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130A -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130A
KR20170049130A KR1020150150111A KR20150150111A KR20170049130A KR 20170049130 A KR20170049130 A KR 20170049130A KR 1020150150111 A KR1020150150111 A KR 1020150150111A KR 20150150111 A KR20150150111 A KR 20150150111A KR 20170049130 A KR20170049130 A KR 2017004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measurement unit
motion measurement
unit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366B1 (ko
Inventor
이양수
김용원
박태준
전상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366B1/ko
Priority to PCT/KR2016/012205 priority patent/WO2017074080A1/ko
Priority to US15/771,124 priority patent/US20180317811A1/en
Publication of KR2017004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8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환자)의 수면 중 뇌졸중 발병 여부를 판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SP필터(사용자가 가슴을 위로 두고 누워 있지 않을 때의 측정결과를 삭제하는 처리과정)를 적용한 후 좌우 움직임의 비를 비교하여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함으로써, 뇌졸중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ROKE DURING THE SLEEP}
본 발명은 사용자(환자)의 수면 중 뇌졸중 발병 여부를 판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腦卒中, Stroke)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출혈(출혈성 뇌졸중)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로서, 뇌 경색은 일과성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대혈관질환에 의한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in large vessel disease), 심장질환에 의한 심인성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in cardiogenic embolism), 소혈관 질환(small vessel disease) 또는 열공뇌경색(lacunar infarction) 등으로 분류된다.
일과성허혈발작(TIA)가 있은 후 48 시간 내에 3% 내지 5%의 확률로 뇌졸중이 발생하게 되며, 열공뇌경색이 있는 환자의 23%는 48시간 내에 신경학적인 증상이 악화됨이 학계에 보고되었다.
TPA(Tissue Plasminogen Activator)를 이용한 혈전용해술은 뇌졸중의 표준 치료 방법으로서, 뇌졸중이 발생한 후 조기에(3시간 내에 시행됨이 바람직함) 시행될수록 경과가 좋기 때문에, 뇌졸중 발병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는 뇌졸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수면 중에 발생하는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에 대하여 6.4% 내지 20% 정도의 비율로서 나타나는데, 이러한 수면 중 뇌졸중은 환자가 증상을 느끼지 못할 뿐 아니라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그러한 발병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뇌졸중의 발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뇌졸중 조기 발견이 어려움에 따라 조기에 혈전 용해술을 시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뇌졸중 증상에 따른 예후는 더욱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뇌졸중 발명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모니터링하여 수면 중 발생하는 뇌졸중에 대하여 조기 판단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뇌졸중의 감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뇌졸증 발생시 좌측 신체와 우측 신체의 움직임의 차이가 커지는 점을 이용하여, 좌측 신체와 우측 신체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여 뇌졸중을 감지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정상인의 경우에도 수면 중 좌측 신체와 우측 신체의 움직임의 차이가 큰 경우가 있으므로, 특허문헌 1의 기술 장치 및 방법은 뇌졸중이 아닌 경우에도 뇌졸중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3-0105135 A (공개일: 2013.09.25.)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좌우 움직임 차이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 정확도를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는, 좌측 팔 또는 좌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팔 또는 우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우측 동작 측정부; 몸통에 착용가능한 자세 측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부는, SP필터(사용자가 가슴을 위로 두고 누워 있지 않을 때의 측정결과를 삭제하는 처리과정)를 적용한 후 좌우 움직임의 비를 비교하여 뇌졸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바로 누운 자세 외의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뇌졸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는, 좌측 팔 또는 좌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팔 또는 우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자세 추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추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는, 좌측 팔 또는 좌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팔 또는 우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한 후 그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은,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측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으로서,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판단부가 전달받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은,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추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으로서,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자세 추정부가 전달받은 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추정부의 출력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은,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으로서,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판단부가 전달받은 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뇌졸중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좌측 동작 측정부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의 예
도 3은 우측 동작 측정부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의 예
도 4는 자세 측정부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의 예
도 5는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측정부를 착용한 사용자가 누워있는 모습
도 6은 정상인의 측정결과 그래프의 예
도 7은 SP필터 유무에 따른 측정결과 그래프를 비교한 모습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는 좌측 동작 측정부(10), 우측 동작 측정부(20), 자세 측정부(30), 판단부(40)를 포함한다.
좌측 동작 측정부(10)는 좌측 신체(예를 들면, 좌측 다리 또는 좌측 팔)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장치이고, 우측 동작 측정부(20)는 우측 신체(예를 들면, 우측 다리 또는 우측 팔)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좌측 동작 측정부(10)와 우측 동작 측정부(20)는 가속도 센서(중력 센서) 또는 각가속도 센서(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움직임을 측정할 때 다리나 팔의 말단부(예를 들면, 손목, 발목 등)에 센서부가 위치하면 움직임을 측정하기가 용이하므로, 좌측 동작 측정부(10)는 다리나 팔의 말단부(예를 들면, 손목, 발목 등)에 착용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를 링형의 고무밴드나 긴 띠(belt)에 고정하고 , 그 고무밴드나 띠를 손목, 발목 등에 묶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
어떤 장치를 신체에 착용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것은 현재 여러가지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세 측정부(30)는 사용자(환자)가 어떠한 자세로 누워있는지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즉 사용자(환자)가 바로 누워 있는지(가슴이 위를 향하게 누워있는지), 오른쪽으로 누워있는지, 왼쪽으로 누워있는지, 엎드려 누워 있는지 등을 판단한다.
자세 측정부(30)는 가속도 센서(중력 센서)를 사용자(환자)의 몸통에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서 구현할 수 있다.
판단부(40)는 좌측 동작 측정부(10), 우측 동작 측정부(20), 자세 측정부(30)의 출력을 유선 또는 무선을 전송받아서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도 2는 좌측 동작 측정부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의 예이고, 도 3은 우측 동작 측정부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의 예이고, 도 4는 자세 측정부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의 예이고, 도 5는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측정부를 착용한 사용자가 누워있는 모습이다.
도 6는 정상인의 측정결과 그래프의 예이다. 도 6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오른손의 움직임의 양, 왼손의 움직임의 양, 수면 자세(누워있는 자세)를 표시한 것이다.
수면자세에서 시간대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데, 색깔이 달라지는 것은 누워 있는 자세가 달라짐을 표시한다. 파란 색은 위를 향해서 누워 있는 것을 표시하고, 빨간 색은 왼쪽 방향으로 누워 있는 것을 표시하고, 녹색은 오른쪽으로 누워 있는 것을 표시하고, 분홍 색은 엎드린 자세로 누워 있는 것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이 발생한 후 초기에는 환자의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는 편마비 증세가 나타난다. 따라서 환자의 양쪽 팔다리의 움직임을 비교해서 한쪽 팔다리의 움직임이 다른쪽 팔다리의 움직임보다 현저히 적다면 뇌졸중의 가능성이 높다. 양쪽 팔다리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뇌줄중을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의 예는, 단위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양을 비교하여 그 비율이 일정 기준값보다 크면 뇌줄중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다.
다수의 정상인을 상대로 도 6의 그래프를 만들어본 결과, 사용자(환자)가 바로 누워 있는 경우(가슴이 위를 향하게 누워있는 경우)에는 왼쪽 손의 움직임의 양과 오른쪽 손의 움직임의 양이 비슷하였지만, 다른 자세로 누워 있거나 자세를 변경하는 동안에는 정상인의 경우에도 왼쪽 손의 움직임의 양과 오른쪽 손의 움직임의 양이 차이가 많이 났다.
따라서 스크린닝 시간(screening time)(예를 들면, 판단시점의 1시간 이전부터 판단시점까지) 동안 왼쪽 손의 움직임의 양과 오른쪽 손의 움직임의 양의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뇌졸중으로 판단한다면, 사용자(환자)가 계속 바로 누워있었던 경우에는 비교적 판단의 결과가 정확하지만, 사용자(환자)가 다른 자세로 누워 있었다면, 정상 상태인 경우에도 좌우 움직임의 차이가 큰 것으로 인식되어 뇌졸중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사용자(환자)가 계속 바로 누워있지 않았던 동안(다른 자세로 누워 있거나 자세를 변경하는 동안)에 대해서는 다른 판단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환자)가 계속 바로 누워있지 않았던 동안은 스크린닝 시간(screening time)에서 제외하고 그 제외 후 남은 시간 중 판단시점의 1시간 이전부터 판단시점까지의 시간을 스크리닝 시간으로 하여, 그 스크리닝 시간 동안의 왼쪽 손의 움직임의 양과 오른쪽 손의 움직임의 양의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뇌졸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상인의 경우, 왼쪽으로 누운 자세나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를 유지하면서 계속 자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왼쪽으로 누운 자세나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를 일정 시간(예를 들면, 2시간) 이상 유지하면서 계속 잔다면 뇌졸중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사용자(환자)가 계속 바로 누워있지 않았던 동안(다른 자세로 누워 있거나 자세를 변경하는 동안)의 결과를 삭제하는 과정을 SP 필터(Sleeping Positon filter)를 통과시키는 과정으로 볼 수도 있다.
도 7은 SP필터 유무에 따른 측정결과 그래프를 비교한 모습이다.
도 7의 (a)는 SP필터가 없을 때의 움직임의 비의 박스 플롯이고, 도 7의 (b)는 SP필터가 있을 때의 움직임의 비의 박스 플롯이다.
스크린닝 시간(screening time)동안 양쪽 팔의 움직임의 비를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움직임의 비 =
Figure pat00001

즉 왼쪽 팔의 움직임과 오른쪽 팔의 움직임의 비의 로그값을 구한 후 그 값의 절대값을 구해서 움직임의 비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움직임의 비를 여러 번 구했을 때 그 값은 다른 값이 나올 수 있다. 'SP필터가 없을 때의 움직임의 비의 박스 플롯'과 'SP필터가 있을 때의 움직임의 비의 박스 플롯'을 그린 그래프가 도 7이다.
도 7을 보면, SP필터가 있을 때, 움직임의 비를 구한 값이 전반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P필터가 있으면, 동일한 기준값을 적용하더라도 정상인을 뇌줄중 환자로 판단할 가능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사용자(환자)의 자세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몸통에 자세 측정부(30)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자세 측정부(30)를 설치하지 않고, 좌측 동작 측정부(10)와 우측 동작 측정부(20)의 출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할 수도 있다.
좌측 동작 측정부(10)와 우측 동작 측정부(20)의 출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은, 사용자의 누워있는 자세별로 좌측 동작 측정부(10)와 우측 동작 측정부(20)의 출력을 구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둔 후, 사용자의 실제 출력{좌측 동작 측정부(10)와 우측 동작 측정부(20)의 출력}를 구한 후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값과 비교하여 어떤 자세의 출력값과 가장 유사한지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좌측 동작 측정부(10)와 우측 동작 측정부(20)의 출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장치를 '자세 추정부'라 할 수 있는데, 자세 추정부는 판단부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만들 수도 있고, 판단부에서 자세 추정부의 역할까지 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측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판단부가 전달받는 단계.
제 2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제3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본 발명의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추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자세 추정부가 전달받은 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제2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추정부의 출력을 전달받는 단계.
제3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제4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
본 발명의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판단부가 전달받은 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제2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제3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
10: 좌측 동작 측정부 20: 우측 동작 측정부
30: 자세 측정부 40: 판단부

Claims (8)

  1. 좌측 팔 또는 좌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팔 또는 우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우측 동작 측정부;
    몸통에 착용가능한 자세 측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SP필터(사용자가 가슴을 위로 두고 누워 있지 않을 때의 측정결과를 삭제하는 처리과정)를 적용한 후 좌우 움직임의 비를 비교하여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바로 누운 자세 외의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뇌졸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4. 좌측 팔 또는 좌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팔 또는 우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자세 추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추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5. 좌측 팔 또는 좌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팔 또는 우측 다리에 착용가능한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한 후 그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6.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측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으로서,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판단부가 전달받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
  7.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자세 추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으로서,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자세 추정부가 전달받은 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 상기 자세 추정부의 출력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
  8. 좌측 동작 측정부, 우측 동작 측정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를 이용한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으로서,
    상기 좌측 동작 측정부, 상기 우측 동작 측정부의 출력을 상기 판단부가 전달받은 후 사용자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SP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가 SP필터가 적용된 결과로부터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판단 방법.
KR1020150150111A 2015-10-28 2015-10-28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KR10204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11A KR102045366B1 (ko) 2015-10-28 2015-10-28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PCT/KR2016/012205 WO2017074080A1 (ko) 2015-10-28 2016-10-28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US15/771,124 US20180317811A1 (en) 2015-10-28 2016-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roke during slee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11A KR102045366B1 (ko) 2015-10-28 2015-10-28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631A Division KR20180030801A (ko) 2018-03-12 2018-03-12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130A true KR20170049130A (ko) 2017-05-10
KR102045366B1 KR102045366B1 (ko) 2019-12-05

Family

ID=5863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111A KR102045366B1 (ko) 2015-10-28 2015-10-28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17811A1 (ko)
KR (1) KR102045366B1 (ko)
WO (1) WO20170740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142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9432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9415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9079B2 (en) * 2017-03-06 2021-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stroke detection and notification
WO2020130923A1 (en) * 2018-12-20 2020-06-25 Umansense Ab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stroke in a pati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0186B2 (ja) * 2007-07-05 2012-10-31 株式会社東芝 脈波処理装置及び方法
KR20130105135A (ko) 2012-03-16 2013-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움직임 감지를 통한 운동마비 조기 감지장치
WO2014143896A2 (en) * 2013-03-15 2014-09-18 Simon Adam J System and signatures for the multi-modal physiological stimulation and assessment of brain health
KR20150032956A (ko) * 2013-09-23 2015-04-01 이양수 뇌졸중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1018A1 (en) * 2003-10-07 2006-07-19 Olympus Corporation Sleep aspiration state measurement device
KR20060005092A (ko) * 2004-07-12 2006-01-17 주식회사 씨아이디 수면 무호흡증 무선 감시장치
KR100927643B1 (ko) * 2006-02-22 2009-11-20 (주)한별메디텍 무구속 수면상태 판단 장치
JP5236505B2 (ja) * 2006-03-08 2013-07-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四肢の機能的使用をモニタ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558622B2 (en) * 2006-05-24 2009-07-07 Bao Tran Mesh network stroke monitoring appliance
US8096954B2 (en) * 2006-11-29 2012-01-17 Cardiac Pacemakers, Inc. Adaptive sampling of heart sounds
JP2012502671A (ja) * 2008-05-12 2012-02-02 アーリーセンス エルティディ 臨床症状のモニタリング、予測及び治療
US20140081090A1 (en) * 2010-06-07 2014-03-20 Affectiva, Inc. Provision of atypical brain activity alerts
JP2014516290A (ja) * 2011-04-07 2014-07-10 センシメッド エスアー 眼疾患及び/又は脳疾患を検出する装置及び方法
CA2851443C (en) * 2011-10-09 2022-07-12 The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Health Services Fund of the Tel Aviv Medical Center Virtual reality for movement disorder diagnosis and/or treatment
JP6014153B2 (ja) * 2011-10-17 2016-10-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ユーザをモニタする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較正する方法
WO2015059700A1 (en) * 2013-10-24 2015-04-30 Breathevision Ltd. Motion monitor
US11612338B2 (en) * 2013-10-24 2023-03-28 Breathevision Ltd. Body motion monitor
US9545227B2 (en) * 2013-12-13 2017-01-17 Vital Connect, Inc. Sleep apnea syndrome (SAS) screening using wearable devices
RU2017119991A (ru) * 2014-11-07 2018-12-0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актиграфии
WO2016118954A1 (en) * 2015-01-23 2016-07-28 Juan Parodi Sensors for detecting acute strok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456059B2 (en) * 2015-04-06 2019-10-29 Forest Devices, Inc. Neuorological condition detection un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0186B2 (ja) * 2007-07-05 2012-10-31 株式会社東芝 脈波処理装置及び方法
KR20130105135A (ko) 2012-03-16 2013-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움직임 감지를 통한 운동마비 조기 감지장치
WO2014143896A2 (en) * 2013-03-15 2014-09-18 Simon Adam J System and signatures for the multi-modal physiological stimulation and assessment of brain health
KR20150032956A (ko) * 2013-09-23 2015-04-01 이양수 뇌졸중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142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9432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9415A (ko) * 2017-11-23 2019-05-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4080A1 (ko) 2017-05-04
KR102045366B1 (ko) 2019-12-05
US20180317811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9130A (ko)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US10758160B2 (en) Body part motion analysis with wearable sensors
JP6339711B2 (ja) 生体情報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202200617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220444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risk of dehydration
CN106470601B (zh) 用于确定和显示睡眠恢复水平的系统和方法
WO2012140537A1 (en) Stress-measuring device and method
JP2012522561A (ja) ユーザの転倒を検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9893111B (zh) 一种动态血压测量模式选择方法及装置
US104263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rination of a subject
US20200405216A1 (en)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devic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system,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50018723A1 (en) Apparatus for early detection of paralysis based on motion sensing
CN107205672B (zh) 用于评估监测对象的呼吸数据的装置和方法
JP2018158087A (ja) 運動テスト評価システム、運動テスト評価装置、運動テスト評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6529193A (zh) 健康检查系统
US20200359958A1 (en) Sleep sufficiency estimation device and sleep sufficiency estimation method
KR20180030801A (ko)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TWI657800B (zh) 步態分析方法與系統
KR20150032956A (ko) 뇌졸중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8742538B (zh) 基于大数据与人工智能的体征测量方法和医疗机器人系统
CN113040752A (zh) 一种基于心率的运动量监测方法和系统
KR20130105135A (ko) 움직임 감지를 통한 운동마비 조기 감지장치
WO2018222963A1 (en) Body part motion analysis with wearable sensors
JP2019154482A (ja) 疲労度推定方法、疲労度推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40082637A1 (en) Exercise support apparatus, exercise support method, exercise support syst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0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10

Effective date: 201909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