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044A - 보일러용 펌프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044A
KR20170048044A KR1020150148914A KR20150148914A KR20170048044A KR 20170048044 A KR20170048044 A KR 20170048044A KR 1020150148914 A KR1020150148914 A KR 1020150148914A KR 20150148914 A KR20150148914 A KR 20150148914A KR 20170048044 A KR20170048044 A KR 2017004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pump
guide
spac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131B1 (ko
Inventor
민만홍
양현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5014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131B1/ko
Priority to EP16860158.1A priority patent/EP3369940A4/en
Priority to PCT/KR2016/011993 priority patent/WO2017073975A1/ko
Priority to CN201680062891.0A priority patent/CN108138801B/zh
Priority to RU2018118609A priority patent/RU2688076C1/ru
Publication of KR2017004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01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02Preventing vapour lock by means in the very pump
    • F04D9/003Preventing vapour lock by means in the very pump separating and removing the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부면 및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에 의해 결정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공간으로 난방수가 유입될 수 있는 난방수 유입구와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펌프하우징, 펌프하우징 내에서 단부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난방수가 임펠러 쪽으로 유입되도록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서 단부면 쪽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이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난방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가 바깥쪽 면과 측면의 사이 공간을 통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후 관통홀 쪽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및 안내부의 바깥쪽 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보일러용 펌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용 펌프{A PUMP FOR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용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수 분리 성능 및 공동현상(cavitation) 저감효과가 향상된 보일러용 펌프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수송 수단으로 다양한 종류의 펌프가 이용되고 있으며, 펌프의 사용례로는, 예컨대 보일러에서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난방배관에 구비되는 펌프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보일러는 연료, 예컨대 가스를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에서 난방수를 가열한 후에 난방배관을 통하여 난방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수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보일러는 난방수 순환을 위한 펌프를 구비하여 난방수가 공급 및 환수되는 난방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난방수는 기수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난방수 내에 섞여 있는 공기가 제거된 상태로 순환된다.
기수분리장치가 적용된 보일러용 펌프의 구체적인 일례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04180호에 개시된 보일러용 펌프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난방수를 유도해 주는 펌프하우징에, 난방수 순환시 기수분리판에 의해 기수가 분리되고 부동몸체의 작동으로 콕크를 통해 난방수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기수분리장치의 몸체가 설치된 보일러용 펌프를 제시하면서, 특히 기수분리판의 유로가이드 날개를 유로의 접선방향과 경사지게 하고, 유로 단면적이 유로B, 유로A, 유로C로 형성되며, 유로B의 상부에 기포포집실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보일러용 펌프는, 기수분리장치에도 불구하고 기수분리 성능이 만족할 정도에 이르지 못하여 난방수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고, 그로 인해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일러용 펌프 구조에서는 기수 분리만을 위해 펌프하우징 내부의 난방수의 유속을 증가시킬 경우 펌프 임펠러 전단에서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된다. 그로 인해 임펠러에 충격이 가해져 펌프 소음이 유발되고, 펌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펌프 하우징 내에 난방수 유로의 단면적을 줄이는 동시에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구조를 적용하여, 기수 분리 성능이 향상된 보일러용 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펌프 임펠러의 전단에서 보스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동현상이 저감되는 보일러용 펌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는, 단부면 및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에 의해 결정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난방수가 유입될 수 있는 난방수 유입구와 상기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 내에서 상기 단부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난방수가 임펠러 쪽으로 유입되도록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단부면 쪽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난방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가 바깥쪽 면과 상기 측면의 사이 공간을 통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관통홀 쪽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및 상기 안내부의 바깥쪽 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안내부의 끝단까지 상기 안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측면 쪽으로 향하되 난방수의 유동방향 쪽으로 기울어진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쪽으로 향하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안내부의 끝단까지 상기 안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리브 중 상기 공기 배출구 쪽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하나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쪽으로 향하는 일면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리브 중 나머지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측면 쪽으로 향하되 난방수의 유동방향 쪽으로 기울어진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의 단부면에, 상기 관통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의 안쪽 면이 감싸는 공간 내로 연장되는 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외면에 요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의 안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리브에 의해 난방수의 유속이 증가하면서 난방수에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난방수는 펌프하우징의 측면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동되면서 유동 궤적이 더 길어진다. 그로 인해 난방수 내 작은 기포가 큰 기포로 포집될 수 있는 압력 및 시간 조건이 확보되어, 기수 분리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리브가 공기 배출구 쪽을 향하는 일면을 포함함으로써, 난방수로부터 분리되어 포집된 기포가 용이하게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펌프하우징에 형성된 보스에 의해, 임펠러로 유입되기 전의 난방수에 대하여 압력이 증가됨으로써 난방수에 기포 생성이 억제되며, 그로 인해 이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 억제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요부 절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펌프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요부 절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의 펌프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1)는 펌프하우징(100), 가이드(200), 및 리브를 포함한다.
펌프하우징(100)은 펌프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하우징(400)과 더불어 펌프(1)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400) 내에는 샤프트(410)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샤프트(410)가 축 결합된 로터, 그리고 로터를 회전시키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모터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하우징(100) 내 또는 모터하우징(400) 내에는 샤프트(410)가 고정되는 임펠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300) 내로 유입된 난방수는 샤프트(410)가 회전함에 따라 임펠러(300)가 회전함으로써 원심작용을 받게 되며, 난방수 유출구(106)를 통해 토출된다.
펌프하우징(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한쪽이 개방된 공간(103)이 형성된다. 펌프하우징(100)의 내측면은 개방된 쪽을 마주하는 단부면(101)과 단부면(101)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102)을 포함한다. 펌프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03)은 이 내측면으로 결정된다.
펌프하우징(100)에는 이 공간(103)으로 난방수가 유입될 수 있는 난방수 유입구(104)가 형성된다. 그리고, 펌프하우징(100)에는 전술한 난방수 유출구(106)가 형성될 수도 있다.
펌프하우징(100)에는 이 공간(103)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105)가 형성된다. 펌프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벤트(air vent; 11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간(103) 내에서 난방수로부터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105)를 통해 에어 벤트(110)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200)는 베이스부(210)와 안내부(2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는 일례로서 원반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일측 방향으로 펌프하우징(100)의 단부면(101)을 마주하도록 펌프하우징(100) 내에 배치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210)가 펌프하우징(100) 내부 공간(103)의 개방된 쪽을 덮도록 펌프하우징(100)에 결합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난방수 유입구(104)는 베이스부(210)와 단부면(101) 사이의 공간(103)으로 난방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하우징(10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타측 방향에는 임펠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에는 임펠러(300) 쪽으로 난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난방수가 통과되는 관통홀(211)이 형성된다. 도시된 일례는 베이스부(210)의 중앙에 관통홀(211)이 형성된 예를 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20)는 베이스부(210)로부터 단부면(101)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 방향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11) 주변을 따라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안내부(220)의 일단부와 안내부(220)의 휘어지기 직전 부분의 사이는, 관통홀(211)의 일측 방향 공간이 펌프하우징(100)의 측면(102) 방향에 대하여 안내부(220)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서로 떨어져 난방수가 유입되는 문(223)을 형성한다.
한편 안내부(220)의 타단부는 펌프하우징(100)에 형성된 난방수 유입구(104)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난방수 유입구(104)를 통해 베이스부(210)와 단부면(101) 사이 공간(103)으로 유입된 난방수는 안내부(220)에 의해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과 펌프하우징(100)의 측면(102) 사이 공간을 통하면서 안내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안내된다. 이 과정에서 난방수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난방수 내 공기의 일부가 분리될 수 있다.
난방수는 안내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계속 유동하면서 전술한 유입문(223)에 도달하고 안내부(220)의 안쪽 면(222)이 감싸는 공간 내로 진입한 후 베이스부(210)의 관통홀(211)을 통해 임펠러(300)로 유입된다.
한편, 전술한 펌프(1)의 구조에서 난방수의 유속이 빠른 경우 난방수 내의 작은 기포가 포집될 시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난방수는 난방수 내 공기가 제대로 분리되지 못한 채 임펠러(3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고자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1)는 리브가 포함된다. 리브는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22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리브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다. 도시된 일례와 같이, 리브는 안내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3개의 리브(231,232,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10)로부터 안내부(220)의 끝단까지 안내부(2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리브(231,232,233) 중 난방수 유입구(104)에 가까운 제1 및 제2 리브(231,232)는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으로부터 펌프하우징(100)의 측면(102) 쪽으로 향하되 난방수의 유동방향 쪽으로 기울어진 일면(231a,232a)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리브(231,232)가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난방수의 유로의 단면적이 축소되고, 난방수의 유속이 증가하면서 난방수에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한다. 그로 인해, 난방수 내 작은 기포가 큰 기포로 포집될 수 있는 압력 조건이 확보된다.
또한, 난방수는 제1 및 제2 리브(231,232)에 의해 펌프하우징(100)의 측면(102)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동된다. 즉 난방수의 유동 궤적이 더 길어진다. 그로 인해 난방수 내 작은 기포가 큰 기포로 포집될 수 있는 시간 조건이 확보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리브(231,232)에 의해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 상에서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안내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난방수의 일부가 파형의 궤적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파형으로 요동치는 과정에서 난방수로부터 공기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방수 내 작은 기포가 큰 기포로 포집될 수 있는 압력 및 시간 조건이 확보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1)는 만족할 만한 기수 분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3개의 리브(231,232,233)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제3 리브(233)는 전술한 제1 및 제2 리브(231,232)와 마찬가지로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으로부터 돌출된다.
제3 리브(233)는 공기 배출구(105)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으로부터 공기 배출구(105) 쪽으로 향하는 일면(233a)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3 리브(233)에 포함되는 이 일면(233a)이 전술한 제1 및 제2 리브(231,232)의 일면(231a,232a)과 비교하여 안내부(220)의 바깥쪽 면(221)에 대해 더 큰 각도를 갖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3 리브(233)는 제1 및 제2 리브(231,23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특히, 공기 배출구(105) 쪽으로 향하는 일면(233a)을 포함함으로써, 난방수에서 분리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105) 쪽으로 향하도록 방향을 유도한다.
난방수에서 분리된 공기는 제3 리브(233)에 의해 공기 배출구(105)를 통해 에어 벤트(11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3 리브(233)를 거쳐 안내부(220)의 끝단부로 도달한 난방수는 전술한 난방수 유입문(223)을 통해 유입된 후 관통홀(211)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압력의 감소로 인해, 난방수 중에 기포가 생성되면서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이 발생된다. 이 현상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유발되며, 진동에 의해 임펠러(300) 등의 펌프 부품이 손상되거나 또는 펌프(1)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1)는, 이와 같은 캐비테이션 현상이 억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스(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하우징(100)의 단부면(101)에 관통홀(2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안내부(220)의 안쪽 면(222)이 감싸는 공간 내로 연장되는 보스(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일례의 보스(120)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외면에 요철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보스(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입문(223)을 통해 유입된 난방수는 보스(120)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난방수는 보스(120)와의 마찰로 인해 유속이 감소된다. 그리고 난방수에 작용하는 압력은 증가된다. 그로 인해 난방수에 기포 생성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1)는 전술한 리브 구조에 의해 기수 분리 성능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펌프하우징(100)에 보스(120)가 형성됨으로써 캐비테이션 현상이 억제되는 이점까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펌프(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용 펌프(1)가 작동되면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410)가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410)의 회전에 따라 임펠러(300)가 일체로 회전한다.
난방수 유입구(104)를 통해 펌프하우징(100) 내의 공간(103), 구체적으로 단부면(101)과 베이스부(210) 사이 공간(103)으로 유입된 난방수는 안내부(220)에 의해 안내되면서 유동한다. 도 1에서는 난방수의 유동 방향을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동 과정에서 리브(231,232,233)에 의해 난방수 내 공기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분리된 공기는 작은 기포에서 큰 기포로 포집될 수 있다. 포집된 기포는 난방수의 유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특히 난방수가 특히 제3 리브(233)를 지나칠 때 난방수와 함께 방향이 전환되어 공기 배출구(105) 쪽으로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공기 배출구(105)를 통해 배출된다. 도 1에서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파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내고 있다.
난방수는 안내부(220)의 끝단부가 형성하는 난방수 유입문(223)을 통해 안내부(220)의 안쪽 면(222)이 감싸는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 후 보스(120)와 마찰하면서 와류를 형성(도 2의 실선 화살표 방향 참조)하는데 이 과정에서 압력이 증가하여 난방수 내 기포의 생성이 억제된다.
난방수는 이와 같이 기포 생성이 억제된 상태로 베이스부(210)의 관통홀(211)을 통해 임펠러(300) 쪽으로 유입된다. 임펠러(300)로 유입된 난방수는 임펠러(300)의 회전에 의한 원심 작용을 받으면서 난방수 유출구(106)를 통해 토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나 개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1: 펌프 100: 펌프하우징
101: 단부면 102: 측면
103: 공간 104: 난방수 유입구
105: 공기 배출구 106: 난방수 유출구
110: 에어 벤트 120: 보스
200: 가이드 210: 베이스부
211: 관통홀 220: 안내부
231: 제1 리브 232: 제2 리브
233: 제3 리브 300: 임펠러
400: 모터하우징 410: 샤프트

Claims (8)

  1. 단부면 및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에 의해 결정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난방수가 유입될 수 있는 난방수 유입구와 상기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 내에서 상기 단부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난방수가 임펠러 쪽으로 유입되도록 통과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단부면 쪽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난방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난방수가 바깥쪽 면과 상기 측면의 사이 공간을 통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관통홀 쪽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및
    상기 안내부의 바깥쪽 면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보일러용 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안내부의 끝단까지 상기 안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측면 쪽으로 향하되 난방수의 유동방향 쪽으로 기울어진 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쪽으로 향하는 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안내부의 끝단까지 상기 안내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상기 리브 중 상기 공기 배출구 쪽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하나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쪽으로 향하는 일면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리브 중 나머지는 상기 바깥쪽 면으로부터 상기 측면 쪽으로 향하되 난방수의 유동방향 쪽으로 기울어진 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의 단부면에, 상기 관통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의 안쪽 면이 감싸는 공간 내로 연장되는 보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외면에 요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펌프.
KR1020150148914A 2015-10-26 2015-10-26 보일러용 펌프 KR10183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14A KR101832131B1 (ko) 2015-10-26 2015-10-26 보일러용 펌프
EP16860158.1A EP3369940A4 (en) 2015-10-26 2016-10-25 BOILER PUMP
PCT/KR2016/011993 WO2017073975A1 (ko) 2015-10-26 2016-10-25 보일러용 펌프
CN201680062891.0A CN108138801B (zh) 2015-10-26 2016-10-25 锅炉泵
RU2018118609A RU2688076C1 (ru) 2015-10-26 2016-10-25 Котловой насо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14A KR101832131B1 (ko) 2015-10-26 2015-10-26 보일러용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44A true KR20170048044A (ko) 2017-05-08
KR101832131B1 KR101832131B1 (ko) 2018-02-26

Family

ID=5863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14A KR101832131B1 (ko) 2015-10-26 2015-10-26 보일러용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69940A4 (ko)
KR (1) KR101832131B1 (ko)
CN (1) CN108138801B (ko)
RU (1) RU2688076C1 (ko)
WO (1) WO201707397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0579A (ja) * 2019-04-25 2020-11-0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遠心ポンプ、および、遠心ポンプ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KR20220096800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환 펌프
KR20220096799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환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8116B1 (fr) * 2018-02-22 2021-09-10 Ksb Sas Pompe a doig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4198A (fr) * 1972-03-09 1973-05-16 Saunier Duval Ensemble pompe-purgeur degazeur pour installations de chauffage central
SU1267053A1 (ru) * 1984-04-04 1986-10-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116 Центробежный самовсасывающий насос рециркул ционного типа
KR960009753Y1 (ko) * 1993-12-16 1996-11-06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보일러의 순환펌프에 부착된 기수분리장치
KR200189324Y1 (ko) * 1999-12-28 2000-07-15 최진민 전기온수순환펌프의 기포배출구조
US6471476B1 (en) * 2000-11-13 2002-10-29 Wacker Corporation Centrifugal trash pump
JP4872456B2 (ja) * 2006-05-24 2012-0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ポンプ及び液体供給装置
DE102008052884A1 (de) * 2008-10-23 2010-05-06 Wilo Se Pumpengehäuse
EP2253850B1 (de) * 2009-05-18 2011-04-27 Wilo Se Kreiselpumpe mit Entlüftungsraum
JP6022779B2 (ja) * 2012-03-01 2016-11-09 株式会社横田製作所 自吸式遠心ポンプ装置
KR101447440B1 (ko) * 2013-05-15 2014-10-06 이남 이중 볼루트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0579A (ja) * 2019-04-25 2020-11-0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遠心ポンプ、および、遠心ポンプを用いた冷却システム
KR20220096800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환 펌프
KR20220096799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순환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88076C1 (ru) 2019-05-17
WO2017073975A1 (ko) 2017-05-04
CN108138801B (zh) 2020-05-05
KR101832131B1 (ko) 2018-02-26
EP3369940A1 (en) 2018-09-05
EP3369940A4 (en) 2019-06-12
CN108138801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131B1 (ko) 보일러용 펌프
EP2966215B1 (en) Drain pump assembly and dryer for clothes having the same
KR101105820B1 (ko)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JP6583770B2 (ja) 遠心式送風機
JP2010535305A (ja) 液体ポンプ
KR101826600B1 (ko) 온수 순환펌프
JP6497057B2 (ja) 遠心ポンプ
JP5884844B2 (ja) 給湯装置
JP7357356B2 (ja) 排水ポンプ
KR101827295B1 (ko) 온수 순환 펌프
JP2006177330A (ja) ポンプ
JP6014522B2 (ja) 自吸式ポンプ
KR200440266Y1 (ko) 펌프용 케이싱
JP5300508B2 (ja) ポンプの羽根車およびポンプ
KR100690695B1 (ko) 유동가이드를 구비한 배기 후드
WO2015045569A1 (ja) ウォータポンプ
JP3545331B2 (ja) ポンプのエア抜き構造
KR200477242Y1 (ko) 토출력을 증대시킨 수중펌프
JP4595164B2 (ja) 電気ポンプ
KR102402559B1 (ko) 전동식 워터펌프
JP2006144735A (ja) ウォータポンプ
KR102316724B1 (ko) 원심펌프
JP7194705B2 (ja) 多段渦巻きポンプ装置
KR20210109796A (ko) 유체 순환 펌프용 가스 분리구
KR20170108425A (ko) 마찰열을 이용한 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