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699A -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699A
KR20170048699A KR1020150149111A KR20150149111A KR20170048699A KR 20170048699 A KR20170048699 A KR 20170048699A KR 1020150149111 A KR1020150149111 A KR 1020150149111A KR 20150149111 A KR20150149111 A KR 20150149111A KR 20170048699 A KR20170048699 A KR 20170048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ange
insulator
metal tube
tef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213B1 (ko
Inventor
허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티
Priority to KR102015014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2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 F16L25/026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for 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배관를 연결하는 신축이음관으로서, 금속 튜브와 테프론 튜브가 두 겹을 이루는 벨로우즈의 양단에 마그네슘 합금 재질의 플랜지가 장착되되, 금속 튜브와 플랜지 사이에 절연체가 구비되고, 플랜지의 전후면에 각각 절연체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링의 내주면 일측에 단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신축이음관은 마그네슘 합금 재질의 플랜지 구비 단계; 플랜지 중공에 절연체를 장착하는 절연체 장착 단계; 절연체에 삽입되는 금속 튜브에 이탈방지링을 접합하는 이탈방지링 고정단계, 금속 튜브의 내측에 테프론 튜브를 삽입한 후 테프론 튜브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는 테프론 튜브 결합 단계; 플랜지를 금형장치에 각각 고정하여 테프론 튜브의 내부에 저압의 물을 주입하는 예비팽창 단계; 테프론 튜브의 내부에 고압의 물을 주입하면서 상부 다이를 압축하여 금속 튜브 및 테프론 튜브를 2차로 팽창시키는 본 팽창 단계;를 거쳐 제작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Expansion joint with magnesium flan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배관를 연결하는 이음관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튜브와 테프론 튜브가 두 겹을 이루는 벨로우즈의 양단에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되고, 금속 튜브와 마그네슘 플랜지 사이에 절연체가 구비되어 무게가 가볍고 수명이 긴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 증기, 가스, 원유 등의 각종 유체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은 관속을 흐르는 유체의 속도, 온도, 압력에 의해 배관의 길이와 부피가 달라지거나, 지진이나 풍압에 의해 배관 사이의 중심이 어긋나기도 한다.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공장에서 쓰이는 배관은 저온, 저압의 소구경 배관으로 신축량이 크지 않고, 사고위험이 낮기 때문에 배관의 이음 부분에 소켓, 니플, 소형 플랜지 등과 같은 단순 배관설비를 접속하여 관끼리 서로 연결하고 있다. 반면에, 제철소, 정유공장, 발전소, 대형선박 등과 같이 대규모 설비에 설치되는 배관은 고온, 고압의 대구경 배관으로 신축량이 크고, 배관에 흐르는 원유나 가스, 화학물질이 누출될 경우 피해가 막대하므로 배관에 발생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배관의 이음 부분에 신축이음관이 설치된다.
신축이음관은 그 형태에 따라 내관이 외관 속에 겹친 상태로 미끄러지며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슬립형, 관의 끝을 볼 형태로 만들어 케이싱으로 싸고, 그 틈새를 개스킷으로 밀봉하여 볼이 케이싱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볼-조인트형, 파형의 주름부가 반복형성된 벨로우즈형,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Ω' 형태로 배관이 구부러져 연결된 루프(loop)형으로 나뉘는데, 이들을 조합한 복합 형태의 신축이음관도 많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 벨로우즈형 신축이음관은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배관에 발생되는 모든 변위를 흡수할 수 있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벨로우즈 내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 주철, 청동, 고무, 테프론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테프론 재질로 구성된 벨로우즈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테프론의 겉면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감싸져 두 겹을 이루는 신축이음관이 개발됐으며, 이러한 신축이음관을 액압성형하는 기술을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3408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3408호는 금속 튜브(300)의 내부에 테프론 튜브(400)를 일체로 구비하여 벨로우즈의 강도를 높였고, 튜브를 수압으로 팽창시킴으로써, 별도의 금형 가열 및 냉각 과정이 없이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었으며, 플랜지(100)가 금속 튜브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되면서 신축이음관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된 플랜지의 중량이 너무 무거워 신축이음관을 운반하고, 설치하기가 힘들었으며, 도2와 같이 플랜지(100)의 외측에 밀착된 이탈방지링(310)의 두께만큼 신축이음관(1)의 플랜지와 상대배관(2)의 플랜지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플랜지가 볼트 체결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굽힘력을 받아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3과 같이 한 쌍의 이탈방지링(310) 중 하나를 평판(10)에 놓은 상태에서 금속 튜브(300)에 용접하고, 금속 튜브를 뒤집어 놓고, 한 쌍의 플랜지(100)를 금속 튜브에 삽입한 상태로 나머지 이탈방지링을 금속 튜브에 용접해야 하므로 작업 편의성이 저하되어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3408호 : 액압성형 테프론 벨로우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축이음관의 무게를 줄여 쉽게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에 가해지는 굽힘력을 최소화하여 플랜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튜브 결합 과정에서 이탈방지링을 쉽게 접합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긴 신축이음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그네슘 재질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전후면에 절연체 삽입홈이 일정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 삽입홈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 단면이 '
Figure pat00001
'인 림 형상으로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과 상기 절연체 삽입홈을 감싸도록 상기 플랜지의 중공에 삽입되는 절연체; 상기 플랜지 사이에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절연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튜브; 상기 플랜지가 상기 금속 튜브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금속 튜브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접합되어 상기 절연체의 외측에 삽입되는 환 형상의 이탈방지링; 및 상기 금속 튜브의 내측면에 금속 튜브와 밀착되어 주름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탈방지링의 외측에 밀착되는 테프론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그네슘 재질로 구성된 한 쌍의 플랜지의 전후면에 절연체 삽입홈을 각각 일정깊이로 형성하는 플랜지 구비 단계;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과 상기 절연체 삽입홈을 감싸도록 원호의 단면이 '
Figure pat00002
'형상인 절연체를 상기 플랜지에 장착하는 절연체 장착 단계; 상기 절연체의 중공에 금속 튜브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금속 튜브의 양단부에 이탈방지링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이탈방지링 고정단계; 상기 금속 튜브의 내측에 테프론 튜브를 삽입하며, 상기 테프론 튜브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는 테프론 튜브 결합 단계; 상기 플랜지를 금형장치의 상하부 다이에 각각 고정하고, 중간금형 사이에 이격부재를 설치한 후 상기 테프론 튜브의 내부에 저압의 물을 주입하는 예비팽창 단계; 상기 이격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테프론 튜브의 내부에 고압의 물을 주입하면서 상기 상부 다이를 압축하여 상기 금속 튜브 및 테프론 튜브를 2차로 팽창시키는 본 팽창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관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플랜지를 제작하여 플랜지의 중량을 대폭 줄임으로써, 신축이음관을 운반하고 설치하기가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고, 피로저항성 및 진동흡수성이 우수한 마그네슘의 성질을 이용해 신축이음관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체 및 이탈방지링이 플랜지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볼트 조임력에 의해 플랜지에 가해지는 굽힙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링을 금속 튜브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링이 금속 튜브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을 함으로써, 용접 정밀도 및 용접 편의성이 나아져 수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1 - 종래의 플랜지 장착형 신축이음관의 부분단면도.
도2 - 종래의 신축이음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3 - 종래의 신축이음관 제조과정에서 금속 튜브와 이탈방지링이 접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4 -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의 절단면도.
도5 -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의 사시도.
도6 -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7 -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튜브에 이탈방지링이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8 -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의 제작과정 중 플레어링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9 -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의 제작과정 중 신축이음관을 금형장치에 고정하고, 액압성형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에서 발생되는 열 팽창,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벨로우즈 형태의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의 재질을 종래의 스테인리스-강이 아닌 마그네슘을 적용하여 신축이음관의 중량을 대폭 낮추고, 이종금속(마그네슘 - 철)간의 접촉으로 산화가 촉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와 벨로우즈 사이에 절연체가 구비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플랜지(100)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은 마그네슘 재질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내측 전후면에 절연체 삽입홈(110)이 일정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체결공(120)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100), 단면이 '
Figure pat00003
'인 림 형상으로 플랜지의 내주면과 절연체 삽입홈을 감싸도록 플랜지의 중공에 삽입되는 절연체(200), 플랜지 사이에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절연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튜브(300), 상기 금속 튜브에서 플랜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금속 튜브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접합되어 절연체의 외측에 삽입되는 환 형상의 이탈방지링(310) 및 금속 튜브의 내측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팽창되어 이탈방지링의 외측에 밀착되는 테프론 튜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랜지(100)는 순도 99.95% 이상의 마그네슘에 미량의 탄소나 붕소 등을 첨가하여 만든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되며, 플랜지 형상을 갖는 주형틀에 용융된 마그네슘 합금을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키는 통상의 다이캐스팅 주조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마그네슘은 실용금속 중 가장 가벼운 원소로서, 종래의 스테인리스-강에 비해 무게가 약 1/4.5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고, 피로저항성(반복되는 충격으로 인해 재료의 내구성이 낮아지는 것에 저항하는 정도) 및 진동흡수성이 우수하다는 본래의 성질을 통해 신축이음관의 수명이 늘어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원통 현상의 플랜지(100)의 내측 전후면에는 절연체 삽입홈(110)이 각각 형성되는데, 전면에 형성된 절연체 삽입홈은 절연체(200) 및 이탈방지링(310)의 두께를 합친 것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된 절연체 삽입홈은 절연체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이는 플랜지의 무게를 더 줄이고, 플랜지 면에서 이탈방지링 및 테프론 튜브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도2와 같이 신축이음관(1)의 플랜지(100)와 상대배관(2)의 플랜지(100) 사이의 이격거리가 늘어나면, 체결공(120)에 삽입되는 볼트 조임력에 의해 플랜지가 안쪽으로 굽어져 플랜지에 변형을 가져올 뿐 아니라, 가스켓(700)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압착력이 가해지지 못하고 가스켓의 외경 부분에 압착력이 집중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도6과 같이 플랜지(100)의 전면으로부터 테프론 튜브(400)만 돌출되게 하고, 플랜지 사이에 가스켓(700)이 장착되되, 가스켓의 중공의 직경이 플레어링 금형의 확대부(3a, 도8 참조)의 직경, 즉 외측으로 절곡된 테프론 튜브의 단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가스켓이 테프론 튜브의 외측에 삽입되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플랜지에 가해지는 굽힘력이 감소되고, 가스켓이 받는 면압력도 보다 더 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관의 과도한 신축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0) 사이에 가이드볼트(500)가 장착되는데, 플랜지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볼트 체결부(510)에 가이드볼트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된다. 마그네슘은 용접 시 불꽃이 발생하고, 용접 후 변형이 심하기 때문에 볼트 체결부는 플랜지에 용접으로 접합하기보다는 플랜지와 동일한 재질로 하여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적합하다.
플랜지(100)의 중공에 삽입된 절연체(200)는 경질의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서, 플랜지의 내주면과 절연체 삽입홈을 감싸면서 플랜지(100)와 금속 튜브(30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된 플랜지와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된 금속 튜브가 서로 접촉되어 있다면, 금속 튜브보다 이온화 경향성이 큰 플랜지가 급격히 부식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플랜지 사이에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는 금속 튜브(300)는 절연체(200)의 중공에 삽입되어 플랜지가 금속 튜브에 고정되도록 금속 튜브의 양단부에 환 형상의 이탈방지링(310)이 수직으로 접합되어 절연체의 외측에 안착된다. 이는 금속 튜브가 테프론 튜브와는 달리 양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는 작업(플레어링 공정)이 어렵고, 금속 튜브와 플랜지 간의 용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비되는 요소이다.
이러한 이탈방지링을 금속 튜브에 쉽게 용접되게 하기 위해 도7과 같이 금속 튜브(30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링(310)의 내주면과 내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단턱홈(320)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이탈방지링 중 하나를 평판에 놓은 상태에서 금속 튜브에 용접하고, 금속 튜브를 반대로 뒤집은 후, 금속 튜브에 한 쌍의 플랜지를 삽입하고, 이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이탈방지링을 바닥에 놓고 용접했으나,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인 이탈방지링을 금속 튜브에 용접하고, 한 쌍의 플랜지를 금속 튜브에 삽입하여 아래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금속 튜브의 상단부에 다른 하나의 이탈방지링을 안착시켜 임시로 고정하고 용접할 수 있으므로 작업하기 편하고, 인력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금속 튜브에 안착된 이탈방지링이 상하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용접 정밀도도 개선되어 수율이 높아지게 된다.
금속 튜브가 배관 속을 흐르는 유체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도4와 같이 금속 튜브(300)의 내측에 테프론 튜브(400)가 함께 형성되고, 테프론 튜브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이탈방지링(310)의 외측에 밀착된다. 테프론은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 불소수지로서, 내열성과 비점착성, 우수한 절연성,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작된다.
(S1 : 플랜지 구비 단계)
마그네슘 재질로 된 한 쌍의 플랜지(100)의 전후면에 절연체 삽입홈(110)을 각각 일정깊이로 형성하는데, 마그네슘은 절삭 저항이 작아 기계가공을 할 수도 있고, 방출열이 작아 다이캐스팅 주조를 통해 제작할 수도 있다.
(S2 : 절연체 장착 단계)
플랜지(100)의 내주면과 절연체 삽입홈(110)을 감싸도록 원호의 단면이 '
Figure pat00004
'형상인 절연체(200)를 플랜지(100)에 장착한다. 절연체는 가열하여 녹인 플라스틱 혹은 고무 등의 소재를 플랜지에 사출성형하여 만들 수도 있으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경질의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절연체를 미리 제작하고, 상기 절연체의 일측을 구부려 플랜지의 중공에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 이탈방지링 고정단계)
한 쌍의 이탈방지링(310) 중 하나를 바닥에 대고 금속 튜브(300)에 용접하고, 절연체가 장착된 한 쌍의 플랜지(100)를 금속 튜브에 삽입하여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또 다른 이탈방지링의 단턱홈을 금속 튜브의 상단부에 안착, 가고정하여 용접한다.
(S4 : 테프론 튜브 결합 단계)
이후, 금속 튜브(300)의 내측에 테프론 튜브(400)를 삽입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0)의 볼트 체결부(510)에 가이드볼트(500)를 삽입하여 너트로 채우고, 너트를 돌려가며 플랜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이후, 테프론 튜브(400)의 단부에 플레어링 금형(3)을 삽입하여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1차로 눌러주고, 플레어링 금형(3)을 뒤집어 테프론 튜브(400)의 단부를 2차로 눌러준 다음, 상기 플레어링 금형의 확대부(3a)의 외측으로 삐져나온 테프론 튜브(400)의 잔여 부분을 잘라내어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 금속 튜브에는 테프론 튜브와의 사이 공간에 내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기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S5 : 예비팽창 단계)
가이드볼트를 해체하고, 도9와 같이 플랜지(100)를 금형장치(600)의 상하부 다이(610, 620)에 각각 고정하고, 중간금형(630) 사이에 이격부재(640)를 설치한 후 테프론 튜브(400)의 내부에 저압의 물을 주입하여 테프론 튜브 및 금속튜브가 약간 팽창하면서 중간금형에 밀착시킨다.
(S6 : 본 팽창 단계)
이격부재(640)를 제거하고, 테프론 튜브(400)의 내부에 고압의 물을 주입하면서 상부 다이(610)를 프레스로 압축하여 금속 튜브(300) 및 테프론 튜브(400)를 2차로 팽창함으로써, 금속 튜브 및 테프론 튜브가 벨로우즈 형태를 갖게 되고, 상부 다이를 상승시켜 중간금형(630)을 분해한 후, 신축이음관을 금형장치에서 분리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관은 플랜지의 중량을 대폭 줄임으로써, 신축이음관의 운반과 설치가 수월해지고, 피로저항성 및 진동흡수성이 우수한 마그네슘의 성질을 이용해 신축이음관의 강도 및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절연체 및 이탈방지링이 플랜지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플랜지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볼트 조임력에 의해 플랜지의 외부가 왜곡되어 압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탈방지링을 금속 튜브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링이 금속 튜브에 안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접 정밀도 및 용접 편의성이 개선되어 수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 수준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 신축이음관 2 : 상대배관
3 : 플레어링 금형 10 : 평판
100 : 플랜지 110 : 절연체 삽입홈
120 : 체결공 200 : 절연체
300 : 금속 튜브 310 : 이탈방지링
320 : 단턱홈 400 : 테프론 튜브
500 : 가이드볼트 510 : 볼트 체결부
600 : 금형장치 610 : 상부 다이
620 : 하부 다이 630 : 중간금형
640 : 이격부재 700 : 가스켓

Claims (5)

  1. 마그네슘 재질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전후면에 절연체 삽입홈(110)이 일정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 삽입홈(11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체결공(120)이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100);
    단면이 '
    Figure pat00005
    '인 림 형상으로 상기 플랜지(100)의 내주면과 상기 절연체 삽입홈(110)을 감싸도록 상기 플랜지(100)의 중공에 삽입되는 절연체(200);
    상기 플랜지(100) 사이에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절연체(200)의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튜브(300);
    상기 플랜지(100)가 상기 금속 튜브(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금속 튜브(300)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접합되어 상기 절연체(200)의 외측에 안착되는 환 형상의 이탈방지링(310); 및
    상기 금속 튜브(300)의 내측면에 금속 튜브와 밀착되어 주름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탈방지링(310)의 외측에 밀착되는 테프론 튜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310)의 내주면과 내측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단턱홈(320)이 형성되어 금속 튜브(30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0)의 외측면에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단부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된 가스켓(7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4. 마그네슘 재질로 구성된 한 쌍의 플랜지(100)의 전후면에 절연체 삽입홈(110)을 각각 일정깊이로 형성하는 플랜지 구비 단계(S1);
    상기 플랜지(100)의 내주면과 상기 절연체 삽입홈(110)을 감싸도록 원호의 단면이 '
    Figure pat00006
    '형상인 절연체(200)를 상기 플랜지(100)에 장착하는 절연체 장착 단계(S2);
    상기 절연체(200)의 중공에 금속 튜브(3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금속 튜브(300)의 양단부에 이탈방지링(310)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이탈방지링 고정단계(S3);
    상기 금속 튜브(300)의 내측에 테프론 튜브(400)를 삽입하고,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이탈방지링(310)에 밀착하는 테프론 튜브 결합 단계(S4);
    상기 플랜지(100)를 금형장치(600)의 상하부 다이(610, 620)에 각각 고정하고, 중간금형(630) 사이에 이격부재(640)를 설치한 후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내부에 저압의 물을 주입하는 예비팽창 단계(S5);
    상기 이격부재(640)를 제거하고,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내부에 고압의 물을 주입하면서 상기 상부 다이(610)를 압축하여 상기 금속 튜브(300) 및 테프론 튜브(400)를 2차로 팽창시키는 본 팽창 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의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 튜브 결합 단계(S4)는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단부에 플레어링 금형(3)을 삽입하여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눌러주는 1차 플레어링 단계; 상기 플레어링 금형(3)을 뒤집어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단부를 누르는 2차 플레어링 단계; 및 상기 플레어링 금형(3)의 확장부(3a)의 외측에 남은 상기 테프론 튜브(400)의 잔여 부분을 잘라내는 테두리 절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의 제작방법.
KR1020150149111A 2015-10-27 2015-10-27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KR10174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111A KR101744213B1 (ko) 2015-10-27 2015-10-27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111A KR101744213B1 (ko) 2015-10-27 2015-10-27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99A true KR20170048699A (ko) 2017-05-10
KR101744213B1 KR101744213B1 (ko) 2017-06-07

Family

ID=5874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111A KR101744213B1 (ko) 2015-10-27 2015-10-27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1379A (zh) * 2017-06-15 2017-09-05 江苏长风波纹管有限公司 脱硫塔进出口专用金属膨胀节
KR102148936B1 (ko) * 2019-06-20 2020-08-28 심성구 내진 설계된 단식 벨로우즈 타입의 신축관 이음
CN114110275A (zh) * 2021-12-02 2022-03-01 江苏天氟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特氟龙衬层快装直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500B1 (ko) 2020-11-16 2021-06-07 주식회사 태성스틸 이중 수밀구조를 갖는 벨로우즈 혼합형 신축관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0116B4 (de) * 2007-12-13 2009-09-2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Rohrverbindung und Rohrverbind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1379A (zh) * 2017-06-15 2017-09-05 江苏长风波纹管有限公司 脱硫塔进出口专用金属膨胀节
KR102148936B1 (ko) * 2019-06-20 2020-08-28 심성구 내진 설계된 단식 벨로우즈 타입의 신축관 이음
CN114110275A (zh) * 2021-12-02 2022-03-01 江苏天氟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特氟龙衬层快装直管
CN114110275B (zh) * 2021-12-02 2024-03-12 江苏天氟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特氟龙衬层快装直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13B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213B1 (ko) 마그네슘 플랜지가 장착된 신축이음관 및 그 제작방법
US6654995B1 (en) Method for joining tubular members
CN109282098B (zh) 钢丝网骨架管的连接结构
US5634672A (en) Flangeless pipe joint
CA25488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ving tensile residual stress in welded pipe joints
JP5035287B2 (ja) 座屈波形鋼管
KR100987355B1 (ko)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US20100183893A1 (en)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with smooth bore
KR101324938B1 (ko)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JP6942432B2 (ja) 高圧硬質フレキ管路接続密封システム
US11092062B2 (en) Bellows having tweezers-shaped corrugated por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3627354A (en) Reinforced flexible connector
JP2009250443A (ja)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003942B1 (ko) 관체 연결 장치
RU2487228C1 (ru) Секция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ой колонны
US20070145737A1 (en) Pipeline assembly with thermal shielding
US20210041053A1 (en) Seismic pipe joint
CN207610596U (zh) 一种立式换热器上管板与换热管的连接装置
CA3126382A1 (en) Meta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pipe
JPH11290939A (ja) 長尺二重金属管の製造方法
CN111520562A (zh) 改善复合管结构稳定性的法兰连接装置
KR102431193B1 (ko) 액압 성형 테프론 신축 주름관 제조용 금형 및 보강링을 구비하는 테프론 신축 주름관 형성 방법
CN117146089B (zh) 一种波纹管膨胀节及其波纹管
KR20120127862A (ko) 가스이송용 신축이음관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EP3333471A1 (en)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