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038A -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 Google Patents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038A
KR20170046038A KR1020150146325A KR20150146325A KR20170046038A KR 20170046038 A KR20170046038 A KR 20170046038A KR 1020150146325 A KR1020150146325 A KR 1020150146325A KR 20150146325 A KR20150146325 A KR 20150146325A KR 20170046038 A KR20170046038 A KR 2017004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joining member
bonding
attachment surface
sew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091B1 (ko
Inventor
성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무역
Priority to KR102015014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091B1/ko
Priority to EP15906752.9A priority patent/EP3366833A4/en
Priority to JP2018540356A priority patent/JP2018532903A/ja
Priority to CN201580084739.8A priority patent/CN108350643A/zh
Priority to PCT/KR2015/011152 priority patent/WO2017069301A1/ko
Priority to US14/929,684 priority patent/US20170106624A1/en
Publication of KR2017004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합구조는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 원단; 및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각각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이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부착면의 중앙부와 맞닿는 상태로 봉제되는 봉제선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접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원단가공품은 봉재선을 형성하지 않고도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들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으며, 접합 부위에서의 접착력은 봉재선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종래의 단순 접착제에 의한 접합방식에 비하여 우수하고, 충전재에 노출되는 봉재선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충전재의 원치 않는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물이 충전되는 내부 공간 간의 통기성이 우수하여 원단가공품 전체의 복원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Bonding structure of fabric and processed fabric good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봉재 원단접합이 가능한 원단접합 구조 및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의류, 침구류 등의 원단가공품에 관한 것이다.
의류, 침구류 등을 제작하기 위한 기본소재인 원단은 직물류, 피혁류 등 다양한 종류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먼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원단을 제작하고자 하는 의류 등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재단하고, 재단된 원단을 서로 재봉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작한다.
이 과정에서 의류의 내측에는 보온 등을 위한 충전물(fillings) 등이 충전된다. 예를 들어 솜, 합성수지 솜, 오리털이나 거위털과 같은 동물의 털 등이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원단을 재봉하는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 원단의 연결부위에는 필연적으로 바느질 구멍인 재봉선이 생길 수밖에 없다. 충전물 중 거위털 등의 경우 이러한 재봉선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접합력의 저하 또는 급격한 외력의 작용에 의한 접합 구조의 변형 등이 문제가 된다. 충전물들을 의류의 내외부와 격리시키기 위한 접합 구조는 의류의 품질과 내구성에 직결되는 문제로서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그러나 접합 구조의 내구성 향상과 충전물의 유출 방지기능 모두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은 아직 부족한 형편이다.
본 발명은 무봉재 원단 접합이 가능하면서도, 접합 부위에서의 접착력이 우수한 원단 접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원단가공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재 등이 충전되는 내부 구획 공간 간의 통기성이 우수하며, 충전물이 임의로 외부 배출이 되지 않는 원단 접합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원단가공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합구조는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 원단; 및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각각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이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부착면의 중앙부와 맞닿는 상태로 봉제되는 봉제선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접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면과 상기 봉제선 사이에는 상기 접합부재가 폴딩되는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봉제선 사이의 일정 영역으로 정의되는 구획면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면은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양 측면이 상기 부착면과 상기 구획면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는 매쉬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의 부착면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원단 및 제2 원단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는 스트랩(strap)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면 및 상기 봉제선은 상기 접합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에는 충전물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물은 포유류의 털, 조류의 털, 솜, 합성수지 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Q른 원단가공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부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합구조 및 이를 구비한 원단가공품은 봉재선을 형성하지 않고도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들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으며, 접합 부위에서의 접착력은 봉재선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종래의 단순 접착제에 의한 접합방식에 비하여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재에 노출되는 봉재선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충전재의 원치 않는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물이 충전되는 내부 공간 간의 통기성이 우수하여 원단가공품 전체의 복원력이 우수하다.
도 1은 접합구조를 구비하는 의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의 R1 영역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재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원단들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가공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원단 접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접합구조를 구비하는 의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의 R1 영역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의류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내외측 원단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구조가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보온재가 충전된 상의의 경우 외관 상 외측 원단(10a)에는 내측 원단과 직접 접합되거나, 별도의 접합부재를 통하여 접합되는 접합부(P1)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구스다운 자켓과 같이 보온성 충전물이 충전된 자켓의 경우에는 충전물이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쏠리거나 세탁 과정에서 일측으로 뭉치는 현상 등을 방지하고, 균일한 보온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충전재가 충전되는 영역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접합부(P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 원단(10a)과 내측 원단(10b) 사이에는 충전재가 충전되기 위한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부들을 구획하기 위한 접합부(P1)가 형성된다. 접합부(P1)는 일정 영역(P3)에 봉재선을 형성하거나 접합부(P1) 내측에 접착층(21)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봉재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측 원단(10a)과 내측 원단(10b) 사이의 공간부에 충전된 충전재가 봉재선의 작은 구멍들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충분한 접합력을 위하여 굵은 접합용 실을 이용하는 경우 봉재선의 바늘 구멍들이 커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봉재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외측 원단(10a)과 내측 원단(10b)이 분리되려는 힘은 단면상 접착부가 시작되는 영역(P2)에 집중됨으로써 장기적인 접착제의 열화과정 또는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내외측 원단(10a, 10b)의 분리 과정에서 접합부(P1)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력의 장기적 또는 단기적인 열화는 봉재선을 형성하거나 봉재선과 접착층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접합력의 열화를 방지하면서도 충전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원단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접합부(P1)의 내측에 별도의 접합부재(20)를 이용하여 내외측 원단(10a, 10b)를 접합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접합부재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재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재(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스트랩 형상의 매쉬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매쉬 부재는 내외측 원단 내의 구획하고자 하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중심축(C-C`)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합부재(20)로는 매쉬 부재뿐 아니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절개된 형상의 원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20)의 양측 단부를 중심축(C-C`) 방향으로 접어 접힘선(F)을 형성한다. 이 때 접힘선(F)을 기준으로 접합부재(20)의 양측 단부를 접합면(21)이라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21)의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봉재선(S)이 형성된다. 이어서 봉재선(S)을 기준으로 접합면(21)을 펼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상이 된다. 이 때 접합면(21)은 각각 상부와 하부를 향하게 되며,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접합면(21) 및 봉재선(S)간을 연결하는 구획면(24)이 구비된다.
이 때 부착면(21), 접힘선(F) 및 봉재선(S) 등 접합부재(20)의 각 구성들이 접합부재(20)의 길이방향 중심축(C-C`)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착면(21), 접힘선(F) 및 봉재선(S) 등이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최종 원단가공품이 접착면 부위에서 비틀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면(21)은 앞서 설명한 내외측의 원단에 각각 접착되며, 구획면(24)은 내외측 원단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충전물 등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접합부재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원단들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의 접합면(21)들이 각각 내측원단(10b)과 외측 원단(10a)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 부착한다. 이 때 접합면(21)에는 각각 접착제(27)를 도포하여 내측원단(10b)과 외측 원단(10a)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재가 완전히 부착되면, 상부의 접합면(21)이 외측 원단(10a)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하부의 접합면(21)이 내측 원단(10b)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때 구획면(24)은 내측 원단(10a)과 외측 원단(10b)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로 구획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획면(24)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에는 각각 보온 등의 목적을 위한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충전물로는 포유류의 털, 조류의 털, 솜, 합성수지 솜을 이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접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가공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하부 접합면(21)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봉재선(S)에 힘이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과도한 인장부하가 봉재선(S)에 집중되는 경우에 접합부재(20)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접합부재와 마찬가지로 매쉬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원단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30)는 접합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부재(30)는 양측이 각각 접합부재의 접합면(21)과 구획면(24)에 부착된다. 보강부재(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하부의 접착면(2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보강부재(30)는 접합부재의 접힘선의 타측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a, 10b: 원단
20: 접합부재
21: 접착면
24: 구획면
30: 보강부재

Claims (11)

  1.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 원단; 및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각각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이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부착면의 중앙부와 맞닿는 상태로 봉제되는 봉제선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원단 접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과 상기 봉제선 사이에는 상기 접합부재가 폴딩되는 접힘선이 형성되는 원단 접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봉제선 사이의 일정 영역으로 정의되는 구획면을 구비하고,
    상기 구획면은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원단 접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양 측면이 상기 부착면과 상기 구획면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원단 접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매쉬 원단으로 형성되는 원단 접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의 부착면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원단 및 제2 원단에 각각 접합되는 원단 접합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스트랩(strap) 형으로 형성되는 원단 접합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 및 상기 봉제선은 상기 접합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원단 접합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사이의 공간에는 충전물이 충전되는 원단 접합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포유류의 털, 조류의 털, 솜, 합성수지 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단 접합구조.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단 접합구조를 구비하는 원단가공품.
KR1020150146325A 2015-10-20 2015-10-20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KR10174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25A KR101743091B1 (ko) 2015-10-20 2015-10-20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EP15906752.9A EP3366833A4 (en) 2015-10-20 2015-10-21 Fabric bonding structure and fabric processed product comprising same
JP2018540356A JP2018532903A (ja) 2015-10-20 2015-10-21 生地の接合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生地加工品
CN201580084739.8A CN108350643A (zh) 2015-10-20 2015-10-21 织物结合结构和包括其的织物加工产品
PCT/KR2015/011152 WO2017069301A1 (ko) 2015-10-20 2015-10-21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US14/929,684 US20170106624A1 (en) 2015-10-20 2015-11-02 Bonding structure of fabric and processed fabric artic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325A KR101743091B1 (ko) 2015-10-20 2015-10-20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038A true KR20170046038A (ko) 2017-04-28
KR101743091B1 KR101743091B1 (ko) 2017-06-02

Family

ID=5852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325A KR101743091B1 (ko) 2015-10-20 2015-10-20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06624A1 (ko)
EP (1) EP3366833A4 (ko)
JP (1) JP2018532903A (ko)
KR (1) KR101743091B1 (ko)
CN (1) CN108350643A (ko)
WO (1) WO20170693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900B1 (ko) * 2019-01-23 2019-03-29 이재복 경추 보호 기능을 갖는 배게
KR102386001B1 (ko) * 2021-11-15 2022-04-14 주식회사 나래데코 침구용 격벽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9349B2 (en) 2017-09-18 2019-12-31 Bemis Associat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using an adhesive tape
DE102021119034A1 (de) 2021-07-22 2023-01-26 Faurecia Autositze Gmbh Bezug, Polster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Bezugs
KR102505604B1 (ko) * 2021-11-05 2023-03-03 (주) 선일글로벌 내부공간 확장 구조를 갖는 옷감의 구조 및 그 옷감의 제조방법
CN114983070B (zh) * 2022-07-13 2023-06-30 高梵(浙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羽绒面料的分隔填充结构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497965Y1 (ko) * 2023-04-20 2024-04-29 김장대 충전재를 포함하는 돌출 입체원단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015B2 (ja) * 1991-08-09 1994-06-29 株式会社アサミ 布地接着方法及び布団
JP3469917B2 (ja) * 1993-07-09 2003-11-25 株式会社木戸商店 羽毛布団及びマチ布テープの布団地への取付方法
JPH08191737A (ja) * 1995-01-19 1996-07-30 Daito Boshoku Kk 羽毛製品の製造方法
JPH0947344A (ja) * 1995-08-09 1997-02-18 Koshiro Hagiwara 羽毛布団
US20040259442A1 (en) * 2003-06-19 2004-12-23 Li Yick Lap Waterproof insulated products
JP2006122387A (ja) * 2004-10-29 2006-05-18 Ado:Kk 羽毛布団
WO2009012476A2 (en) * 2007-07-18 2009-01-22 Rick Fowler Insulat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826093B1 (ko) 2007-09-28 2008-04-29 이보일 입체 공기순환 방수 다운 점퍼
US8540833B2 (en) * 2008-05-16 2013-09-24 The Boeing Company Reinforced stiffen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9279192A (ja) * 2008-05-22 2009-12-03 Yoshioka Kk ノンキルト用テープ
US8578516B2 (en) * 2008-07-30 2013-11-12 Yick Lap Li Insulating product and method
KR101087755B1 (ko) * 2008-09-24 2011-11-30 신홍관 다운 의류
KR101160937B1 (ko) * 2009-03-19 2012-07-03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00619A (ja) * 2011-11-09 2013-05-23 Kyoto Institute Of Technology 多層中空繊維材料、多層中空繊維複合材料、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02599663A (zh) * 2012-03-12 2012-07-25 林鹭峰 防漏绒羽绒制品及其生产方法
KR101262937B1 (ko) * 2013-01-24 2013-05-09 주식회사 풍신레포츠 패딩용 가공 직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900B1 (ko) * 2019-01-23 2019-03-29 이재복 경추 보호 기능을 갖는 배게
KR102386001B1 (ko) * 2021-11-15 2022-04-14 주식회사 나래데코 침구용 격벽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091B1 (ko) 2017-06-02
CN108350643A (zh) 2018-07-31
JP2018532903A (ja) 2018-11-08
US20170106624A1 (en) 2017-04-20
EP3366833A1 (en) 2018-08-29
WO2017069301A1 (ko) 2017-04-27
EP3366833A4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091B1 (ko)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KR101722585B1 (ko) 원단접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가공품
JP2008520358A (ja) 対角線状の弾性帯を有する嵌め込み式カバー
US20080307566A1 (en) Product having fillers therein
KR101981476B1 (ko) 다운자켓 제조방법
JP6025576B2 (ja) 防寒衣類
US7386898B1 (en) Sleeping bag
EP0855148B1 (en) Pucker free pocket garment seam and method for production
US2562005A (en) Tarpaulin
US3078469A (en) Composite elastic bands for garments incorporating such bands
KR101754263B1 (ko) 닫힌 다운 채널 구조의 패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55252Y1 (ko) 포대
KR101970482B1 (ko) 다운자켓
JP6247431B1 (ja) 防寒素材、防寒素材の製造方法及び、防寒ウェア
WO2018100763A1 (ja) 防寒素材、防寒素材の製造方法及び、防寒ウェア
KR20150018325A (ko) 절연 방법 및 제품
KR102492413B1 (ko) 원터치 봉제 박음질 방법
KR101349090B1 (ko) 수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스티치 공법
CN213909405U (zh) 一种用于充气床垫填充的复合拉带及充气床垫
KR101208445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스티치 공법
US2521327A (en) Wearing-apparel strap construction
KR20090072380A (ko) 원단 연결구조
KR100984950B1 (ko) 쇼핑백의 양측면 테두리 봉제 구조
JP2016112179A (ja) シート
KR20190052813A (ko) 자동차 내장재용 스티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