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919A -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919A
KR20170046919A KR1020150147121A KR20150147121A KR20170046919A KR 20170046919 A KR20170046919 A KR 20170046919A KR 1020150147121 A KR1020150147121 A KR 1020150147121A KR 20150147121 A KR20150147121 A KR 20150147121A KR 20170046919 A KR20170046919 A KR 2017004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lock
master cylinder
pedal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4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919A/ko
Publication of KR2017004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86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driver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의 답력을 전달받아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 상기 마스터실린더에 연결되는 오일리저버; 페달의 변위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 상기 오일리저버의 오일을 상기 마스터실린더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압력생성부;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페달시뮬레이터가 일체로 연결되고, 오일의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되는 밸브블록; 및 상기 압력생성부의 모터와 상기 밸브블록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밸브블록과 상기 압력생성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ECU);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밸브블록을 중심으로 마스터실린더와 페달시뮬레이터가 밸브블록에 일체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전자제어유닛에는 압력생성부의 모터와 밸브블록이 직접 일체로 결합되어 통합 구성됨으로써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부품간의 연결 공간이 절약되어 브레이크 장치의 사이즈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INTEGRATED ELECTRIC BRAKE}
본 발명은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를 일체로 통합 구성함으로써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부품간의 연결 공간이 절약되어 브레이크 장치의 사이즈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저감을 위하여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에는 필수적으로 제동장치 즉,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달리고 있는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통상적인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는 엔진의 흡입압을 사용해서 제동력을 발생하는 진공 브레이크와, 유압을 사용해서 제동력을 발생하는 유압 브레이크가 있다.
진공 브레이크는 진공 부스터에서 차량 엔진의 흡입압과 대기압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페달에 가해진 힘보다 훨씬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브레이크는 진공 형성을 위해서 진공 부스터에 차량 엔진의 흡입압이 공급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연비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량의 정차 시에도 진공 형성을 위해서 엔진을 상시 구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 전지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경우 엔진이 없기 때문에 제동시 운전자의 페달 답력을 증폭시켜주는 기존의 진공 브레이크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연비 향상을 위하여 정차 시 공회전 정지 기능을 구현하여야 하므로 유압 브레이크의 도입이 필요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든 차량에서 연비 향상을 위해 회생 제동 구현이 필요한 바, 유압 브레이크의 도입시 그 기능의 구현이 용이하다.
한편, 유압 브레이크의 한 종류인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Electro-hydraulic brake system)은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전자제어유닛이 이를 감지하고 유압을 마스터 실린더에 공급함으로써, 각 바퀴의 휠 실린더(미도시)에 제동유압을 전달하여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시스템의 제동장치는 제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제동시 차량의 안전성 확보, 연비 효율의 향상, 적절한 페달감 등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진보된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 필요에 의하여 그 구성이 단순하고, 차량 내의 장착성 및 레이아웃 설계에 우수함은 물론 다이나믹한 제동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동식 브레이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브레이크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8793호(2013. 08. 08.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전동 배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전동 모터를 제어하고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추진하는 전동 배력 장치로서, 상기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피스톤의 추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상기 마스터 실린더가 결합되는 결합면 및 타단측에 상기 차량에 대한 부착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평판형의 제어 기판을 가지며,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부착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과,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 대한 상기 결합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하우징의 차체의 대시패널에 대한 부착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과, 마스터 실린더의 결합면 사이에 제어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전동 배력 장치의 무게 중심 위치를 부착면에 근접하게 할 수 있고, 부착면에서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는 전동 배력 장치에 대하여, 차량의 진동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 하중이 작아지기 때문에, 소음, 진동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전동 모터를 비롯한 모든 구성품들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엔진룸 상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의하여 효율적인 레이아웃 설계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전동 모터가 엔진룸 상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 시, 전동 모터의 회전축이 운전자 측으로 밀려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에 치명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8793호(2013. 08. 0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밸브블록을 중심으로 마스터실린더와 페달시뮬레이터가 밸브블록에 일체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전자제어유닛에는 압력생성부의 모터와 밸브블록이 직접 일체로 결합되어 통합 구성됨으로써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부품간의 연결 공간이 절약되어 브레이크 장치의 사이즈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이 브레이크 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함으로써 별도의 방열구 도입 없이도 방열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의 커넥터가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수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여타부품과 간섭 가능성이 적고, 특히 상대품 커넥터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블록의 포트부가 밸브블록 측면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오일 공급을 위한 배관 연결을 편리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과 페달 입력축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엔진룸 상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동시에 사고 발생 시,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는 페달의 답력을 전달받아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 상기 마스터실린더에 연결되는 오일리저버; 페달의 변위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 상기 오일리저버의 오일을 상기 마스터실린더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압력생성부;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페달시뮬레이터가 일체로 연결되고, 오일의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되는 밸브블록; 및 상기 압력생성부의 모터와 상기 밸브블록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밸브블록과 상기 압력생성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ECU);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밸브블록 상부에 연결되어 브레이크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일측에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는 하방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블록은 제동압력을 휠(wheel)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연결되는 포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밸브블록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력생성부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하부에 직접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스터실린더에는 페달 입력축이 연결되고, 상기 압력생성부와 상기 페달 입력축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는 밸브블록을 중심으로 마스터실린더와 페달시뮬레이터가 밸브블록에 일체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전자제어유닛에는 압력생성부의 모터와 밸브블록이 직접 일체로 결합되어 통합 구성됨으로써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부품간의 연결 공간이 절약되어 브레이크 장치의 사이즈 및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이 브레이크 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함으로써 별도의 방열구 도입 없이도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의 커넥터가 하방으로 배치됨으로써 수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여타부품과 간섭 가능성이 적고, 특히 상대품 커넥터의 체결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블록의 포트부가 밸브블록 측면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오일 공급을 위한 배관 연결작업이 편리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고, 모터의 회전축과 페달 입력축이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엔진룸 상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근 차량 설계 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엔진룸에 관한 레이아웃 설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 시, 모터의 회전축이 운전자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시 모터의 회전축에 의한 위험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측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는
마스터실린더(10)와 페달시뮬레이터(30)와, 이들이 일체로 연결되는 밸브블록(50)과, 밸브블록(50)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압력생성부(40)가 직접 일체로 장착되는 전자제어유닛(60)(Electric Control Unit, ECU)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실린더(10)는
두 개의 유압회로를 구성하도록 내부에 2개의 피스톤이 구비되어 브레이크 페달에 답력이 가해지는 경우 페달 입력축(70)을 통해 답력이 전달되고, 이에 의한 압력으로 유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 페달 입력축(70)은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이 마스터실린더(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스터실린더(10)의 피스톤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마스터실린더(10) 내의 후방측 피스톤과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실린더(10)는 밸브블록(50)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리저버(20)는
밸브블록(50) 하부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마스터실린더(10)로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오일이 저장되고, 이 오일리저버(20)는 밸브블록(50) 하부 일측에 결합된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30)는
내부에 반력 피스톤과 반력 스프링이 구비된 챔버로 구성되어 브레이크 페달에 답력 인가 시, 발생되는 압력이 반력 피스톤을 이동시켜 반력 스프링을 탄성 압축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답력이 해제될 경우 반력 스프링에 의하여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반력을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적절한 페달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페달시뮬레이터(30)는 밸브블록(50)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마스터실린더(10) 일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생성부(40)는
오일리저버(20)로부터 오일을 흡입하여 마스터실린더(10)로 토출시켜 제동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압력생성부(40)은 펌프(41)와, 이 펌프(41)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43)가 구비되어 어큐뮬레이터에 압력을 형성하여 오일리저버(20)로부터 오일을 흡입한 후, 어큐뮬레이터로 토출시키고,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고압의 오일을 마스터실린더(10)로 토출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압력생성부(40)의 펌프(41)는 모터(43)의 하부에 연결되고, 압력생성부(40)의 모터(43)는 전자제어유닛(60)의 하부에 직접 일체로 장착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60)에 구비된 피씨비(PCB)에 모터를 위한 전원단자가 구비되어 압력생성부의 모터(43)가 직접 결합되고, 모터의 회전센서 역시 전자제어유닛(60)의 피씨비 직접 구성함으로써 압력생성부의 모터(43)와 전자제어유닛(60) 간의 일체 결합 시,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조비용과 품질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압력생성부의 모터(43) 하부에 펌프(41)가 연결되어 동축 상으로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압력생성부(40)의 형성길이가 일정 이상의 길이로 길어지기 때문에 압력생성부(40)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키는 경우 압력생성부(40)의 형성길이에 의하여 엔진룸 상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전체의 패키징(packaging)이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압력생성부(4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키고, 동시에 차량의 주행방향과 나란히 배치시키게 되면 모터, 특히 모터(43)의 회전축이 운전자 쪽을 향하고 있어 차량의 충돌 사고 시, 모터(43)의 회전축이 운전자 쪽으로 밀리는 경우 운전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생성부(40), 보다 자세하게는 모터(43)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패키징에 유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압력생성부(40)의 모터(43)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면 모터(43)의 회전축은 페달 입력축(7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엔진룸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전체의 패키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엔진룸의 전체적인 레이아웃 설계에 유리하게 된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블록(50)은
마스터실린더(10)와 페달시뮬레이터(30) 간의 오일 유동을 개폐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밸브블록(50) 내부에는 마스터실린더(10), 오일리저버(20), 페달시뮬레이터(30)가 각각 연결되는 유로가 구비되어 있고, 이 유로상에 다수의 밸브가 구비되어 마스터실린더(10), 오일리저버(20) 및 페달시뮬레이터(30)로 이동하는 오일 유동을 개폐하게 된다.
이때 밸브는 밸브블록(50)에 다수 압입되어 장착되고, 전자제어유닛(60)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오일의 유동을 단속하게 된다.
다만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밸브가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밸브블록(5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마스터실린더(10), 페달시뮬레이터(30) 및 압력생성부(4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체형 연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블록(50)에 의하여 일체로 통합된 브레이크 장치는 배치구조가 컴팩트화 및 모듈화를 통하여 차량에 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간의 연결공간이 절약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의 다운사이징과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밸브블록(50) 측면부에는 다수의 포트부(51)가 형성되고, 이 포트부(51)에는 각 휠(wheel)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들이 연결되어 브레이크 유압 라인을 구성하게 된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60)은
어큐뮬레이터, 마스터실린더(10) 및 페달시뮬레이터(30) 내부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들과 페달변위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압력생성부의 모터(43)와 밸브블록(50)의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유닛(60)은 밸브블록(50)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브레이크 장치의 최상단에 배치되고, 이에 의하여 별도의 방열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전자제어유닛(60)이 공기 중으로 노출됨으로써 방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제어유닛(60)과 밸브블록(50)간의 결합은 볼트나 핀 등으로 체결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구에 의한 체결 결합 또한 가능하다.
또한 전자제어유닛(60)에는 하부에 압력생성부(40)가 직접 결합되어 일체로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압력생성부(40)는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압력생성부의 모터(43)에 구비된 회전축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특히 전자제어유닛(6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61)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커넥터(61)는 전자제어유닛(60)의 측면부에 배치되어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자제어유닛(60)의 커넥터(61)가 하방을 향한다는 것은 상대품 커넥터가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들이 노출되는 개구부가 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게 되고, 이는 커넥터(61) 내부로 수분이나, 습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차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커넥터(61)의 배치구조를 취하는 경우 밀폐구를 도입하지 않아도 수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기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커넥터(61)가 전자제어유닛(60)의 측면부에 형성된다는 것을 커넥터(61)가 브레이크 장치의 상부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고, 이는 여타 부품과 간섭 가능성이 적어 상대품 커넥터의 체결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60)의 커넥터(61)와 밸브블록(50)의 포트부(5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에 의하여 상대품 커넥터나, 배관들의 연결 시, 서로 간의 간섭 가능성을 없애 상대품 커넥터와 배관들의 체결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제어유닛(60)의 커넥터(61)와 밸브블록(50)의 포트부(51)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대품의 결합 시,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면 동일 방향으로 제외한 방향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브레이크 장치의 각 구성요소간의 배치구조를 고려할 때, 밸브블록(50)의 포트부(51)에 인접한 측면부에는 각각 오일리저버(20)가 배치되고, 페달 입력축(70)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커넥터(61)와 포트부(5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여타 부품과의 간섭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배치구조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마스터실린더
20 : 오일리저버
30 : 페달시뮬레이터
40 : 압력생성부
41 : 펌프 43 : 모터
50 : 밸브블록
51 : 포트부
60 : 전자제어유닛
61 : 커넥터
70 : 페달 입력축

Claims (6)

  1. 페달의 답력을 전달받아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실린더(10);
    상기 마스터실린더(10)에 연결되는 오일리저버(20);
    페달의 변위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30);
    상기 오일리저버(20)의 오일을 상기 마스터실린더(1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41)와, 상기 펌프(41)와 연결되는 모터(43)를 포함하는 압력생성부(40);
    상기 마스터실린더(10)와 상기 페달시뮬레이터(30)가 일체로 연결되고, 오일의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되는 밸브블록(50); 및
    상기 압력생성부의 모터(43)와 상기 밸브블록(50)의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밸브블록(50)과 상기 압력생성부(40)가 일체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60)(ECU);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60)은 상기 밸브블록(50) 상부에 연결되어 브레이크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60)의 일측에는 커넥터(6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61)는 하방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50)은 제동압력을 휠(wheel)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연결되는 포트부(51)가 구비되고,
    상기 포트부(51)는 상기 밸브블록(50) 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61)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생성부(4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60)의 하부에 직접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실린더(10)에는 페달 입력축(70)이 연결되고,
    상기 압력생성부(40)와 상기 페달 입력축(70)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KR1020150147121A 2015-10-22 2015-10-22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KR20170046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21A KR20170046919A (ko) 2015-10-22 2015-10-22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21A KR20170046919A (ko) 2015-10-22 2015-10-22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19A true KR20170046919A (ko) 2017-05-04

Family

ID=5874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21A KR20170046919A (ko) 2015-10-22 2015-10-22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9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772B1 (ko) * 2020-03-02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장 냉각계 부품 체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772B1 (ko) * 2020-03-02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장 냉각계 부품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9155A1 (en) Brake unit
US10239508B2 (en) Break apparatus having detachable pump housing
EP2641788B1 (en) Vehicle brake system
WO2012067004A1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5076133A1 (ja) ブレーキ装置
US10000193B2 (en) Integrated dynamic brake apparatus
KR102430243B1 (ko) 차량의 유압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유압 블록
KR20160080899A (ko) 전동식 일체형 브레이크 장치
CN108349463B (zh) 液压控制装置以及制动系统
WO2015016302A1 (ja) ブレーキ装置
US8812210B2 (en) Vehicle brake system
EP2762371A1 (en) Electric brake device
US9290170B2 (en) Vehicle-body attachment structure for electric brake actuator
US10442417B2 (en) Hydraulic pressure generation apparatus
JP2015020448A (ja) 液圧発生装置
WO2012067134A1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の入力装置
JP2017178106A (ja) 液圧発生装置
KR102007155B1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US9115727B2 (en) Master cylinder apparatus
JP5200092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入力装置
KR20170046919A (ko) 통합형 전동식 브레이크
KR102510709B1 (ko) 모터의 전원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통합 브레이크 장치
WO2013147248A1 (ja) ハウジング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5646965B2 (ja) 車両用構造物搭載室の配置構造
JP5364076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の入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