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466A -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466A
KR20170046466A KR1020150146848A KR20150146848A KR20170046466A KR 20170046466 A KR20170046466 A KR 20170046466A KR 1020150146848 A KR1020150146848 A KR 1020150146848A KR 20150146848 A KR20150146848 A KR 20150146848A KR 20170046466 A KR20170046466 A KR 2017004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opening
outlets
hous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469B1 (ko
Inventor
요하네스
유수형
양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469B1/ko
Priority to US15/298,448 priority patent/US10258220B2/en
Priority to PCT/KR2016/011883 priority patent/WO2017069552A1/en
Priority to EP16857810.2A priority patent/EP3294105B1/en
Priority to CN201680061394.9A priority patent/CN108135434B/zh
Publication of KR2017004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들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섬프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핑 모터 및 복수의 아웃렛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와 펌핑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아웃렛들을 통하여 복수의 분사 노즐들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분배기는 복수의 아웃렛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와 펌핑 모터의 모터 축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는 분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DISH WASHER WITH DISTRIBUTOR}
본 개시는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섬프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는 회전하는 분사 노즐을 갖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회전 노즐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회전 분사 노즐은 회전 반경 내의 범위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위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고정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을 구비하여, 반사판의 이동에 따라 세척조의 전체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조의 일부 영역만 분할 세척하기 위하여, 분사 노즐들 각각에 대하여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식기 세척기에는 분배기가 구비될 수 있다. 분배기는, 예를 들어, 펌프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기가 펌프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분배기는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인렛과,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아웃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기의 하우징에는 복수의 아웃렛들을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개폐 부재들이 마련되고, 분배기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복수의 개폐 부재들이 선택적으로 복수의 아웃렛들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분사 노즐들 각각에 세척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세척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세척수의 분배기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식기 세척기의 물 순환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것이다. 즉, 더 적은 에너지와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물 순환 시스템에 공급되는 물 양 및, 물 순환 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압력 손실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본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들,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핑 모터 및 복수의 아웃렛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들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 및 상기 펌핑 모터의 모터 축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는 분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상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40도 내지 50도 중 일 각도만큼 아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펌핑 모터의 축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의 방향은, 상기 펌프의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펌핑 모터의 축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의 방향은, 상기 펌핑 모터의 축 방향과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개폐 부재들 중 제1 개폐 부재는 상기 모터 축의 일단에 마련되고, 제2 개폐 부재는 상기 모터 축의 양단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산 및 적어도 하나의 골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일 아웃렛이 폐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골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다른 일 아웃렛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계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의 홀에 밀착되어 상기 세척수의 누수를 차단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산과 적어도 하나의 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은 세척수를 유도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제1 날 및 제2 날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날 또는 상기 제2 날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계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날 또는 상기 제2 날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에 홀에 밀착하도록 지지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세척수의 유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는, 상기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된 캠 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 접촉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는 회전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 및 오프 시키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 및 오프의 시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들을 지정하고,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회전 위치들 중에 필요한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제1 아웃렛 및 상기 길이 방향에서 40도 내지 50도 중 일 각도만큼 아래 방향을 향하는 제2 아웃렛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하우징의 상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아웃렛 및 제2 아웃렛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펌프 및 분배기는,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핑 모터 및 복수의 아웃렛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 및 상기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들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 및 상기 펌핑 모터의 축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는 분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복수의 아웃렛들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개폐 부재가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됨에 따라 펌프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웃렛들 및 개폐 부재가 펌프의 하우징의 상단에 위치함에 따라, 펌프 하우징이 전체적인 외관이 나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실린더 모양의 펌프 하우징과 비교하여 펌프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웃렛들 및 개폐 부재가 펌프의 하우징의 상단에 위치함에 따라, 공기가 펌프로부터 잘 배출되어 펌프의 공기 트랙 문제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의 기구적인 특징에 따라 개폐 부재가 아웃렛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목적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분배기의 지름이 작게 구현되어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가 감소되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 및 분배기 부속품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분배기는 분배기의 축을 기준으로 펌프의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프의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세척기에 놓여진 식기들이 더 깨끗이 닦이고, 식기 세척기를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6은 식기 세척기의 펌프를 도시한 도면들,
도 7 내지 도 10은 식기 세척기의 펌프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 11은 식기 세척기의 분배기의 사시도,
도 12는 식기 세척기의 제1 개폐 부재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식기 세척기의 제2 개폐 부재의 도면들,
도 15 및 도 16은 식기 세척기의 펌프의 단면도,
도 17 내지 도 19은 분배 모드에 따른 개폐 부재들의 도면들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들(311,313,330,34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노즐들(311,313,330,340)에 공급하는 펌프(2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420)를 포함한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바닥판(35)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30,34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30,34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31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31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 노즐들(330,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노즐(31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31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회전 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된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 노즐들(330,340)의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4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인(400)은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 노즐들(330,340)과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 노즐들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고정 노즐들(330,340)은 세척조(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고정 노즐(330)과, 세척조(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고정 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후에 상술하겠으나, 회전 노즐들(311,313)과, 고정 노즐들(330,340)은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고정 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에만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반드시 좌측과 우측으로만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는 상부 및 중간 노즐에는 로터리 방식의 분사 구조가 적용되고, 하부 노즐에는 리니어 방식의 분사 구조가 적용되고 있으나, 분사 구조가 로터리 방식인지 리니어 방식인지 여부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며, 분사 구조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주요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차례로 상술한다.
도 3은 식기 세척기(1)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유로 구조, 고정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 및 세척수 분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는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가질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로 유동되고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펌프(200)가 가동되어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펌프(200)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기(250)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과,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로 분배될 수 있다. 펌프(200)의 펌핑력에 의해 분사 노즐들(311,313,330,34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회전 노즐(311)은 제1 호스(271a)를 통해 펌프(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제2 호스(271b)를 통해 분배기(25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은 제3 호스(271c)를 통해 분배기(25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우측 고정 노즐(340)은 제4 호스(271d)를 통해 펌프(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200)가 3 개의 분배 모드를 가지는 것으로 주로 설명되나, 상기 모드의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펌프(200)의 모터 축 회전 각도 또는 회전 횟수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 1 모드에서, 펌프(200)는 제2 호스(271b) 및 제4 호스(271d)를 통해 중간 회전 노즐(313) 및 우측 고정 노즐(330)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펌프(200)는 제2 호스(271b) 및 제3 호스(271c)를 통해 중간 회전 노즐(331) 및 좌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펌프(200)는 제1 호스(271a)를 통해 상부 회전 노즐(311)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펌프(200)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펌프(200)는 가동 및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10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사 노즐들(311,313,330,34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 펌프(200)가 가동하여 섬프(10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펌프(200)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펌프(2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펌프(200)의 후면도이고, 도 6은 펌프(200)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펌프(200)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펌핑 모터(210), 펌핑 모터(21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축(211)과, 모터 축(21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임펠러(212) 및 펌핑된 세척수를 분사 노즐들로 배출하는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을 갖는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펌프(200)의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은 x축 방향(x)으로 정의하고, 펌프(200)의 폭 방향은 y축 방향(y)으로 정의한다. 또한, x축 방향(x) 및 y축 방향(y)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z축 방향(z)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220)의 상하 방향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하기로 한다.
하우징(220)에는 세척수가 하우징(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인렛(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221)은 폭 방향인 y축 방향(y)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펌핑 모터(210)는 전기력을 기계적 회전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펌핑 모터(210)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회전하는 로터로 구성될 수 있다.임펠러(212)는 세척수가 인렛(221)을 통해 하우징(2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세척수가 아웃렛들(222a,222b,222c,222d)을 통해 하우징(22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임펠러(212)는 축 방향으로 세척수를 유입시켜서 반경 방향으로 세척수를 유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은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인 x축 방향(x)으로 개방된 제1 아웃렛(222a), x축 방향에서 40도 내지 50도 중 일정 각도만큼 아래 방향으로 개방된 제2 아웃렛(222b), 하우징(220)의 상 방향인 z축 방향(z)으로 개방된 제3 아웃렛(222c) 및 제4 아웃렛(2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3 아웃렛(222c)과 제4 아웃렛(222d)은 소캣(22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캣(223)은 제3 아웃렛(222c)과 제4 아웃렛(222d)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아웃렛(222c)과 제4아웃렛(222d)은 중간벽(224)에 의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제3아웃렛(222c)과 제4아웃렛(222d)은 폭 방향인 y축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 각각은 복수의 호스들(271a,271b,271c,271d)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핑 모터(210)의 동작에 의하여 펌핑된 세척수는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 및 복수의 호스들(271a,271b,271c,271d)을 통하여 복수의 분사 노즐들(311,313,330,340)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펌프(200)의 단면도들이다.
도 7은 펌프(200)를 x축 방향(x)을 따라 종으로 절개한 사시 단면도이며, 도 8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펌프(200)를 x축 방향(x)을 따라 종으로 절개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펌프(200)를 x축 방향(x)을 따라 횡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펌프(200)를 x축 방향을 따라 횡으로 절개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7내지 도 10에서, 분배기(250)는 펌프(200)의 하우징(220)의 x 방향을 기준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우징(20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분배기(250)는 펌프(200)의 하우징(2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분배기(250)는 개폐 부재들(255,256), 개폐 부재들(255,256)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배 모터(251) 및 분배 모터(251)에 발생되는 회전력을 개폐 부재들(255,256)로 전달하는 모터 축(25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축(252)은 펌핑 모터(210)의 모터 축(211)이 향하는 방향인 y 방향(y)과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즉, 분배기(250)의 모터 축(252)과, 펌핑 모터(210)의 모터 축(211)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모터 축(252)이 향하는 방향은 펌핑 모터(210)의 모터 축(211)이 향하는 방향과 수직 또는 거의 수직 방향일 수 있다. 거의 수직 방향은, 예로, 60도 내지 120도 중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모터 축(252)이 향하는 방향은 펌프(200)의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x)과 동일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즉, 모터 축(252)이 향하는 방향은 x 방향(x)일 수 있다
개폐 부재들(255,256)은 펌프(200)의 하우징(2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 부재들(255,256)은 모터 축(252)의 회전과 함께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모터 축(2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부재들(255,256)은 모터 축(252)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분배 모터(251)의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개폐 부재들(255,256)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기(250)는 펌핑 모터(210)를 통하여 펌핑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 노즐들(311,313,330,340)로 분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 축(252)의 지름이 작아질수록,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이 펌핑 모터(210)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20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최대한 유지되며 아웃렛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펌프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모터 축(252)의 지름이 커질수록,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이 펌핑 모터(210)의 중심에서 더 멀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분배기(250)의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분배기(250)는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배 모터(251) 및 분배 모터(251)에 발생되는 회전력을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로 전달하는 모터 축(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은 모터 축(252)에 결합되어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 중 제1 개폐 부재(255)는 모터 축(252)의 일단에 마련되고, 제2 개폐 부재(256)는 모터 축(252)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개폐 부재(256)는 모터 축(252)의 양단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개폐 부재(256)는 모터 축(252)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기(250)는 개폐 부재(2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모터 축(252)에 결합되는 캠 부재(253) 및 캠 부재(253)에 접촉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54)를 포함할 수 있다. 캠 부재(253)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54)의 접촉 단자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캠 부재(253)는 마이크로 스위치(254)를 온 및 오프 시키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253a) 및 반경 방향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53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254)는 마이크로 스위치(254)의 접촉 단자가 캠 부재(253)의 볼록부(253a)에 접촉할 때 온되고, 캠 부재(253)의 오목부(253b)에 접촉할 때 오프 되도록 마련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배 모터(251)가 구동하면, 마이크로 스위치(254)는 번갈아 온 및 오프가 될 수 있다.
한편, 분배기(250)는 마이크로 스위치(254)의 온 및 오프의 시간에 따라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의 회전 위치들을 지정하고, 복수의 개폐 부재들(255,256)를 지정된 회전 위치들 중에 필요한 특정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모터(230)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제1 개폐 부재(255)의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제1 개폐 부재(255)는 적어도 하나의 산(255a) 및 적어도 하나의 골(2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산(255a)과 적어도 하나의 골(255b)은 모터 축(252)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제1 개폐 부재(255)는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들을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축(252)이 x축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개폐 부재(255)의 적어도 하나의 산(255a)에 의하여 제1아웃렛(222a)이 폐쇄되고, 제1 개폐 부재(255)의 적어도 하나의 골(255b)에 의하여 제2아웃렛(222b)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축(252)이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2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개폐 부재(255)의 적어도 하나의 골(255b)에 의하여 제1아웃렛(222a)이 개방되고, 제1 개폐 부재(255)의 적어도 하나의 산(255a)에 의하여 제2아웃렛(222b)이 폐쇄될 수 있다.
제1 개폐 부재(255)는 전면에 복수의 산(255a)들의 단면에 따라 형성된 캡(255-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에 위치한 캡(255-1)은 제1 개폐 부재(255)가 제1아웃렛(222a)을 폐쇄하는 경우, 제1아웃렛(222a)에 밀착되어 세척수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개폐 부재(255)의 산(255a)은 가이드 면(255-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부재(255)는 산(255a)의 변이 함몰된 가이드 면(255-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255-2)은 세척수를 아웃렛(222a)으로 유도하여 펌프(200) 내의 세척수의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개폐 부재(256)의 도면들이다.
도 13는 개폐 부재(256)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개폐 부재(256)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제2 개폐 부재(256)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 날(256a) 및 곡면을 형성하는 제2 날(256b)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제2 개폐 부재(256)는 복수의 아웃렛들(222c,222d)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축(252)이 x축 방향(x)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개폐 부재(256)의 제1 날(256a)에 의하여 제3 아웃렛(222c)이 폐쇄되고, 제4아웃렛(222d)의 홀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축(252)이 x축 방향(x)을 기준으로 제2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개폐 부재(256)의 제2 날(256b)에 의하여 제4아웃렛(222d)의 홀이 폐쇄되고, 제3 아웃렛(222c)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모터 축(252)이 x축 방향(x)을 기준으로 제3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개폐 부재(256)의 제1 날(256a)에 의하여 제3 아웃렛(222c)이 폐쇄되고, 제2 날(256b)에 의하여 제4아웃렛(222d)의 홀이 폐쇄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256)의 제1 날(256a) 및 제2 날(256b)의 사이에는 레버(256-1)가 위치할 수 있다. 레버(256-1)는 제1 날(256a) 또는 제2 날(256b)이 제3 아웃렛(222c)의 홀 또는 아웃렛(222d)의 홀에 밀착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256-1)는 u축 방향(u)을 기준으로 유연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폐 부재(256)에 의하여 제3 아웃렛(222c)은 개방되고, 제4 아웃렛(222d)이 폐쇄되는 경우, 폐쇄된 제4 아웃렛(222d)이 위치한 방향(v)으로 세척수가 흘러서 제2 개폐 부재(256)의 제2 날(256b)의 곡면에 수압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날(256a)이 안쪽 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레버(256-1)의 일단(256-1a)이 압력이 가해지고, 이에 레버(256-1)의 일단(256-1a) 및 레버(256-1)의 타단(256-1b)이 u축(u)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레버(256-1)의 타단(256-1b)은 제2 개폐 부재(256)의 제1 날(256a)이 바깥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256a)은 제4 아웃렛(222d)의 홀에 밀착하여, 제4 아웃렛(222d)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펌프(200)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펌프(200)를 y축 방향(y)을 따라 종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펌프(200)를 y축 방향(y)을 따라 종으로 절개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펌프(200)의 하우징(220)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격벽(26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의 격벽(261)을 따라서 하우징(220)의 내주면에는 세척수가 흐르는 나선형 또는 방사형의 유로(262a)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펌핑 모터(210)가 하우징(220)과 결합됨에 따라, 펌핑 모터(210)와 하우징(220) 사이의 내주면에 세척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262b)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나선형의 격벽(261)은 펌프(200)의 하우징(220)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나선형의 격벽(261)은 하우징(220)의 일부가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세척수는 유로들(262a,262b)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가속되어 복수의 아웃렛들(222a,222b,222c,222d)을 통하여 노즐로 배출될 수 있다.
분배기(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의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은 분배기(250)의 3개의 분배 모드 각각에 따른 개폐 부재들(255,256)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분배기(250)가 제1 모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제1 모드에서,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제1 개폐 부재(255)의 산(255a)은 제1 아웃렛(222a)을 폐쇄하고, 제2 개폐 부재(256)의 제2 날(256b)은 제3 아웃렛(222c)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200)는 제2 아웃렛(222b)에 연결된 제2 호스(271b) 및 제4 아웃렛(222d)에 연결된 제4 호스(271d)를 통해 중간 회전 노즐(313) 및 우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8은 분배기(250)가 제2 모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제2 모드에서,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제1 개폐 부재(255)의 산(255a)은 제1 아웃렛(222a)을 폐쇄하고, 제2 개폐 부재(256)의 제1 날(256a)은 제4 아웃렛(222d)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200)는 제2 아웃렛(222b)에 연결된 제2 호스(271b) 및 제3 아웃렛(222c)에 연결된 제3 호스(271c)를 통해 중간 회전 노즐(313) 및 좌측 고정 노즐(330)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9는 분배기(250)가 제3 모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제3 모드에서, 모터 축(252)의 회전에 따라, 제1 개폐 부재(255)의 산(255a)은 제2 아웃렛(222b)을 폐쇄하고, 제2 개폐 부재(256)의 제1 날(256a)은 제3 아웃렛(222c)을 폐쇄하고, 제2 개폐 부재(256)의 제2 날(256b)은 제4 아웃렛(222d)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200)는 제1 아웃렛(222a)에 연결된 제1 호스(271a)를 통해 상부 회전 노즐(311)로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식기 세척기 10 : 본체
11 : 도어 12a,12b : 바스켓
30 : 세척조 31 : 상부벽
32 : 후벽 33 : 좌측벽
34 : 우측벽 35 : 바닥판
52 : 배수 펌프 100 : 섬프
200 : 순환 펌프 또는 펌프 210: 펌핑 모터
222a,222b,222c,222d: 제1,2,3,4 아웃렛
223: 소켓
250: 분배기 251: 분배 모터
252: 모터축 253: 캠부재
254: 마이크로 스위치 255,256: 제1,2 개폐 부재
300 : 노즐 어셈블리 311 : 상부 회전 노즐
312 : 분사홀 313 : 중간 회전 노즐
314 : 분사홀 330 : 우측 고정 노즐
340: 좌측 고정 노츨

Claims (20)

  1. 본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들;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핑 모터 및 복수의 아웃렛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들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 및
    상기 펌핑 모터의 모터 축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는 분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상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40도 내지 50도 중 일 각도만큼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모터의 축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의 방향은,
    상기 펌프의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모터의 축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의 방향은,
    상기 펌핑 모터의 축 방향과 수직 또는 거의 수직인 방향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개폐 부재들 중 제1 개폐 부재는 상기 모터 축의 일단에 마련되고, 제2 개폐 부재는 상기 모터 축의 양단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산 및 적어도 하나의 골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일 아웃렛이 폐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골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다른 일 아웃렛이 개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계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의 홀에 밀착되어 상기 세척수의 누수를 차단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산과 적어도 하나의 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은 세척수를 유도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제1 날 및 제2 날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날 또는 상기 제2 날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폐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계폐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1 날 및 상기 제2 날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날 또는 상기 제2 날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에 홀에 밀착하도록 지지하는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세척수의 유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개폐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된 캠 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캠 부재에 접촉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회전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 및 오프 시키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 및 오프의 시간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들을 지정하고,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회전 위치들 중에 필요한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된 제1 아웃렛 및 상기 길이 방향에서 40도 내지 50도 중 일 각도만큼 아래 방향을 향하는 제2 아웃렛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 중 하우징의 상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아웃렛 및 제2 아웃렛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0.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핑 모터 및 복수의 아웃렛들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프; 및
    상기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들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아웃렛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펌프의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 및
    상기 펌핑 모터의 축이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모터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는 분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및 분배기.
KR1020150146848A 2015-10-21 2015-10-21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KR10238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48A KR102384469B1 (ko) 2015-10-21 2015-10-21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US15/298,448 US10258220B2 (en) 2015-10-21 2016-10-20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distributor
PCT/KR2016/011883 WO2017069552A1 (en) 2015-10-21 2016-10-21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distributor
EP16857810.2A EP3294105B1 (en) 2015-10-21 2016-10-21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distributor
CN201680061394.9A CN108135434B (zh) 2015-10-21 2016-10-21 包括分配器的洗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48A KR102384469B1 (ko) 2015-10-21 2015-10-21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66A true KR20170046466A (ko) 2017-05-02
KR102384469B1 KR102384469B1 (ko) 2022-04-08

Family

ID=5855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48A KR102384469B1 (ko) 2015-10-21 2015-10-21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58220B2 (ko)
EP (1) EP3294105B1 (ko)
KR (1) KR102384469B1 (ko)
CN (1) CN108135434B (ko)
WO (1) WO20170695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255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0122629A1 (en) * 2018-12-12 2020-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4558B (zh) * 2017-08-10 2023-09-15 贵州六合门业有限公司 一种立体式转盘碗柜
WO2020065510A1 (en) * 2018-09-26 2020-04-02 Elettrotecnica Rold S.R.L. Diverter device for managing flows of liquid, in particular in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dishwashers or the like
WO2020125995A1 (en) * 2018-12-20 2020-06-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Flow controller for dishwasher
USD937506S1 (en) * 2019-10-04 2021-11-30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assembly
USD956372S1 (en) * 2019-11-2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rm for a dish treating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9553A1 (en) 2007-10-22 2009-06-04 Nung Seo Park Dishwasher
KR20150079382A (ko)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5817A (en) * 1944-03-25 1947-02-25 Richard Lutz Gol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CH571852A5 (en) 1974-07-24 1976-01-30 Bolla Lino Dishwasher for the catering trade - directs pulsating jet of hot water and washing liquid over dishes
FR2669944B1 (fr) * 1990-11-30 1994-02-04 Procter & Gamble Dispositif pour le lavage du linge en machine et son mode de mise en óoeuvre.
IT1311444B1 (it) 1999-11-16 2002-03-12 Eltek Spa Dispositivo di intercettazione del flusso di un fluido, in particolare per macchine di lavaggio di uso domestico.
DE10133130A1 (de) 2001-07-07 2003-01-16 Miele & Cie Umwälzpumpe mit/ohne Heizungseinrichtung
DE60127123T2 (de) * 2001-09-14 2007-07-05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Programmgesteuerte Wasch- oder Geschirrspülmaschine mit Wasserverteilungsvorrichtung
KR100457589B1 (ko)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101507803B1 (ko) * 2008-08-2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526987B1 (ko) * 2008-08-21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080671B (zh) * 2009-11-27 2015-05-13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离心泵
US9451862B2 (en) 2012-06-01 2016-09-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unitary wash module
KR102040795B1 (ko) 2013-12-04 201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9553A1 (en) 2007-10-22 2009-06-04 Nung Seo Park Dishwasher
KR20150079382A (ko)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255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0122629A1 (en) * 2018-12-12 2020-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er
KR20200072297A (ko) * 2018-12-12 202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324381B2 (en) 2018-12-12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4105A1 (en) 2018-03-21
CN108135434A (zh) 2018-06-08
KR102384469B1 (ko) 2022-04-08
WO2017069552A1 (en) 2017-04-27
US10258220B2 (en) 2019-04-16
EP3294105A4 (en) 2018-04-25
CN108135434B (zh) 2021-06-29
EP3294105B1 (en) 2020-08-26
US20170112350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6466A (ko)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RU2660030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 посудомоечное распылительное коромысло
JP2011224232A (ja) 食器洗い機
EP1759622B1 (en) Dishwasher
KR101764293B1 (ko) 식기 세척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109640778B (zh) 洗碗机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EP2710946A2 (en) Dishwashing machine
JP2008073131A (ja) 食器洗い機
KR101507803B1 (ko) 식기 세척기
US20190093671A1 (en) Liquid heating pump for conveying and heating liquid in a water-bearing domestic appliance
KR102622707B1 (ko) 식기세척기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RU257858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вращающимся распылительным коромыслом
CN103620105A (zh) 滚筒式洗衣机
KR101769377B1 (ko) 식기세척기
JP2010264160A (ja) 食器洗い機
KR102488736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KR102641377B1 (ko) 식기세척기
JP2011224233A (ja) 食器洗い機
KR200144770Y1 (ko) 보조노즐을 갖는 식기세척기
KR100193705B1 (ko) 급, 배수겸용 펌프를 가지는 식기 세척기
JP2010148542A (ja) 食器洗い機
JP2011224234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