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535Y1 -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535Y1
KR200394535Y1 KR20-2005-0018022U KR20050018022U KR200394535Y1 KR 200394535 Y1 KR200394535 Y1 KR 200394535Y1 KR 20050018022 U KR20050018022 U KR 20050018022U KR 200394535 Y1 KR200394535 Y1 KR 200394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tents
amount
curved portio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곤
Original Assignee
정효식
김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식, 김창곤 filed Critical 정효식
Priority to KR20-2005-0018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5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아 마시는데 사용되는 잔의 하부 두께를 달리하거나 혹은 비중을 달리하여 내용물이 담기는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중을 분산시키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을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서 한쪽의 두께가 다른 쪽의 두께보다 두껍거나, 한쪽의 비중이 다른 쪽의 비중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컵 안에 잔존해 있는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컵이 기울어져 컵 사용자 또는 그 상대방이 컵의 안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그 잔존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어 컵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색다른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A cup which can tilt at various angle according to amount of contents}
본 고안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아 마시는데 사용되는 잔의 하부 두께를 달리하거나 혹은 비중을 달리하여 내용물이 담기는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주류, 물과 같은 음료수 등을 담아서 마시는 것으로서 바닥에 정립시키고 개방구로 내용물을 붓고 이 개방구로 내용물를 마시게 된다. 그리고 컵의 내용물을 음용하는데 있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또는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경우에서 대표적인 예는 술을 마시는 경우 혹은 차를 마시는 경우가 될 수 있는데 여기서 컵은 반복적으로 내용물을 담는 수단외는 별다른 기능이 없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기울어져 있다가 수용되는 내용물의 양이 변함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이 안출되어 있어나 이 컵은 컵이 기울기 위해 내부에 추를 설치하게 되는데 투명한 컵의 내부에 이물질이 붙어있거나 혹은 컵을 잘 씻지 않은 것으로 오인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외관상 수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컵을 씻는데 있어 내부에 설치된 추가 돌출되어 있어 깨끗하게 씻겨지지않고 이물질이 끼인 경우는 완전한 제거에 애로가 있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데 있는 것으로, 겁이 기울어지게 하는 무게를 컵의 하부에 형성된 만곡부에서 두께와 비중에서 차이를 두어 각각 일정하게 기울어지게 하고 이 컵에 내용물을 부으면 그 양에 따라 무게 중심이 컵의 중앙쪽으로 이동하여 컵이 점점 세워지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중을 분산시키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을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서 한쪽의 두께가 다른 쪽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하중을 분산시키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을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서 한쪽의 비중이 다른 쪽의 비중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의 밑면에 두께가 있으면서 이 바닥판보다 폭이 작고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라운딩이 진 라운딩단이 형성되고 이 라운딩단의 하단 중심에 평평단이 일부 형성된 받침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비어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컵에 일정의 내용물이 채워진 때에 컵이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의 정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비어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인 컵에 일정의 내용물이 채워진 때에 컵이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의 정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는 t는 컵의 중심수직선이다.
상기 도 1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은 바닥판(10)과, 만곡부(20)와, 벽체(30)와, 받침판(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닥판(10)의 밑면에는 받침판(40)이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20)는 상기 바닥판(10)과 연장되어 상방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바닥판(10)과 벽체(30)를 연결한다. 그리고 이 만곡부(20)는 한쪽의 두께(a)가 다른 쪽의 두께(b)보다 두껍거나(여기에서 만곡부의 두께가 두꺼운 쪽을 이하에서 "a"라 칭하고 두께가 "a"보다 얇은 쪽은 "b"라고 칭한다) 혹은 한쪽의 비중이 다른 쪽의 비중보다 크서(여기에서 만곡부의 비중이 많이 나가는 쪽을 이하에서 "c"라 칭하고 비중이 "c"보다 적게 나가는 쪽은 "d"라고 칭한다.) 무게 차이에 의해 컵이 기울어진다.
상기 벽체(30)는 상기 만곡부(20)와 연결되면서 상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0)은 바닥판(10)의 밑면에 형성되면서 두께가 있고 이 바닥판(10)보다 폭이 작고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라운딩이 진 라운딩단(41)이 형성되고, 이 라운딩단(41)의 하단 중심에 평평단(42)이 일부 형성된다. 따라서 컵에 내용물이 빈 상태에서는 컵이 기울어지게 되는데, 컵의 받침판(40)보다 위에 위에 위치하면서 폭이 더 크서 기울어지는 받침판(40)의 라운딩단(41)이 돌출된 바닥판(10)에 부딪쳐 기울어지는 것이 멈쳐지고, 컵에 내용물이 점점 채워지면 이 받침판(40)의 무게 중심이 점점 이동하여 라운딩단(41)에서 평평단(42)으로 이동하면서 세워지게 되며, 컵에 내용물이 다 채워지면 무게 중심이 평평단(42)에 위치하여 이 평평단(42)이 바닥과 접하면서 정립 상태가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컵은 넓은 바닥을 가지고 있으면서 이 바닥이 물체 위에 얹혀져 내용물이 있고 없음과 상관없이 항상 바닥에서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컵에서 존재하는 무게 중심이 내용물에 있고 없음에 관련없이 항상 같은 위치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담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그 이외의 별다른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컵은 만곡부(20)가 한쪽의 두께가 다른 쪽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만곡부(20)의 두께가 "a"하고 "b"가 다른 본 고안의 컵은 컵에 내용물이 있는 양에 따라 무게 중심이 이동하게 된다.
도면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없는 빈 컵에서는 만곡부(20)의 두께차이에 의한 무게 중심으로 라운딩단(41)이 바닥판(10)에 부딪쳐 평형점(P1)을 찾으면서 무게중심수직선(l)에서 컵의 중심수직선(t)까지 각도가 θ1로 컵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어서, 컵 안에 내용물을 부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평형점(P2)를 찾으면서 무게중심수직선(l)으로 일어서게 된다. 이는 컵의 평형점(P2)을 통과하는 무게중심수직선(l)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의 체적(Ml)과 우측의 체적(Mr)이 다른데 좌측의 체적(Ml)이 많이 나가는 만큼 만곡부(20)의 두께차이에 의한 무게 중심과 평형점이 좌측으로 이동, 즉 무게중심수직선(l)으로 더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θ2 각도만큼 컵이 기울어지게 된다.
계속적으로 내용물을 붓게 되면 붓는 양에 비례하여 체적 증가율이 우측 체적(Mr)보다 좌측 체적(Ml)이 증가하고 이 증가분이 만곡부(20)의 두께차이에 의한 무게 중심과 평형을 이루면서 평형점(P2)이 계속적으로 컵의 무게중심수직선(l)으로 이동하여 종국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점(P3)이 위치하고 정립하게 된다. 이 평형점(P3)이 좌측 체적 (Ml)에서 우측 체적(Mr)를 뺀 무게와 "a"에서 "b"를 뺀 무게가 같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컵을 형성하는 두께에 의해 무게 차이를 두어 컵이 기울어지게 하기 때문에 컵의 내부에 아무런 이물질 설치가 없다. 따라서 컵의 씻기가 용이하고 컵 내부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오인이 제거되며 외관 및 내관이 수려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은 내용물의 증가에 따른 컵의 기울기 변화를 설명하였으나 컵의 내용물을 마심으로써 내용물이 줄어들게 되면 컵은 역으로 컵은 정립 상태에서 내용물의 잔존량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면서 평형점을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컵을 형성하는 만곡부(20)의 두께에 차이를 두고 이 두께가 무게의 차이로 컵이 기울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만곡부(20)에 비중을 달리하여 컵이 기울어지게 한다. 즉 만곡부(20)를 한쪽에 비중이 많이 나가는 쪽(c)와 이 "c"보다 비중이 적게 나가는 쪽(d)로 형성시킨다. 여기서 c는 d보다 비중이 많이 나가는 물질을 내부에 포함시키게 된다. 따라서 만곡부(20)의 비중의 차(c-d)만큼과 상기 체적의 차(Ml - Mr)만큼이 평형점이 되고 만곡부(20)의 비중이 체적의 차보다 크면 기울어지고 컵에 내용물에 채워지면 평형점이 평평단(42)의 이동으로 정립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일이 컵을 들어 그 안을 확인하지 않더라고 컵이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컵 안에 남아 있는 양을 미루어 알 수 있다. 따라서 불투명의 컵에 내용물이 얼마나 있는지를 확인하지 않아도 컵이 기울어지는 정도로서 그 내용물의 양을 알 수 있고, 만약 불투명의 잔에 다시 채워주어야 하는 경우 혹은 술을 마시는 경우에서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그 상대방이 컵 또는 술잔에 내용물 또는 술이 떨어졌음을 인지하고 내용물 혹은 술을 채워줌으로서 컵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색다른 재미와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에 의하면, 컵 안에 잔존해 있는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컵이 기울어져 컵 사용자 또는 그 상대방이 컵의 안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그 잔존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어 컵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색다른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을 형성하는 두께와 비중을 달리하여 잔을 기울이므로 내관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비어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컵에 일정의 내용물이 채워진 때에 컵이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의 정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비어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인 컵에 일정의 내용물이 채워진 때에 컵이 기울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인 컵에 내용물이 채워졌을 때의 정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판 20. 만곡부
30. 벽체 40. 받침판

Claims (3)

  1. 하중을 분산시키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을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서 한쪽의 두께(a)가 다른 쪽의 두께(b)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2. 하중을 분산시키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벽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을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서 한쪽의 비중(c)이 다른 쪽의 비중(d)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밑면에 두께가 있으면서 이 바닥판보다 폭이 작고 하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라운딩이 진 라운딩단이 형성되고 이 라운딩단의 하단 중심에 평평단이 일부 형성된 받침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KR20-2005-0018022U 2005-06-22 2005-06-22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KR200394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22U KR200394535Y1 (ko) 2005-06-22 2005-06-22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022U KR200394535Y1 (ko) 2005-06-22 2005-06-22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535Y1 true KR200394535Y1 (ko) 2005-09-02

Family

ID=4369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22U KR200394535Y1 (ko) 2005-06-22 2005-06-22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5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63A1 (ko) * 2015-10-29 2017-05-04 이익녕 기울어진 용기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63A1 (ko) * 2015-10-29 2017-05-04 이익녕 기울어진 용기에 내용물을 채우면,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는 용기
KR101843150B1 (ko) 2015-10-29 2018-03-28 익 녕 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회전하면서 똑바로 서고, 내용물이 전부 채워지면 내용물을 쏟아낸 후 원래의 기울어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US7641070B2 (en) Low cost spill-resistant cup for liquids
US20070262097A1 (en) Control tilt dispenser
US20070199945A1 (en) Low cost spill-resistant cup
JPWO2006126288A1 (ja) 液体容器
US1879820A (en) Drinking vessel
US20050242102A1 (en) Glass with the drinking plane not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ntainer
US20050242100A1 (en) Spill-proof container
KR200394535Y1 (ko)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JP2013536134A (ja) 飲料容器用ガード
JP2010528943A (ja) 飲料容器閉鎖部材
US20080282797A1 (en) Measuring bowl having handle
US20070029276A1 (en) Drinking vessel
WO2010094104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JP3955420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US20190099031A1 (en) Drinking vessel with a spillage receptacle
RU2766328C2 (ru) Кружка
KR200383191Y1 (ko)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컵
KR200293893Y1 (ko)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를 달리하는 컵
AU2002211595B2 (en)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JP3053311U (ja) 醤油差し
KR200358328Y1 (ko) 자동개폐뚜껑
KR20040008630A (ko) 내용물의 양에 따라 기울기를 달리하는 컵
JP2008007135A (ja) 容器及び容器用錘
KR101721571B1 (ko) 이중 밑면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