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796A - 상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796A
KR20170045796A KR1020150145707A KR20150145707A KR20170045796A KR 20170045796 A KR20170045796 A KR 20170045796A KR 1020150145707 A KR1020150145707 A KR 1020150145707A KR 20150145707 A KR20150145707 A KR 20150145707A KR 20170045796 A KR20170045796 A KR 2017004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roduct
picking
goods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벨
㈜글로벨익스프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벨, ㈜글로벨익스프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벨
Priority to KR102015014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5796A/ko
Publication of KR2017004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상품 관리 방법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 정보가 담긴 주문서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서의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픽킹지시서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픽킹지시서의 내용에 따라 입고된 상품들을 종류에 따라 지정된 각 선반에 보관된 상품들을 픽킹 대차의 지정된 상자로 픽킹하는 단계와, 상기 픽킹 대차의 각 상자에 담긴 상품들을 상기 주문서의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들을 검수하는 단계와, 상기 검수가 완료되면,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문된 상품들을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된 상품의 무게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배송용 송장을 출력하여 상기 포장된 상품을 라벨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고객의 주문 상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commodity}
본 발명은 상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이나 휴대폰, 홈쇼핑 등을 통한 주문에 대해 상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출고하기 위한 상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나 휴대폰, 홈쇼핑 등을 통해 주문된 상품의 배송에서 묶음포장은 고객이 주문한 여러 가지 상품을 하나의 포장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상기 묶음포장은 인터넷이나 휴대폰, 홈쇼핑 등을 통한 상거래의 비중이 높아져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며, 그 수요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묶음 포장을 위해 작업자가 상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상품을 골라 담는 과정에서 상품 종류 오류, 상품 수량 오류, 상품 색상 오류 등 많은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정확히 상품을 골라 담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상품을 포장해서 운송장을 붙이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개연성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상품이 고객에게 배송될 경우, 고객의 불만이 증가하고 상거래 업체의 신뢰도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이나 휴대폰, 홈쇼핑 등을 통한 상거래 상품에 대한 주문에 대응하여 상품을 오류없이 안정적으로 출고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 정보가 담긴 주문서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서의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픽킹지시서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픽킹지시서의 내용에 따라 입고된 상품들을 종류에 따라 지정된 각 선반에 보관된 상품들을 픽킹 대차의 지정된 상자로 픽킹하는 단계와, 상기 픽킹 대차의 각 상자에 담긴 상품들을 상기 주문서의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들을 검수하는 단계와, 상기 검수가 완료되면,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문된 상품들을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된 상품의 무게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배송용 송장을 출력하여 상기 포장된 상품을 라벨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품 관리 방법은 상기 주문서를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고유 자리번호가 부여된 각 셀들에 상품들을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들이 보관된 각 셀의 고유 자리번호와 상기 각 상품들의 상품고유번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픽킹지시서에는 주문번호, 주문된 상품이 보관된 셀의 자리번호들, 상기 자리번호들의 셀에서 꺼낼 상품의 개수, 상기 꺼내진 상품이 픽킹 대차에 담겨질 상자의 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품 관리 방법은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품들을 지정된 상품 보관용 선반에 대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의 입고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이 입고되면, 상기 상품 보관용 선반의 상품들과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을 같이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에 따르면, 픽킹지시서에 주문번호, 주문된 상품이 보관된 셀의 자리번호들, 상기 자리번호들의 셀에서 꺼낼 상품의 개수, 상기 꺼내진 상품이 픽킹 대차에 담겨질 상자의 번호가 기재되므로, 작업초보자라도 상기 픽킹지지서와 픽킹대차를 이용하여 픽킹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킹된 상품에 대해 스캐너를 이용하여 검수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상기 픽킹 작업의 오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거래 상품 관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고된 상품들을 종류에 따라 지정된 각 셀에 보관한다.(S110)
구체적으로, 상기 상품들이 보관된 창고에는 여러 단으로 구성된 선반이 있고, 각 선반은 다수의 셀들로 구분된다. 상기 각 셀들은 상품들의 종류, 색상, 사이즈 등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각 셀들에는 고유한 자리번호가 각각 부여된다. 상품들이 입고되면, 입고된 상품들을 종류에 따라 각 셀들에 보관된다. 그러므로, 각 상품들은 각각 고유한 자리번호를 갖는다. 이때, 상기 자리번호는 상기 상품들의 종류, 색상, 사이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상품들의 정보를 관리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15)
구체적으로, 각 상품들이 보관된 각 셀의 자리번호와 각 상품들의 상품고유번호를 매칭시켜 상기 상품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관리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품고유번호를 숫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숫자 형태에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가 합쳐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객의 주문 정보가 담긴 주문서를 상기 관리프로그램에 등록한다. (S120)
구체적으로, 인터넷이나 휴대폰, 홈쇼핑 등을 통해 상거래를 위한 고객의 주문이 발생하고, 상기 고객의 주문 정보가 접수되면 접수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주문 정보를 상기 관리프로그램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주문 정보에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주문서를 상기 관리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상품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서의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픽킹지시서를 출력한다.(S125)
구체적으로, 상기 픽킹지시서는 상기 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와 연결된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들의 자리번호와 각 상품들의 상품고유번호의 매칭 결과를 참조한다. 상기 픽킹지시서에는 주문번호, 주문된 상품이 보관된 셀의 자리번호들, 상기 자리번호들의 셀에서 꺼낼 상품의 개수, 상기 꺼내진 상품이 픽킹 대차에 담겨질 상자의 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킹지시서에는 상기 주문서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주문서바코드 스티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서바코드 스티커를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경우, 상기 주문정보가 컴퓨터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픽킹지시서의 내용에 따라 각 셀들에 보관된 상품들을 픽킹 대차의 지정된 상자로 픽킹한다.(S130)
구체적으로, 상기 픽킹 대차는 이동식 바퀴가 달린 다수의 선반 형태를 가지며, 각 선반에는 다수의 박스가 배치된다. 상기 선반수와 각 선반에 배치되는 박수의 개수를 조절하여 하나의 픽킹 대차로 처리할 수 있는 주문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반이 4단이며, 각 선반에 배치되는 박수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상기 픽킹 대차는 20개의 주문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픽킹 대차를 정해진 경로, 예를 들면 상기 자리번호의 순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픽킹지시서에는 기재된 바에 따라 해당 자리번호들에서 해당 상품을 기재된 개수만큼 꺼내어 상기 픽킹 대차의 해당 상자에 담기만 하면 상기 픽킹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초보 작업자라 하더라도 상기 픽킹지시서와 픽킹 대차를 이용하여 픽킹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픽킹 대차의 각 상자에 담긴 상품들을 상기 주문서의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들을 검수한다.(S135)
구체적으로. 상기 픽킹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픽킹 대차를 포장작업대로 이동하여 상기 각 박스에 담긴 상품들에 대한 검수를 수행한다. 상기 검수 작업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픽킹 오류를 검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스캐너로 상기 픽업리스트의 주문번호를 인식시키면 컴퓨터화면에 해당주문내역이 표시되고, 상기 박스의 각 상품을 스캐닝하여 상기 해당 주문내역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의 수량검사, 품목검사, 종류검사 등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수가 완료되면,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주문서의 상품은 상기 창고에 보관된 상품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창고에 보관된 상품뿐만 아니라 상기 창고에 없는 외부 주문 상품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문서를 확인하여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없는 경우, 상기 주문된 상품들을 포장한다.(S145)
구체적으로, 상기 검수가 완료된 상품들을 포장 박스에 담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밀봉하여 상기 상품들을 포장한다. 이때, 상기 픽킹지시서에 붙어있던 주문서바코드 스티커를 상기 포장 박스 외부에 부착한다. 따라서, 상기 포장 박스에 포장된 상품이 어떤 주문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포장된 상품의 무게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배송용 송장을 출력하여 상기 포장된 상품을 라벨링한다.(S150)
구체적으로, 상기 상품 포장이 완료되면, 저울을 이용하여 포장된 상품에 대한 무게를 측정한다. 상기 저울에 포장된 상품을 올리기 전에 상기 포장 박스 외부에 붙은 주문서바코드를 스캐너로 스캐닝한다. 그러면, 상기 포장 박스의 상품에 해당하는 문서정보가 컴퓨터화면에 표시되고, 컴퓨터와 연결된 저울에 포장된 상품을 올리면 무게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되어 무게정보가 해당주문정보에 입력된다. 상기 포장 상품의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포장 상품의 배송 요금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상품의 무게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에 같이 연결된 라벨프린터기에서 배송을 위한 운송장을 출력한다. 상기 운송장을 상기 포장박스 외부에 붙여 상기 상품의 포장 작업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라벨링된 포장 상품을 출고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배송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들을 지정된 상품 보관용 셀에 대기시킨다.(S155)
구체적으로,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140)에서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이 있으면 상기 검수가 완료된 상품들을 포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이 입고될 때까지 상기 상품들을 지정된 상품 보관용 셀에 보관하여 대기시킨다. 이때, 상기 셀은 각 상품들이 고유 자리 번호가 기재된 셀들과 구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의 입고를 확인한다.(S160)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이 입고되면, 상기 상품 보관용 선반의 상품들과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을 같이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품 관리 방법은 상기 창고에 보관된 상품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주문 상품에 대해서도 관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상거래 상품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관리 방법은 주문서출력, 상품 픽킹, 검수, 포장, 운송장 발행 등의 작업 수행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많은 수의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으며 초보 작업자도 상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품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 정보가 담긴 주문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주문서의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픽킹지시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픽킹지시서의 내용에 따라 입고된 상품들을 종류에 따라 지정된 각 선반에 보관된 상품들을 픽킹 대차의 지정된 상자로 픽킹하는 단계;
    상기 픽킹 대차의 각 상자에 담긴 상품들을 상기 주문서의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들을 검수하는 단계;
    상기 검수가 완료되면,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문된 상품들을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된 상품의 무게와 상기 주문 정보에 따라 배송용 송장을 출력하여 상기 포장된 상품을 라벨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서를 등록하는 단계 이전에,
    고유 자리번호가 부여된 각 셀들에 상품들을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들이 보관된 각 셀의 고유 자리번호와 상기 각 상품들의 상품고유번호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킹지시서에는 주문번호, 주문된 상품이 보관된 셀의 자리번호들, 상기 자리번호들의 셀에서 꺼낼 상품의 개수, 상기 꺼내진 상품이 픽킹 대차에 담겨질 상자의 번호가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문서에 외부 주문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품들을 지정된 상품 보관용 선반에 대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의 입고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이 입고되면, 상기 상품 보관용 선반의 상품들과 상기 외부 주문 상품을 같이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관리 방법.
KR1020150145707A 2015-10-20 2015-10-20 상품 관리 방법 KR20170045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07A KR20170045796A (ko) 2015-10-20 2015-10-20 상품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07A KR20170045796A (ko) 2015-10-20 2015-10-20 상품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796A true KR20170045796A (ko) 2017-04-28

Family

ID=5870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07A KR20170045796A (ko) 2015-10-20 2015-10-20 상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57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074B1 (ko) * 2019-06-07 2019-11-14 주식회사 유비코스 패키지 제작 장치
WO2021024053A1 (en) * 2019-08-07 2021-02-11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return item to fulfillment centers for inventory management
KR102290798B1 (ko) 2021-03-03 2021-08-20 신창호 양자이론에 기반하여 상품을 관리하는 상품 관리서버 및 그 상품 관리방법
KR20210124695A (ko) * 2020-04-07 2021-10-15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WO2023182555A1 (ko) * 2022-03-25 2023-09-2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074B1 (ko) * 2019-06-07 2019-11-14 주식회사 유비코스 패키지 제작 장치
WO2021024053A1 (en) * 2019-08-07 2021-02-11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return item to fulfillment centers for inventory management
US10922644B1 (en) 2019-08-07 2021-02-16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return item to fulfillment centers for inventory management
KR20210017951A (ko) * 2019-08-07 2021-02-17 쿠팡 주식회사 재고 관리를 위해 반품 아이템을 풀필먼트 센터로 이송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180A (ko) * 2019-08-07 2021-08-18 쿠팡 주식회사 재고 관리를 위해 반품 아이템을 풀필먼트 센터로 이송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4695A (ko) * 2020-04-07 2021-10-15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풀필먼트 물류센터용 물품 피킹 시스템 및 그의 피킹 방법
KR102290798B1 (ko) 2021-03-03 2021-08-20 신창호 양자이론에 기반하여 상품을 관리하는 상품 관리서버 및 그 상품 관리방법
WO2023182555A1 (ko) * 2022-03-25 2023-09-2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5796A (ko) 상품 관리 방법
KR101572857B1 (ko) 창고관리시스템에서 최소 배송비를 위한 박스 선택 방법
JP2014141313A (ja) 商品自動ピッキングシステム
US11107148B2 (en) Packing station and multi-modal interface
KR101156580B1 (ko) 자동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210646A (ja) 検品システム、検品装置、及び検品方法
JP4827560B2 (ja) 容器の内容の確認方法、運搬対象物確認用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957970B1 (en) Receiving items into inventory
CN101464969A (zh) 品质管理纵向整合系统及方法
CN107442436A (zh) 一种电子商务发包复核分拣方法
KR20150089793A (ko) 창고관리시스템의 피크 앤 패스 프레임워크 처리 방법
WO2017199558A1 (ja) 物流容器及び物品の少なくとも何れか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20110059484A (ko) 다종의 의약품 배송을 위한 검품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문 배송 시스템
US10332058B1 (en) Real time communication for carrier operations
CN111652547A (zh) 一种物流集运方法与系统
KR20210069917A (ko) 창고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선택포장 장치 및 방법
US11767169B2 (en) Warehousing systems and methods
US20210133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nline product orders
JPS63288804A (ja) ノックダウン生産用部品の管理方法
CN114372757A (zh) 一种基于商家侧的物流分拣组包方法及系统
JP2000016535A (ja) 出荷検品方法および出荷検品装置
KR20200087520A (ko) 다종의 의약품 배송을 위한 검품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문 배송 시스템
JP6442186B2 (ja) 入荷管理システム及び入荷管理方法
CN111652545A (zh) 一种整合集运方法与系统
KR20200020527A (ko) 동적 선별 기반 주문 제품 포장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