터
230: 모터의 회전축 300: 감속기
340: 감속기의 입력축 350: 감속기의 출력축
610,620: 스태빌라이저 링크 611: 실린더
611a: 제1 챔버 611b: 제2 챔버
612: 피스톤 612a: 유체유로
613: 로드 614: 제1 스프링
615: 제2 스프링

Claims (9)

  1. 스태빌라이저 바;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직선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일단이 돌출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과 함께 직선 이동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에는 엠알(MR)유체가 채워지는 자동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가 선회 주행시에 상기 실린더 내에 채워진 유체는 점도가 높아지고,
    상기 자동차가 직진 주행시에 상기 유체는 점도가 낮아지는 자동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실린더 내에 채워진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유로가 형성되는 자동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양분된 상기 실린더의 챔버 중 제1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양분된 상기 실린더의 챔버 중 제2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체적이 같아지도록 상기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자동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는 차체를 탄성 지지하는 쇽업소버에 결합되는 자동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좌우방향 가운데에 배치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롤 강성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입력축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스태빌라이저 바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결합되는 제2 스태빌라이저 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50153937A 2015-11-03 2015-11-03 자동차 KR20170052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37A KR20170052038A (ko) 2015-11-03 2015-11-03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937A KR20170052038A (ko) 2015-11-03 2015-11-03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38A true KR20170052038A (ko) 2017-05-12

Family

ID=5874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937A KR20170052038A (ko) 2015-11-03 2015-11-03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0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762B2 (en) Electric damper for vehicle
EP2012042B1 (en) Damper
US9586457B2 (en) Active rotary stabilizer and stabilizer bar link assembly for vehicle
KR102617278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CN109789748B (zh) 轮内电动机驱动装置用悬架结构
US10603975B2 (en) Stabilizer
JP2008302731A (ja) 車体姿勢制御装置
JP2017100697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106106A (ja) 車両懸架装置
JPH03227713A (ja) ロールダンパ装置
KR10174480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JP2017007455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2019043412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と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との連結構造
KR20170052038A (ko) 자동차
KR102416610B1 (ko) 자동차
KR101585425B1 (ko) 가변 강성을 갖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져바
JP2007099114A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の取り付け構造
KR102396852B1 (ko) 자동차
KR102239007B1 (ko) 차량의 능동 회전형 스태빌라이저의 액추에이터
JP2005238936A (ja) 電動輪
CN108274988B (zh) 具有动态吸振功能的轮边电驱动系统
KR20180032446A (ko) 스프링 회전형 능동 서스펜션
JP6518516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00104671A (ko) 감쇠력 가변 장치
KR20170054790A (ko)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