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465A -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465A
KR20170046465A KR1020150146847A KR20150146847A KR20170046465A KR 20170046465 A KR20170046465 A KR 20170046465A KR 1020150146847 A KR1020150146847 A KR 1020150146847A KR 20150146847 A KR20150146847 A KR 20150146847A KR 20170046465 A KR20170046465 A KR 2017004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unnel
specific section
illuminance
under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101B1 (ko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1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면, GPS 신호가 미수신되거나 또는 약하게 수신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부인지, 또는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외부인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NAVIGATION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간의 통화 및 메시지 전송과 같은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네비게이션 서비스 및 컨텐츠(예: 광고, TV, 라디오 등) 제공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길안내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말장치에 관련 애플리케이션만 설치된다면 출발지와 목적지 입력을 통해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즉, 이러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게 되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반으로 길안내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장치로 전달한다. 그러면, 단말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길안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대응하는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GPS 신호에 의존하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서 GPS 신호가 미수신되거나 또는 약하게 수신되는 경우, 차량 위치를 검출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되므로 실제의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즉,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서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므로 차량의 대략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여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내부도로에 위치하고 있는지, 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 등과 같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을 때의 차량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을 때의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확인하는 경로확인부; 및 상기 길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을 때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도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위치검출부는, 상기 차량이 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위치검출부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위치검출부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서 상기 제1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서 상기 제2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확인하는 경로확인단계; 및 상기 길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을 때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도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위치검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위치검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위치검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서 상기 제1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서 상기 제2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면, GPS 신호가 미수신되거나 또는 약하게 수신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부인지, 또는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외부인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도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을 판단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주변의 빛의 세기 및 빛의 패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illumination sensor)를 구비하며,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 중인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및 빛의 패턴 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측정하여 주변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길안내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길안내매체로서 동작하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수신되는 길안내정보가 단말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길안내정보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의도(예: 목적지 또는 출발지 설정)가 반영된 차량의 주행을 위해 제공되는 경로정보를 일컫는다.
참고로, 단말장치(100)에서는 위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이러한 현재 위치 확인은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GPS 신호에만 의존하지 않고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여기서, 특정구간은, 길안내정보에 포함되는 경로상에서 예를 들어 터널, 지하도로 등과 같이 GPS 신호의 수신이 어렵거나 미수신 되어 차량의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운 구간을 일컫는다.
참고로, 조도관련정보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주행 중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단말장치(100)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을 때의 차량의 정확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조도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조도신호는, 차량이 이동경로를 주행하는 전체 구간에서의 평균 조도값, 및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근에서 측정된 조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GPS 신호가 미수신 되는 지역인 경우에는 GPS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아도 되며, GPS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수신오차범위 내로 수신되어 정확성이 감소하더라도 정확한 차량의 위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차량의 주변의 조도신호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는,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산출하고,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부인지, 또는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외부인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네비게이션기능부(110) 및 데이터저장부(12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 그대로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키워드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수신(다운로드)되면 수신(다운로드)된 길안내정보를 토대로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것이다.
이처럼 길안내정보가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출력된 후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다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는 경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차량이 소정의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면, 센서부(130)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변화 및 빛의 패턴 변화 등을 센싱한 조도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진입예상거리범위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임의의 거리만큼 차량이 이격된(떨어진) 거리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행 중인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까지 도달하기 위해 남아있는 차량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사이의 거리가 5km이면, 진입예상거리범위는 5km일 수 있다.
만일,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에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주변의 조도신호를 수집하지 않는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고가도로, 건물, 나무, 구름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도가 낮아지는 일반 도로가 아닌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조도센서를 통해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및 빛의 패턴 등을 측정한 조도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빛의 패턴은 빛의 세기 변화에 따라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값이 강하게 센싱되어 강 패턴이 생성되다가 다시 약하게 센싱되어 약 패턴이 생성되는 과정이 소정의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 패턴화된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도로 상에 가로등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 일정하게 배치된 가로등에 의해 가로등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존재하는 영역(R1)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값은 강하게 센싱되어 강 패턴이 생성될 것이며, 방사된 빛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R2)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값은 약하게 센싱되어 약 패턴이 생성될 것이다. 이러한 강 패턴과 약 패턴에 의해 빛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된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와 함께, 빛의 세기 변화에 따란 빛의 패턴, 즉 조도신호를 확인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 주변의 조도신호는 소정의 시간 간격 또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거리범위에서 지정된 시간만큼 센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수신한 조도신호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한편,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경로상에서의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부터 GPS 신호가 수신된다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기본적으로 기 저장되는 또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이전에 기 제공(다운로드)받아 기 저장되는 데이터, 예컨대 도로, 골목, 강, 다리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배경이미지가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120)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 검색어의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다운로드)받은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로부터 전달된 신호정보를 수신하고, 필요 시 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의 일례로는, GPS 센서, 조도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는, GPS 센서로부터 GPS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센서부(130)는, GPS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가 데이터저장부(120)로부터 출력되도록 하고, 출력된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를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30)는, 조도센서로부터 조도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조도신호는, 시간 경과에 따른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변화 및 빛의 패턴 변화 등을 측정한 센싱값으로서, 차량이 이동경로를 주행하는 전체 구간에서의 평균 조도값,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근에서 측정된 조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조도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및 빛의 패턴을 측정한 조도신호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사용자단말(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인 네비게이션기능부(110) 및 데이터저장부(12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입출력장치(1330) 및 조도확인장치(13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장치(1310)는 예컨대,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장치(132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2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133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다양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321)에 대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위치확인장치(1310), 통신장치(1320) 및 조도확인장치(134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내부에 기본으로 탑재된 또는 별도 다운로드 과정을 거쳐 추가로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단말장치(1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목적지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목적지 검색어 입력화면을 디스플레이(1321)에 표시하는 한편,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통신장치(131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 접속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 기능 즉 목적지 검색어 입력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를, 통신장치(131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제공(입력)한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목적지 검색어 그대로를 통신장치(131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키워드를 통신장치(131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수신(다운로드)되면 수신(다운로드)된 길안내정보를 토대로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것이다.
이처럼 길안내정보가 네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출력된 후 차량이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다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는 경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차량이 소정의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면, 센서부(130)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변화 및 빛의 패턴 변화 등을 센싱한 조도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진입예상거리범위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임의의 거리만큼 차량이 이격된(떨어진) 거리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행 중인 차량의 현재위치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까지 도달하기 위해 남아있는 차량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사이의 거리가 5km이면, 진입예상거리범위는 5km일 수 있다.
만일,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경로상에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주변의 조도신호를 수집하지 않는다.
즉,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고가도로, 건물, 나무, 구름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도가 낮아지는 일반 도로가 아닌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조도센서를 통해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및 빛의 패턴 등을 측정한 조도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빛의 패턴은 빛의 세기 변화에 따라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값이 강하게 센싱되어 강 패턴이 생성되다가 다시 약하게 센싱되어 약 패턴이 생성되는 과정이 소정의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 패턴화된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도로 상에 가로등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 일정하게 배치된 가로등에 의해 가로등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존재하는 영역(R1)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값은 강하게 센싱되어 강 패턴이 생성될 것이며, 방사된 빛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R2)에서 측정되는 빛의 세기값은 약하게 센싱되어 약 패턴이 생성될 것이다. 이러한 강 패턴과 약 패턴에 의해 빛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된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와 함께, 빛의 세기 변화에 따란 빛의 패턴, 즉 조도신호를 확인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 주변의 조도신호는 소정의 시간 간격 또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거리범위에서 지정된 시간만큼 센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센서부(130)로부터 수신한 조도신호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한편,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경로상에서의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부터 GPS 신호가 수신된다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데이터저장부(12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기본적으로 기 저장되는 또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이전에 기 제공(다운로드)받아 기 저장되는 데이터, 예컨대 도로, 골목, 강, 다리 등과 같이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배경이미지가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120)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 검색어의 입력에 따라 통신장치(1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다운로드)받은 일부 지도데이터로 표시된 길안내정보가 목적지 검색어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화면에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디스플레이(1321)에 출력(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로부터 전달된 신호정보를 수신하고, 필요 시 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센서들의 일례로는, 위치확인장치(1310)인 GPS 센서, 조도확인장치(1340)인 조도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는, GPS 센서로부터 GPS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센서부(130)는, GPS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가 데이터저장부(120)로부터 출력되도록 하고, 입출력장치(133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1331)를 제어함으로써, 출력된 현재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안내정보를 네비게이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30)는, 조도확인장치(1340)로부터 조도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조도신호는, 시간 경과에 따른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변화 및 빛의 패턴 변화 등을 측정한 센싱값으로서, 차량이 이동경로를 주행하는 전체 구간에서의 평균 조도값,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근에서 측정된 조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조도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네비게이션기능부(110)로 알린다.
이에, 네비게이션기능부(110)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차량 주변의 빛의 세기 및 빛의 패턴을 측정한 조도신호를 통신장치(1320)를 통해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을 이어 가지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확인하는 경로확인부(210) 및 길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검출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도데이터정보와,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길안내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2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길안내정보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의도(예: 목적지 또는 출발지 설정)가 반영된 차량의 주행을 위해 제공되는 경로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경로생성부(210), 데이터검출부(220) 및 데이터저장부(230)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경로확인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확인부(210)는, 기 저장된 지도데이터정보로부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확인하여 길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경로확인부(210)는, 기 저장된 지도데이터정보 중 경로가 표시된 일부 지도데이터의 주변표시정보(예: 건물, 교차로, 차선, 골목, 강, 다리, 터널, 지도도 등)를 확인하여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에 탑재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즉,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 상에서 차량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현재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음을 차량위치검출부(220)로 알린다.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여 소정의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된 조도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조도신호는, 차량이 이동경로를 주행하는 전체 구간에서의 평균 조도값,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근에서 측정된 조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조도관련정보에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다 함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바로 이전영역 또는 진출한 바로 이후영역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접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바로 이전영역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1 조도 차이값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과 같이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차량(V)에 탑재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이용하여 임계값(C)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측정값 중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값을 측정 최소값(S)으로 설정하고, 현재 측정값 중 빛의 세기가 가장 큰값을 측정 최대값(L)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균 측정값, 이전 측정값, 마지막 측정값 등과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측정값으로부터 측정 최소값(S)과 측정 최대값(L)이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학식 1]
C = ((S * 100)/L)*A
여기서, S는 측정 최소값이며, L은 측정 최대값이며, A는 정밀도(Accuracy)를 결정하는 가중치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에 탑재된 조도센서의 종류에 따라 측정 성능이 다를 수 있으며, 측정 최소값(L)과 측정 최대값(L)의 오차에 따라 임계값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학식 1과 같이 임계값(C)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임계값(C)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서 주간(낮), 야간(밤), 날씨 등에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간(낮) 또는 야간(밤) 주행 중인 경우 임계값(C)을 산출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날씨별로도 임계값(C)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차량위치검출부(220)는, 가중치(A)를 (0~1) 사이의 숫자(예: 0%~100% 백분율)로 다르게 설정하여 가중치(A)에 따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했는지의 여부가 민감하게 판단되거나, 둔감하게 판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주간(낮) 주행인 경우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임계값(C)이 크게 되도록 가중치(A)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야간(밤) 주행 또는 날씨가 흐른 날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차이가 작게 발생되므로, 임계값(C)이 크게 작게 되도록 가중치(A)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과 같이 주간(낮), 야간(밤), 날씨 등에 따라 임계값(C)의 산출이 완료되면,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임계값(C)을 이용하여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주간(낮) 주행인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주간(낮)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작으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작게 되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2 조도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2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주간(낮)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주간(낮) 주행일 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되다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로 도달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야간(밤)에 비 도심 도로에서 주행하는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비 도심 도로는 도심과 같이 도로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거의 없는 도로구역을 일컫는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비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야간(밤) 주행 중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2 조도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2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비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이하가 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비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일 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되다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로 도달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이하가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야간(밤) 주행이지만 도심 도로와 같이 도로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와 빛의 패턴을 함께 이용하여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 판단한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로부터 제1 조도 패턴(A)을 검출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와, 제1 조도 패턴(A)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V)이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을 설정하고,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면서 제1 조도 패턴(A)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판단이 어려우므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할 때의 제1 조도 패턴(A)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의 다른 패턴인 제2 조도 패턴(B)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로부터 제2 조도 패턴(B)을 검출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와, 제2 조도 패턴(B)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면서 제2 조도 패턴(B)이 다른 패턴인 제1 조도 패턴(A)으로 변경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의 진출 판단이 어려우므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의 제2 조도 패턴(B)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에 도달했을 때의 제1 조도 패턴(A)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3000)은, 프로세서(3100),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3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통해 메모리(3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3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3210)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인 경로확인부(210), 차량위치검출부(220) 및 데이터저장부(23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150, 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3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는 프로세서(3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3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3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3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매개로 통신장치(3310) 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은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매개로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경로확인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확인부(210)는, 기 저장된 지도데이터정보로부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확인하여 길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경로확인부(210)는, 기 저장된 지도데이터정보 중 경로가 표시된 일부 지도데이터의 주변표시정보(예: 건물, 교차로, 차선, 골목, 강, 다리, 터널, 지도도 등)를 확인하여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경로확인부(21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차량에 탑재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즉,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 상에서 차량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현재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음을 차량위치검출부(220)로 알린다.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여 소정의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된 조도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조도신호는, 차량이 이동경로를 주행하는 전체 구간에서의 평균 조도값,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근에서 측정된 조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조도관련정보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다 함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바로 이전영역 또는 진출한 바로 이후영역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접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바로 이전영역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1 조도 차이값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과 같이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통신장치(3310)를 통해 차량(V)에 탑재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이용하여 임계값(C)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측정값 중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값을 측정 최소값(S)으로 설정하고, 현재 측정값 중 빛의 세기가 가장 큰값을 측정 최대값(L)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균 측정값, 이전 측정값, 마지막 측정값 등과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측정값으로부터 측정 최소값(S)과 측정 최대값(L)이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학식 1]
C = ((S * 100)/L)*A
여기서, S는 측정 최소값이며, L은 측정 최대값이며, A는 정밀도(Accuracy)를 결정하는 가중치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에 탑재된 조도센서의 종류에 따라 측정 성능이 다를 수 있으며, 측정 최소값(L)과 측정 최대값(L)의 오차에 따라 임계값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학식 1과 같이 임계값(C)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임계값(C)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서 주간(낮), 야간(밤), 날씨 등에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간(낮) 또는 야간(밤) 주행 중인 경우 임계값(C)을 산출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날씨별로도 임계값(C)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차량위치검출부(220)는, 가중치(A)를 (0~1) 사이의 숫자(예: 0%~100% 백분율)로 다르게 설정하여 가중치(A)에 따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했는지의 여부가 민감하게 판단되거나, 둔감하게 판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주간(낮) 주행인 경우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임계값(C)이 크게 되도록 가중치(A)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야간(밤) 주행 또는 날씨가 흐른 날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차이가 작게 발생되므로, 임계값(C)이 크게 작게 되도록 가중치(A)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과 같이 주간(낮), 야간(밤), 날씨 등에 따라 임계값(C)의 산출이 완료되면,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임계값(C)을 이용하여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주간(낮) 주행인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주간(낮)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작으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작게 되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2 조도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2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주간(낮)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주간(낮) 주행일 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되다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로 도달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야간(밤)에 비 도심 도로에서 주행하는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비 도심 도로는 도심과 같이 도로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거의 없는 도로구역을 일컫는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야간(밤)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야간(밤) 주행 중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2 조도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2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야간(밤) 주행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이하가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야간(밤) 주행일 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되다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로 도달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이하가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야간(밤) 주행이지만 도심 도로와 같이 도로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와 빛의 패턴을 함께 이용하여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 판단한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통신장치(3310)를 통해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로부터 제1 조도 패턴(A)을 검출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와, 제1 조도 패턴(A)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면서 제1 조도 패턴(A)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판단이 어려우므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할 때의 제1 조도 패턴(A)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의 다른 패턴인 제2 조도 패턴(B)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로부터 제2 조도 패턴(B)을 검출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와, 제2 조도 패턴(B)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면서 제2 조도 패턴(B)이 다른 패턴인 제1 조도 패턴(A)으로 변경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의 진출 판단이 어려우므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의 제2 조도 패턴(B)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에 도달했을 때의 제1 조도 패턴(A)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면, GPS 신호가 미수신되거나 또는 약하게 수신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부인지, 또는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외부인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의 경로확인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확인부(210)는, 기 저장된 지도데이터정보로부터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확인하여 길안내정보를 생성한다(S100).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경로확인부(210)는, 기 저장된 지도데이터정보 중 경로가 표시된 일부 지도데이터의 주변표시정보(예: 건물, 교차로, 차선, 골목, 강, 다리, 터널, 지도도 등)를 확인하여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에 탑재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10).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길안내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20).
즉,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의 현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 상에서 차량의 현재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현재위치에 가장 인접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경로확인부(210)는,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음을 차량위치검출부(220)로 알린다.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여 소정의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된 조도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130).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조도신호는, 차량이 이동경로를 주행하는 전체 구간에서의 평균 조도값,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근에서 측정된 조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조도관련정보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주변의 조도신호(예: 빛의 세기, 빛의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했다 함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바로 이전영역 또는 진출한 바로 이후영역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인접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바로 이전영역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임계값 및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산출한다(S140, S150).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임계값 및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이용하여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을 판단한다(S160).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과 같이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차량(V)에 탑재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고, 이를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이용하여 임계값(C)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측정값 중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값을 측정 최소값(S)으로 설정하고, 현재 측정값 중 빛의 세기가 가장 큰값을 측정 최대값(L)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균 측정값, 이전 측정값, 마지막 측정값 등과 같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측정값으로부터 측정 최소값(S)과 측정 최대값(L)이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학식 1]
C = ((S * 100)/L)*A
여기서, S는 측정 최소값이며, L은 측정 최대값이며, A는 정밀도(Accuracy)를 결정하는 가중치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에 탑재된 조도센서의 종류에 따라 측정 성능이 다를 수 있으며, 측정 최소값(L)과 측정 최대값(L)의 오차에 따라 임계값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학식 1과 같이 임계값(C)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임계값(C)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서 주간(낮), 야간(밤), 날씨 등에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간(낮) 또는 야간(밤) 주행 중인 경우 임계값(C)을 산출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날씨별로도 임계값(C)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차량위치검출부(220)는, 가중치(A)를 (0~1) 사이의 숫자(예: 0%~100% 백분율)로 다르게 설정하여 가중치(A)에 따라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했는지의 여부가 민감하게 판단되거나, 둔감하게 판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주간(낮) 주행인 경우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임계값(C)이 크게 되도록 가중치(A)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야간(밤) 주행 또는 날씨가 흐른 날에는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차이가 작게 발생되므로, 임계값(C)이 크게 작게 되도록 가중치(A)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과 같이 주간(낮), 야간(밤), 날씨 등에 따라 임계값(C)의 산출이 완료되면,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임계값(C)을 이용하여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주간(낮) 주행인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주간(낮)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작으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작게 되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2 조도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2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주간(낮)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주간(낮) 주행일 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되다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로 도달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야간(밤)에 비 도심 도로에서 주행하는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 및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비 도심 도로는 도심과 같이 도로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거의 없는 도로구역을 일컫는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비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야간(밤) 주행 중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게 되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가 가장 큰 측정 최대값(L)과 빛의 세기가 가장 작은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2 조도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2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V)이 비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게 되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이 설정되었으므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이하가 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비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일 때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조도신호가 강하게 측정되다가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로 도달하게 되면 조도신호가 약하게 측정됨에 따라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이하가 되면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야간(밤) 주행이지만 도심 도로와 같이 도로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조도신호에 포함된 빛의 세기와 빛의 패턴을 함께 이용하여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및 진출 판단한다.
먼저,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진입예상거리범위에 포함되는 동안 수신된 조도신호로부터 측정 최대값(L)과 측정 최소값(S)을 검출하여 제1 조도 차이값(D1)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로부터 제1 조도 패턴(A)을 검출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1)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와, 제1 조도 패턴(A)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차량(V)이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으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경우,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하기 이전과 진입한 이후의 조도 차이가 작게 발생되는 점을 고려하여 임계값(C)을 설정하고, 제1 조도 차이값(D1)이 임계값(C) 보다 크면서 제1 조도 패턴(A)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의 진입 판단이 어려우므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입구(600)로 진입할 때의 제1 조도 패턴(A)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의 다른 패턴인 제2 조도 패턴(B)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진입한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조도신호를 이용하여 제2 차이값(D2)을 산출한다. 이어서,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조도신호로부터 제2 조도 패턴(B)을 검출한다.
이후,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조도 차이값(D2)과 임계값(C)을 비교한 결과와, 제2 조도 패턴(B)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차량위치검출부(220)는,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D2)이 임계값(C) 보다 크면서 제2 조도 패턴(B)이 다른 패턴인 제1 조도 패턴(A)으로 변경되면 차량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도심 도로에서 야간(밤) 주행 중 도로 주변에 가로등이 배치된 곳이 많아 임계값(C)의 정밀도를 낮추어도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의 진출 판단이 어려우므로,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에서의 제2 조도 패턴(B)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의 출구(610)에 도달했을 때의 제1 조도 패턴(A)으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V)이 제1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길안내정보의 경로상에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면, GPS 신호가 미수신되거나 또는 약하게 수신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 진입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내부인지, 또는 차량이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으로부터 진출하여 차량의 현재위치가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 외부인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2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특정구간(예: 터널/지하도로)에 인접하였을 때의 차량의 위치(예: 진입/진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네비게이션기능부 120: 데이터저장부
130: 센서부
200: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210: 경로확인부 220: 차량위치검출부
230: 데이터저장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확인하는 경로확인부; 및
    상기 길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을 때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검출부는,
    상기 차량이 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검출부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검출부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서 상기 제1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서 상기 제2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6.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을 포함하는 길안내정보를 확인하는 경로확인단계; 및
    상기 길안내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조도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하였을 때의 상기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위치검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에 인접했을 때 확인되는 제1 조도 차이값 및 제1 조도 패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내에서 측정된 제2 조도 차이값 및 제2 조도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검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검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검출단계는,
    상기 차량이 야간 주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구간 중 제1 특정구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으면서 상기 제1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조도 차이값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서 상기 제2 조도 패턴이 다른 패턴으로 변경되면 상기 차량이 상기 제1 특정구간으로부터 진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50146847A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47A KR102172101B1 (ko)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847A KR102172101B1 (ko)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65A true KR20170046465A (ko) 2017-05-02
KR102172101B1 KR102172101B1 (ko) 2020-10-30

Family

ID=5874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47A KR102172101B1 (ko) 2015-10-21 2015-10-21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28983A (zh) * 2023-10-27 2023-11-28 名商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主导航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847A (ja) * 2007-11-12 2009-06-04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847A (ja) * 2007-11-12 2009-06-04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28983A (zh) * 2023-10-27 2023-11-28 名商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主导航系统
CN117128983B (zh) * 2023-10-27 2024-03-15 名商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主导航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101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2842B2 (en) Method to define safe drivable area for automated driving system
US11167751B2 (en) Fail-operational architecture with functional safety monitors for automated driving system
EP336653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7532916B (zh) 路径搜索装置及路径搜索方法
US797920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navigation device
WO2015129365A1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166109A1 (en) Driver Red Light Duration Notification System
US11016489B2 (en) Method to dynamically determine vehicle effective sensor coverage for autonomous driving application
US20160202069A1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vehicle navigation
US10453275B2 (en) Sensor management in autonomous vehicles
CN11316759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JPWO2016207938A1 (ja) 自動運転装置及び自動運転方法
EP3914880A1 (en) Vehicle routing with local and general routes
JP2016031297A (ja)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11522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내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KR20170046465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688688A (zh) 对前面行驶的车辆在交通节点处的后退的实现
KR20160126296A (ko) 경로안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48833A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1846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5068649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029186B2 (ja) 位置算出装置、位置算出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位置算出方法
JP478548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道路情報表示方法
KR20160094782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컨텐츠 출력 제어 방법
KR102274399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위험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