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415A -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415A
KR20190059415A KR1020170156999A KR20170156999A KR20190059415A KR 20190059415 A KR20190059415 A KR 20190059415A KR 1020170156999 A KR1020170156999 A KR 1020170156999A KR 20170156999 A KR20170156999 A KR 20170156999A KR 20190059415 A KR20190059415 A KR 2019005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driver
bio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739B1 (ko
Inventor
박세진
홍승희
김다미
서영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4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졸중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거나 동작을 측정하여 보행중인 운전자의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차량내부에 설치되거나 운전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안구 또는 안면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 측정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 및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및 동작정보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뇌졸중 판단부 및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지정된 곳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stroke during driving}
본 발명은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운전중인 운전자의 뇌졸중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동작을 측정하여 운전중인 운전자의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Stroke)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되는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한다. 뇌졸중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체 연령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주로 노년에 발생한다.
뇌는 상기한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상당히 취약한 기관으로, 혈액 공급이 30초 동안 차단되면 조직의 허혈 상태로 대사 과정에 이상이 오기 시작하고, 1분 동안 중단되면 뇌세포의 기능이 마비되며, 5분간 중단되면 불가역성 변화로 신경세포의 괴사가 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뇌졸중을 예방하고, 뇌졸중의 발생시 긴급히 치료를 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5970호("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2015.11.23., 이하 선행기술 1)에는 수면 중인 사용자의 뇌졸중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한다.
선행기술 1은 수면 중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급작스런 뇌졸중의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신체손상 또는 사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지만, 단순히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신뢰도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보다 낮고, 수면이 아닌 다른 상태, 특히 운전중인 운전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5970호("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2015.11.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목적은,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졸중 여부를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통해 판단하여, 보다 정확하게 운전중인 운전자의 뇌졸중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취득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전자의 뇌졸중을 예측할 수 있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보행 중인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 여부를 운전자의 생체신호 뿐만 아니라 동작정보를 통해 판단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차량내부에 설치되거나 운전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안구 또는 안면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 측정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 및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동작정보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뇌졸중 판단부 및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지정된 곳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운전자에 착용되거나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차량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와 운전자의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운전 중인 운전자의 생체신호의 기준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와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 분석하여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 또는 예측된 이력을 저장하는 뇌졸중 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뇌졸중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뇌졸중 발생 또는 예측 이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준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는 운전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운전자가 정상상태로 운전할 때 일정 시간동안 상기 촬영부를 통해 운전자의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한 후, 상기 촬영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위치와 정상위치영역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운전자가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운전자가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 비상등을 점멸하고, 자동차를 일정하게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건강 정보는 건강검진 이력, 건강검진 정보 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때, 경보음을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거나, 가족, 보호자 또는 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하는 미리 지정된 곳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심리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심리분석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심리정보를 활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 동작정보 측정부, 뇌졸중 판단부 및 알림부는 각각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을 판단 또는 예측하고 이를 운전자, 주변 사람 또는 인근 병원에 알림으로써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을 예방하고, 뇌졸중 발생시 운전 중인 자동차를 정지하고 신속히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뇌졸중의 발생 예측을 운전자의 생체신호, 동작정보, 건강검진 이력, 예측되는 심리 상태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므로,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 여부 및 발생 예측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체신호 측정부와 동작정보 측정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자에게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뇌졸중의 발생 또는 뇌졸중의 예측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이용한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운전 중인 운전자의 생체신호와 동작정보 각각을 기준으로 뇌졸중의 발생여부 판단 및 예측하는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들에 관하여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각각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체신호 측정부(100), 동작정보 측정부(200), 뇌졸중 판단부(300), 데이터베이스(400), 알림부(500) 및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착용하는 각종 웨어러블 기기 또는 운전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각종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부착형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에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의 대표적인 일예로, 스마트밴드(110)와 뇌파전극(120)을 부착한 운전자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밴드(110)는 운전자의 생체신호 중 심박수와 피부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고, 뇌파전극(120)은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이 외에도 근전도, 혈압, 체온과 같은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각각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고, 그 중 일예로써 심박수 측정장치가 자동차의 핸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밴드(110) 및 뇌파전극(120)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사용되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의 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이 외에도 사용자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장치란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비접촉식으로 동작하는 심박수/호흡수 측정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심장 박동 주기 또는 호흡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흉부에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송부된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가 반사되어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비접촉식 측정장치는 예를 들어 운전 조작을 위한 장치들(운전대, 계기판, 시동장치 등) 및 편의 설비가 장착되는 운전석 모듈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비접촉식 측정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차량을 조작하는데 있어서 방해받지 않으면서 비접촉식으로 심박수와 호흡수를 측정 가능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 운전대 하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흉부로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뇌파로 대표되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뇌졸중 발생 또는 발생이 예측될 경우 운전자의 뇌파를 비롯한 각종 생체신호가 변화하기 때문으로,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운전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후술할 뇌졸중 판단부(300)에서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근거로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운전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선행기술 1처럼 운전자의 움직임만을 이용하여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방식보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보다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정보 측정부(2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거나 운전자에게 부착되어 운전자의 동작정보, 즉 운전자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동작신호 측정부(200)에서는 특히 운전자의 안구 또는 안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뇌졸중 발생시 의식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신체부위가 안구와 안면이기 때문이다.
도 2에는 동작정보 측정부(200)의 일예로써,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촬영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촬영부(2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전면 또는 측면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운전자가 정삭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단, 본 발명의 동작정보 측정부(200)는 도 2에 도시된 촬영부(210)에 한정하지 않으며, 운전자가 착용하거나 부착하는 형태의 동작정보 측정부(200)가 있을 수 있다. 이의 일예로써, 운전자는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헤어밴드 또는 모자를 머리에 착용하여,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현재 운전자의 머리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어, 어떠한 자세를 하고 있는지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정보 측정부(200)는 이 외에도 운전자가 앉는 차량시트에 설치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 또는 신발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족압을 측정하는 족압센서일 수 있다.
촬영부(210)에서 입력되는 운전자의 영상정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동작정보는 후술할 뇌졸중 판단부(300)로 전송되기 때문에, 동작정보 측정부(200)에는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통신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판단부(300)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와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근거로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뇌졸중 판단부(3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형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400)는 운전자의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일종의 네트워크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서버(Server)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운전자의 건강정보는 대표적으로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생체신호별 이력(주기적(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뇌파정보)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생체신호 측정부(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마다 데이터베이스(400)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다른 건강정보로는, 개개인의 건강검진을 관리하는 건강보험공단과 같은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건강검진 이력일 수 있으며, 건강검진 이력의 경우 운전자의 성명, 나이, 가족병력과 같은 개인정보부터 검진날짜, 해당 건강검진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또 다른 건강정보로는, 운전자의 측정 뇌파(EMR)가 있을 수 있다. 운전자의 측정 뇌파(EMR)는, 운전자가 뇌졸중이 발생한 이력이 있어 해당 뇌졸중의 치료과정 중 별도로 뇌파를 측정한 경우의 뇌파정보이다, 즉,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운전자의 뇌파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뇌파뿐만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측정된 뇌파측정이력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500)는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이를 운전자 또는 지정된 곳에 알린다.
알림부(500)는 음성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형태로 구현되어, 운전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되거나 예측되었을 경우 적절한 경보음 또는 알림음을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거나 지정된 곳(예를 들어 가족 또는 병원의 응급실)과 같은 곳에 메시지를 보내도록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발생/예측된 이력이 저장되고, 뇌졸중 판단부(300)로 해당 이력을 송신한다. 뇌졸중 판단부(300)는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송신된 뇌졸중 발생/예측 이력을 수신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Fine-tuning하여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 판단 및 예측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구성들 외에도, 심리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심리분석부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되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해 운전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심리분석부는 생체신호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송신 및 저장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부(100)와 동일한 장치에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측정되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연구는 최근 들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의 대표적인 예로 "뇌전도와 심박변이를 이용한 감성 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전기환 외 4명,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제15권 제10호, 2010.10)에서는 뇌전도와 심박변이 패턴을 분석하여 평온, 집중, 긴장 우울 등의 감성으로 분류하였고, 이 외에도 피부전도도와 같은 기타 생체신호를 사용하여 인간의 감성을 분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100)로 측정되는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해 운전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 여부를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때,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감정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뇌졸중 발생 예측에 사용된 운전자의 생체신호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사용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기저장된 건강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시점 이후의 제2시점에서 상기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뇌졸중 발생을 예측할 때 사용되는 기저장된 운전자의 건강정보는 제1시점에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100)가 측정한 운전자의 생체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뇌졸중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했을 때,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비상시 동작하는 구성으로 보조적인 운전보조시스템이 갖춰진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운전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하여 제어부가 자동차를 비상제동하는 경우 제어부는 자동차를 완만하게 감속하며, 비상등을 점멸하여 후방의 운전자들이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 자동차를 피해가거나, 뇌졸중이 발생한 운전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구성끼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망은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뇌졸중 판단부(300)로 송신하거나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동작 정보를 뇌졸중 판단부(300)로 송신할 때 송신 매체 역할을 하며, 상기한 생체신호 측정부(100) 또는 동작정보 측정부(200) 외에도 본 발명의 구성들끼리 송신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통신망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망 또는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이들을 연결하는 코어망(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단말과 직접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와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 및 코어망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은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생체신호 측정부(100), 동작정보 측정부(200), 뇌졸중 판단부(300), 데이터베이스(400), 알림부(500) 및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가 상호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예측하는 동작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뇌졸중 판단부(300)가 동작하여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통해 뇌졸중의 발생을 판단하거나 예측하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판단부(3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운전자의 건강정보와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에 저장된 뇌졸중 이력을 수신한 후, 생체신호의 기준범위를 설정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측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 중 일예로써 혈압의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며, 뇌졸중 판단부(300)는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수신한 건강정보와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로부터 수신한 운전자의 뇌졸중 이력을 근거로 운전자의 혈압의 기준범위의 하한선인 Min과 상한선인 Max를 설정한다.
뇌졸중 판단부(300)가 데이터베이스(400)에 기저장된 건강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은 건강정보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이력 또는 측정된 생체신호를 통해, 운전자가 정상 상태일 때의 생체신호들의 범위의 평균을 내거나, 건강검진 정보에 검진을 담당한 주차의가 권장한 생체신호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뇌졸중 판단부(300)는 기준범위를 설정한 후, 생체신호 측정부(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신호, 즉 현재 혈압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된 혈압이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지는 여부를 판단한다.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혈압이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뇌졸중 판단부(300)는 운전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알림부(500)를 동작시킨 후 뇌졸중 발생 이력을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에 뇌졸중 발생 이력을 저장한다.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준범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뇌졸중 판단부(300)는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운전자의 혈압이 기준범위에 포함될 경우, 기준범위를 초기의 90% 수준으로 감축하여, 측정된 혈압이 90% 수준으로 감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측정된 혈압이 기분범위의 90% 수준으로 감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뇌졸중 발생이 예측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뇌졸중 발생이 예측될 경우 뇌졸중 판단부(300)는 알림부(500)를 동작시킨 후, 뇌졸중 발생예측 이력을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에 저장할 수 있다. 알림부(500)의 동작은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정해진 메시지를 지정된 곳에 송신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실시예에서 뇌졸중 판단부(300)는 기준범위를 90%, 80%와 같이 순차적으로 줄여나가면서 일정 수준까지 감축된 기준범위로 운전자의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알림부(500)의 경우, 생체신호 측정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운전자의 혈압이 기준범위의 100%, 90%, 80% 각각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로 다른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부(500)는 1단계인 기준범위의 100%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비상"과 같이 현재 응급처치가 필요하다는 경고음 또는 긴급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측정된 혈압이 기준범위의 90%이상, 100%이내일 경우 "위험"과 같이 운전자 또는 주변사람들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측정된 혈압이 기준범위의 80%이상 90%이내일 경우 "주의"와 같은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단, 출력되는 경고음 또는 메시지에는 동시간대 운전자의 생체신호들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준범위의 100%, 90%, 80%는 하나의 예로써, 다양한 범위가 있을 수 있고 혈압 외에도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다양한 생체신호들이 적용될 수 있다.
알림부(500)에서 출력하는 알림음의 경우, 각 단계별로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상태가 "비상"일 때에는 주변의 사람들이 CPR과 같은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CPR의 방법에 대한 방법이 "비상" 알림음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500)에서 출력하는 알림음의 세기는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차등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의 출력값이 상기 알림부(500)에서 출력되는 알림음의 최대 출력값의 60%가 될 수 있으며, "위험"의 경우 80%, "비상"의 경우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500)에서 운전자의 위치를 보호자, 가족 또는 응급의료센터에 송신할 때 운전자의 위치를 함께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운전자가 착용하는 생체신호 측정부(100) 또는 동작정보 측정부(600)는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와 같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정보를 이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뇌졸중 판단부(300)가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근거로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 및 발생을 예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사용되는 동작정보 측정부(200)는 도 2에 도시된 촬영부(210)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뇌졸중 판단부(300)로 송신한다.
먼저 뇌졸중 판단부(300)는 정상위치영역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위치영역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촬영부(2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중, 운전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소정시간동안 중첩시켜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한다.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하는 동안의 운전자는 뇌졸중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며, 가급적이면 직진을 하는 상태에서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한다. 운전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구하는 것은 종래 다양하게 연구되는 영상처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뇌졸중 판단부(300)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장치에는 별도의 입/출력수단이 구비되어, 입력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원할 때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한 후, 뇌졸중 판단부(300)는 촬영부(21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 중, 운전자가 위치하는 영역과 정상위치영역간의 중첩률x를 계산한다. 중첩률x는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영상데이터 중, 운전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이루는 픽셀 중, 정상위치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이 몇 개 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첩률x가 높을수록 운전자는 정상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 도로사정에 따라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있을 수 있으므로, 뇌졸중 판단부(300)에서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데 까지는 중첩률x가 소정의 시간동안 지속되거나 낮아지는 경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졸중 판단부(300)는 중첩률x가 90%이상 100%이하일 경우 정상상태라고 판단하고, 80%이상 90%이하일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알림부(500)를 동작시켜 주의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70%이상 80%이하일 경우 위험으로, 70%이하일 경우에는 비상이라고 판단하여 알림부(50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후 뇌졸중 이력 저장부(600)에 뇌졸중 발생/예측 이력을 저장한다. 알림부(500)에서 비상 경고음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경우, 제어부는 차량을 일정한 속도로 감속하고, 비상등을 점멸하여 주변에 현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동작정보 측정부(200)의 촬영부(210)를 이용한 뇌졸중 판단여부는 일예일 뿐으로, 이 외에도 동작정보 측정부(200)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되는 운전자의 안구 중, 검은자가 점유하고 있는 비율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검은자가 점유하는 비율이 소정시간동안 기준치 이하가 되는 경우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운전자의 안면/안구가 보는 방향이 자동차의 주행방향과 일정시간동안 일치하지 않으면 알림부(500)를 동작시키는 동작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통해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예로써,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동작정보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진동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진동센서는 운전자의 뇌전증 현상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을 경우, 운전자의 신체에 경련이 일어나는 뇌전증이 함께 오게 된다. 따라서 진동센서는 일반적으로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 외에 운전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을 때, 뇌전증에 의한 진동을 측정하여 이를 뇌졸중 판단부(300)로 송신할 수 있다. 뇌전증, 즉 경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차량의 주행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뇌졸중 판단부(300)는 정상 상태의 운전자에게 측정되는 진동과 다른 진동(주기 또는 진폭이 다른 진동)이 측정될 경우,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뇌졸중 판단부(30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함께 획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발에 설치된 족압센서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족압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되, 해당 족압이 차량의 운행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가속 또는 급격한 감속이 아닌 상태에서 족압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될 경우) 사용자에게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 실시예에서는 각각 생체신호와 운전자의 동작정보 각각을 별개로 판단하여 뇌졸중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생체신호를 이용하는 방식과 동작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이 혼용되어,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한 운전자에게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은 한 운전자에게 적용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 개개인의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정보가 모여 상위 데이터베이스를 이룰 수 있으며, 중앙 정부, 지자체 또는 기업에서는 이를 활용 또는 근거로 뇌졸중 관련 정책을 시행하거나 뇌졸중 환자들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생체신호 측정부
110 : 스마트밴드
120 : 뇌파전극
200 : 동작정보 측정부
210 : 촬영부
300 : 뇌졸중 판단부
400 : 데이터베이스
500 : 알림부
600 : 뇌졸중 이력 저장부

Claims (11)

  1. 운전 중인 운전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차량내부에 설치되거나 운전자에게 부착 또는 착용되어 안구 또는 안면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하는 동작정보 측정부;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 및 동작정보 측정부에서 각각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 및 동작정보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뇌졸중 판단부; 및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지정된 곳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운전자에 착용되거나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차량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정보와 운전자의 건강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운전 중인 운전자의 생체신호의 기준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와 상기 기준범위를 비교 분석하여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뇌졸중 발생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 또는 예측된 이력을 저장하는 뇌졸중 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뇌졸중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뇌졸중 발생 또는 예측 이력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준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정보 측정부는
    운전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운전자가 정상상태로 운전할 때 일정 시간동안 상기 촬영부를 통해 운전자의 정상위치영역을 설정한 후, 상기 촬영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위치와 정상위치영역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운전자가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운전자가 뇌졸중이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 비상등을 점멸하고, 자동차를 일정하게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건강 정보는
    건강검진 이력, 건강검진 정보 또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생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뇌졸중 판단부에서 뇌졸중의 발생했다고 판단하거나 뇌졸중의 발생이 예측되었을 때, 경보음을 출력하여 운전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거나, 가족, 보호자 또는 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하는 미리 지정된 곳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심리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뇌졸중 판단부는 상기 심리분석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심리정보를 활용하여 뇌졸중 발생여부를 판단하거나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 동작정보 측정부, 뇌졸중 판단부 및 알림부는 각각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156999A 2017-11-23 2017-11-23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3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99A KR102037739B1 (ko) 2017-11-23 2017-11-23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99A KR102037739B1 (ko) 2017-11-23 2017-11-23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15A true KR20190059415A (ko) 2019-05-31
KR102037739B1 KR102037739B1 (ko) 2019-10-29

Family

ID=6665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99A KR102037739B1 (ko) 2017-11-23 2017-11-23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020A (ko) * 2021-03-12 2022-09-20 윤상연 뇌졸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805B1 (ko) * 2019-12-20 2022-01-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4019A1 (en) * 2007-05-24 2008-11-27 Bao Tran Wireless stroke monitoring
KR20110052783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50130116A (ko) * 2014-05-13 2015-11-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35466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운전자 긴급 상황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5103A (ko) * 2013-03-15 2016-05-17 아담 제이 사이먼 뇌 건강의 다중-모드 생리적 자극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시그너처
KR20160139612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뇌파 센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KR20170049130A (ko) * 2015-10-28 2017-05-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4019A1 (en) * 2007-05-24 2008-11-27 Bao Tran Wireless stroke monitoring
KR20110052783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60055103A (ko) * 2013-03-15 2016-05-17 아담 제이 사이먼 뇌 건강의 다중-모드 생리적 자극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시그너처
KR20150130116A (ko) * 2014-05-13 2015-11-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1565970B1 (ko) 2014-05-13 2015-12-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35466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운전자 긴급 상황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9612A (ko) * 2015-05-28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뇌파 센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뇌파 측정 장치
KR20170049130A (ko) * 2015-10-28 2017-05-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중 뇌졸중 판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020A (ko) * 2021-03-12 2022-09-20 윤상연 뇌졸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39B1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7883B (zh) 具有座椅乘员生命体征监测的车辆座椅系统
US11872884B2 (en) Vehicular driver monitoring system
KR101970481B1 (ko)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US10624559B2 (en) Fall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132739B1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US9988055B1 (en) Vehicle occupant monitoring using infrared imaging
US11225258B2 (en) Safe driving assistance system
US20170090475A1 (en) Drive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wearable device
JP4497081B2 (ja) 人の状態検出装置
US20210038143A1 (en) Seizure detection using multiple biomedical signals
KR20180120901A (ko) 차량에서 탑승자 건강상태 측정을 통한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방법
EP3264382B1 (en) Safety driving system
KR102114638B1 (ko) 수면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9415A (ko) 운전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67948B1 (ko) 비접촉 생체 신호 검출을 이용한 운전자 건강 상태 진단 시스템
KR20170017616A (ko)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
Kang et al. An integrated mHealth and vehicular sensor based alarm system emergency alarm notification system for long distance drivers using smart devices and cloud networks
Rheims Wearable devices for seizure detection: Is it time to translate into our clinical practice?
US20230174073A1 (en) Disease-condition assessment device, disease-condition assessment method, program for disease-condition assessment device, and disease-condition assessment system
KR20190059432A (ko) 보행 중 뇌졸중 모니터링 시스템
Chowdhury et al. Wearable Real-Time Epileptic Seizur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KR102040700B1 (ko) 실시간 건강 진단 시스템
Arjunan et al. Wearable Sensor System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Automobile Drivers
JP2019199176A (ja) 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
Popescu et al. Portable device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warning of epileptic seiz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