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306A -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 Google Patents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306A
KR20170051306A KR1020160140339A KR20160140339A KR20170051306A KR 20170051306 A KR20170051306 A KR 20170051306A KR 1020160140339 A KR1020160140339 A KR 1020160140339A KR 20160140339 A KR20160140339 A KR 20160140339A KR 20170051306 A KR20170051306 A KR 20170051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filled
til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150B1 (ko
Inventor
익 녕 이
Original Assignee
익 녕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 녕 이 filed Critical 익 녕 이
Publication of KR2017005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06A/ko
Priority to CN201711006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98165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어진 상태로 있다가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물로 채울 때 회전하면서 일어서고, 물이 가득 채워지면 지금까지 채워진 물을 쏟아내면서 다시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를 제안한다. 상기 용기는 소라 모양의 속 용기 및 상기 소라 모양의 속 용기가 결합하는 바깥 용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The container from being tilted to be rotated and upright in course of filling the contents, pouring the contents and re-tilted in case of all the contents are filled}
본 발명은 물이 물레방아를 돌리는 에너지이용 원리처럼 물체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울어진 상태로 있다가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내용물(contents, 이하 물)로 채울 때 회전하면서 일어서고, 물이 가득 채워지면 지금까지 채워진 물을 쏟아내면서 다시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 또는 잔은 물과 같은 액체를 채워서 마시는데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유나 주스를 마시기 위한 컵은 유리로 만들되 손잡이가 없어도 되지만, 뜨거운 커피나 차를 마시기 위한 컵은 손잡이가 있어야 하는 등 용도에 따라 제 각각의 형태를 가진다. 축구나 골프와 같은 운동의 우승팀 또는 우승자에게 우승컵을 수여하는 것과 같이 컵의 용도는 음료수를 마시는 것 이외에도 다양하다. 컵의 제조자들은 컵의 고유기능은 물론 심미감을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컵을 제작하여 판매한다.
도 1은 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a는 일반적인 컵 또는 머그잔의 예이고, 도 1b는 밑면이 기울어진 컵의 예이며, 도 1c는 힘을 가하면 회전하는 컵이고, 도 1d는 기울어져 있다가 을 채우면 똑바로 서는 컵이며, 도 1e는 이중 컵의 예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나 음료수를 담아 마시는 고유기능은 기본이고, 이러한 고유기능 이외에도 심미적인 기능 등을 포함하는 컵이나 머그잔들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러한 관심과 요구는 컵이나 머그잔을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것과는 별도의 기능이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만일 컵이나 머그잔으로 사용자에게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다면 고객에게 큰 감동도 선사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02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울어진 상태로 있다가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물로 채울 때 회전하면서 일어서고, 물이 가득 채워지면 지금까지 채워진 물을 쏟아내면서 다시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채워지면 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며, 속 용기 및 바깥 용기를 구비한다. 상기 속 용기는 입구는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나선형으로 내부가 좁아져서 내부가 밀폐되는 소라 모양을 가진다. 상기 바깥 용기는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속 용기가 결합하며, 입구의 표면은 한쪽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으며, 밑면에 형성된 회전접지면은 밑면의 나머지 부분인 수평접지면의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다. 상기 결합한 용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기능이 작동되도록 상기 속 용기 및 상기 바깥 용기의 재질 및 두께와 상기 속 용기와 상기 바깥 용기 사이의 공간은 상기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바닥 밑면부터 일정수위까지 공간을 채워 무게 배합조절로 무게 균형을 결정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에게는 가득 차면 쏟아버려 '가득 채움을 경계하라.'는 교훈을 몸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소라와 같이 형태로 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술)은 용기를 돌려가면서 마셔야 하기 때문에 용기에 저장된 술을 단번에 마시기는 어렵고 조금씩 나눠 마셔야 하므로 과음을 피할 수 있으며, 용기가 비어 있을 때에는 기울어져 있으므로 물을 속 용기에 투입할 때 용기를 따로 기울게 할 필요가 없으며, 속 용기 및 바깥 용기로 이중으로 되어 있어 컵에 물기가 적게 생겨 미끄러짐이 적으며 온도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으며,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만든다면 움직임에 따른 호기심도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요식업자에게도 고객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 고객의 유치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선물로도 활용될 수 있고, 교육 현장에서 교훈을 가르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토기로 구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순자의 유좌편에 나오는 유좌지기(宥坐之器)의 기능 '이 그릇은 비어 있으면 기울고, 알맞게 차면 바르게 놓이고, 가득 차면 엎어진다.'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용기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컵)은 그 형태의 특성상 용기의 내부에 물이 없을 때에는 반드시 일정한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놓여있지만, 비어 있는 내부에 위치에너지를 가지는 물이 용기의 내부로 낙하하면서 낙하에너지와 용기 속에 채워지는 물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화게 되면서 용기가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게(stand up) 된다. 그러나 용기가 서있을 정도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용기에 채워지면, 용기가 기울어지면서 이제까지 채운 물을 밖으로 쏟아버리고 다시 내부를 비우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고안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명칭인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지는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를 줄여 "용기"라고 기재한다. 또한, 내용물에는 물은 물론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술이나 음료와 같은 액체를 모두 포함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용물 대신 물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모양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한 속 용기 및 바깥 용기를 나타내고, 도 2b는 속 용기 및 바깥 용기가 결합한 상태의 상부 측면의 사시도이고, 도 2c는 용기의 저면도이며, 도 2d는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2e는 기울어진 상태의 용기의 중앙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용기(200)는 속 용기(210) 및 바깥 용기(250)의 모양이 달리하여 구성되며, 바깥 용기(250)와 속 용기(210)가 결합한 이중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의 결합방법은, 용기가 비어 앞쪽으로 30°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속 용기(210)의 하단부는 제일 좌측 밑부분과 좌측 밑부분과 접하는 측면의 접합을 시작으로 회전방향으로 바깥 용기(250) 안쪽 벽면을 따라 측면을 접합하면서 360° 돌아 위로 향하며, 바깥 용기(250) 윗면 제일 좌측면에 접합하여 하나의 용기로 결합한다.
여기서 결합이라는 말의 의미는, 설명상 구성은 2개로 되어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하나의 용기 구조라는 것이다. 또한, 바깥 용기(250)와 속 용기(210)의 결합으로 생기는 밀폐된 공간은 용기의 기능이 작동되도록 일부 밑면으로부터 위로 일정부위까지만 용기재질로 채워지고 그 외 대부분은 실제 비어 있는 공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속 용기(210)는 입구는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나선형으로 내부가 좁아져서 내부가 밀폐되는 소라 모양을 가진다. 이러한 소라 모양의 구조를 가지는 속 용기(210)에 물을 채우면, 채워지는 물은 소라의 내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2a에는 자세하게 구분할 수 없지만 속 용기(210)의 내부는 물을 채우면 용기가 회전방향으로 무게중심이 360° 이동하도록 돌려 올린 소라 속 모양이 바람직하다.
바깥 용기(250)는 내부에 속 용기(210)가 결합되는 공간으로 되어 있으며, 용기(200)의 입구의 표면은 한쪽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일정한 각도(θ1) 기울어져 있고, 용기(200) 밑면의 회전접지면(A-B)은 밑면의 가상의 연장선(G)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θ2)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기(200)의 입구의 표면의 기울어짐(θ1)은 용기(200)가 기울면서 가득 차며 넘어짐과 용기(200)의 기능 작용을 위한 무게중심을 위해서다.
용기(200)가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기 위해서는 용기(200)의 밑면에는 일부 회전접지면(A-B)을 제외한 수평접지면(H, 도 2c 참조)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용기(200)의 기울어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용기(200)의 밑면 전체 중 일부 영역(H, 이하 수평접지면(E-F))은 평탄하여 용기(200)가 똑바로 서서 용기 사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일부 가장자리 영역(H를 제외한 영역, 이하 회전접지면(A-B))은 용기(200)가 비어 기울어져 있을 때의 각도(θ2)가 30°부터 시작하여 물을 채워져 용기(200)가 180° 회전하면서 기울기 각도(θ2)는 점점 작아져 똑바로 설 경우 0°까지 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기울기 각도(θ2)는 ①, ② 및 ③의 위치로 갈수록 30°, 15°, 0°로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다른 각도에서 표현하면, 밑면의 일정한 각도 범위(θ3)의 가장자리는 평탄하지만, 나머지 각도 범위(360°-θ3)의 가장자리는 밑면에서 용기(200)의 상부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에서부터 평탄까지 이른다는 것이다.
용기(200)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를 도시한 도 2d를 참조하면, 속 용기(210)의 가장 하부는 바깥 용기(250)의 한쪽에 치우치는 곳에 위치하며, 도 2c와 연관하면, 속 용기(210)의 가장 하부는 도 2c의 ② 근처에서 바깥 용기(250)와 결합하며 속 용기(210)의 최상부도 도 2c의 ② 근처에서 바깥 용기(250)와 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d에서 빗금이 쳐진 부분은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의 표면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이 없이 막혀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용기(200)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용기(200)의 밑면의 경사진 부분 중 F 근방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E 부근이 떠있도록 할 것을 제안하는데, 이는 용기(200)를 구성하는 속 용기(210) 및 바깥 용기(250)의 재질과 두께 그리고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 사이의 공간 중 하부의 공간(310)을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채워 용기(200)의 무게 중심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의 사이 중 나머지 공간(320)은 실제로 비어 있도록 한다.
용기(200)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따라서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를 가짐) 비워져 있던 속 용기(210)에 물을 낙하하면 물의 낙하에너지와 함께 속 용기(210)에 투입된 물의 위치에너지가 소라 속 모양의 속 용기(210)의 형태로 인해 운동에너지로 바뀌면서 용기(200)의 무게 중심(T)을 이동시키게 되고, 결국 용기(200)의 회전접지면(A-B)이 표면(G)을 따라 시계방향(도 2c 참조)으로 180° 넘게 이동하면서 밑면의 E 지점을 거쳐 마지막으로는 H 영역이 표면(G)에 접하게 되어 용기(200)가 바로 서게 된다. 여기서 표면(G)은 용기(200)가 놓이는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실제로 제작하여 각도 범위(θ3)가 120°인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는데, 각도 범위(θ3)는 용기(200)의 재질이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밑면의 회전접지면(A-B)이 표면(G)과 접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있으며 용기(200)의 내부가 아무것도 채워지지 않은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속 용기(210)의 내부를 50% 이상 채웠을 때 기울어 있던 용기(200)의 수평접지면(E-F)이 표면(G)에 접하는 상태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며, 도 3c는 속 용기(210)의 내부가 거의 채워져 넘어지기 일보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d는 용기(200)의 내부가 채워져 용기(200)가 쓰러져 용기(200) 내부에 채워진 물을 대부분 바깥으로 쏟아 내고 약간의 물만 남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회전접지면(A-B)이 표면(G)과 접하여 전체적으로는 기울어진 상태로 있으며 용기(200)의 내부가 비워져 있어 무게 중심선(T)이 밑면의 회전접지면(A-B)의 중심부와 용기(200)의 한쪽 입구(D)를 관통한다. 이때에는 무게 중심선(T)을 중심으로 양쪽부분(L, R)의 무게는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200)의 재질과 속 용기(210) 및 바깥 용기(250)의 두께와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 사이에 생긴 공간(310)을 용기 재질로 바닥 면부터 위로 일부 수위까지 공간에 채워지도록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용기(200)의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고 비워져 있을 때 용기(200)의 회전접지면(A-B)이 항상 표면(G)과 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한다.
용기(200)가 비어 있을 때는 도 2c의 E 정 반대쪽으로 30° 정도 기울어져 있고, 용기(200)에 물이 채워지면 용기(200)가 서서히 F-E 방향으로 180°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표면(G)에 기울어진 상태로 있던 용기(200)가, 용기(200)에 채워지는 물(W)에 의해 똑바로 세워지면서 밑면의 수평접지면(E-F)이 표면(G)과 접하게 되면서 무게 중심선(T)이 이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는 도 2c의 수평면(H)이 표면(G)에 접하게 되는 상태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속 용기(210)의 내부가 물(W)로 가득 채워져 있을 때에는 무게 중심선(T)을 중심으로 좌측부분(L)이 우측부분(R)에 비해 무게가 더 나가게 된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속 용기(210)의 내부가 물(W)로 가득 채워지면 결국 용기(200)는 쓰러지게 되어 속 용기(210)에 있던 물(W)이 외부로 쏟아져 내부에는 적은 양의 물(W) 만이 남게 될 것이다.
도 3의 내용을 에너지의 변환 차원에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물이 채워지지 않는 용기(200)는 회전접지면(A-B)이 표면(G)에 접하기 때문에 일정한 각도(θ2)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의 용기(200)의 속 용기(210)에 물(W)을 채워가면 채워지는 용기(200)의 입구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물(W)이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동안의 위치에너지의 차이가 속 용기(210)의 내부에서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용기(200)를 회전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물이 채워지는 곳은 속 용기(210)이고,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의 일정공간(320)은 빈 상태로 놔두고, 나머지 일정공간(310)은 상술한 용기 기능이 작동하도록 용기 재질로서 무게중심을 위하여 밑에서부터 일정부위까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토기로 구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나타낸다.
도 4a는 속 용기(210)의 내부를 찍은 사진이고, 도 4b는 바깥 용기(250)의 밑면 사진이며, 도 4c는 용기의 전면사진이고, 도 4d는 용기의 후면사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200)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200)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토기, 금속 및 나무 각각을 이용하거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속 용기(210)는 밑면에서 윗면 즉 입구로 갈수록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단면이 넓어지게 되어 있으며, 바깥 용기(250)는 밑면보다 윗면이 약간 넓은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합적으로 사용한다는 말은,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의 재질을 다르게 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의 재질이 속 용기(210) 난 바깥 용기(250)의 재질과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속 용기(210)와 바깥 용기(250)가 용기(200)의 고유한 기능을 작동할 수 있도록, 회전접지면과 표면(G)이 이루는 각도(θ2)를 30°에서부터 물을 50% 이상 채워지면서 용기(200)가 180° 회전하여 똑바로 설 경우 0°까지로 하며, 용기(200)의 입구가 이루는 각도는 약 3°로 하는 것은 용기(200)가 기울면서 가득 차며 넘어짐과 용기의 기능 작용을 위한 무게중심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200)의 밑면에서 수평접지면(B-E)이 차지하는 각도(θ3)는 120° 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용기(20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회전 방향과 용기(200)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므로, 용기(200)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용기(200)가 대칭회전을 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의 설명을 참고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바깥 용기(250)의 밑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며 표면은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용기(200)가 넘어져 물을 쏟아버리고 원래 기울어진 용기 상태로 쉽게 돌아가도록 용기(200)를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용기(200)의 기능 작동을 위한 무게 중심선은 채워지는 물(W)에 의해서도 결정되지만, 용기(200)의 두께 및 재질 그리고 용기 사이의 공간(320)에 밑면에서부터 위로 채워지는 재질의 무게를 배합조절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실제로는 용기(200)의 크기에 따라 용기(200)의 재질 및 두께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속 용기(21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이 50% 이상일 때 기울어져 있던 용기(200)가 회전하면서 바로 세워지도록 하며, 이후 90%가 될 때까지는 중심축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실제의 용기(200)는 쓰러지지는 않도록 하고, 물이 100% 가까이 채워지면 용기(200)가 쓰러지면서 속 용기(210)의 물이 쏟아지며 거의 다 쏟아지고 나면 다시 원래 처음에 기울어져 있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물이 채워지는 양이 상술한 바와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속 용기
250: 바깥 용기
A-B: 회전접지면
E-F: 수평접지면

Claims (4)

  1.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에 있어서,
    입구는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나선형으로 내부가 좁아져서 내부가 밀폐되는 소라 모양을 가지는 속 용기; 및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속 용기가 결합하며, 입구의 표면은 한쪽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으며, 밑면에 형성된 회전접지면은 밑면의 나머지 부분인 수평접지면의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는 바깥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한 용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기능이 작동되도록, 상기 속 용기 및 상기 바깥 용기의 재질 및 두께를 조절하며, 상기 속 용기와 상기 바깥 용기 사이의 공간은 상기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바닥 밑면부터 일정수위까지 공간을 채워 무게 배합조절로 무게 균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밑면은, 상기 회전접지면과 상기 수평접지면의 가상의 연장선과의 각도는 용기가 비어 기울어져 있을 때의 기울기인 30°부터 시작하여 물이 채워져 용기가 180° 회전하면서 기울기 각도는 점점 작아져서 똑바로 설 경우 기울기가 0°까지로 하는 일부 가장자리 원형의 상기 회전접지면과 상기 수평접지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 입구의 표면의 기울어진 각도는 용기가 기울어지면서 가득 차며 넘어짐과 함께 상기 용기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바깥 용기는 밑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며 표면은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하여 넘어진 용기를 원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용기를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토기, 금속 및 나무이거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가 비어 앞쪽으로 30°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속 용기의 하단부는 제일 좌측 밑부분과 상기 좌측 밑부분과 접하는 측면의 접합을 시작으로 회전방향으로 상기 바깥 용기 안쪽 벽면을 따라 측면을 접합하면서 360° 돌아 위로 향하며, 상기 바깥 용기 윗면 제일 좌측면에 접합하여 하나의 용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60140339A 2015-10-29 2016-10-26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KR10184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006608.5A CN107981654A (zh) 2015-10-29 2017-10-25 一种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762A KR20150128632A (ko) 2015-10-29 2015-10-29 기울어진 용기(容器)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KR1020150150762 2015-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06A true KR20170051306A (ko) 2017-05-11
KR101843150B1 KR101843150B1 (ko) 2018-03-28

Family

ID=548391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62A KR20150128632A (ko) 2015-10-29 2015-10-29 기울어진 용기(容器)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KR1020160140339A KR101843150B1 (ko) 2015-10-29 2016-10-26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762A KR20150128632A (ko) 2015-10-29 2015-10-29 기울어진 용기(容器)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150128632A (ko)
CN (1) CN107981654A (ko)
WO (1) WO20170738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012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오뚜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액상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632A (ko) * 2015-10-29 2015-11-18 익 녕 이 기울어진 용기(容器)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CN106724534B (zh) * 2016-12-19 2018-01-12 福建省德化县乾龙陶瓷有限公司 自动倾斜式茶具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957A (ja) * 2002-12-12 2004-07-08 Toyo Sasaki Glass Co Ltd 斜立・回転可能なコップ
KR200394535Y1 (ko) * 2005-06-22 2005-09-02 정효식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KR20120003737U (ko) * 2010-11-19 2012-05-30 김현우 다중 구조를 갖는 음료 저장 용기
DE202011001870U1 (de) * 2011-01-24 2011-03-24 FRÖHLICH, Gunther Doppelkammergefäß für fließfähige Substanzen
KR20150010244A (ko) * 2013-07-18 2015-01-28 세창종합주방(주) 기울어져 회전이 용이한 컵
CN203753520U (zh) * 2014-03-27 2014-08-06 欧阳明 一种容器
KR20150128632A (ko) * 2015-10-29 2015-11-18 익 녕 이 기울어진 용기(容器)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012B1 (ko) * 2020-10-23 2020-11-19 김동섭 오뚜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액상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863A1 (ko) 2017-05-04
KR101843150B1 (ko) 2018-03-28
CN107981654A (zh) 2018-05-04
KR20150128632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KR20170051306A (ko)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TW200840529A (en) Integrated beverage infuser and lid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US6295831B1 (en) Chilling pitcher
ES2436240T3 (es) Accesorio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US20110095038A1 (en) Apparatus for consuming liquids
WO2009133211A1 (es) Vaso desechable con cucharita rotatoria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ES1226030U (es) Jarra
KR101041351B1 (ko)
JP2019011096A (ja) 液体用容器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ES2879388T3 (es) Aparato dispensador de café
CN214341509U (zh) 一种倾斜旋转的茶具
KR20150010244A (ko) 기울어져 회전이 용이한 컵
KR102181484B1 (ko) 테이크아웃용 컵뚜껑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70013994A1 (en) Multiple height platform
ES2698200A1 (es) Dosificador de líquidos adaptable a envases procesados y a otros
ES1237594U (es) Dosificador de líquidos adaptable a envases procesados
US11337544B1 (en) Single brew system
JP3157081U (ja) 茶漉し器用蓋兼受皿
KR200419642Y1 (ko) 자동 주전자
CN208064751U (zh) 一种随饮杯
WO2007044507A2 (en) Drinking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