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582A -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582A
KR20170045582A KR1020150145331A KR20150145331A KR20170045582A KR 20170045582 A KR20170045582 A KR 20170045582A KR 1020150145331 A KR1020150145331 A KR 1020150145331A KR 20150145331 A KR20150145331 A KR 20150145331A KR 20170045582 A KR20170045582 A KR 2017004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hydrogen
temperatur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대
김억기
차진만
강금철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에프엠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5014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5582A/ko
Publication of KR2017004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oker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에서 수소수를 제조하여 마실 수 있고, 자동 온도 조절되는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물을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녹차와 같은 차 종류를 우려내 마실 수 있는 다용도의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물이 담겨지는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는 속 뚜껑(11)이 결합되어 출구(11a)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용기(10)의 내부 바닥에는 전극(21a)(21b)들이 장착되어 용기(10)의 하부 케이싱(13)에 장착된 전원부(20)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음극(-)과 양극(+)의 교류전류가 교차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부(22)의 제어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 하여 용존수소가 함유된 수소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수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31)에 의하여 온(on), 오프(off)되는 히터(30)가 장착되어 용기(10)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고, 용기(10)의 외부에는 액정디스플레이(32)와 알람(33)이 장착되어 물의 온도를 표시하고 점등 및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The Hybrid Mechanized Washing Device manufacturing portable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에서 수소수를 제조하여 마실 수 있고, 자동 온도 조절되는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물을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녹차와 같은 차 종류를 우려내 마실 수 있는 다용도의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수는 물에 융해(融解)된 활성수소의 강한 환원작용에 의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를 물로 환원시켜 없애는 한편, 인체의 자체 면역력이나 자연 치유력 및 생명력을 높여주는 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수소수의 제조는 주로 전기분해(電氣分解)에 의한 방법이 이용되고, 이온이 통과되는 격막의 양쪽에 음극(-)과 양극(+)을 걸고 전원을 인가하면 음극(-)에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과 같은 양이온이 포집되어 활성수소수가 생성(生成)되고, 양극(+)에는 염산, 황산, 질산과 같은 음이온이 포집되어 전해산성수가 생성되는 전기분해장치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냉수(冷水)로만 공급되어 가열된 온수(溫水)를 공급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유아에게 따뜻한 분유를 마시게 하거나, 녹차와 같은 차(茶) 종류를 뜨거운 물에 우려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종래에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326호 "층상구조의 활성수소수 생성용기"(선행기술1) 및 공개특허 제10-2014-0059587호 "알칼리화 환원 수소수 제조장치"(선행기술2)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활성화된 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해 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일측으로 배출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부용기의 사이에 결합되는 층간마개부재와; 상기 층간마개부재 상부에 위치하며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여 하부용기로 공급하기 위해 하부용기 내부의 바닥에서 끝단이 구부러지는 파이프 형태의 용기파이프를 구비하는 상부용기와; 상기 상부용기의 막기 위한 용기마개와; 상기 하부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반응하여 활성된 수소를 발생시키도록 반응재료물질이 케이스에 싸여 형성되는 수소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구조의 활성수소수 생성용기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구동축 단부에 자석이 장착된 구동모터를 내장하는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조의 하측에 내장되며, 내부에 칼슘, 마그네슘. 자철석, 토르말린을 포함한 입자가 내장되고 내,외측이 상호 연통되는 중공의 큐브유닛 중심부에 배치되어 자석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고정하여 상기 수조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물의 수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소용돌이 기둥을 형성하면서 물이 큐브유닛을 통과하도록 대류시키는 와류유도 유닛을 포함하여 작동시 소음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체에 유익한 음료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알칼리화 환원수소수 제조장치이다.
상기 선행기술1은 마그네슘을 주원료로 하는 반응재료물질로 조성된 수소발생부재를 사용하여 수소수를 형성하는 기술이므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의 결합으로 휴대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선행기술2는 구동모터로 회전하는 자석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수조 내부의 와류유도유닛에 의하여 회전자력을 부여하여 강제 대류시키고 토르말린과 같은 미네랄이 수용된 큐브 유닛을 통과시켜 자화(磁化)된 수소수를 제조하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과 같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수소수를 제조하거나 물을 가열하여 온수(溫水)를 공급하고, 유아에게 따뜻한 분유를 마시게 하거나, 녹차와 같은 차(茶) 종류를 뜨거운 물에 우려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에서 수소수를 제조할 수 있고, 온도센서로 온(on), 오프(off)되는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물을 가열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물이 담겨지는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는 속 뚜껑(11)이 결합되어 출구(11a)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용기(10)의 내부 바닥에는 전극(21a)(21b)들이 장착되어 용기(10)의 하부 케이싱(13)에 장착된 전원부(20)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음극(-)과 양극(+)의 교류전류가 교차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부(22)의 제어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 하여 용존수소가 함유된 수소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수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31)에 의하여 온(on), 오프(off)되는 히터(30)가 장착되어 용기(10)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고, 용기(10)의 외부에는 액정디스플레이(32)와 알람(33)이 장착되어 물의 온도를 표시하고 점등 및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으로 충전되는 전원부(20)인 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물을 전기분해 하는 것이므로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에서 수소수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온도센서(31)에 의하여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되는 히터(30)의 발열에 의하여 물을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한 온도를 세팅한 후 물을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가 도달되면 컨트롤부(22)의 제어에 의하여 히터(30)가 자동 오프(off)되면서 액정디스플레이(32)를 통해 물의 온도가 표시되고, 알람(33)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속 뚜껑(11)에 장착된 망 용기(50)의 내부에 녹차와 같은 차 종류를 넣어 물에 우려내 마실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고,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수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리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결합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담겨지는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는 속 뚜껑(11)이 결합되어 있고, 속 뚜껑(11)에는 출구(11a)가 형성되어 물을 토출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속 뚜껑(11)의 상부에는 외부 캡(12)이 씌워져 있고, 외부 캡(12)의 내부 저면에는 패킹(12a)이 부착되어 외부 캡(12)을 닫으면 패킹(12a)이 속 뚜껑(11)의 출구(11a)를 막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0)의 내부 바닥에는 전극(21a)(21b)들이 장착되어 있고, 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된 케이싱(13) 내부에는 충전배터리로 구성된 전원부(20)와 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22)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21a)(21b)들에 전원부(20)의 전원이 인가되면, 음극(-)과 양극(+)의 교류전류를 교차하여 공급하는 컨트롤부(22)의 제어에 의하여 물을 전기분해 하여 용존수소가 함유된 수소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양극(+)에서는 수산화이온이 발생되고, 음극에서는 활성수소가 생성(生成)되어 용존수소가 함유된 수소수를 얻을 수 있고, 양극(+)에서 생성되는 산소는 필터(40)을 통해 배출되면서 일부는 다시 물로 환원되므로 물의 수소이온농도(pH)가 크게 변화되지 않은 용존수소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속 뚜껑(11)에는 다공질(多孔質) 필터(40)가 장착되어 있고, 필터(40)는 전기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잔류염소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산소를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31)와 히터(30)가 장착되어 있고, 히터(30)는 온도센서(31)의 신호에 의한 컨트롤부(22)의 제어로 온(on), 오프(off)되면서 용기(10)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0)의 외부면에는 액정디스플레이(32)와 함께 알람(33)이 장착되어 있고, 액정디스플레이(32)를 통해 물의 온도를 숫자로 표시하고, 알람(33)을 통해 LED가 점등되거나 경고음을 발생하여 가열된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60은 충전배터리로 구성된 전원부(20)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코드 선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도 5a와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속 뚜껑(11)에 금속 메시(metal mesh)로 구성된 망 용기(50)가 장착되어 녹차와 같은 차 종류를 우려내 마실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망 용기(50)에는 덮개(51)가 결합되어 내용물을 수납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를 이중 벽으로 구성하여 내부에는 단열재(14)를 삽입하고,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시켜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속 뚜껑(11)에 젖꼭지(70)를 결합하여 용기(10)에 담겨진 분유나 우유를 먹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젖병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속 뚜껑(11)의 출구(11a)가 원형으로 크게 형성되고, 젖꼭지(70)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홈(71)이 출구(11a)의 둘레에 걸려져 속 뚜껑(11)에 젖꼭지(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젖병으로 구성하게 되면 히터(30)에 의하여 가열되어 정확한 온도를 유지하는 수소수 물에 분유를 타서 유아(乳兒)에게 음용시킬 수 있고, 젖병으로 구성된 용기(10)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으로 충전되는 전원부(20)인 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물을 전기분해 하는 것이므로 간편하게 휴대한 상태에서 수소수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온도센서(31)에 의하여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되는 히터(30)의 발열에 의하여 물을 필요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물을 데워 분유를 탈 때 필요한 온도를 세팅한 후 물을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가 도달되면 컨트롤부(22)의 제어에 의하여 히터(30)가 자동 오프(off)되고, 액정디스플레이(32)를 통해 물의 온도가 표시되면서 알람(33)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므로 정확한 온도를 유지하는 수소수 물을 사용하여 분유를 타서 유아(乳兒)에게 음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속 뚜껑(11)에 장착된 망 용기(50)의 내부에 녹차와 같은 차 종류를 넣어 가열된 용존 수소수에 우려내 마실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제조장치는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용기 11 : 속 뚜껑
11a : 출구 12 : 외부 캡
12a : 패킹 13 : 케이싱
14 : 단열재 20 : 전원부
21a, 21b : 전극 22 : 컨트롤부
30 : 히터 31 : 온도센서
32 : 액정디스플레이 33 : 알람
40 : 필터 50 : 망 용기
51 : 덮개 60 : 코드 선
70 : 젖꼭지 71 : 홈

Claims (5)

  1. 물이 담겨지는 원통형 용기(10)의 상부에는 속 뚜껑(11)이 결합되어 출구(11a)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용기(10)의 내부 바닥에는 전극(21a)(21b)들이 장착되어 용기(10)의 하부 케이싱(13)에 장착된 전원부(20)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음극(-)과 양극(+)의 교류전류가 교차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컨트롤부(22)의 제어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 하여 용존수소가 함유된 수소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수소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31)에 의하여 온(on), 오프(off)되는 히터(30)가 장착되어 용기(10)에 담겨진 물을 가열하고, 용기(10)의 외부에는 액정디스플레이(32)와 알람(33)이 장착되어 물의 온도를 표시하고 점등 및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11)에는 망 용기(50)가 장착되어 녹차와 같은 차 종류를 우려내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고, 망 용기(50)에는 덮개(51)가 결합되어 내용물을 수납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11)의 상부에는 외부 캡(12)이 씌워져 있고, 외부 캡(12)의 내부 저면에는 패킹(12a)이 부착되어 속 뚜껑(11)의 출구(11a)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10)는 이중 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단열재(14)가 삽입되며, 열 손실을 차단하여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11)에는 다공질(多孔質) 필터(40)가 장착되어 전기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잔류염소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기체를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 뚜껑(11)에는 젖꼭지(70)가 결합되어 용기(10)에 담겨진 분유나 우유를 먹을 수 있도록 젖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KR1020150145331A 2015-10-19 2015-10-19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170045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31A KR20170045582A (ko) 2015-10-19 2015-10-19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31A KR20170045582A (ko) 2015-10-19 2015-10-19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582A true KR20170045582A (ko) 2017-04-27

Family

ID=5870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31A KR20170045582A (ko) 2015-10-19 2015-10-19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55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491A (ko) 2017-11-20 2019-05-29 (주)아이앤시티 휴대용 금나노 탄산수소수 제조기
WO2020089989A1 (ja) * 2018-10-30 2020-05-07 株式会社 ゴーダ水処理技研 水素水及び殺菌水生成装置
KR102292719B1 (ko) 2020-05-25 2021-08-23 김정운 가습 가능한 포터블 타입 산소 발생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491A (ko) 2017-11-20 2019-05-29 (주)아이앤시티 휴대용 금나노 탄산수소수 제조기
WO2020089989A1 (ja) * 2018-10-30 2020-05-07 株式会社 ゴーダ水処理技研 水素水及び殺菌水生成装置
WO2020090795A1 (ja) * 2018-10-30 2020-05-07 株式会社 ゴーダ水処理技研 水素水及び殺菌水生成装置
JPWO2020090795A1 (ja) * 2018-10-30 2021-09-24 株式会社 ゴーダ水処理技研 水素水及び殺菌水生成装置
KR102292719B1 (ko) 2020-05-25 2021-08-23 김정운 가습 가능한 포터블 타입 산소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631B1 (ko) 수소 발생 장치
KR101645307B1 (ko)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48121B1 (ko) 수소수 제조장치
KR20170045582A (ko)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JP2013525612A (ja) ポータブル水素豊富水製造装置
TWI705042B (zh) 氫水生成器
EP3459911B1 (en)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device
JP3198357U (ja) 耐熱式簡易電解式水素水生成器
JP5633978B2 (ja) 電気分解装置
US2006019676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sis water
JP2013544630A (ja) 殺菌電解水の製造装置、これを含む殺菌電解水の製造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10009584A (ko) 수소 발생용 정수기
CN103787465A (zh) 便携式电解水机及其电解水的方法
KR101387800B1 (ko) 수소챔버 및 산소챔버를 구비한 물통
JP3198375U (ja) 水素水ボトル
KR101446193B1 (ko) 전극을 이용한 수소수 생성 장치
JP3198341U (ja) 簡易電解式水素水生成器
JP2018121896A (ja) 水素・ケイ素生成機能付き電気ケトル
KR20160041543A (ko) 가온이 가능한 수소수생성기
KR101919571B1 (ko) 담수 또는 수돗물의 수소 농도를 강화하기 위한 전극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수소수 제조 장치
KR20210010263A (ko) 휴대용수소수제조장치
CN103622563A (zh) 液体加热容器
KR20190064185A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JP3209310U (ja) 水素水生成器
JP2013085979A (ja) 次亜塩素酸水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