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535A -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535A
KR20170050535A KR1020150152190A KR20150152190A KR20170050535A KR 20170050535 A KR20170050535 A KR 20170050535A KR 1020150152190 A KR1020150152190 A KR 1020150152190A KR 20150152190 A KR20150152190 A KR 20150152190A KR 20170050535 A KR20170050535 A KR 20170050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tow
electromagnetic wave
carbon
wave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경태
박지권
신찬균
홍상현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5015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0535A/ko
Publication of KR2017005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D03D2700/01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실과 날실이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고, 상기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가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탄소 섬유 직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적은 양의 탄소 섬유만으로도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는 정전기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Noise) 현상으로 주변의 부품 또는 기기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도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전기, 전자 제품이 다기능, 소형화되고, 정보통신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전자파 사용 대역이 점점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의 전자파 공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 각국 및 국내에서도 전자파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 기술의 개발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종래에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금속재는 복잡한 패턴으로 가공하기 어렵고,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이 캐스팅 방식으로 생산되어 생산 단가가 높고 불량률도 높다.
이에 따라, 금속재에 비해 성형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탄소 섬유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을 혼합하여 전자파 차폐용 수지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전자파 차폐용 수지는 금속재에 비해 전자파 차폐 성능이 떨어져 전자 기기 등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전자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탄소 섬유를 과량으로 첨가하거나, 금속 필러 등을 추가로 혼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탄소 섬유나 금속 필러가 다량 혼합됨에 따라 성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전자차 차폐 성능도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성형성 및 전자파 차폐 성능이 모두 우수한 전자파 차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4538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적은 양의 탄소 섬유만으로도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형으로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씨실과 날실이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고, 상기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가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탄소 섬유 직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를 제공한다.
상기 탄소 섬유는, 금속 코팅된 탄소 섬유 또는 스프레딩 처리된 탄소 섬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동(空洞, cavity)은 단경 및 장경 길이가 0.3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 직물은 씨실 및 날실이 모두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씨실 및 날실 중 하나는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비도전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자파 차폐재는 2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은 각 탄소 섬유 직물 내의 탄소 섬유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 차폐재는 고분자 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섬유를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탄소 섬유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토우가 400이하인 탄소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는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섬유를 분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분리하기 전에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분리한 후에 상기 분리된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탄소 섬유 직물을 고분자 소재에 함침 또는 혼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는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직조된 탄소 섬유 직물을 이용하여 적은 양의 탄소 섬유만으로도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우수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성형 시에도 단사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는 2차원의 탄소 섬유 직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박막 구현이 가능하여 최종 제품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로 스프레딩 처리된 탄소 섬유를 사용할 경우, 탄소 섬유의 면적이 증가하여 탄소 섬유의 사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탄소 섬유 직물을 고분자 소재에 함침 또는 혼적하여 사용할 경우, 섬유들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성형 후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먼저, 본 발탄소만으로 이루어진 탄소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고, 탄소 섬유의 표면이 니켈 등명의 전자파 차폐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의 구현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는 씨실(11)과 날실(13)을 직조(weaving)하여 제조되는 탄소 섬유 직물(1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탄소 섬유 직물(10)은, 씨실(11)과 날실(13)에 의해 구획되는 공동(cavity)를 갖는 그물망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공동(15)을 갖는 그물망 구조의 탄소 섬유 직물(10)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의 경우, 유연성이 우수하여 3차원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쉽게 단선되지 않는다. 또한, 2차원으로 교차 직조되어 전도성 네트워크(netwok)를 형성하기 때문에, 탄소 섬유 간의 접촉 저항이 현격히 감소하여, 고분자 수지에 탄소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파 차폐재에서 비해 탄소 섬유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고분자 소재(20)와 복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공동(15)을 통해 고분자 소재가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어, 고분자 소재와 탄소 섬유 직물(1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탄소 섬유 직물(10)의 공동(15)은 단경(D) 및 장경(L) 길이가 0.3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여기서, 공동(15)의 단경(D) 및 장경(L)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5)을 구획하는 씨실(11)과 날실(13)의 교차점들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원 또는 타원에서의 단경 및 장경을 의미한다. 공동(15)의 단경 및 장경의 길이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할 경우, 유연성, 전자파 차폐 성능 및 고분자 소재와의 결합력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탄소 섬유 직물(10)에 있어서, 상기 씨실(11) 및 날실(13) 중 적어도 하나는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우(tow)는 탄소 섬유를 형성하는 탄소 필라멘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탄소 섬유들은 필라멘트 수가 1000개 이상이다. 이와 같이 토우(tow)가 높은 종래의 탄소 섬유를 사용하여 직물을 제조할 경우, 강성이 커서 접힘 등의 변형에 대한 저항이 커지므로 유연성이 감소하게 되어 단순한 평면이나 와인딩 성형 등에 적용하는 것에 국한되고, 입체 성형이 필요한 실제 부품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토우가 400 이하인 저 토우(tow)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탄소 섬유 직물을 제조할 경우, 직물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접힘이나 인장 등에 의한 단사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는 시판되는 토우가 높은 탄소 섬유를 섬유 분리기 등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로는 과 같은 금속으로 코팅된 탄소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으로 코팅된 탄소 섬유를 사용할 경우, 전기 전도성 및 전자파 차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는 스프레딩(spreading) 처리된 탄소 섬유일 수도 있다. 스프레딩 처리는 다수의 필라멘트들이 뭉쳐져 있는 섬유를 바(bar) 등으로 가압하여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 처리할 경우, 섬유의 두께는 감소하고, 면적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프레딩 처리된 탄소 섬유를 사용할 경우, 스프레딩되지 않은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양의 탄소 섬유로도 동일 면적에 대한 전자파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섬유는 토우(Tow)가 3,000인 섬유 기준으로 하나의 너비가 1cm 내지 10cm,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5cm가 되도록 스프레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소 섬유 직물(10)은 씨실(11) 및 날실(13)이 모두 토우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씨실(11) 및 날실(13) 중 하나만 토우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비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비전도성 섬유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섬유들, 예를 들면,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등과 같은 합성 섬유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탄소 섬유 직물(10)은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insertion injection molding) 등을 통해 성형함으로써 최종 성형품 내에 적용될 수도 있고, 탄소 섬유 직물(10)을 고분자 소재와 함께 예비 성형한 후에 최종 성형품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탄소 섬유 직물(10)과 고분자 소재가 예비 성형된 형태의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소 섬유 직물(10)과 함께 고분자 소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는 탄소 섬유 직물(10)을 고분자 소재(20)와 혼적하거나, 고분자 소재(20)에 함침시킨 다음, 고분자 소재(20)를 경화시켜 탄소 섬유 직물-고분자 복합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소 섬유 직물(10)과 고분자 소재(20)와 복합화하여 사용할 경우, 예비 성형(preforming) 후의 형상 유지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 소재(2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전자파 차폐 소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고분자 수지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들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소재(20)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 아마이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 설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틸렌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소재(20)는, 상기와 같은 고분자 수지에 필러를 첨가한 기능성 복합 수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러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전기 전도성, 열전도성, 전자파 흡수, 강성 강화 및/또는 치수 안정성 등과 같은 물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필러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전자파 차폐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섬유 직물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탄소 섬유 직물의 씨실(11)과 날실(13) 중 하나만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2차원 전도성 네트 워크가 형성될 수 있도록 2장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들(10a, 10b)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장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들(10a, 10b)은 하나의 탄소 섬유 직물에 포함된 탄소 섬유와 다른 탄소 섬유 직물에 포함된 탄소 섬유가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탄소 섬유를 씨실로 사용하고, 비전도성 섬유을 날실로 사용하여 직조된 탄소 섬유 직물과, 비전도성 섬유를 씨실로 사용하고, 탄소 섬유를 날실로 사용하여 직조한 탄소 섬유 직물을 각 탄소 섬유 직물의 씨실과 날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적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들(10a, 10b)을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 고분자 소재(20)를 이용하여, 탄소 섬유 직물 적층체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섬유 적층체의 양면에 시트 형상의 고분자 소재(20)를 적층한 후, 열이나 광을 가하여 고분자 소재(20)를 경화시킴으로써, 탄소 섬유 직물과 고분자 소재가 복합화된 전자파 차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는 고분자 소재(20)가 탄소 섬유 직물 적층체의 양면에 적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소 섬유 직물 적층체의 일면에만 고분자 소재(20)를 적층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방법은,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섬유를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탄소 섬유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우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는, 시판되는 탄소 섬유, 예를 들면, 토우(Tow)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섬유 분리기 등을 이용하여 개개의 로빙(roving)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섬유를 개개의 로빙으로 분리하기 전에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섬유 분리 전에 스프레딩 처리를 실시할 경우, 섬유의 분리가 용이하고, 섬유의 면적이 넓어져 스프레딩되지 않은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양의 탄소 섬유로도 동일 면적에 대한 전자파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상기 탄소 섬유의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분리된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원재료인 탄소 섬유의 토우가 높을 경우, 상기 추가적인 스프레딩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딩 단계는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 롤 (spreading roll) 등으로 가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섬유 분리 단계 및/또는 스프레딩 단계를 거쳐 스프레딩된 탄소 섬유는 토우(Tow)가 3,000인 섬유 기준으로 섬유 하나의 너비가 1cm 내지 10cm,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5c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토우가 400이하인 탄소 섬유가 준비되면, 상기 탄소 섬유를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탄소 섬유 직물을 직조한다. 이때, 상기 직조는 공동의 단경 및 장경(L) 길이가 0.3mm 내지 15mm가 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탄소 섬유 직물이 직조된 후에, 필요에 따라, 상기 탄소 섬유 직물을 고분자 소재에 함침 또는 혼적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탄소 섬유 직물과 고분자 소재가 복합화된 전자파 차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전자파 차폐재는 종래에 비해 적은 양의 탄소 섬유만으로도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성형성이 우수하여 3차원 형상의 성형품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 10a, 10b : 탄소 섬유 직물
11 : 씨실
13 : 날실
15 : 공동
20 : 고분자 소재

Claims (15)

  1. 씨실과 날실이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으로 직조되고, 상기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가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탄소 섬유 직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는 금속 코팅된 탄소 섬유인 전자파 차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는 스프레딩 처리된 것인 전자파 차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단경 및 장경 각각의 길이가 0.3mm 내지 15mm인 전자차 차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및 날실이 상기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및 날실 중 하나는 상기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비도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재는 2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탄소 섬유 직물은 각 탄소 섬유 직물 내의 탄소 섬유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전자파 차페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재는 고분자 소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
  11. 토우(Tow)가 400 이하인 탄소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 섬유를 씨실 및 날실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 그물망 형상의 탄소 섬유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가 400이하인 탄소 섬유를 준비하는 단계는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섬유를 분리하여 수행되는 것인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분리하기 전에 토우가 1000이상인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하는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가 1000 이상인 탄소 섬유를 분리한 후에 상기 분리된 탄소 섬유를 스프레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하는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직물을 고분자 소재에 함침 또는 혼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재의 제조 방법.
KR1020150152190A 2015-10-30 2015-10-30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0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90A KR20170050535A (ko) 2015-10-30 2015-10-30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90A KR20170050535A (ko) 2015-10-30 2015-10-30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35A true KR20170050535A (ko) 2017-05-11

Family

ID=5874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90A KR20170050535A (ko) 2015-10-30 2015-10-30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05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60A (ko) * 2021-03-11 2022-09-20 (유)씨앤투영 열가소성 탄소섬유직물 차폐재 제조시스템
KR20220139162A (ko) * 2021-04-07 2022-10-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투명 전파흡수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60A (ko) * 2021-03-11 2022-09-20 (유)씨앤투영 열가소성 탄소섬유직물 차폐재 제조시스템
KR20220139162A (ko) * 2021-04-07 2022-10-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투명 전파흡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4974B1 (de) Mehrlagengewebe, seine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mpositen
CN104718320A (zh) 碳纤维增强复合材料用织物及其制造方法
WO2011099611A1 (ja) 繊維強化樹脂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強化樹脂成形体
RU2004137659A (ru) Биполярные пластмассовые пластины, армированные углеродным волокном, с непрерывными токопроводящими каналами
EP3147108B1 (en)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CN110290723B (zh) 具有三维织物浸渍材料的液体化妆品材料浸渍化妆产品
US11084187B2 (en)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50016083A (ko) 연속섬유 보강 수지 복합재 및 그 성형품
CN1615092A (zh) 连接带
KR101209869B1 (ko) 복합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0535A (ko) 전자파 차폐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212835A1 (ja) 複合材部品用の強化基材、複合材部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4723568A (zh) 用于车辆的背梁
US9873962B2 (en) Method of forming a synthetic resin structure integral with two-dimensional steel fabric
KR101961103B1 (ko) 탄소섬유 원단과 금속 그물 구조물을 밀착가공한 탄소섬유 원단 프리프레그 및 그 제조방법
EP3653769A1 (en) Fiber structure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EP3603940A1 (en) Ultrasonic welding member and ultrasonic welding method
JP6229197B2 (ja) 成型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99269B1 (ko) 브레이딩 직조에 의한 혼합섬유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070596B1 (ko) 섬유강화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유로매체와 이를 포함한 복합매트 및 이를 사용한 진공성형 방법
CN103442888A (zh)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070193490A1 (en) Complex matting with a layer of volumized fibers
CN102704137B (zh) 由塑料制成的综丝及由箔带制造该综丝的方法
CN113396050A (zh) 多层片和多层片的制造方法
JP6786989B2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